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여행 > 아이슬란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경 속을 달리다  (0) 2019.02.28
빙설을 만나다  (0) 2019.02.28
빙하의 현장에 가다  (2) 2019.02.27
또다른 설국, 눈의 나라  (2) 2019.02.26
아이슬란드 오로라  (0) 2019.02.17

 

 

 

 

https://www.youtube.com/watch?v=73UqmVfRXkU

 

 

https://www.youtube.com/watch?v=mrR6tqKVoIM

대서양의 그린랜드와 노르웨이 사이에 위치한 아이슬란드는 인구 45만에  남한 면적 정도의 중립국인 작은 섬나라였다. 덴마크의 자치주였던 그 나라는 바이킹들이 세운 나라란다. 바이크는 해안의 만을 뜻하므로 해적들이 세운 게 아니라 그 만에 살던 주민들이 세운 나라가 바른 해석으로 보인다. 다만 그들은 생존을 위해 위험천만한 해적이 되었을 뿐이다.

2월18일, 인천항공서 핀랜드 AY042기로 약 10시간이 소요되는 수도 헬싱키를 거쳐,

헬싱키에서 다시 AY993편으로 약 3시간 50분이 지나 목적지인 아아슬란드의 수도 레이크비크공항에 도착했다.

관광수입이 주산업인 고래사냥을 능가하는 현재는 IMF의 부채를 벗어날 단계라는 게 한국인 출신의 아일란드인 가이드 박윤영님의 설명이었다.

나라이름을 번역하여 흔히 얼음나라로 소개하는 아이슬란드는 내게는 눈의 나라 또다른 설국이었다. 공항 근처에서 첫날밤을 일박했는데, 저녁식사차 근처 식당에 가려고 눈녹은 빙판 위에 나서서야 인터넷에서 여행의 필수장비로 아이젠을 끼워넣은 이유를 실감했다.

여행2일차 폭포관광을 위해 셀야란스포스로 이동하면서의 느낌은 그 섬나라는 얼음나라가 아니라 또다른 눈의 나라 설국이라는 느낌이 더욱 강렬하게 나의 뇌리에 박혔다.. 우리팀 관광객은 18명이었는데, 내게 필요한 도구들을 두루 갖춘 내 집이 천국인  나를 제외하면 동행자들 모두 노소없이 여행이 주업인 사람들처럼 보였다.

그냥 그렇게 보인다는 거지, 시시비비를 따지자는 게 아니다. 누구에게나 일회성인 생명의 가치는 소중하다. 또 마땅히 존중받아야 한다. 자신의 취향과 가치관에 따라 살다가 생명이 다하면 생명체 형성 이전의 소립자로 돌아갈 뿐이다.

3일차 스카프타펠 국립공원의 빙하를 관광한 후 돌아오다 눈 속에 파묻힌 식당에서 점심을 때우고 두어 사람 발자국뿐인 발목까지 빠지는 언덕배기 눈길을 걸어 목도한, 호수에 빙하가 드리운 눈세상은 어떤 드라마나 영화에서도 맛보지 못한 감동을 선물했다. 나를 동심의 세계로 인도했기 때문이었다. 시골에서 1950년대 초반부터 국민학교(초등학교)를 다녔던 내게는 사방이 눈뿐인 그날의 풍경이 빙하 풍경 못지 않게 두고두고 인상적이었다.

동심의 세계는 모든 가치를 초월한다. 동심의 세계는 저 백색의 눈밭처럼 순수 그 자체이기 때문이다. 미완의 인격체이긴 하나 어린이들은 선악을 초월하여 선천적으로 참과 거짓의 세계를 분간한다. 그것이 천성이다. 세상을 망친 것은 거짓 선지자들이다.

백석과 길상화의 지고지순한 사랑과, 백설과 유사한 이름을 가진, 세상에 회자되는  백석의 시 한 편을 떠올리게 된다.

나타샤는 기생인 자야, 시 속에서는 나타샤로 등장하는 대원각 경영인 김영한이다. 그녀는 길상화란 법명을 주신 무소유를 실천하신 법정스님에게 10년간의 간청 끝에 시주에 성공하여 축조된 사찰이 성북구에 위치한 길상사이다. 그녀는 길상사의 방 한칸을 빌어 살며 여생을 마쳤다.

