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릇 신명이란

남과 조화를 이루는 것을 좋아하고, 사사로운 것을 싫어하는 법입니다.

- 장자(잡편) ; 제24편 서무귀[3]-

 

徐徐无鬼見武侯曰:

서서무귀견무후왈: 서무귀가 무후를 만나니 무후가 말했다.

「先生居山林,

「선생거산림, “선생께서는 산 속에 살며

食茅栗厭葱韭,

식모률염총구, 도토리와 밤을 먹고 파와 부추를 지겹도록 먹으면서도

以賓寡人,

이빈과인, 나를 찾아오지 않은 지

久矣夫!

구의부! 오래 되었습니다.

今老邪?

금노사? 그런데 이제 나를 찾아오신 것은 늙었기 때문입니까?

其欲干酒肉之味邪?

기욕간주육지미사? 아니면 술과 고기 맛을 보러 오신 것입니까?

其寡人亦有社稷之福邪?」

기과인역유사직지복사?」 그렇지 않으면 내게 나라를 잘 다스릴 만한 복이 있어서 온 것입니까?”

徐无鬼曰:

서무귀왈: 서무귀가 말했다.

「无鬼生於貧賤,

「무귀생어빈천, “저는 빈천하게 나서 자랐기 때문에

未嘗敢飮食君之酒肉,

미상감음식군지주육, 임금님의 술과 고기를 감히 먹고 마시고자 한 적이 없습니다.

將來勞君也.」

장래노군야.」 임금님을 위로해드리기 위해 찾아왔습니다.”

君曰:

군왈: 무후가 말했다.

「何哉, 奚勞寡人?」

「하재, 해로과인?」 “무슨 말입니까? 어떻게 나를 위로한단 말입니까?”

曰:

왈: 서무귀가 말했다.

「勞君之神與形.」

「로군지신여형.」 “임금님의 정신과 육체를 위로해드리겠다는 말입니다.”

武侯曰:

무후왈: 무후가 말했다.

「何謂邪?」

「하위사?」 “무슨 뜻입니까?”

徐无鬼曰:

서무귀왈: 서무귀가 말했다.

「天地之養也一,

「천지지양야일, “하늘과 땅이 만물을 키우는 것은 한결같습니다.

登高不可以爲長,

등고불가이위장, 높은 곳에 있다고 해서 더 존귀해지지 않고

居下不可以爲短.

거하불가이위단. 낮은 곳에 있다고 해서 더 비천해지지 않습니다.

吾獨爲萬乘之主,

오독위만승지주, 임금께서는 군주의 자리에 있으면서

以苦一國之民,

이고일국지민, 한 나라의 백성들을 수고롭게 해

以養耳目鼻口,

이양이목비구, 자신의 귀와 눈과 코와 입의 욕망을 충족시키고 있습니다.

夫信者不自許也.

부신자불자허야. 그것은 임금님의 신명이 허락하지 않을 일입니다.

夫神者,

부신자, 무릇 신명이란

好和而惡姦.

호화이오간. 남과 조화를 이루는 것을 좋아하고, 사사로운 것을 싫어하는 법입니다.

夫姦, 病也,

부간, 병야, 사사롭게 자신만을 생각하신다면, 이것은 이미 병이 됩니다.

故勞之.

고로지. 그래서 그 점을 위로해드리겠다는 것입니다.

唯君所病之, 何也?」

유군소병지, 하야?」 임금께서 이런 병에 걸리게 된 것은 어째서이겠습니까?”

武侯曰:

무후왈: 무후가 말했다.

「欲見先生久矣.

「욕견선생구의. “선생을 만나보려고 한 지 오래되었습니다.

吾欲愛民而爲義偃兵,

오욕애민이위의언병, 나는 백성을 사랑하고 의를 위해 전쟁을 그만두려는데

其可乎?」

기가호?」 어떻습니까?”

徐无鬼曰:

서무귀왈: 서무귀가 말했다.

「不可.

「불가. “안됩니다.

