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0ntn3Q28BD4

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가자 가자 피안으로 가자. 피안으로 완전히 건너 가, 깨달음에 뿌리를 내리자.)


*위 주문(呪文)의 산스크리트어 원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본토말 : 가떼 가떼 빠라가떼 빠라상가떼 보디 스와하
            가테 가테 파라가테 파라상가테 보디 스와하 <=== 억양을 부드럽게 했을 때

(한자 음역)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揭諦揭諦 波羅揭諦 波羅僧揭諦, 菩提 娑婆訶)

출처 : 불교신문(http://www.ibulgyo.com)

 

한국말 : 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영   어 : Gate Gate paragate parasamgate bodhi svaha
해   석 : 
Gate Gate  
paragate
parasamgate
bodhi svaha

가라. 가라. 
피안으로 건너가라. 
피안으로 완전히 건너가라. 
깨달음에 뿌리를 내려 주옵소서.

 

*스바하(산스크리트어स्वाहा)는 힌두 신화에 등장하는 불의 신 아그니의 아내이다.

동시에 인도계 종교에서 어떠한 주문을 외운 다음에 '이루어지게 하옵소서'라는 뜻으로 사용하는 단어이기도 하다.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12912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21232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0661

 

송광사(松廣寺)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불교유적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종남산(終南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체징이 창건한 사찰.   

encykorea.aks.ac.kr

건립시기 867년(경문왕 7)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종남산(終南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체징이 창건한 사찰.
대한불교조계종 제17교구 본사인 금산사(金山寺)의 말사이다. 867년(경문왕 7)에 체징(體澄)이 창건하였다.

 

 

포대(布袋) 화상

https://ko.wikipedia.org/wiki/%ED%8F%AC%EB%8C%80%ED%99%94%EC%83%81

포대(布袋, 생년 미상-917년(?))는 당나라 말기부터 오대 십국 시대까지 명주(현재의 중국 저장성 닝보시)에 실재했다는 전설적인 불승이다.[1][2] 흔히 수묵화의 좋은 소재로 여겨지며 큰 포대를 멘 배불뚝이 승려의 모습으로 그려진다. 일본에서도 칠복신 중 하나로서 추앙받고 있다.[1]

유래

본명은 계차(契此) 또는 석(釋)자를 붙여 석계차(釋契此)라고 했다.[2] 항상 포대(헐렁한 주머니)를 짊어지고 다녔기 때문에 포대(布袋)라는 속칭이 붙었다.[1] 

 

 

 

 

 

https://blog.daum.net/rnjstjdxor1/174

 

완주 송광사에는 나라에 변이 생길 때 마다 땀과 눈물을 흘리는 부처가 있다.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에 있는 송광사는 최초에는 신라 경문왕 때 백련사란 이름으로 도의선사가 세웠다고 한다. 이곳에 진입하기전 송광사로 들어오는 길에 벗꽃 터널이 있는데 송광사 벗꽃

blog.daum.net

완주 송광사에는 나라에 변이 생길 때 마다 땀과 눈물을 흘리는 부처가 있다.

 

http://www.d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4583 

 

[최종걸의 창건설화] 땀 흘려 아픔을 위로한 완주 송광사 - 일간투데이

백두대간이 남서쪽으로 기세를 떨치다 마친 산 동남쪽 종남산 끝자락에 송광사가 있다.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569-2에 있는 송광사는 가지산파의 시조이자 전남 순천시 소재 승보종찰

www.dtoday.co.kr

 

송광사가 역사 기록에 처음으로 등장하는 것은 통일신라 말이다. 종남산 남쪽에 영험 있는 샘물이 솟아나 그 옆에 절을 짓고 백련사라고 했다고 한다. 보조 체징(普照體澄, 804~880) 선사가 설악산 억성사에서 수행하다 선법의 요체를 구하러 중국에 유학하러 가던 길에 백련사가 영험 도량이라는 소문을 듣고 이곳에 잠시 머무른 인연으로 귀국해서도 가지산 보림사와 종남산 백련사에 번갈아 주석하면서 도의국사의 선법으로 널리 교화했다고 한다. 이때 체징 선사는 백련사를 선종의 종취에 따라 송광사로 개칭했다.

송광사는 4대 지장 성지 하나답게 '땀 흘리는 부처가 있는 곳'으로도 알려져 있다. 경내에 대웅전, 지장전, 나한전 등 전각들을 중심으로 대웅전은 사찰의 중심 전각일 뿐만 아니라 '땀 흘리는 부처님'이라는 이적 현상으로 시선을 끌고 있다.