조선일보 후원으로 일본의 아오야마가쿠인 대학에서 영문학을 전공하고 귀국하여 교단에 섰던 모던보이 백석은 요정에서 자야와 사랑에 빠졌으나 기생 며느리를 거부하는 부모의 반대로 결혼에 실패했다. 그들은 끝내 남북으로 헤어져 그리움의 나날을 보냈을 뿐이었다.

흰돌과 길상화의 사랑이야기는 언제 생각해도 지루하지 않다. 당시 일천억의 대원각을 보시하며 이를 만류하는 법정스님에게, 백석의 시 한 줄과 비견할 바 못된다는 시심을 지닌 길상화님의 명복을 빈다.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  白石(백석)

가난한 내가

아름다운 나타샤를 사랑해서

오늘밤은 푹푹 눈이 나린다

나타샤를 사랑은 하고

눈은 푹푹 날리고

나는 혼자 쓸쓸히 앉어 소주를 마신다

소주를 마시며 생각한다

나타샤와 나는

눈이 푹푹 쌓이는 밤 흰 당나귀를 타고

산골로 가자 출출이 우는 깊은 산골로 가 마가리에 살자

눈은 푹푹 나리고

나는 나타샤를 생각하고

나타샤가 아니 올 리 없다

언제 벌써 내 속에 고조곤히 와 이야기한다

산골로 가는 것은 세상한테 지는 것이 아니다

세상 같은 건 더러워 버리는 것이다

눈은 푹푹 나리고

아름다운 나타샤는 나를 사랑하고

어데서 흰 당나귀도 오늘밤이 좋아서 응앙응앙 울을 것이다

(『사슴』.1936 ; 『백석전집』. 실천문학사. 1997 )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18130 [김영동교수의 고전& life]

https://www.youtube.com/watch?v=mGvzvlfdwEs

 

 

 

 

'해외여행 > 아이슬란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경 속을 달리다  (0) 2019.02.28
빙설을 만나다  (0) 2019.02.28
빙하의 현장에 가다  (2) 2019.02.27
또다른 설국, 눈의 나라  (0) 2019.02.26
아이슬란드 오로라  (0) 2019.02.17

'해외여행 > 아이슬란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경 속을 달리다  (0) 2019.02.28
빙설을 만나다  (0) 2019.02.28
빙하의 현장에 가다  (2) 2019.02.27
또다른 설국, 눈의 나라  (0) 2019.02.26
또다른 설국, 눈의 나라  (2) 2019.02.26

⑥보리수 아래에서 마귀의 항복을 받는 상,수하항마상(樹下降魔相) 

수하항마상에서는 네 장면이 묘사된다. 첫째 마왕 파순이 마녀로 하여금 유혹하게 하는 장면, 둘째 마왕의 무리가 코끼리를 타고 위협하는 장면, 셋째 마왕이 80억의 무리를 모아 부처님을 몰아내려고 하는 장면, 넷째 마왕의 항복을 받아 성도하는 장면이다.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18111 [김영동교수의 고전& life]

 

동영상은 아래 포스트 참조

https://blog.naver.com/kydong47/221467699936

 

https://www.youtube.com/watch?v=z95ANxtiC0Q

법정 <법구경>

第 21 章.   광연품 (廣衍品) - 여러 가지의 장  

MISCELLANEOUS VERSES( 290 - 305 )
       제21장. 여러 가지(Pakinnaka Vagga)- 일관된 흐름이 없고 다양한 시구들을 한데 묶어 놓은 느낌이다. 그래서 이 장을 '여러가지의 장'이라 한 것이다.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18099?category=563674 [김영동교수의 고전& life]

 

第 21 章.   광연품 (廣衍品 ) -    여러 가지의 장  

MISCELLANEOUS VERSES    

21,여러 가지

 

290
시시한 쾌락을 버림으로써   큰 기쁨을 얻을 수 있다면 

지혜로운 이는 보다 큰 기쁨을 위해   시시한 쾌락을 기꺼이 버리라.