愛民,

애민, 백성을 사랑한다는 것은

害民之始也.

해민지시야. 백성을 해치는 시초가 됩니다.

爲義偃兵,

위의언병, 또한 의를 위해 전쟁을 그만두겠다는 것 자체가

造兵之本也.

조병지본야. 전쟁을 일으키는 근본이 되는 것입니다.

君自此爲之,

군자차위지, 그런 생각을 하시면

則殆不成.

즉칙태불성. 좋은 정치를 이룰 수가 없으실 것입니다. 그런 방법으로 정치를 하신다면 아마 성공할 수 없을 것입니다.

凡成美,

범성미, 모든 훌륭한 일을 이루겠다는 것은

惡器也.

악기야. 악의 바탕인 것입니다.

君雖爲仁義,

군수위인의, 인의를 행하시더라도

幾且僞哉!

기차위재! 아마 위선이 될 것입니다.

形固造形,

형고조형, 그런 형식을 갖추면 거짓 형식이 조성되는 것입니다.

成固有伐,

성고유벌, 갖추게 되면 자랑하는 마음이 생기며,

變固外戰.

변고외전. 이런 변화가 밖으로 전쟁으로 표출되는 것입니다.

君亦必无盛鶴列於麗譙之間,

군역필무성학렬어려초지간, 높은 누각 위에서 군대를 사열할 생각을 말아야 하며,

无徒驥於錙壇之宮,

무도기어치단지궁, 제사를 드리는 궁궐 앞에 보병과 기병을 집합시키실 생각도 말아야 합니다.

无藏逆於得,

무장역어득, 그리고 덕을 저버리고 이치에 어긋나는 일을 하셔도 안됩니다.

无以巧勝人,

무이교승인, 계교로 남을 이기려 해서도 안됩니다.

无以謀勝人,

무이모승인, 계략으로 남을 이기려 해서도 안됩니다.

无以戰勝人.

무이전승인. 전쟁으로 남을 이기려 해서도 안됩니다.

夫殺人之士民,

부살인지사민, 다른 나라의 백성을 죽이고

兼人之士地,

겸인지사지, 남의 나라의 땅을 빼앗아 차지함으로써

以養吾私與吾神者,

이양오사여오신자, 자기의 육체와 정신을 만족시키려 하는 자는

其戰不知孰善?

기전부지숙선? 그 전쟁이 아무리 훌륭한 명분을 갖고 있더라도 과연 어느 쪽이 좋은 건지 알 수 없으며,

勝之惡乎在?

승지오호재? 설사 전쟁에 이긴다 해도 승리의 목적이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없게 됩니다.

君若勿已矣,

군약물이의, 그런 짓은 하지 말아야 합니다.

修胸中之誠,

수흉중지성, 부디 마음속의 정성을 닦음으로써

以應天之情而勿攖.

이응천지정이물영. 자연의 변화에 순응하며 현혹되지 마십시오.

夫民死已脫矣,

부민사이탈의, 그래야 백성들이 죽음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습니다.

吾將惡乎用夫偃兵哉!」

오장악호용부언병재!」 그렇게만 된다면 어찌 전쟁을 그만 두시겠다는 생각조차 하실 필요가 있겠습니까?”

나라를 떠나 오랜 세월이 흐를수록

사람을 그리워하는 마음이 깊어진다

- 장자(잡편) ; 제24편 서무귀[2]-

 

徐无鬼出, 女商曰:

서무귀출, 녀상왈: 서무귀가 나오자 여상이 그에게 물었다.

「先生獨何以說吾君乎?

「선생독하이설오군호? “선생께서는 대체 어떤 말로 우리 임금님을 설득하셨습니까?

吾所以說吾君者,

오소이설오군자, 제가 임금님을 설득하는 방법은

橫說之則以詩書禮樂,

횡설지즉이시서예악, 횡적으로는 시, 서, 예, 악을 사용하고,

從說之則以金板六弢,

종설지칙이금판육도, 종적으로는 주서의 금판편·육도편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奉事而大有功者不可爲數,

봉사이대유공자불가위수, 그렇게 정사에 도움을 주고 공을 세운 일도 많지만

而吾君未嘗啓齒.

