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kydong77.tistory.com/19753

 

詩經 311편 총목차 & 305편 작품과 국역 목록/ 김용옥, 시경시 재해석

www.youtube.com/watch?v=zh1ePSoRx3E https://kydong77.tistory.com/19521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9116 [김영동교수의 고전 & Life] 詩經 311편 총목차 & 305편 작품과 국역 목록 blog.naver.com/bhjang3/140036675866 시경뭔문 -

kydong77.tistory.com

       
국풍(國風)  
    총 160편
  한자 한글 번호
01 周南 주남 001-011
02 召南 소남 012-025
03 邶風 패풍 026-044
04 鄘風 용풍 045-054
05 衛風 위풍 055-064
06 王風 왕풍 065-074
07 鄭風 정풍 075-095
08 齊風 제풍 096-106
09 魏風 위풍 107-113
10 唐風 당풍 114-125
11 秦風 진풍 126-135
12 陳風 진풍 136-145
13 檜風 회풍 146-149
14 曹風 조풍 150-153
15 豳風 빈풍 154-160
       
소아(小雅)     총 74편
01 鹿鳴之什 녹명지습 161-170
02 白華之什 백화지습 170-175
03 彤弓之什 동궁지습 175-185
04 祈父之什 기부지습 185-195
05 小旻之什 소민지습 195-205
06 北山之什 북산지습 205-215
07 桑扈之什 상호지습 215-225
08 都人士之什 도인사지습 225-234
       
대아(大雅)     총 31편
01 文王之什 문왕지습 235-244
02 生民之什 생민지습 245-254
03 蕩之什 탕지습 255-265
       
송(頌)         총 40편
01 周頌 주송 266-296
01a -清廟之什 청묘지습 266-275
01b -臣工之什 신공지습 276-285
01c -閔予小子之什 민여소자지습 286-296
02 魯頌 노송 297-300
03 商頌 상송 301-305

 

子曰 詩三百 一言以蔽之 曰 思無邪니라

자왈 시삼백 일언이폐지 왈 사무사 

[논어(論語) 위정(爲政)편 2장]

라 했으나 현전하는 작품은 305편이고

笙詩를 합하면 311펀이 된다.

공자는“시경시집  305 편은 한마디로 요약하면, 순수한 생각과 사실성에 바탕한 純正한 생각과 정서의 표현임을 위와 같이 말했다. 이는 곧 공자의 詩觀이라 할 수 있다.

 

笙詩[가락만 남고 한시 작품 망실] 6편명

170 小雅 녹명지십(鹿鳴之什) 제10편 남해(南陔)[笙詩]

 171 小雅 백화지십(白華之什) 제1편 백화(白華) [笙歌,笙詩]

 172 小雅 백화지십(白華之什) 제2편 화서(華黍)[笙歌,笙詩]

 174 小雅 백화지십(白華之什) 제4편 유경(由庚)[笙歌,笙詩]

 176 小雅 백화지십(白華之什) 제6편 숭구(崇丘)[笙歌,笙詩]

 178 小雅- 南有嘉魚之什-유의(由儀) [笙歌,笙詩]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9116 [김영동교수의 고전 & Life]

 

https://blog.naver.com/bhjang3

 

德 田 의 문 화 일 기. : 네이버 블로그

파워 지식 in- 등급 물신-지식영향력 96%의 <지식 공유 나라>는 마음껏 퍼가도 줄지 않는 샘물임니다.

blog.naver.com

 

詩 經 原 文

 1. 國風 

2. 雅 

3. 頌   

 

 

毛詩
1.

國風

 

 

2.

小雅 

 

3. 大雅 

 

4.

周頌 

 

5. 魯頌 

 

6. 商頌

 

 

 

  周南
召南
邶风
鄘风
卫风
王风
郑风
齐风
魏风
唐风
秦风
陈风
桧风
曹风
豳风
  鹿鸣之什
南有嘉鱼之什
鸿雁之什
节南山之什
谷风之什
甫田之什
鱼藻之什
文王之什
生民之什
荡之什
  周颂·清庙之什
周颂·臣工之什
周颂·闵予小子之什
鲁颂·駉之什
商颂

返回

 

https://blog.naver.com/bhjang3/140035268824

 

◈ 중국 시가(詩歌)의 내용과 특징 소고.

◈ 중국 시가(詩歌)의 내용과 특징 소고. 우선 시경(詩經)의 첫 편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관저(關雎); ...