施安雖小 其報彌大   慧從小施  受見景福
시안수소 기보미대   혜종소시  수견경복

291
남에게 고통을 줌으로써  자신의 즐거움을 삼는 자는  

원한의 사슬에 얽매여   벗어날 기약이 없다

施勞於人  而欲望祐  殃咎歸身  自遭廣怨.
시노어인  이욕망우  앙구귀신  자구광원

292
해야 할 일을 소홀히 여기고   해서는 안 될 일을 하면서  

교만과 방종에 빠진 사람에게   번뇌는 점점 늘어만 간다

已爲多事  非事亦造  伎樂放逸  惡習日增
이위다사  비사역조  기락방일  악습일증


293
항상 이 몸의 정체를 생각하여  그 덧없음을 잘 알고  해서는 안 될 일은 하지 않으며  

해야 할 일만을 꾸준히 하고   생각이 깊고 조심성 있는 사람에게서   번뇌는 점점 사라져 간다

精進惟行  習是捨非  修身自覺  是爲正習
정진유행  습시사비  수신자각  시위정습

294
어머니와 아버지를  죽이고   두 왕을 죽이고  

국토와 그 국민을 멸망시키고도   수행자는 끄떡없이 나아간다

除其父母緣 王家及二種 遍滅至境士 無垢爲梵志.
제기부모연 왕가급이종 편멸지경토 무구위범지

295
어머니와 아버지를 죽이고  두 왕을 죽이고 

다섯 번째 호랑이를 죽이고도   수행자는 끄떡없이 나아간다

學先斷母 率君二臣 廢諸營徒 是上道人.
학선단모 율군이신 폐제영도 시상도인

296
부처의 제자들은   언제나 깨어 있고  

밤이나 낮이나   부처를 생각한다

能知自覺者 是瞿曇弟子 晝夜當念是 一心歸命佛.
능지자각자 시구담제자 주야당염시 일심귀명불

297
부처의 제자들은   언제나 깨어 있고  밤이나 낮이나  부처의 가르침을 생각한다

善覺自覺者 是瞿曇弟子 晝夜當念是 一心念於法.
선각자각자 시구담제자 주야당염시 일심념여법

298
부처의 제자들은   언제나 깨어 있고  

밤이나 낮이나    부처의 승단을 생각한다

善覺自覺者 是瞿曇弟子 晝夜當念是 一心念於衆.
선각자각자 시구담제자 주야당념시 일심염여중

299
부처의 제자들은   언제나 깨어 있고  

밤이나 낮이나   육신의 덧없음을 생각한다

爲佛弟子 常悟自覺 日暮思禪 樂觀一心.
위불제자 상오자각 일모사선 낙관일심

300
부처들의 제자들은   언제나 깨어 있고  

밤이나  낮이나 불살생으로   그 마음이 즐겁다

爲佛弟子 當悟自覺 日暮慈悲  樂觀一心.
위불제자 당오자각 일모자비  낙관일심

301
부처의 제자들은    언제나 깨어 있고  

밤이나 낮이나   그 마음이 즐겁다

爲佛弟子 常悟自覺 日暮思禪 樂觀一心.
위불제자 상오자각 일막사선 낙관일심

302
출가 생활은 힘들어 즐거움을 얻기 어렵다   집에서 사는 것도  힘들고 괴롭다  

마음에 맞지 않는 무리와 사는 일 또한 괴롭다  

무엇을 찾아 나서도 괴로움을 만난다   그러므로 방황하는 나그네가 되지 말라  

그러면 고통에서 떨어지지 않으리라

學難捨罪難 居在家亦難   會止同利難 艱難無過有  .
학난사죄난 거재가역난   회지동리난 간난무과유 

比丘乞求難 何可不自勉 精進得自然 後無欲於人

비구걸구난 하가불자면 정진득자연 후무욕어인

303
믿음이 있고 덕행을 갖추고   명성과 번영을 누리는 사람  

그런 사람은 언제나 어디서나   존경을 받는다

有信則戒成  從戒多致寶   亦從得諧偶  在所見供養
유신즉계성  종계다치보   역종득해우  재소견공양

304
어진 사람들은 히말라야처럼   멀리서도 빛난다  

못된 사람은 밤에 쏜 화살처럼   가까이서도 보이지 않는다

近道名顯 如高山雪 遠道闇昧 如夜發箭.
근도명현 지고산설 원도암매 여야발전

305
홀로 앉고 홀로 눕고   홀로 다녀도 지치지 않고  

자신을 억제하며   숲속에서 홀로 즐기라

一坐一處臥  一行無放逸   守一以正身  心樂居樹間.
일좌일처와  일행무방일   수일이정신  심락거수간



29.광연품 廣衍品

廣衍品者 言凡善惡 積小致大 證應章句

광연품자 언범선악 적소치재 증응장구

광연품이란 대개 선과 악은 작은 것이 쌓이어 큰 것이 되며
깨달음은 장구(章句)에 걸맞다는 것을 말한 것이다.