이오군미상계치. 제 말에 대해 이를 드러내고 웃으신 적이 한번도 없었습니다.

今先生何以說吾君,

금선생하이설오군, 그런데 선생께서는 무슨 말로 임금님을 설득하였기에

使吾君說若此乎?」

사오군설약차호?」 우리 임금님을 저렇게 기뻐게 하신 것입니까?”

徐无鬼曰:

서무귀왈: 서무귀가 말했다.

「吾直告之吾相狗馬耳.」

「오직고지오상구마이.」 “단지 내가 개와 말을 감정했던 얘기를 했을 뿐입니다.”

女商曰:「若是乎?」

녀상왈: 여상이 말했다.

「若是乎?」

「약시호?」 “그것뿐입니까?”

曰:

왈: 서무귀가 말했다.

「子不聞夫越之流人乎?

「자불문부월지류인호? “월나라의 유배당한 사람 얘기를 들어 보지 못 했습니까?

去國數日,

거국수일, 나라를 떠난 지 며칠 되지 않아서는

見其所知而喜.

견기소지이희. 그가 전에 알고 있던 사람을 보기만 해도 기뻐했습니다.

去國旬月,

거국순월, 나라를 떠난 지 수십 일이 되자 전에

見所嘗見於國中者喜.

견소상견어국중자희. 자기 나라에서 스친 일밖에 없는 사람을 보고도 기뻐했습니다.

及期年也,

급기년야, 일년이 넘자

見似入者而喜矣.

견사입자이희의. 자기가 아는 사람과 비슷하게 생긴 사람만 보아도 기뻐했다고 합니다.

不亦去人滋久,

불역거인자구, 나라를 떠나 오랜 세월이 흐를수록

思人滋深乎?

사인자심호? 사람을 그리워하는 마음이 깊어지기 때문이 아니겠습니까.

夫逃虛空者,

부도허공자, 인적이 드문 황량한 고장의

藜藋柱乎鼪鼬之逕,

려조주호생유지경, 잡초 우거져 족제비 다니던 길까지 가리는 곳에서

踉位其空,

량위기공, 오랫동안 홀로 있게 되면

聞人足音跫然而喜矣,

문인족음공연이희의, 사람 발자국 소리만 들려도 기뻐하는 법입니다.

又況乎昆弟親戚之謦欬其側者乎!

우황호곤제친척지경해기측자호! 그런데 하물며 형제나 친척의 웃음소리가 곁에서 들린다면 어떻겠습니까?

久矣夫,

구의부, 오래되었습니다.

莫以眞人之言謦欬吾君之側乎!」

막이진인지언경해오군지측호!」 임금께서는 참된 사람의 말이나 웃음소리를 가까이서 들어 본 지가!”


천하의 명마는 저절로 천성의 재질을 갖추고 있으며

고요하고그 스스로를 잊은 듯 한결같습니다.

- 장자(잡편) ; 제24편 서무귀[1]-

 

徐无鬼因女商見魏武侯,

서무귀인녀상견위무후, 서무귀가 여상의 소개로 위나라 무후를 만났다.

武侯勞之曰:

무후로지왈: 무후가 그를 위로하며 말했다.

「先生病矣!

「선생병의! “선생께서 병이 나신 모양입니다.

苦語山林之勞,

고어산림지로, 산림에 은거하는 것이 고되어

故乃肯見於寡人.」

고내긍견어과인.」 나를 만나러 오셨군요.”

徐无鬼曰:

서무귀왈: 서무귀가 말했다.

「我則勞於君,

「아즉로어군, “제가 위로하고 싶은데

君有何勞於我!

군유하로어아! 어찌 저를 위로하십니까?