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bhjang3/140035268975

 

◈ 중국 시가(詩歌)의 유형과 작품 소고.

◈ 중국 시가(詩歌)의 유형과 작품 소고. 一. 중국시가의 원류(源流) : 시경(詩經)과 초사(楚辭) 중국문학...

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bhjang3/140035480672

 

◈ 001 國風(국풍)周南(주남)-關雎(관저) : 물수리.

◈ 시경 강독 朱子詩集傳 解 - . 詩經 國風. 國이란 것은 諸侯에게 봉해진 지역이요, 風이란 것은 民俗 歌...

blog.naver.com

 



       
국풍(國風)  
    총 160편
  한자 한글 번호
01 周南 주남 001-011
02 召南 소남 012-025
03 邶風 패풍 026-044
04 鄘風 용풍 045-054
05 衛風 위풍 055-064
06 王風 왕풍 065-074
07 鄭風 정풍 075-095
08 齊風 제풍 096-106
09 魏風 위풍 107-113
10 唐風 당풍 114-125
11 秦風 진풍 126-135
12 陳風 진풍 136-145
13 檜風 회풍 146-149
14 曹風 조풍 150-153
15 豳風 빈풍 154-160
       
소아(小雅)     총 74편
01 鹿鳴之什 녹명지습 161-170
02 白華之什 백화지습 170-175
03 彤弓之什 동궁지습 175-185
04 祈父之什 기부지습 185-195
05 小旻之什 소민지습 195-205
06 北山之什 북산지습 205-215
07 桑扈之什 상호지습 215-225
08 都人士之什 도인사지습 225-234
       
대아(大雅)     총 31편
01 文王之什 문왕지습 235-244
02 生民之什 생민지습 245-254
03 蕩之什 탕지습 255-265
       
송(頌)         총 40편
01 周頌 주송 266-296
01a -清廟之什 청묘지습 266-275
01b -臣工之什 신공지습 276-285
01c -閔予小子之什 민여소자지습 286-296
02 魯頌 노송 297-300
03 商頌 상송 301-305

 

子曰 詩三百 一言以蔽之 曰 思無邪니라

자왈 시삼백 일언이폐지 왈 사무사 

[논어(論語) 위정(爲政)편 2장]

라 했으나 현전하는 작품은 305편이고

笙詩를 합하면 311펀이 된다.

공자는“시경시집  305 편은 한마디로 요약하면, 순수한 생각과 사실성에 바탕한 純正한 생각과 정서의 표현임을 위와 같이 말했다. 이는 곧 공자의 詩觀이라 할 수 있다.

 

笙詩[가락만 남고 한시 작품 망실] 6편명

170 小雅 녹명지십(鹿鳴之什) 제10편 남해(南陔)[笙詩]

 171 小雅 백화지십(白華之什) 제1편 백화(白華) [笙歌,笙詩]

 172 小雅 백화지십(白華之什) 제2편 화서(華黍)[笙歌,笙詩]

 174 小雅 백화지십(白華之什) 제4편 유경(由庚)[笙歌,笙詩]

 176 小雅 백화지십(白華之什) 제6편 숭구(崇丘)[笙歌,笙詩]

 178 小雅- 南有嘉魚之什-유의(由儀) [笙歌,笙詩]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9116 [김영동교수의 고전 & Life]

儒家의 德治主義에서 출발하여 시의 效用性[功用性]이 작품 평가의 주요한 기준이 된다. 四言이 기준이며 사회의 보편적 경험을 소재로 하였다. 사마천은 󰡔史記󰡕 孔子世家에서 孔子(BC.552~BC.479)가 3천편 가운데서 산시(刪詩)했다는 說을 말했으나 淸代 최술의 󰡔考信錄󰡕에서는 본디 300편이었다고 주장하였다. 시경의 생산연대는 서주초-춘추 중엽(BC.1122~BC.570) 552년간으로 추정한다. 작품수는 笙歌(有聲無歌, 곡조는 있으나 가사가 없는 것) 6편을 제외하고 305편이어서 통칭 ‘詩三百’이라 칭한다.

 

1)명칭

:魯詩(魯人 申培가 전함), 齊詩(齊人 轅固生이 전함), 韓詩(燕人 韓영이 전함), 毛詩(魯人 毛亨이 전함) 등이 있었으나 현존하는 것은 毛詩뿐이다.

