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Wf_uYDub_j8 

 

 

https://www.youtube.com/watch?v=0ntn3Q28BD4

 

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가자 가자 피안으로 가자. 피안으로 완전히 건너 가, 깨달음에 뿌리를 내리자.)


*위 주문(呪文)산스크리트어[범어] 원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범어 : 가떼 가떼 빠라가떼 빠라상가떼 보디 스와하
            가테 가테 파라가테 파라상가테 보디 스와하 <=== 억양을 부드럽게 했을 때

(한자 음역)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揭諦揭諦 波羅揭諦 波羅僧揭諦, 菩提 娑婆訶)

출처 : 불교신문(http://www.ibulgyo.com)

 

한국말 : 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영   어 : Gate Gate paragate parasamgate bodhi svaha
 해   석 : 
Gate Gate  
paragate
parasamgate
bodhi svaha

가라. 가라. 
피안으로 건너가라. 
피안으로 완전히 건너가라. 
깨달음에 뿌리를 내려라.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12912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21093

 

 

[참고]

옴마니반메훔 (OM MA NI PAD ME HUM)

'옴마니파드메홈'의 뜻

- 관세음보살의 자비를 나타내는 주문으로 '옴 마니반메훔(산스크리트어)'의 여섯 자를 말함. [六字眞言]

이 주문을 위우면 관세보살의 자비에 의해 번뇌와 죄악이 소멸되고, 온갖 지혜와 공덕을 갖추게 된다고 함.

- 산스크리트어로 지혜와 함께하는 방편이자 방편과 함께하는 지혜라는 뜻으로도 해석됨.

- 또는 '참다운 우주적인 근본 지혜와 자비가 마음에 깃들기를'이라는 뜻으로도 해석됨.

 

 

https://www.youtube.com/watch?v=N6-P1Wl7B2w 

 

 

 

 

반야심경 해설 21. 불구부정(不垢不淨)

 

http://blog.daum.net/mahatop7/5481

제법실상(諸法實相)이 곧 空입니다.

제법(諸法)이란 인과 연이 화합해서 생겨난 모든 것들을 뜻합니다.

즉 모든 존재를 포함한 삼라만상 모든 것들을 의미합니다.

존재하려면.... 생겨나려면.... 무조건 연기법에 적용될 수밖에 없습니다.

모든 생겨난 법들(諸法)의 본래 모습(實相)이 바로 空입니다.

그 空의 모습이 바로 불구부정(不垢不淨)이라는 말입니다.

空에는 그 어떤 형체나 모습이 없으므로, 더러움이나 깨끗함이 있을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空을 청정하다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이런 이유로 불경에 청정하다는 표현이 많이 나옵니다.

대지도론에는 왜 청정하다라는 표현을 부처님께서 쓰셨는가에 대한 내용이 나오는데,

중생이 그저 空하다고 하면 두려워하기 때문에 청정하다는 표현을 쓰셨다고 합니다.

더러움(垢)이란 윤회이며, 깨끗함(淨)이란 열반을 의미하는데...

空 그 자체엔 더러움도 없고 깨끗함도 없습니다.

즉 空 그 자체엔 윤회도 없고, 열반도 없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18空 중에 <제일의공>이 있는데 이 뜻은 바로 열반도 실체가 없어 공하다라는 의미입니다.

空 그 자체엔 실체라고 여길만한 것이 그 무엇도 없기 때문에 空입니다.

그러므로 그 어디에도 집착할 대상도 없고, 집착할 꺼리 자체가 사라지기 때문에 열반인 것입니다.

불구부정(不垢不淨)!!!

空 그 자체엔 윤회도 없고, 열반도 없다. 그러므로 열반에도 집착하지 말아야 합니다.

오온에는 스스로의 성품(실체)이 없어서 공한데, 그 공한 오온으로 열반을 얻을 수 있겠습니까?

다만 이 세속법에 따라서 열반을 얻었다라고 할 뿐이지, 실상은 얻을 수 없는 걸 얻었다라고 한 것입니다.

