10. 중형[허봉]의 경흥압호정(慶興狎胡亭)에 제한 시는 다음과 같다.
塞國悲寒望 새국비한망
人煙接鬼方 인연접귀방
山圍孤障外 산위고장외
水入毁陵傍 수입훼릉방
白屋經年病 백옥경년병
靑苗半夜霜 청묘반야상
登臨最蕭瑟 등림최소슬
衰鬢葉俱黃 쇠빈엽구황
국경에서 스산하게 바라다보니
인가의 연기는 귀방과 접했구나
산은 외로운 장막 밖을 에웠고
물은 무너진 능 옆으로 흘러드는구나
초가집에 해 바뀌도록 병들었는데
푸른 모에 한밤중 서리 내렸네
이곳에 오르자 가장 서글퍼지니
까칠한 수염은 낙엽과 함께 누렇구나
임자순(林子順)이 크게 칭찬하며 그 운자로 화답하려 하였으나 종일 궁리해도 뜻대로 되질 않자 시를 보내기를,
“ ‘백옥’과 ‘청묘’는 열 글자의 사기로다 (白屋靑苗十字史) ” 하였으니,
셋째와 넷째 구절이 사실(史實) 기록임을 말한 것이다.
금성 객관(金城客館)에 옛사람이 추(秋) 자로 압운하여 판각해서 못을 박아 걸어 놓았는데,
최고죽(崔孤竹)이 차운하기를,
殘角生古縣 잔각생고현
沈河急暝流 심하급명류
疏燈楚客夢 소등초객몽
半夜仲宣樓 반야중선루
寒雨雖逢霽 한우수봉제
歸心更値秋 귀심갱치추
서글픈 대평소 소리 옛고을에서 나는데
깊은 강물은 어둠속 급히 흐르네
으스레한 등불 아래 초객의 꿈이요
한밤중 중선의 다락일레
찬 비 비록 개었으나
고향 생각 또다시 가을을 만났네
라고 했다.
중씨가 이어 읊기를,
行人萬里去 행인만리거
駐馬飮寒流 주마음한류
芳草遍官道 방초편관도
晩煙生驛樓 만연생역루
旅懷渾似夢 여회혼사몽
春事半如秋 춘사반여추
나그네 만리길 가매
말 멈추어 차가운 물을 먹이네
큰 길엔 온통 꽃다운 풀들
저녁 연기 역루에서 피어오르네
나그네 회포는 어렴풋 꿈과 같아서
봄이라지만 거의 가을 같고나
라고 했다.
고죽이 보고,
“봄시를 가을 추(秋) 자로 압운하기는 가장 어려운 것인데 이 글귀는 옛 사람보다 훨씬 뛰어났다.” 하였다.
'한문학 > 학산초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형수 / 학산초담 12 (0) | 2010.02.09 |
---|---|
누정의 현판시 / 학산초담 11 (0) | 2010.02.09 |
임제 / 학산초담 09 (0) | 2010.02.09 |
허난설헌 / 학산초담 08 (0) | 2010.02.08 |
백광훈 / 학산초담 07 (0) | 2010.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