 

2)수집방법

① 采詩:임금이 백성의 實情을 파악하기 위하여 각 지방의 민요를 채집하는 채시관을 두었다. 󰡔漢書󰡕예문지.

② 獻詩:백성들의 여론을 임금에게 알리기 위하여 지방장관들이 자기 고장의 민요를 모아 바치는 제도이다.

󰡔國語󰡕 周語.

③ 陳詩:천자가 巡守할 때 태사에게 시를 진열케 하여 백성들의 풍속을 살폈다. 󰡔禮記󰡕王制篇.

 

1. 六 義
․風雅頌은 내용상, 比賦興은 표현기법에 따른 분류.

 

1) 風, 國風:風者民俗歌謠之詩也.(朱熹 注)

 

․正風:周南․召南, 變風:나머지 13 國風.

․15 國으로부터 채집한 민요는 305편 중

160편.

․내용:남녀간의 사랑, 농촌 생활, 전쟁 저주,武 숭상, 狩獵, 軍士 찬미, 효성, 정치 풍자, 신세 타령, 이상 세계 연모, 인생무상 한탄.

․鄭風․齊風․衛風은 연정시 많아 淫詩라 평한다.

․13국풍은․邶風․鄘風․衛風․王風․鄭風․齊風․魏風․唐風․秦風․陳風․檜風․曹風․豳風

 

2) 雅, 二雅:小雅74편, 大雅31편, 총105편.

 

․雅者正也 正樂之歌也. 正小雅 燕饗之樂也. 正大雅 會朝之樂 受 釐陳戒之辭也.

․朝廷之樂歌 曰雅 宗廟之樂 曰頌. 元 吳징,校正詩經 序

․공경대부들의 祭祀,飮 燕에 관한 시 많음. 특히 역사적 사실을 기록한 것을 史詩라 평한다.

 

3) 頌, 三頌:周頌 31, 商頌 5, 魯頌 4편 총40편

 

․頌者 美盛德之形容 以其成功 告於神明者也. (詩大序)

․舞歌, 樂歌, 祭歌신에게 축복을 비는 것, 祭時의 정경, 祭物, 농가생활, 史實.

 

4) 賦:직접적으로 자신을 나타냄, 늘어놓는, 기술하는 양식

 

5) 比:자연현상과 인간의 위치[혹은 정서] 사이의 비교. 比較하고 類推하는 양식. 比喩法.

 

6)興:聯想의 양식.시인은 자연현상을 제시하기 시작[興]하여 그 현상에 의하여 고무되거나[興] 혹은 연상되는 인간의 정서를 나타낸다.

 

󰡔논어󰡕 양화편의 “詩可以興”에서 興은 “일으키다, 고무하다, 자극하다”로 해석할 경우에 그 목적어는 정서 또는 도덕적 의지 혹은 감정으로 추측한다.

 


[은자주]"思無邪"의 '思'는 허사로 보기도 하나 실사로 보아도 무방하다. "無邪"란 시의 효용론인"可以興 可以觀 可以群 可以怨" 가운데 '可以怨'으로, 시의작자가 특정인을 비난할 목적으로 쓴 것도 아니며, 위정자가 그 시를 보고 상처받는 일도 없다는 뜻으로 보면 된다.

그 예로 <석서>를 싣는다. 탐관오리를 형상화한 '큰쥐'들조차 자기는 '큰쥐'가 아니라고 생각하고, 특정인을 거명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백성들은 남의 눈치볼 것 없이 안심하고 큰소리로 큰쥐에 대한 불평을 쏟아낼 수 있다. 그것이 "思無邪"의 시정신이다.

論語 爲政 第二

凡二十四章

[爲政2]

子ㅣ曰 詩三百에 一言以蔽之하니 曰 思無邪니라

[譯]공자께서 말씀하셨다. “󰡔詩經󰡕 삼 백 편의 뜻을 한 마디의 말로 덮으니(대표할 수 있으니), ‘생각에 사특함이 없다.’는 말이다.”

[註]詩, 三百十一篇, 言三百者, 擧大數也. 蔽, 猶蓋也. 思無邪,〈魯頌〉駉篇之辭. 凡詩之言. 善者, 可以感發人之善心. 惡者, 可以懲創人之逸志. 其用, 歸於使人, 得其情性之正而已. 程子曰 思無邪者, 誠也.

