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 鄭湖陰少推伏。只喜訥齋詩。
호음 정사룡(鄭士龍,1491-1570)은 굴복하는 경우가 적었고 다만 눌재 박상(朴祥, 1475-1530)의 시를 좋아하였다.
嘗書
일찍이 [벽에] 쓰기를,
西北二江流太古。 서북이강류태고。
東南雙嶺鑿新羅。 동남쌍령착신라。
서북의 두 강은 태고부터 흘러오고
동남의 두 봉우리 신라(新羅)를 파고 드네
及
彈琴人去鶴邊月。 탄금인거학변월。
吹笛客來松下風。 취적객래송하풍。
거문고 타는 사람이 가니 학이 달을 비껴 날아가고
피리 부는 나그네 오니 소나무 아래로 바람이 불어오네
之句於壁上。自嘆以爲不可及。
라는 시구를 써서 벽에 놓고, 스스로 탄식하며 미칠 수 없다고 여겼다.
又云許宗卿有
또 이르기를, "허종경(許宗卿)의 시에,
野路欲昏牛獨返。 야로욕혼우독반。
江雲將雨燕低飛。 강운장우연저비。
들길이 저물어 오는데 소는 홀로 돌아오고
강 구름이 장차 비오려 하니 제비가 낮게 나네
之句。可與姜木溪
라는 구절은 목계 강혼(姜渾)의,
紫燕交飛風拂柳。
靑蛙亂叫雨昏山。
자주빛 제비 어지러이 날자 바람은 버들 스치고
청개구리 시끄럽게 울자 비 오는 산은 날이 저무네
之語。相當也。
이라 한 시구와 서로 대적할 만하다."고 했다.
其時稱申企翁衆體皆具。而湖陰獨善七言律。似不及焉。
그 당시 '기재 신광한의 시는 중체(衆體)를 모두 갖추었으나 호음 정사룡은 칠언율시에만 능했으니 그에게 못 미칠 것 같다.'고들 했는데,
湖陰曰。渠之衆體。安敢當吾一律乎。其自重如此。
정사룡은 '그의 중체가 감히 내 율시 한 구를 당할소냐.' 했으니 그의 자부가 이러했다.
'한문학 > 허균, 성수시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사룡 / 성수시화 36 (1) | 2010.01.28 |
---|---|
정사룡 / 성수시화 35 (0) | 2010.01.27 |
중종, 선조조의 시인들 / 성수시화 33 (0) | 2010.01.27 |
이행 / 성수시화 32 (1) | 2010.01.27 |
강혼 & 이희보 / 성수시화 31 (0) | 2010.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