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0ntn3Q28BD4

 

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가자 가자 피안으로 가자. 피안으로 완전히 건너 가, 개달음에 뿌리를 내리자.)


*위 주문(呪文)의 산스크리트어 원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본토말 : 가떼 가떼 빠라가떼 빠라상가떼 보디 스와하
            가테 가테 파라가테 파라상가테 보디 스와하 <=== 억양을 부드럽게 했을 때

(한자 독음)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揭諦揭諦 波羅揭諦 波羅僧揭諦, 菩提 娑婆訶)

출처 : 불교신문(http://www.ibulgyo.com)

 

(한자 음사):揭諦揭諦 波羅揭諦 波羅僧揭諦, 菩提 娑婆訶

(한자 독음) : 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영   어 : Gate Gate paragate parasamgate bodhi svaha

산스크리트어[범어] 원문과 번역
 
Gate Gate       가라. 가라. 
paragate        피안으로 건너가라.
parasamgate   피안으로 완전히 건너가라. 
bodhi svaha    깨달음[보리]에 뿌리를 내려라.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12912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21093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21172

 

논산 관촉사/ Gate Gate paragate parasamgate bodhi svaha

https://www.youtube.com/watch?v=0ntn3Q28BD4 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가자 가자 피안으로 가자. 피안으로 완전히 건너 가, 개달음에 뿌리를 내리자.) *위 주문(呪文)의 산스크리트어

kydong77.tistory.com

 

 

 

https://www.youtube.com/watch?v=dWbipzzxSCY

 

https://www.youtube.com/watch?v=cS9PL_upe28 

 

https://www.youtube.com/watch?v=wUgz1iUoBFI 

 

 

 

관세음보살상

 

 

 

https://www.youtube.com/watch?v=9Zf0jsSFDQo

 

 
삼존불상은 4.26m 높이의 바위 면에 꽉 차게 부조한 마애불로서, 거의 환조(丸彫)에 가까운 고부조(高浮彫)주 01)로 되어 있다. 본존은 높이가 2.6m나 되는 거대한 좌상이며, 두 협시보살도 2.1m로 인체보다 훨씬 장대하다.
본존은 머리가 둥글고 크며 소발(素髮)에 큼직한 육계(肉髻)가 솟아 있다.
이 삼존불 앞의 돌기둥에 새겨진 사방불은 높이가 2.23m 내지 2.42m 정도로 바위 모양에 따라 크기를 달리하고 있는데, 네 상 모두 연화좌에 보주형 두광을 갖추고 결가부좌하였다.
동면상(東面像)은 본존불과 동일한 양식으로 통견(通肩)의 법의가 다소 둔중하나 신체의 윤곽이 뚜렷이 표현되고 있다. 왼손에는 약합(藥盒)을 들고 있어서 약사여래로 생각된다. 남면상(南面像)은 여러 면에서 동면상과 비슷하나, 가슴에 표현된 군의(裙衣)의 띠 매듭은 새로운 형식에 속하며, 무릎 위의 옷주름, 짧은 상현좌(裳懸座)의 옷주름이 상당히 도식화되었다.
서면상(西面像)은 동면상과, 북면상(北面像)은 남면상과 서로 유사하나, 북면상은 다른 세 불상과 달리 특히 얼굴이 작고 갸름하여 수척한 인상을 주는 것이 특징이다. 이 네 상의 명칭을 확실히 하기는 어려우나, 방위(方位)와 수인(手印)·인계(印契)에 의하여 볼 때 일단 동면상은 약사여래, 서면상은 아미타여래로 볼 수 있다.

이 불상군의 성격은 사방석주 각 면에 한 불상씩 사방불을 새기고, 그 앞의 바위에는 삼존불을 새겨 삼존불이 중앙 본존불적인 성격을 띤 오방불(五方佛)로서의 배치 형식을 띠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경주 남산 칠불암 마애불상군(慶州南山七佛庵磨崖佛像群))]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21172

 

 

https://www.youtube.com/watch?v=XxJ98WB6ikA 

 

 

https://kydong77.tistory.com/21172

 

경주남산 암벽에 조각한 신라인들의 佛心/사성제(四聖諦) 八正道

삼릉계곡마애석가여래좌상(三陵溪谷磨崖石迦如來坐像) https://www.youtube.com/watch?v=_3fF40cDmCQ&t=20s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6558 삼릉계곡마애석가여래좌상(三陵溪谷磨崖石迦如來..

kydong77.tistory.com

 

*삼릉계곡의 마애여래좌상과 삼층석탑이 있는 곳을 용장사지라고도 부르는데, 김시습이 수양대군의 왕위찬탈에 분노하여 학업을 폐하고 전국을 떠돌다가 정착한 곳이 용장사지 근처다. 인귀교환설화를 소재로 한, 한국최초의 한문소설인 5작품으로 구성된 <금오신화>의 제목의 금오는 남산의 다른 이름인 금오산에서 유래한다.

https://kydong77.tistory.com/17950

 

천재의 광기 - 김시습 금오신화

 Do-Re-Mi - Julie Andrews https://www.youtube.com/watch?v=L1l1KUuTNlk Do-Re-Mi - Julie Andrews [가사번역 자막] https://www.youtube.com/watch?v=b7Slk-6CYd4 https://www.youtube.com/watch?v=jITsImZ..

kydong77.tistory.com

 

김시습 년보 참조

http://kydong77.tistory.com/2582

 

김시습전-율곡 이이

[주]세조의 왕위찬탈로 파탄난 인생, 그는 장부의 표상이라며 수염을 기른 중으로 일생을 방랑했다. 47세때 환속하여 조부신께 사죄문도 올렸지만 충신불사이군의 유교적 이데올로기는 태생의

kydong77.tistory.com


1468년(세조 14년) 34세 때, 이후 6년간 용장사에 거주함. 

겨울에 금오산에 거처하고 <산거백영(山居百詠)>을 저술하였다.

이즈음 한국 최초의 한문소설 『금오신화』를 저술하다.

경주 남산의 주봉이 금오산이다.

명나라 구우의 『전등신화』에 자극받아 인귀교환(人鬼交歡)설화를 수용하여 ‘신화(新話)’라 붙이다.

인귀교환설화란 산 사람[사내]과 죽은 사람의 혼령[여인]이

현실적 공간에서 사랑을 나누는 이야기다.

우리나라 최초의 인귀교환설화는 아래의 최치원설화다. 쌍녀분설화라고도 한다.

 

최치원설화/해괴망측한 사랑 이야기

 http://kydong77.tistory.com/8611

 

최치원설화/해괴망측한 사랑 이야기

[사진](상)런던 대영박물관 전경(前景). (하)대영박불관의 대리석 여인상 [주]최치원 설화 또는 쌍녀분 설화로 일컬어지는 이 설화는 해괴망측(駭怪罔測 )한 사랑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곧, 최치

kydong77.tistory.com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17950

 

https://www.youtube.com/watch?v=bm6kxKoYQV8 

 

 

https://www.youtube.com/watch?v=PPEvBQ2m3gs

 

 

https://www.youtube.com/watch?v=hlTtHDTAOHM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21172

 

 

https://www.youtube.com/watch?v=C9w-AIYzJ94&t=553s 

 

 

https://www.youtube.com/watch?v=PPEvBQ2m3gs 

 

 

https://www.youtube.com/watch?v=v1sho5bpu08 

 

 

https://www.youtube.com/watch?v=5Jkomd-r1Kk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