[疏]子曰, 至無邪. ○正義曰: 此章, 言爲政之道在於去邪歸正, 故擧詩要當一句以言之. 「詩三百」者, 言詩篇之大數也. 「一言以蔽之」者: 蔽, 猶當也; 古者謂一句爲一言; 詩雖有三百篇之多, 可擧一句當盡其理也. 「曰思無邪」者: 此詩之一言, 魯頌駉篇文也; 詩之爲體, 論功頌德, 止僻防邪, 大抵皆歸於正, 故此一句可以當之也. ○注「孔曰, 篇之大數.」 ○正義曰: 案今毛詩序, 凡三百一十一篇內六篇亡, 今其存者有三百五篇, 今但言三百篇, 故曰「篇之大數.」

[疏]子曰에서 無邪까지. ○正義에 말하였다. “이 章에서는 爲政의 길이 사악함을 물리치고 올바름으로 돌아가는 데에 있음을 말하기 때문에, 詩를 들어 한 구절에 상당하는 말로 말하고자 하는 것이다. 「詩三百」이란 것은 詩篇의 大數를 말한다. 「一言以蔽之」에서, 蔽는 當과 같으며, 옛날에는 一句를 一言이라고 하였다. 詩는 비록 300篇으로 많지만, 一句를 들어 그 이치를 모두 相當할 수 있다는 것이다. 「曰思無邪」에서, 이것은 詩의 한 구절이며, 魯頌, 駉篇의 글이다. 詩의 본질은 功을 논하고 德을 기리며, 僻을 제지하고 邪를 방지하는 것이니, 대부분 모두 올바름으로 돌아가려는 것이 때문에, 이 一句로써 相當할 수 있는 것이다.” ○注에 「孔曰, 篇之大數」라고 한 부분. ○正義에 말하였다. “지금 毛詩의 序文을 살펴보면, 모두 316篇 안에 6篇이 소실되었고, 지금 남아 있는 것은 305篇인데, 지금 단지 300篇이라고 말하는 까닭에 「篇之大數」라고 하는 것이다.”

󰡔論語󰡕 陽貨篇 (제9장의 내용, cf.교재,p.31.)

․詩 可以興 可以觀 可以群 可以怨 邇之事父 遠之事君 多識於鳥獸草木之名.

․興:시인은 자연현상을 제시하기 시작[興]하여 그 현상에 의하여 고무되거나[興] 혹은 연상되는 인간의 정서를 나타낸다. 위에서 興은 “일으키다, 고무하다, 자극하다”로 해석할 경우에 그 목적어는 정서 또는 도덕적 의지 혹은 감정으로 추측한다.

․觀:觀風俗之盛衰. 도덕적 풍속의 성쇠를 살핌. 考見得失. 정부의 잘잘못을 살핀다. 스스로 돌아본다. 백성들의 감정을 살핀다. 우주만물을 살핀다. <시경>에서 어떤 시구를 인용하는가를 보고 그 사람됨을 살핀다.

․群:무리, 단체의 뜻. 사회적 성취 같은 것이다. “不學詩 無以言” 도덕적 해석을 하기도 한다. 群居相切磋(함께 살며 서로 갈고 다듬는다.)

․怨:“불평하다, 원한을 표시하다”의 뜻. 시의 적절한 구절을 읊조림으로써 원한을 스스로 해소할 수 있다. 시는 직접적 정서 효과에 관련되는 한 심미적인 것이고, 효용론적 목적을 갖고 있는 한 효용론적일 것이다. 「시를 지음으로서 원한을 나타낸다.」고 하면 표현론적 詩觀이다. 독자의 관점에서 갑자기 시인의 관점으로 옮긴 것이므로 불합리하다고 지적하는 이들도 있다. 정부에 대한 원한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113 위풍 제7편 석서3장(碩鼠三章)

http://blog.paran.com/kydong/35636596

魏風 碩鼠(석서) 三章, p.56. 比也

碩鼠碩鼠1. 큰 쥐야, 큰 쥐야

無食我黍내 기장 먹지 마라.

三歲貫女삼 년 동안 견디었건만

莫我肯顧나를 생각지 않는구나.1)

逝將去女가리라, 장차 너를 버리고

適彼樂土저 낙원으로 가리라.2)

樂土樂土낙원, 낙원이여

爰得我所거기에서 내 살 곳 찾으리.3)


碩鼠碩鼠2. 큰 쥐야, 큰 쥐야,

無食我麥내 보리 먹지 마라.