출처 : 일간투데이(http://www.dtoday.co.kr)

 

완주 송광사는 867년에 보조국사(普照國師) 체징(體澄)이 창건하였다고 전해지며, 그 뒤 고려 중기에 보조국사 지눌이 다시 고쳐 지었다. 송광사의 명부전에는 지장보살상을 주존불(主尊佛)로 모시고, 왼쪽에 보제존자, 그 좌우로 시왕상, 인왕상, 사자상 등이 배치되어 있다.

흙으로 만든 지장보살은 나무로 만든 연꽃무늬 대좌(臺座) 위에 놓여 있다. 원만한 인상에 눈·코·입 등이 가지런하며, 양 귀는 긴 편이 아니나 큼직하여 근엄하면서도 자비롭다. 옷은 양 어깨를 감싸고 있는데 양 팔에 걸쳐 옆으로 흘러내리고 있다. 오른손은 가슴 높이로 들어 엄지와 중지를 잡고 있으며, 왼손은 무릎 위에 놓고 엄지와 중지를 잡고 있다.

지장보살상 속에서 발견된 기록에 의하여 1640년에 지장보살삼존상과 시왕상 등이 함께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다.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57551 

 

한국불교신앙의 뿌리를 찾아서 3-지장 신앙 - 불교신문

사진설명: 철원 심원사 생지장보살. 지장보살의 은혜에 보답하기 위해 8세기에 세운 이 절은 우리나라 제일의 지장성지 가운데 하나다.지장신앙은 미타신앙(정토신앙) 관음신앙과 함께 불교의 3

www.ibulgyo.com

 

 

 

https://blog.daum.net/loh4624/6211551

 

보물과 문화재가 그득한 전북 완주군 종남산 송광사(전북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569-2)

 보물과 문화재가 그득한 전북 완주군 종남산 송광사 ( 終南山 松廣寺)     2016.   3.   30. 2016.  3. 28.  "한국불교대학 大관음사 포항도량" 에서 108순례로  이번에는 전라북도 완주의 위봉사

blog.daum.net

 

 

 

↑愛鄕樹(애향수)

 

https://www.youtube.com/watch?v=Z595pid-wrk&t=90s 

 

 

 

https://www.youtube.com/watch?v=vwc5zTayVJw 

 

 

https://www.youtube.com/watch?v=h1jUtpEzxxA 

 

 

https://www.youtube.com/watch?v=FIboLdbZMEA 

 

山天齋(산천재)의 전서체

아래 천자문 첫구의 '天'字가 바른 전서체임.

↑天地玄黃(천지현황)의 전서체

 

 

https://www.youtube.com/watch?v=AUpH0rQHpt0 

 

 

[펌]

https://www.youtube.com/watch?v=QuSHz6GLJ5w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1,00350000,36&pageNo=1_1_2_0 

 

국보 구례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 (求禮 華嚴寺 四獅子 三層石塔) : 국가문화유산포털 - 문화재

구례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

www.heritage.go.kr

지리산 자락에 있는 화엄사는 신라 진흥왕 5년(544)에 연기조사(緣起祖師)가 세운 절로, 호남 제일의 사찰답게 많은 부속 건물과 국보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 보물 구례 화엄사 동 오층석탑, 보물 구례 화엄사 서 오층석탑, 보물 구례 화엄사 원통전 앞 사자탑 등의 중요한 유물들이 전해온다. 탑은 소나무 숲으로 둘러싸인 절 서북쪽의 높은 대지에 석등과 마주보고 서 있으며, 2단의 기단(基壇)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형태이다.

아래층 기단의 각 면에는 천인상(天人像)을 도드라지게 새겼는데, 악기와 꽃을 받치고 춤추며 찬미하는 등의 다양한 모습이 그려져 있다. 가장 주목되는 위층 기단은 암수 네 마리의 사자를 각 모퉁이에 기둥삼아 세워 놓은 구조로, 모두 앞을 바라보며 입을 벌린 채 날카로운 이를 드러내고 있다. 사자들에 에워싸여 있는 중앙에는 합장한 채 서있는 스님상이 있는데 이는 연기조사의 어머니라고 전하며, 바로 앞 석등의 탑을 향해 꿇어앉아 있는 스님상은 석등을 이고 어머니께 차를 공양하는 연기조사의 지극한 효성을 표현해 놓은 것이라 한다.

탑신은 1층 몸돌에 문짝 모양을 본떠 새기고, 양 옆으로 인왕상(仁王像), 사천왕상(四天王像), 보살상을 조각해 두었다. 평평한 경사를 보이고 있는 지붕돌은 밑면에 5단씩의 받침이 있으며, 처마는 네 귀퉁이에서 살짝 들려 있다. 탑의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의 받침돌인 노반(露盤)과 복발(覆鉢:엎어놓은 그릇모양의 장식)만이 남아있다.

