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 李益之少時學杜詩於湖陰。一日命取架上諸書看之。
이달(李達)은 어릴 적에 두시(杜詩)를 호음(湖陰)에게 배웠는데 하루는 이달에게 서가 위의 여러 책을 가져오도록 명했다.
到春亭集擲之地。梅溪集則展看笑掩之。蓋輕之也。
그리하여 호음이 그것을 보니, 《춘정집(春亭集)》이 나오니 땅에 던져버렸고, 《매계집(梅溪集)》은 펴보고 웃으며 덮었는데 대개 가볍게 여긴 것이었다.
唯取佔畢集。熟看不已。
오직 《점필재집(佔畢齋集)》만은 집어들고 익히 보기를 마지않았다.
覘之則悉自批抹。蓋好之而取材爲料也。
그를 엿보니, 모두 뽑아서 줄을 그으니 대개 그들을 좋아하여 소재로 취해 시의 자료로 하려는 것이었다.
嘗問平生得意句則曰。
언젠가 평생에 가장 마음에 만족하게 여기는 시구를 물었더니,
山木俱鳴風乍起。산목구명풍사기。
江聲忽厲月孤懸。강성홀려월고현。
산 나무 함께 우니 바람 언뜻 일어나고
강물 소리 문득 높았는데 달이 홀로 걸렸네
人以爲峭麗。
라는 구절을 사람들이 깎은 듯 아름답다고들 하고,
峯頂星搖爭缺月。 봉정성요쟁결월。
樹顚禽動竄深叢。 수전금동찬심총。
산꼭대기에 깜빡이는 별은 조각달과 빛을 다투고
나무 위에 움직이는 새는 깊은 떨기에 숨는고야
亦巧思。
라는 시구 역시 시상(詩想)은 교묘하지만
而終
마침내,
雨氣壓霞山忽暝。우기압하산홀명。
川華受月夜猶明。천화수월야유명。
비의 기운 노을 눌러 산은 문득 어두워지고
냇물빛은 달을 받아 밤에도 밝구나
不若 似有神助也。
라 한 구절보다는 못하니, 이는 마치 신이 도운 것 같다고 말했다 한다.
'한문학 > 허균, 성수시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수성 / 성수시화 38 (0) | 2010.01.28 |
---|---|
김정 / 성수시화 37 (0) | 2010.01.28 |
정사룡 / 성수시화 35 (0) | 2010.01.27 |
박상 & 허종경 / 성수시화 34 (0) | 2010.01.27 |
중종, 선조조의 시인들 / 성수시화 33 (0) | 2010.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