뭘 얻을 수 있다면, 그건 空과는 반대인 것입니다.

뭘 얻는다면 거기에 집착하게 되므로, 그것이 곧 고통의 원인이 됩니다.

불구부정(不垢不淨)은 세간에 적용되는 게 아니고, 출세간의 모습을 표현한 것입니다.

우리가 사는 세간에서야 더러움도 있고 깨끗함도 있습니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따져보면 그 이면에는 더러움도 없고 깨끗함도 없다는 뜻입니다.

우리가 사는 이런 세간에서도

더러움이나 깨끗함에 어떤 정해져 있는 법(규칙)이 없습니다.

딱 이건 더럽고, 이건 깨끗하다고 정확하게 구분 될 수 있는 기준이 없다는 뜻입니다.

사람은 자기의 똥을 아주 더럽게 여깁니다만,

똥을 먹는 똥개는 그 똥이 아주 깨끗해 보이고 좋아 보이니까 그 똥을 먹는 것입니다.

어떤 사람은 어떤 신선한 돼지고기를 아주 깨끗하다고 여기지만,

고기를 싫어하는 사람들은 그걸 더럽다라고 여기기도 합니다.

선과 악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래서 어떤 사람에게는 선이지만, 그게 또 어떤 사람에겐 악이 되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이 세속에서도 사실상 정해져 있는 법은 없습니다.

空과 가장 유사한 것이 바로 허공입니다.

허공 그 자체엔 그 어떤 것도 없으니, 깨끗하다고도 할 수 없고 더럽다라고도 할 수 없습니다.

空이 바로 우리의 본질입니다.

그러므로 본래 우리는 더럽다거나 깨끗한 것이 없이 그저 청정할 뿐입니다.

그래서 이걸 불성, 진여, 여여, 법성이라고도 표현합니다.

공/불성/진여/여여/실제/법성 등은 모두 반야바라밀에 포섭됩니다.

반야바라밀에도 그 어떤 실체라고 여길만한 것이 아무것도 없습니다.

이걸 반드시 알아야 합니다.

일체의 모든 것에 집착하지 않는 것이 바로 반야바라밀을 행하는 것입니다.

 

 

[참고]

 

https://ko.wikipedia.org/wiki/%EB%B0%98%EC%95%BC

 

반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반야(般若)는 산스크리트어 프라즈냐(प्रज्ञा prajñā) 또는 팔리어 빤냐(paññā)를 가리키는 낱말인데, 뜻에 따라 지혜(智慧)로 번역하고, 간단히 지(智) 또는 혜(慧)라고도 한다.[1] 불교

ko.wikipedia.org

불교 경전에서 산스크리트어 프라즈냐 혹은 팔리어 빤냐를 '지혜'라고 번역하지 않고 음역인 '반야'를 사용한 것은 불경의 한역(漢譯)시 적용했던 원칙인 5종불번(五種不翻: 5가지 번역하지 않는 원칙) 가운데 존중불번(尊重不翻)에 해당되기 때문이다. 즉, 반야를 지혜라 번역하면 그 본래의 뜻은 깊고 심대하나 번역함으로 인해 그 뜻이 얕아지고 가벼워진다고 보았기 때문이다.[2] 하지만, 불교 논서들에서는 흔히 반야를 (慧)로 번역하고 있다.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교학에 따르면, 반야(般若) 즉 (慧, prajñāpaññā)는 택법(擇法) 즉 간택(簡擇: 정확히 식별하여 판단함)[3][4][5] · 판단작용 · 판단력 또는 식별력으로, 5위 75법의 법체계에서 심소법(心所法)의 대지법(大地法: 마음이 일어날 때면 언제나 항상 함께 일어나는 마음작용들)에 속한다.[6][7][8]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교학에 따르면, (慧)는 부파불교에서와 마찬가지로 택법[9][10] 즉 간택[11][12] · 판단작용 · 판단력 또는 식별력이지만 5위 100법의 법체계에서 심소법의 별경심소(別境心所: 특정 대상 또는 경계에 대해서만 일어나는 마음작용들)에 속한다.[13][14][15][16][17] 상좌부 불교의 교학에서는 8정도를 크게 (戒) · (定) · (慧)의 3학(三學)으로 분류하여 보는데, 정견(正見)과 정사유(正思惟)를 로 분류한다.[18][19] 이와 관련하여 《잡아합경》 제13권 제334경〈유인유연유박법경(有因有緣有縛法經)〉에서 고타마 붓다는 정사유(正思惟)의 반대인 부정사유(不正思惟: 바르지 않은 사유, 바르지 않은 생각)가 무명(無明)의 원인이라고 말하고 있다. 한편, 《구사론》 등에 따르면, (智) · (見) · (明) · (覺) · (解) · (慧) · (光) · (觀)을 통칭하여 혜의 8가지 다른 이름이라고 한다.[20][21] 이 때문에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과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의 법체계에서 (慧)라는 명칭의 은 있어도 (智) · (見) · (明) · (覺) · (解) · (光) · (觀)이라는 명칭의 은 없는데, 이들의 본질[自性, 自相]이 모두 (慧)와 동일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3993

