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주흘관 - 2조곡관 - 3조령관
교귀정의 멋진 경관이 눈앞에 어른거렸지만 여행코스가 아니어서 숙소에서 짬을 내어 식사전에 저녁과 아침에 잠시 들렀다. 관문의 이름도 명료하다. 주흘산과 조령산, 조령산의 계곡에 위치하여 조곡관이 되었다.
문희경서 聞喜慶瑞, 문희는 고려시대 문경의 옛 이름으로 기쁜소식을 듣게 된다는 뜻이고, 慶瑞는 경사스러운 일의 조짐을 뜻하므로 '문경'이란 항상 경사스러운 조짐을 지닌 지역의 의미이다. 聞慶이란 과거길에 오르는 선비들에겐 과거시험의 합격 소식이 아니겠는가? 산악지역으로만 느껴지던 문경에 이렇게 깊은 뜻이? 聞喜는 의미 전달상의 문제로 聞慶으로 바꾼 것으로 추정된다.
https://ko.wikipedia.org/wiki/%EB%AC%B8%EA%B2%BD%EC%83%88%EC%9E%AC
문경새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문경새재오픈세트장 매표소 앞 출입문
ko.wikipedia.org
새재 또는 한자어로 조령(鳥嶺)이라고도 하는데, 이 말은 새도 날아 넘기 힘든 고개라는 데에서 유래되었다
예로부터 한강과 낙동강 유역을 잇는 영남대로 상의 가장 높고 험한 고개로 사회 문화 경제의 유통과 국방상의 요충지였다. 임진왜란 뒤에 제1관문 주흘관, 제2관문 조곡관, 제3관문 조령관의 3관문(사적 제 147호)을 설치하여 국방의 요새로 삼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BJ27XAP0m7Q
https://www.youtube.com/watch?v=pOkd6tq4tsY
https://www.youtube.com/watch?v=yn0oN8LPD4g
https://www.youtube.com/watch?v=xOwdWF6lGfQ
https://kydong77.tistory.com/19607
문경새재 조령원 조곡관
www.youtube.com/watch?v=bdIfI2TTXhg www.youtube.com/watch?v=FJWe6F5CcXU www.youtube.com/watch?v=i_5z5O9M3ls www.youtube.com/watch?v=7Of-_ZMVONk www.youtube.com/watch?v=r7xnOT8IZvg www.youtu..
kydong77.tistory.com
https://kydong77.tistory.com/18905
문경새재를 잊지 못하는 선비들/ 이이, 류성룡, 신경림
https://www.youtube.com/watch?v=wR4xUz_ls10 시각 진행바 5:00 이후의 문경 사람들의 멋진 유머가 돋보이네요. "낙동강 칠백리에 홍수가 다 났네." 라는 이처럼 재담의 스케일이 큰 것은 아마도 주흘산과 새
kydong77.tistory.com
https://kydong77.tistory.com/19605?category=485791
문경새재 단풍길
문경새재아리랑 (1915) https://www.youtube.com/watch?v=wR4xUz_ls10 문경새재아리랑 (1915) https://www.youtube.com/watch?v=wR4xUz_ls10 시각 진행바 5:00 이후의 문경 사람들의 멋진 유머가 돋보이네요. 낙..
kydong77.tistory.com
https://kydong77.tistory.com/19643
상주 함창 공갈못에& 문경새재 물박달나무
문경새재 하면 떠오른 건 과거길이다. 그 이유는 죽령으로 한양 갔다간 죽죽 미끄러지고 추풍경으로 갔다간 추풍낙엽 신세될까 해서란다. 그런데 상주 함창하면 공갈못이 먼저 떠오는 건 왜일
kydong77.tistory.com
https://www.youtube.com/watch?v=wR4xUz_ls10
https://kydong77.tistory.com/18556
문경새재 물박달나무/ 문경새재아리랑, 길쌈
http://blog.daum.net/kieury/11302851 문경새재 주막(酒幕) 문경새재 주막(酒幕) 새재(鳥嶺)는 조선시대에 영남에서 한양으로 오가던 가장 큰 길로서, 이 주막은 청운의 꿈을 품고 한양 길로 오르던 선비들
kydong77.tistory.com
https://kydong77.tistory.com/18125
문경새재아리랑
문경새재아리랑(2018) https://www.youtube.com/watch?v=6lBqbit8sPc 문경새재 덕무푸레 / 말채 쇠채로 다 나간다. 문경새재 박달나무 / 북바듸 집으로 다나간다. [ 문경새재 물박달나무 / 홍두깨 ..
kydong77.tistory.com
https://kydong77.tistory.com/8595
문경새재 물박달나무 홍두깨 방망이로 다나간다
[사진]홍두깨 & 다듬이돌과 다듬이방망이 & 베틀[펌] [설명]상단 사진의 가로 놓인 것이 홍두깨, 세로 놓인 두 개는 다듬이방망이다. 홍두깨 http://100.naver.com/100.nhn?docid=172077 옷감을 감아서 다듬이.
kydong77.tistory.com
문경새재아리랑(2018)
https://www.youtube.com/watch?v=6lBqbit8sPc
문경새재 덕무푸레 / 말채 쇠채로 다 나간다.
문경새재 박달나무 / 북바듸 집으로 다나간다.
[ 문경새재 물박달나무 / 홍두깨 자루로 다 나간다.] -(누락됨)
*"물박달나무"이나 음절수를 맞추기 위해 첫음절인 '물'을 생략하기도 함
홍두깨 방망이로 다 나가면 / 큰 애기 손질에 다 녹는다.
뒷동산에 박달나무 / 길마까지로 다 나간다. *길마까지는 '길마'길마가지'의 잘못 .
* 길맛가지 길마는 소의 등에 짐을 실을 때 사용하는, 사투리로는 "질매"
화개연곡(구례군) 큰애기는 / 알밤 주시로 다나가고
동구(함양)마천 큰 애기는 / 꼬감 접으로 다나간다.
대장부 쓸만한 건 / 징용징병으로 다나간다.
문경새재는 웬 고갠가 / 구부야 구부구부가 눈물이로고나
[가사출처] http://mgarirang.or.kr/doc/mgsj03.html
https://www.youtube.com/watch?v=KDeidVmdHE8
https://www.youtube.com/watch?v=wR4xUz_ls10
'국내여행 > 문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四佛山 윤필암(潤筆庵) / 문경 대승사 윤필암 신중도(神衆圖) (0) | 2021.08.14 |
---|---|
문경 묘적암 나옹화상 영정/ 탑명(塔銘), 이색(李穡) 奉敎撰 (0) | 2021.08.14 |
신록이 덮은 문경의 산들, 단산전망대에서/ Robert Frost, 가지 않은 길 (2) | 2021.05.22 |
문경 고모산성(姑母山城)/ 꿀떡고개의 성황당& 진남역 철로자전거 (0) | 2021.05.21 |
문경 토끼비리& 진남교 벚꽃길/ 李白 - 行路難 3首, 將進酒, 蜀道難 (0) | 2021.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