각 부분의 조각이 뛰어나며, 지붕돌에서 경쾌한 아름다움을 보여주고 있어 통일신라 전성기인 8세기 중엽에 만들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특히 위층 기단의 사자조각은 탑 구성의 한 역할을 하고 있어 국보 경주 불국사 다보탑과 더불어 우리나라 이형(異形)석탑의 쌍벽을 이루고 있다.

 

국보 제35호

화엄사 4사자 삼층석탑, 4마리의 사자는 암수 2쌍/ 적멸보궁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4794

 

구례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求禮華嚴寺四獅子三層石塔)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건축문화재 | 유적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시기에 화강암으로 네 마리의 석사자를 지주삼아 건조한 3층 불탑.   국보.

encykorea.aks.ac.kr

건립연대는 각 부의 조각수법이나 건조양식으로 보아 통일신라 성대인 8세기 중엽으로 추정되며 신라시대의 사자석탑으로는 유일하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구례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求禮華嚴寺四獅子三層石塔))]

 

https://www.youtube.com/watch?v=xRHT4lFEA28 . 2021. 9. 29.

 

 

 

https://www.youtube.com/watch?v=QJpYZ92vpTs 

 

 

https://www.youtube.com/watch?v=KG2hn0C_fYw 

 

 

 

 

↓대웅전

↑화신 석가모니불       주불 비로자나불          보신 노사나불

 

명부전은 지장신앙과 명부시왕신앙이 결합되어 불교적으로 전개된 법당

 

 

https://www.youtube.com/watch?v=YDji9r_ioKU 

 

 

 

 

 

https://www.youtube.com/watch?v=ivZLv0GAr5U 

 

 

https://www.youtube.com/watch?v=eP0_xUfPM58 

 

 

https://www.youtube.com/watch?v=9RO7hnaPrCQ 

 

 

https://ko.wikipedia.org/wiki/%ED%99%94%EC%97%84%EC%82%AC

 

화엄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화엄사(華嚴寺)는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에 위치한 사찰로 대한불교 조계종 제19교구 본사이다. 삼국 시대에 창건되었으며, 지리산 국립공원 안에 있다.[1] 544년에 인도에서 온 승려 연

ko.wikipedia.org

화엄사(華嚴寺)는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에 위치한 사찰로 대한불교 조계종 제19교구 본사이다. 삼국 시대에 창건되었으며, 지리산 국립공원 안에 있다.[1] 544년에 인도에서 온 승려 연기가 창건한 것으로 《화엄경》(華嚴經)의 두 글자를 따서 절 이름을 지었다. 

선덕여왕 12년(643년자장이 증축하여 석존사리탑(釋尊舍利塔)·7층탑·석등롱(石燈籠) 등을 건조하였다.

신라 문무왕대인 677년 의상대사가 왕명으로 각황전(覺皇殿)을 짓고 《화엄경》을 보관하였으며, 헌강왕 1년(875년)에 도선이 또 증축하였다. 

임진왜란 때 화재로 피해를 입어 벽암선사(碧巖禪師)가 7년, 인조 8년(1630년)부터 14년(1636년)에 걸쳐 재건하였고, 이어 대웅전 · 각황전 · 보제루(普濟樓) 등이 차례로 복구되었다.[2][3]

현존하는 부속 건물은 모두 신라시대에 속하는 것으로서 국보로 지정되어 있다. 각황전 앞 석등·3층사자석탑·동 오층석탑, 서 오층석탑 등이 유명하며, 웅대한 건축물인 각황전과 대웅전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의상대사가 화엄경을 선양하여 화엄 10대 사찰의 하나가 되었다.[3]

 

 

 

 

https://www.youtube.com/watch?v=3bS0XFmsJ6w 

 

황벽(黃檗, ?~850, 唐代) 선사의 매화시

 

逈脫塵勞事非常 

진로형탈사비상
 
세속에서 하던 일 벗어나기란 예사 일이 아니니
 
緊把繩頭做一場

긴파승두주일장
 
밧줄 단단히 잡고 한바탕 힘쓸지어다.
 
不是一番寒徹骨

불시일번한철골
 
한 번 매서운 추위가 뼛속을 사무치지 아니하면
 
爭得梅花撲鼻香

쟁득매화박비향
 
어찌 코를 찌르는 매화 향기를 얻을 수 있으리오.

[펌]

https://www.youtube.com/watch?v=5NyQCPridDE&t=38s 

 

https://www.youtube.com/watch?v=qhlg-huL5GY 

 

 

화엄사 홍매화와 구례 산수유마을(2021.3.18) - YouTube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