 

십바라밀(十波羅蜜)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우리 나라 불교에서 가장 중요시하는 보살행(菩薩行)이며, 육바라밀(六波羅蜜)의 연장이기도 하다. 대승불교의 일반 보살행은 처음 보시(布施)·지계(持戒)·인욕(忍辱)·정진(精進)·선정(禪定)·

encykorea.aks.ac.kr

우리 나라 불교에서 가장 중요시하는 보살행(菩薩行)이며, 육바라밀(六波羅蜜)의 연장이기도 하다. 대승불교의 일반 보살행은 처음 보시(布施)·지계(持戒)·인욕(忍辱)·정진(精進)·선정(禪定)·반야(般若)의 육바라밀로 완성시켰으나

뒤에 방편(方便)·원(願)·역(力)·지(智)의 네 가지를 더하여 십바라밀을 만들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십바라밀(十波羅蜜))]

 

https://www.youtube.com/watch?v=MuUoqyAX3BQ 

 

https://www.youtube.com/watch?v=XBAc-i17CaM 

 

 

https://kydong77.tistory.com/category/%ED%95%B4%EC%99%B8%EC%97%AC%ED%96%89/%EC%A1%B1%EC%9E%90%EC%B9%B4%EB%A5%B4%ED%83%80

 

'해외여행/족자카르타' 카테고리의 글 목록

http://kydong77.tistory.com/12021 205.凡人所生者神也(범인소생자신야), 무릇 사람이 살아 있음은 정신이 있기 때문이요 206.所托者形也(소탁자형야). 정신이 의탁하는 것은 그 육체다. ........ 214.神者生之

kydong77.tistory.com

 

https://www.youtube.com/watch?v=RyZ2WadfSPc 

 

 

 

https://kydong77.tistory.com/11984?category=612190 

 

극락세계 4

 

kydong77.tistory.com

 

 

https://kydong77.tistory.com/11984?category=612190 

 

극락세계 4

 

kydong77.tistory.com

 

https://www.youtube.com/watch?v=qdnskbraNgY 

 

 

https://kydong77.tistory.com/11927?category=612190 

 

[해설] 보로부드르 사원

먼저 사원 탑신의 광대한 규모와 1,460면에 달하는 탑신 부조물들의 정교한 조각에 압도당한다. 보로부두르(Borobudur) 사원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23&aid=00027..

kydong77.tistory.com

 

https://www.youtube.com/watch?v=__kKH3qk0Rg 

 

 

https://kydong77.tistory.com/12021?category=612190 

 

보로부두르 사원을 떠나며 4

 

kydong77.tistory.com

 

 

 

천 년 동안 화산재에 묻혀있던 세계 최대의 불교사원, 인도네시아 보로부두르

https://www.youtube.com/watch?v=tlM3e-tGrAc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