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m.mk.co.kr/news/culture/view/2022/01/29107/
"국보 원각사탑은 13층…日학자 주장 `10층설`에 오류"
남동신 교수, 학술지 `미술자료` 논문서 층수 인식 변화 분석
www.mk.co.kr
1906년 조선에 온 아사미 린타로(淺見倫太郞)는 '속동문선'이라는 조선 기록에서 그동안 판독하지 못한 '대원각사비'의 '십유삼층'(十有三層)이라는 문구를 찾아내 원각사지 석탑이 13층임을 밝혀냈다.
국보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 (開城 敬天寺址 十層石塔) : 국가문화유산포털 - 문화재청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 전경(국립중앙박물관)
www.heritage.go.kr
경천사는 경기도 개풍군 광덕면 부소산에 있던 절로, 고려시대 전기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된다. 절터에 세워져 있었던 이 탑은 일제강점기에 일본으로 무단으로 반출되었던 것을 되돌려 받아 1960년에 경복궁으로 옮겨 세워 놓았다가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옮겨 놓았다.
https://kydong77.tistory.com/18185
최남선 - 기미독립선언서/ 해설
최남선 작성 기미독립선언서/천도교 손병희의 요청에 의함. 낭독자 정재용/탐골공원 팔각정 기미독립선언문에 목숨 걸고 서명하신 민족대료 33인은 천도교 15인, 기독교 16인, 불교 2인 등 종
kydong77.tistory.com
https://kydong77.tistory.com/18273
만해룡운당대선사비(卍海龍雲堂大禪師碑)/ 탑골공원
https://ko.wikipedia.org/wiki/%ED%95%9C%EC%9A%A9%EC%9A%B4 한용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용운(韓龍雲, 1879년 8월 29일 ~ 1944년 6월 29일)은 일제 강점기의..
kydong77.tistory.com
公約三章(공약 삼 장)
ㅡ. 今日(금일) 吾人(오인)의 此擧(차거)는 正義(정의), 人道(인도),生存(생존),尊榮(존영)을 爲(위)하는 民族的 (민족적) 要求(요구)ㅣ니, 오즉 自由的(자유적) 精神(정신)을 發揮(발휘)할 것이오, 決(결)코 排他的(배타적) 感情(감정)으로 逸走(일주)하지 말라.
ㅡ. 最後(최후)의 一人(일인)까지, 最後(최후)의 一刻(일각)까지 民族(민족)의 正當(정당)한 意思(의사)를 快(쾌) 히 發表(발표)하라.
ㅡ. 一切(일체)의 行動(행동)은 가장 秩序(질서)를 尊重(존중)하야, 吾人(오인)의 主張(주장)과 態度(태도)로 하 야금 어대까지던지 光明正大(광명정대)하게 하라.
朝鮮建國 4252년 3월 1일
耘虛 龍夏 찬, 卍海龍雲堂大禪師碑의 전문 소개
만해용운당대선사비(卍海龍雲堂大禪師碑)/ 탑골공원 * 한룡운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yongchshin37&logNo=220363983877
만해용운당대선사비(卍海龍雲堂大禪師碑)
2) 만해용운당대선사비(卍海龍雲堂大禪師碑) 韓國末年에 山中佛敎를 都市로 끌어내려 大衆化하고 아울러 衰...
blog.naver.com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19142 [김영동교수의 고전 & Life:티스토리]
https://www.youtube.com/watch?v=ewMJCSdfOc4
https://www.youtube.com/watch?v=UzZif5birSM
'문화예술 역사 > 문화유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흥준, 겸재 정선과 단원 김홍도/ 구양수(歐陽修), 추성부(秋聲賦)/ 김홍도, 秋聲賦圖 (0) | 2022.08.18 |
---|---|
공재(恭齋) 윤두서(尹斗緖)의 자화상, 국보 제240호 (0) | 2022.01.08 |
경주 대릉원/ 박완규, 천년의 사랑 (0) | 2022.01.02 |
秋史 金正喜, 歲寒圖(세한도)와 그 발문& 예산 추사고택 (0) | 2021.07.05 |
경주 남산, 천년의 佛國土& 석굴암& 불국사/ 무구정광대다라니경 (0) | 2021.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