君將盈耆欲,

군장영기욕, 임금께서는 욕망을 만족시키고,

長好惡,

장오악, 좋아하고 미워하는 감정에 따라 모든 일을 하시려 하기 때문에,

則性命之情病矣.

즉성명지정병의. 성명의 참모습을 해치고 있습니다.

君將黜耆欲,

군장출기욕, 욕망을 버리고

掔好惡,

견호오, 애증의 감정을 버리려 하시면

則耳目病矣.

즉칙이목병의. 귀와 눈이 괴로움을 당하게 될 것입니다.

我將勞君,

아장로군, 제가 임금님을 위로하려 하는데

君有何勞於我!」

군유하로어아!」 임금님께서 저를 위로할 것이 무엇이 있으십니까.”

武侯超然不對.

무후초연불대. 무후는 언짢은 듯 대답하지 않았다.

少焉, 徐无鬼曰:

소언, 서무귀왈: 조금 있다가 서무귀가 말했다.

「嘗語君, 吾相狗也.

「상어군, 오상구야. “시험 삼아 제가 개를 감정하는 얘기를 해보겠습니다.

下之質執飽而止,

하지질집포이지, 질이 낮은 개는 아무것이나 배가 부를 때까지 찾아 먹는데

是狸德也.

시리덕야. 이는 고양이의 본성과 같습니다.

中之質若視日,

중지질약시일, 중질의 개는 해를 바라보듯 뜻이 높고 먼 곳에 있습니다.

上之質若亡其一.

상지질약망기일. 그리고 질이 높은 개는 스스로를 잊은 듯 언제나 한결 같습니다.

吾相狗,

오상구, 그러나 제가 개를 감정하는 것은

又不若吾相馬也.

우불약오상마야. 말을 감정하는 것만은 못합니다.

吾相馬,

오상마, 내가 말을 감정해 볼 때,

直者中繩,

직자중승, [앞으로 나아가면] 먹줄을 댄 듯 곧고

曲者中鉤,

곡자중구, [돌 때는] 갈고리에 맞는 듯하고,

方者中矩,

방자중구, [꺾어 잘 때는] 곡척에 맞고

圓者中規,

원자중규, [둘글게 돌 때는] 컴파스에 맞습니다.

是國馬也,

시국마야, 국마라 할 만한 말입니다.

而未若天下馬也.

이미약천하마야. 그렇지만 국마는 천하마보다는 못합니다.

天下馬有成材,

천하마유성재, 천하의 명마는 저절로 천성의 재질을 갖추고 있으며

若卹若失,

약술약실, 고요하고

若喪其一,

약상기일, 그 스스로를 잊은 듯 한결같습니다.

若是者,

약시자, 이런 말은

超軼絶塵,

초질절진, 질풍같이 달려도 먼지를 일으키지 않고,

不知其所, 」

부지기소, 」 얼마만큼을 가서야 멈추게 될지도 모를 정도입니다.”

武侯大悅而笑.

무후대열이소. 무후는 크게 기뻐하며 웃는 얼굴이 되었다.


슬픔과 즐거움이 닥치는 것은

우리로서는 막을 수가 없다.

그것들이 떠나는 것도 우리는 막을 수가 없다.

- 장자(외편) ; 제22편 지북유[17]-

 

顔淵問乎仲尼曰:

안연문호중니왈: 안회가 공자에게 물었다.

「回嘗聞諸夫子曰:

「회상문제부자왈: “전에 선생님께서 말씀하시기를,

‘无有所將,

‘무유소장, 사라져가는 것은 전송하지 말고,

无有所迎.’

무유소영.’ 닥쳐오는 것을 마중하지도 말라고 하셨습니다.

回敢問其游.」

회감문기유.」 그 뜻을 말씀해 주시겠습니까?”

仲尼曰:

중니왈: 공자가 말했다.

「古之人,

「고지인, “옛날 사람들은

外化內不化,

외화안불화, 밖의 물건이 변화해도 거기에 순응하기만 했지 자기 마음은 변하지 않았다.