1. 施安雖小 其報彌大 慧從小施 受見景福
      시안수소 기보미대 혜종소시 수견경복
      베푸는 안락은 비록 조그마 하더라도 그 갚음은 더욱 크나니
      지혜는 조그만 보시에서 생겨 능히 큰 복을 받는 것을 본다.
      彌 더욱 미, 더욱


2. 施勞於人 而欲望祐 殃咎歸身 自遭廣怨
      시로어인 이욕망우 앙구귀신 자구광원
      조그만 수고를 남에게 베풀고는 거기서 큰 복을 얻으려 하면
      그 재앙은 제 몸으로 돌아와 스스로 많은 원망 받게 되리라.


3. 已爲多事 非事亦造 伎樂放逸 惡習日增
      이위다사 비사역조 기락방일 악습일중
      수많은 일을 이미 겪었건마는 되잖은 일을 또 만드나니
      풍류로써 함부로 방탕하게 놀면 나쁜 버릇은 날로 늘어 가리라.


4. 精進惟行 習是捨非 修身自覺 是爲正習
      정진유행 습시사비 수신자각 시위정습
      그저 꾸준히 노력해 가되 옳은 것 친하고 그른 것 버려라.
      몸을 닦으며 스스로 깨달으면 그것을 일러 바른 버릇이라 한다.


5. 旣自解慧 又多學問 漸進普廣 油酥投水
      기자해혜 우다학문 점진보광 유소투수
      이미 스스로 지혜로운 알음 있고 거기에다 또 많이 묻고 배우면
      점점 나아가 널리 펴지는 것 기름타락을 물에 던진 것 같네.
      酥 연유 소


6. 自無慧意 不好學問 凝縮狹小 酪酥投水
      자무혜의 불호학문 응축협소 락소투수
      스스로 아무런 지혜도 없으면서 또 배우고 묻기 좋아하지 않으면
      엉기고 움추려 좁고 작아지는 것 타랄웃물을 던지는 것 같나니


7. 近道名顯 如高山雪 遠道闇昧 如夜發箭
      근도명현 여고산설 원도암매 여야발전
      도를 가까이하면 이름 드러나나니 마치 저 높은 산의 눈과 같으며
      도를 멀리하면 어리석고 어둡나니 마치 밤에 화살을 쏘는 것 같아라.


8. 爲佛弟子 常寤自覺 晝夜念佛 惟法思衆
      위불제자 상오자각 주야염불 유법사중
      다행히 부처님 제자가 되었나니 항상 맑은 정신 스스로 깨어 있어
      밤이나 낮이나 부처님 생각하고 법을 생각하고 그 승가(僧伽)를 생각하라.


9. 爲佛弟子 常寤自覺 日暮思禪 樂觀一心
      위불제자 상오자각 일모사체 낙관일심
      다행히 부처님 제자가 되었나니 항상 맑은 정신 스스로 깨어 있어
      낮이나 밤이나 선정에 들어 그 마음 살피어 보기를 즐겨하라.


10. 人當有念意 每食知自小 則是痛欲薄 節消而保壽
      인당유념의 매식지자소 즉시통욕박 절소이보수
      사람은 언제나 생각이 있어야 하나니 음식을 먹을 때마다 적게 먹을 줄 알면
      온갖 병과 또 탐욕이 적어지고 잘 소화하여 목숨을 보전한다.


11. 學難捨罪難 居在家亦難 會止同利難 難難無過有
      학난사죄난 거재가역난 회지동리난 난난무과유
      배우기 어렵고 죄 버리기 어렵고 집에서 살아가기 또한 어렵고
      남과 모여 이익을 같이하기 어렵나니 결국 몸을 가진 것이 가장 어렵네.