三歲貫女삼 년 동안 너를 견디었건만

莫我肯德내게 은혜를 베풀지 않는구나.

逝將去女가리라, 너를 버리고

適彼樂國즐거운 나라로 가리라.

樂國樂國즐거운 나라, 즐거운 나라여

爰得我直거기에서 내 살 곳 찾으리.4)

碩鼠碩鼠3. 큰 쥐야, 큰 쥐야,

無食我苗내 곡식 먹지 마라.5)

三歲貫女삼 년 동안 너를 견디었건만

莫我肯勞나를 위로함이 없구나.6)

逝將去女가리라, 너를 떠나

適彼樂郊저 즐거운 들녘으로 가리라.

樂郊樂郊즐거운 들녘, 즐거운 들녘이여

誰之永號누가 가서 길게 부르짖으랴!7)


❙ 注 疏

1)貫(관):(毛傳)섬김, (朱子)習也, 버릇됨, 顧:念. 2)適(적):가다. 3)爰(원):이에, 장소를 나타냄. 4)直(치):(朱子)마땅함. 5)苗(묘):벼싹. 6)勞(로):(주자)위로함. 7)誰之(수지):누가 가서. 永號(영호):길게 외침.

 

 

 

 

 

https://www.youtube.com/watch?v=W_DsQkSC5zo 

 

https://kydong77.tistory.com/19522

 

001 주남 제1편. 관저3장(關雎三章)

https://www.youtube.com/watch?v=dcROZK-ZTns 001 國風(국풍)周南(주남)-關雎(관저) : 물수리. 關關雎鳩,(관관저구) : 구룩구룩 물수리[징경이]는 在河之洲.(재하지주) : 황하의 섬에서 우네 窈窕淑女,(요조숙녀)

kydong77.tistory.com

 

 001 國風(국풍)

周南(주남)-關雎(관저) : 물수리.

1장

關關雎鳩,

(관관저구) : 구룩구룩 물수리[징경이]는

在河之洲.

(재하지주) : 황하의 섬에서 우네

窈窕淑女,

(요조숙녀) : 요조숙녀는

君子好逑.

(군자호구) : 군자의 좋은 짝이네.

參差荇菜,

(삼치행채) : 올망졸망 마름풀을

左右流之.

(좌우류지) : 이리저리 헤치며 찾네

窈窕淑女,

(요조숙녀) : 요조숙녀를

寤寐求之.

(오매구지) : 자나깨나 구하네

求之不得,

(구지불득) : 구해도 찾지 못해

寤寐思服.

(오매사복) : 자나깨나 생각하네

悠哉悠哉,

(유재유재) : 생각하고 생각하니

輾轉反側.

(전전반측) : 잠 못 자며 뒤척이네.

 

2장

參差荇菜,

(삼치행채) : 올망졸망 마름풀을

左右采之.

(좌우채지) : 이리저리 뜯어보네

窈窕淑女,

(요조숙녀) : 요조숙녀를

琴瑟友之.

(금슬우지) : 금슬좋게 사귀려네

參差荇菜,

(삼치행채) : 올망졸망 마름풀을

左右芼之.

(좌우모지) : 여기저기 뜯어보네

窈窕淑女,

(요조숙녀) : 요조숙녀와

鍾鼓樂之.

(종고락지) : 풍악 울리며 즐기려네.

 

3장

關關雎鳩ㅣ 在河之洲ㅣ로다

(관관저구ㅣ 재하지주ㅣ로다

끼룩끼룩하는 저 물오리여, 하수의 물가에 있도다.

窈窕淑女ㅣ 君子好逑ㅣ로다

요조숙녀ㅣ 군자호구ㅣ로다 興也ㅣ라)

요조숙녀여, 군자의 좋은 짝이도다

 

시경시 총목차

http://kydong77.tistory.com/9116

 

시경시 총목차/ 311편

https://kydong77.tistory.com/18727?category=486549 詩經 총목차 & 작품 https://www.youtube.com/watch?v=2C4AfzprIag https://www.youtube.com/watch?v=HoLvjx8mmq8 https://ko.wikipedia.org/wiki/%EC%8B%9C%EA%B2%BD 시경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kydong77.tistory.com

 

 

[은자주] 관저편은 시경의 첫머리에 위치한데다 사랑을 주제로 하여 시경시 가운데가장 많이 애송되는 작품이다.

六義와 함께 살펴본다.

 

관저 & 六義

주남관저

周南 關雎

關雎, p.62. 興也

1.

