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mfMC-cCUMTI 

 

 

작고하신 장호(章湖) 선생님(시인, 동국대교수) 젊은 시절 모습이 더더욱 반갑네요.

장호(章湖.김장호.1929.3.6∼1999.4.18)

본명 김장호(金長好). 장호(章湖)는 필명(筆名).

【시】<하수도의 생리>(1951) <거울> <전통의 의미> <파충류의 사상> <겨울 등반> <눈뜨는 겨울> <밤의 이유> <본다> <나발 소리가> <듣지를 말라, 내일을> <시(詩)에> <보이지 않는 무덤> <연탄경(煉炭經)> <은행경(銀杏經)>

【시집】<시간표 없는 정거장>(협동문화사.1952.3인시집), <파충류의 합창>(시작사.1957), <돌아보지 말라>(창작조사.1971) <너에게 이르기 위하여>(평화출판사.1981) <북한산 벼랑>(평화출판사.1987) <동경 까마귀>(문학세계사.1988) <신발이 있는 풍경>(답게.1993)

http://www.booklive.kr/3407

 

≪북라이브≫ 김장호 노동자 시인, 세 번째 시집 ‘한숨 두 말, 사랑 다섯 말’ 펴내

책 '한숨 두 말, 사랑 다섯 말'(저자 김장호)의 표지  © 사진=도서출판 문학공원 [북라이브(BOOK LIVE)=강수현 기자]  도서출판 문학공원이 김장호 시인의

www.booklive.kr

 

 

 

 

*길달진의 사위인 고려대 국문과교수 최동호의 조력이 컸을 것이라 옆에 있던 오교수가 조언했다.

 

https://m.segye.com/view/20130514004401

 

[주목, 이사람] 최동호 고려대 국문과 교수

15일 스승의 날을 맞은 최동호(65) 고려대 국문과 교수의 감회는 남다르다. 8월 정년퇴임을 앞둔 그가 교단에서 마지막으로 보내는 스승의 날이라서다. 그동안 최 교수의 가르침을 받고 문단에 발

m.segye.com

 

“나는 문인일수록 공부를 많이 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좋은 시를 쓰려면 그만큼 많은 공부가 필요하죠. 남의 시도 열심히 읽어야 하고요. 공부하지 않고 재능만으로 시를 쓰는 사람은 40대쯤 되면 시가 안 써져요. 독서와 사색의 폭이 얕은 게 우리 시단의 한계입니다.”

요즘 그가 가장 많이 받는 질문은 “교수와 시인, 평론가 중에서 딱 하나만 고르라면 뭘 택하겠느냐”는 것이다. 그의 답은 아주 명쾌하다. 시인이다.

 

 

[참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5685

 

사산비명(四山碑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신라 불교사에서 우뚝한 위치를 차지하는 세 선사(禪師)의 일생 행적과 화엄종 계열의 왕실 원찰(願刹)인 대숭복사의 창건 내력을 적은 비문으로서, 사비명(寺碑銘)의 찬술은 『문선(文選)』에

encykorea.aks.ac.kr

 

 

https://kydong77.tistory.com/19680

 

崔致遠, 사산비명(四山碑銘)/ 上書莊, 時務十餘條

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7146 상서장(上書莊)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경상북도 기념물 제46호. 신라 말엽의 뛰어난 문필가 최치원(崔致遠)이 머무르면서 공부하던 곳이라 전한다. 그는 사

kydong77.tistory.com

 

 

https://kydong77.tistory.com/3597

 

문경 희양산 봉암사 지증대사 적조탑비명/ 사산비명

[주]최치원 선생의 문장이 명문이라 하나 한문은 읽을 수 없고. 한글 번역을 보아도 많은 불교 용어에다 작가의 문장 핵심이 드러나지 않아 이해하기 어려운 점이 많다. 이에 본인은 문이라고 하

kydong77.tistory.com

 

https://kydong77.tistory.com/3576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 대공영탑비명/ 사산비명

http://blog.naver.com/gamrae007/100087501517 유당 신라국 고 강주 지리산 쌍계사 교시 진감선사 대공영탑비명 河東 雙磎寺 眞鑑禪師大空靈塔碑 전서국 도통순관 시어사 내봉공 사 자금어대 신 최치원은

kydong77.tistory.com

 

https://kydong77.tistory.com/3550

 

경주 초월산 숭복사 비명 /사산비명

숭복사비 받침석 쌍귀부[경주박물관] [숭복사지 사진] http://blog.daum.net/chgon/7717725 http://blog.daum.net/vmffktlqh/15855050 [소재지]숭복사비 崇福寺碑: 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 말방리 경주초월산숭..

kydong77.tistory.com

 

https://kydong77.tistory.com/8796

 

보령 낭혜화상 백월보광탑비명 및 서문/사산비명

랑혜화상탑비 http://blog.daum.net/yspum6022/15689161 번역문 http://blog.daum.net/yspum6022/15689161 藍浦 聖住寺 朗慧和尙 白月葆光塔碑銘 無染和尙碑銘 竝序奉敎撰下同 大朗慧和尙白月葆光塔碑銘 (낭혜화..

kydong77.tistory.com

 

 

https://kydong77.tistory.com/19525

 

최치원, 사산비명(四山碑銘)/ 격황소서(檄黃巢書) · 雙女墳傳記

www.youtube.com/watch?v=KrKt9VlekUU ko.wikipedia.org/wiki/%EC%B5%9C%EC%B9%98%EC%9B%90 최치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최치원(崔致遠, 857년 ~ 908년 이후)은 신..

kydong77.tistory.com

 

 

 

https://www.youtube.com/watch?v=oTDdc_z1w-Q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9188

 

지장보살상(地藏菩薩像)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우리나라에서는 750년 경에 조성된 석굴암(石窟庵) 감실(龕室) 안에 석조지장보살좌상이 안치되어 있어 8세기 중엽경 지장신앙에 의한 조상활동이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 석굴암 지장보살상은

encykorea.aks.ac.kr

사후세계의 교주인 지장보살의 불상.