12. 比丘乞求難 何可不自勉 精進得自然 後無欲於人
      비구걸구난 하가부자면 정진득자연 후무욕어인
      비구는 다니며 구걸하기 어렵거니 어떻게 스스로 힘 쓰지 않겠는가.
      정진하면 저절로 얻어지리니 그 다음에는 남에게 바랄 것 없네.


13. 有信則戒成 從戒多致寶 亦從得諧偶 在所見供養
      유신즉계성 종계다치보 역종득해우 재소견공양
      믿음이 있으면 계율을 성취하고 계율을 따라 많은 보물 이르며
      또한 그 따라 많은 벗 얻어 가는 곳마다 공양을 받으리라.


14. 一坐一處臥 一行無放恣 守一以正身 心樂居樹間
      일좌일처와 일행무방자 수일이정신 심락거수간명
      한 자리에 앉고 한 자리에 누우며 한결같이 행하여 방일하지 않고
      오직 하나를 지켜 몸을 바루면 숲 속에 있어 그 마음 즐거우리.


 

29, 법구비유경(法句譬喩經) 제29 광연품(第二十九 廣衍品)

http://cafe.daum.net/pokyodang/7HVj/31

法句譬喩經廣衍品第二十九

법구비유경  제29 광연품


  昔佛在舍衛國說法敎化。天龍鬼神帝王人民三時往聽。彼時國王名波斯匿。爲人
憍慢放恣情欲。目惑於色。耳亂於聲。鼻著馨香。口恣五味。身受細滑。食飮極美初
無厭足。食遂進多恒苦飢虛。膳不廢以食爲常。身體肥盛乘輿不勝臥起呼吸但苦短
氣。氣閉息絶經時驚覺。坐臥呻吟恒苦身重。不能轉側以身爲患。便敕嚴駕往到佛所
。侍者扶持問訊。却坐叉手。白佛言。世尊。違遠侍覲諮受無階。不知何罪身爲自肥
。不能自覺何故使爾。每自患之。是以違替不數禮覲。佛告大王。人有五事令人常肥
。一者數食。二者喜眠。三者憍樂。四者無愁。五者無事。是爲五事喜令人肥。若欲
不肥減食麤燥然後乃瘦。

       옛날 부처님께서 사위국에 계시면서 설법하여 교화하고 계실 때 천(天)·용(龍)·귀신·제왕·사람들은 하루 세 번씩 가서 설법을 들었다.

그 때 왕의 이름은 바사닉(波斯匿)이었는데 그는 사람됨이 교만하여 정욕(情慾)을 마음껏 누렸고, 눈은 빛깔[色]에 현혹되고, 귀는 소리에 혼란해지며, 코는 냄새에 집착하고, 혀는 다섯 가지 맛[五味]을 한껏 맛보며, 몸은 마음껏 촉감을 향락하였다.

그러다가 매우 맛있는 음식도 처음부터 전혀 만족할 줄 몰랐고 분량은 갈수록 늘어났었지만 늘 허기로 괴로워하였으므로 끊임없이 음식을 만들어 먹는 것으로 일삼았다. 그러자 몸은 자꾸 살찌고 불어나 가마를 타는 것조차 지겨워하였고 누웠다 일어날 때는 호흡이 가빠 괴로울 뿐이었다.

그러다가 기운이 막히고 숨이 끊어졌다가 한참만에 다시 깨어났으며 앉거나 눕거나 항상 앓으면서 무거운 몸을 늘 고통스러워하다가 끝내는 몸을 뒤집을 수도 없는 지경이 되어 큰 근심거리가 되었다.

그는 명령하여 수레를 장엄하게 꾸며 타고 부처님께 나아가, 시자(侍者)가 부축한 채 문안드리고는 한쪽에 물러앉아 합장하고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오랫동안 뵙지 못하여 여쭈어 볼 길이 없었습니다. 이 무슨 죄인지 몸이 저절로 자꾸 살만 찌는데 무엇 때문에 그런지 알지 못하여 늘 걱정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자주 나와 뵙고 예배하지 못했습니다."

부처님께서 대왕에게 말씀하셨다.

"사람에게는 다섯 가지 일이 있어서 늘 사람을 살찌게 하고 있습니다.

첫째는 자주 먹는 것이고, 둘째는 잠자기를 좋아하는 것이며, 셋째는 잘났다고 뽐내면서 즐거워하는 것이고, 넷째는 근심이 없는 것이며, 다섯째는 일이 없는 것입니다.