關關雎鳩

꺼욱꺼욱 저 암수 징경이1)

在河之洲

황하의 모래섬에 정겹다.

窈窕淑女

곱고 착한 아가씨가

君子好逑

군자의 좋은 짝이로세.

1)關關(관관):암수가 사이 좋게 우는 소리 .

2.

參差荇菜

들쑥날쑥한 조아기 찾아2)

左右流之

이리저리 뒤지도다.3)

窈窕淑女

곱고 착한 아가씨를

寤寐求之

자나깨나 찾도다.

求之不得

구해도 얻지 못해

寤寐思服

자나깨나 그리나니

悠哉悠哉

시름은 그지 없어

輾轉反側

잠 못들어 뒤척인다.

2)조아기:마름풀. 줄기가 비녀 다리 같고 위가 푸르고 아래가 희며 지름이 한 치[寸] 남짓하다 . 3) 流:(류):흐르는 물을 따라 찾다 .

3.

參差荇菜

어슷비슷한 조아기를

左右采之

이리저리 캐도다.

窈窕淑女

곱고 착한 아가씨를

琴瑟友之

거문고와 비파처럼 사랑한다.

參差荇菜

들쑥날쑥한 조아기를

左右芼之

이리저리 데쳐 바치도다.4)

窈窕淑女

곱고 착한 아가씨를

鍾鼓樂之

종과 북처럼 즐기도다.

4)芼(모):(毛傳)고르다, (朱子)삶아 薦新하다. 천신은 태사가 조아기로 제사했다 생각함.


六義


風雅頌내용상 분류

 

1) 風, 國風:風者民俗歌謠之詩也.(朱熹 注)

正風:周南․召南, 變風:나머지 13 國風.

15 國으로부터 채집한 민요는 305편160편.

․내용:남녀간의 사랑, 농촌 생활, 전쟁 저주,武 숭상, 狩獵, 軍士 찬미, 효성, 정치 풍자, 신세 타령, 이상 세계 연모, 인생무상 한탄.

․鄭風․齊風․衛風은 연정시 많아 淫詩라 평한다.

․13국풍: 邶風․鄘風․衛風․王風․鄭風․齊風․魏風․唐風․秦風․陳風․檜風․曹風․豳風

 

2), 二雅:小雅74편, 大雅31편, 총105편.

․雅者正也 正樂之歌也. 正小雅 燕饗之樂也. 正大雅 會朝之樂 受釐陳戒之辭也.

․朝廷之樂歌 曰雅 宗廟之樂 曰頌. 元 吳징,校正詩經 序

․공경대부들의 祭祀,飮 燕에 관한 시 많음. 특히 역사적 사실을 기록한 것을 史詩라 평한다.

 

3), 三頌周頌 31, 商頌 5, 魯頌 4편 총40편

․頌者 美盛德之形容 以其成功 告於神明者也. (詩大序)

․舞歌, 樂歌, 祭歌신에게 축복을 비는 것, 祭時의 정경, 祭物, 농가생활, 史實.

 

比興표현기법에 따른 분류

4) :직접적으로 자신을 나타냄, 늘어놓는, 기술하는 양식

5):자연현상과 인간의 위치[혹은 정서] 사이의 비교. 比較하고 類推하는 양식. 比喩法.

6)聯想의 양식.시인은 자연현상을 제시하기 시작[興]하여 그 현상에 의하여 고무되거나[興] 혹은 연상되는 인간의 정서를 나타낸다. <논어> 양화편의 “詩可以興”에서 興은 “일으키다, 고무하다, 자극하다”로 해석할 경우에 그 목적어는 정서 또는 도덕적 의지 혹은 감정으로 추측한다.

 

시경시 주제의 시대별 변화

① 成康시대(성강,BC.1115~BC.1053):종교시, 궁정의 宴會詩(연회시), 田獵詩(전렵시).

종교적 복무적 頌歌:周頌, 종교적 영역. 聲色적 오락:小雅, 궁정적 영역.

② 勵平(려평,BC.878~BC.720) 기타 시대:사회시, 민간의 情歌, 舞曲.

怨聲적 呼聲:變風, 變雅에서 神權의 쇠락과 人性의 각성으로 사회생활적 면모 표출하였다. 變은 正의 상대적 개념이다.

③ 平王-춘추시대(BC.770~BC.403):神鬼적 至尊 관념이 부활함.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