今之人,

금지인, 지금 사람들은

內化而外不化。

내화이외불화。 자기 마음은 밖의 물건에 의해 변화하면서도 밖의 물건에 동화하지는 못한다.

與物化者,

여물화자,물건과 더불어 함께 변화하는 사람은

一不化者也。

일불화자야。한결같이 자신의 마음은 변화시키지 않는 것이다.

安化安不化,

안화안불화, 자연에 따라 변화하기도 하고 변화하지 않기도 하는데,

安與之相靡,

안여지상미, 언제나 자연의 변화를 따르기만 하며

必與之莫多.

필여지막다. 반드시 자연에 대해 지나친 일이 없이 자기 분수를 지킨다.

豨韋氏之囿,

희위씨지유, 희위씨는 동산을 만들고 살았고,

黃帝之圃,

황제지포, 황제는 채소밭을 만들고 살았고,

有虞氏之宮,

유우씨지궁, 유우씨 순임금은 궁전을 만들고 살았고,

湯武之室.

탕무지실. 은나라 탕임금과 주나라 무왕은 궁실을 짓고 살았다.

君子之人,

군자지인, 후세에는 군자라는 사람들이

若儒墨者師,

약유묵자사, 유가와 묵가를 따라 스승으로 모시게 되었으므로

故以是非相[敕+韭]也,

고이시비상[敕+韭]야, 옳고 그름을 따지며 서로를 공격하게 되었다.

而況今之人乎!

이황금지인호! 그러니 하물며 지금 사람들이야 오죽하겠는가?

聖人虛物不傷物.

성인허물불상물. 성인은 물건을 따름으로 물건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不傷物者,

불상물자, 물건을 손상시키지 않는 사람에 대하여는

物亦不能傷也.

물역불능상야. 물건 또한 그를 손상시킬 수 없게 된다.

唯无所傷者,

유무소상자, 오직 물건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는 사람만이

爲能與人相將迎.

위능여인상장영. 자연을 따라 보내고 마중할 수가 없게 된다.

山林與!

산림여! 산림이나

皐壤與!

고양여! 평원에서 노니는 것은

使我欣欣然而樂與!

사아흔흔연이락여! 우리들을 즐겁게 해 준다.

樂未畢也,

락미필야, 그러나 즐김이 끝나기도 전에

哀又繼之.

애우계지. 슬픔이 또 계속되게 되는 것이다.

哀樂之來,

애락지래, 슬픔과 즐거움이 닥치는 것은

吾不能禦,

오불능어, 우리로서는 막을 수가 없다.

其去弗能止.

기거불능지. 그것들이 떠나는 것도 우리는 막을 수가 없다.

悲夫,

비부, 슬프다!

世人直爲物逆旅耳!

세인직위물역려이! 세상 사람들이란 바로 밖의 물건들이 머물러 슬프고 즐겁게 해주는 여관이라 할 수 있다.

夫知遇而不知所不遇,

부지우이부지소불우, 지혜로써 경험한 것들은 알지만 경험하지 못한 것은 알지 못한다.

能能而不能所不能.

능능이불능소불능. 능력의 범위 안에 있는 것은 할 수 있지만 능력 밖에 있는 것은 할 수 없다.

无知无能者,

무지무능자, 그래서 알지 못하는 것이 있고, 하지 못하는 것이 있다는 것은

固人之所不免也.

고인지소불면야. 본래 사람으로서는 피할 수가 없는 일이다.

夫務免乎人之所不免者,

부무면호인지소불면자, 그런데 사람으로서 피할 수 없는 일을 벗어나려고 힘쓰고 있다는 것이

豈不亦悲哉!

기불역비재! 어찌 슬픈 일이 아니겠는가?

至言去言,

지언거언, 지극한 이론이란 이론을 초월한 것이며,

至爲去爲.

지위거위. 지극한 행위란 행위를 초월한 것이다.

齊知之所知,

제지지소지, 지혜로써 알 수 있는 모든 것을 알려 하는 것은

則淺矣.」

즉천의.」 천박한 일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