이 다섯 가지는 사람을 살찌게 하는 것이니 만일 살찌지 않게 하고 싶으면 음식을 줄이고 마음을 애타도록 하십시오. 그렇게 하면 여위게 될 것입니다."

  : 의 대치,(부엌 주)이체자

於是世尊即說偈言

그리고 세존께서 다시 게송을 말씀하셨다.


 人當有念意  每食知自少 從是痛用薄  節消而保壽

 

   사람은 마땅히 유념해야 하나니   먹을 때마다 적게 먹을 줄 알아야 한다

   그로 인해 식탐의 고통 점점 적어지리니   적게 먹고 소화시켜 목숨 보전하라.


  王聞此偈歡喜無量。即呼士而告之曰。受誦此偈若下食時先爲我說然後下食。
王辭還宮士下食輒便說偈。王聞偈喜日減一匙。食轉減少遂以身輕即瘦如前。自見
如此歡欣念佛。即起步行往到佛所爲佛作禮。佛命令坐而問王曰。車馬人從爲所在也
何緣步行。王喜白佛。前得佛敎奉行如法。今者身輕世尊之力。是以步來知爲何如。

佛告大王。世人如此不知無常。長身情欲不念爲福。人死神去留身墳塜。智者養神愚
者養身。若能解此奉修聖敎。

      왕은 이 게송을 듣고 한량없이 기뻐하면서, 곧 요리사를 불러 말하였다.

"이 게송을 잘 받들어 외워 두었다가, 음식을 내올 때마다 먼저 나를 위해 이 게송을 외운 뒤에 음식을 가져오너라."

왕은 부처님께 하직하고 궁중으로 돌아갔다.

요리사는 음식을 내올 때마다 이 게송을 외웠고, 왕은 이 게송을 듣고 기뻐하면서 하루에 한 숟갈씩 줄여 차츰 적게 먹게 되었다. 그래서 몸이 가벼워지며 전처럼 여위어졌다. 이렇게 된 것을 보고 왕은 매우 기뻐하여 부처님을 생각하고, 곧 일어나 걸어서 부처님 처소로 나아가 예배하였다.

부처님께서는 앉게 하시고 왕에게 물으셨다. "수레나 말이나 시종들은 어디에 두고 혼자 걸어서 왔습니까?"

왕은 기뻐하면서 부처님께 아뢰었다. "전날 부처님의 가르침을 듣고 그 법대로 받들어 행하여 지금은 몸이 가벼워졌는데 이것은 다 세존의 힘이옵니다. 그래서 걸어오면서 어떤가를 시험해 보았습니다."

부처님께서 대왕에게 말씀하셨다.

"그와 같이 세상 사람들은 모든 것이 덧없다는 사실을 알지 못하고, 몸뚱이의 정욕만 기르면서 복 짓기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사람이 죽으면 정신은 떠나고 몸은 무덤에 남겨 두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지혜로운 사람은 정신을 기르고 어리석은 사람은 몸을 기릅니다. 만일 이런 줄을 알았거든 성인의 가르침을 받들어 닦으십시오."

 

於是世尊重說偈言。

그리고는 세존께서 다시 게송을 말씀하셨다.

  

 人之無聞  老如特牛 但長肌肥  無有智慧

 生死無聊  往來艱難 意倚貪身  更苦無端

 慧人見苦  是以弃身   滅意斷欲  愛盡無生

 

   사람으로 많이 들어 알지 못하면   늙어서도 마치 저 황소처럼

   그저 나이만 먹고 살만 쪄   아무런 지혜도 없다네.

 

   아무런 의미 없이 나고 죽으며   가고 오면서 괴로워하건만

   마음은 몸을 탐하고 집착하여   거듭된 괴로움 끝이 없다네.

 

   지혜로운 사람은 그 고통 보고   그런 줄 알아 몸을 버리고

   잡념을 없애 욕심을 끊고   애욕이 다하여 태어남 없으리.


  王重聞偈欣然意解。即發無上正眞道意。聽者無數皆得法眼

      왕은 거듭 이 게송을 듣고 기뻐하면서 마음이 열려 곧 위없는 바르고 진실한 도의 마음을 내었다. 그리고 설법을 들은 무수한 사람들은 다 법안(法眼)을 얻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