지장보살은 관음보살과 함께 우리나라 2대 보살의 하나로, ‘위로는 부처의 도를 구하며, 아래로는 중생을 구제’하는 보살도를 실천하며, 천(天)·인(人)·아수라(阿修羅)·축생(畜生)·아귀(餓鬼)·지옥(地獄) 등 육도윤회(六道輪廻)에서 고통을 받는 중생들을 남김없이 구제하기 위해 성불(成佛)마저도 포기한 대비(大悲)의 보살이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지장보살상(地藏菩薩像))]

 

https://www.youtube.com/watch?v=fjJK4-jC8qE 

 

 

 

 

 

https://www.youtube.com/watch?v=0ntn3Q28BD4 

 

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가자 가자 피안으로 가자. 피안으로 완전히 건너 가, 개달음에 뿌리를 내리자.)


*위 주문(呪文)의 산스크리트어 원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산스크리트어[범어] : 

가떼 가떼 빠라가떼 빠라상가떼 보디 스와하
            가테 가테 파라가테 파라상가테 보디 스와하 <=== 억양을 부드럽게 했을 때

(한자 음역)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揭諦揭諦 波羅揭諦 波羅僧揭諦, 菩提 娑婆訶)

한국말 : 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영   어 : Gate Gate paragate parasamgate bodhi svaha
 해   석 : 
Gate Gate  
paragate
parasamgate
bodhi svaha

가라. 가라. 
피안으로 건너가라. 
피안으로 완전히 건너가라. 
깨달음에 뿌리를 내려라.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12912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21126

 

https://www.youtube.com/watch?v=fyTTmddwt_I&t=206s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3106 

 

25년만에 부활한 KBS ‘가요톱텐’ 첫 출연은 나훈아 - 미디어오늘

1998년 2월 종영됐던 KBS의 ‘가요톱텐’이 오는 25일 25년 만에 부활한다. 새로운 ‘가요톱텐’은 글로벌 차트 기반의 음악 방송으로, 이번에는 ‘버추얼’이라는 부제를 더해 ‘버추얼 가요톱텐

www.mediatoday.co.kr

 

https://www.youtube.com/watch?v=8cNz9awcVqg 

 

맞짱

https://www.youtube.com/watch?v=c0H3vXGKBlk 

 

 

 

https://www.youtube.com/watch?v=XkYH_aXWx9U 

 

 

 

 

https://www.youtube.com/watch?v=vYJVGXK__Dg&t=99s 

 

 

https://www.youtube.com/watch?v=QfmilrieAmU 

 

 

불일암 앞 후박나무 아래 법정스님의 유해를 모심.

 

https://kydong77.tistory.com/801

 

하늘과 땅을 관으로 삼고

하늘과 땅을 관으로 삼고 - 장자(잡편) ; 제32편 열어구[17]- 莊子將死, 장자장사, 장자가 죽으려 하자, 弟子欲厚葬之. 제자욕후장지. 제자들이 장사를 성대히 지내려고 했다. 莊子曰: 장자왈: 그

kydong77.tistory.com

 

https://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208704 

 

[법정스님 열반 10주기 특별기획] ⑱ 송광사 불일암 은거 - 불교신문

“바깥소리에 팔리노라면 자기 소리를 잃고 말기 때문에. 가장 깊숙한 데서 나직이 들려오는 ‘내심의 소리’는 곧 우주질서의 하모니이다. 먼 강(江)물 소리 같은. 해서 구도자들은 무성처(無

www.ibulgyo.com

 

https://www.youtube.com/watch?v=rIvSaISO_MM

 

 

 

http://premium.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3/09/2016030902655.html

 

시인 윤동주가 가장 흠모했던 시인은 백석

시인 윤동주가 가장 흠모했던 시인은 백석

premium.chosun.com

 

https://kydong77.tistory.com/19465

 

문갑식, 윤동주와 白石과 金子夜와 길상사와 자작나무

www.youtube.com/watch?v=SgqX-zzWfwY www.youtube.com/watch?v=7m8An6Wj2Tk 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cosinegraph&logNo=220726441742&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서평] 내 사랑..

kydong77.tistory.com

 

 

https://kydong77.tistory.com/4577

 

길상사-대원각 & 자야와 백석

https://ko.wikipedia.org/wiki/%EB%B0%B1%EC%84%9D 주요 작품[편집] 《사슴》: 1936년 1월 20일 자가본(自家本)으로 발행한 시집이다. 《사슴》에는 총 33편의 시가 4부로 나뉘어 수록되어 있다. 1부 ‘얼럭소새..

kydong77.tistory.com

 

https://kydong77.tistory.com/19469

 

길상사의 꽃무릇 1

www.youtube.com/watch?v=O6ubBUoeZxw www.youtube.com/watch?v=wfi5zg3Idyg ko.wikipedia.org/wiki/%EA%B8%B8%EC%83%81%EC%82%AC_(%EC%84%9C%EC%9A%B8) 길상사 (서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

kydong77.tistory.com

 

 

https://www.youtube.com/watch?v=7m8An6Wj2Tk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ㅡ 백석
가난한 내가
아름다운 나타샤를 사랑해서
오늘밤은 푹푹 눈이 나린다

나타샤를 사랑은 하고
눈은 푹푹 날리고
나는 혼자 쓸쓸히 앉어 소주를 마신다
소주를 마시며 생각한다
나타샤와 나는
눈이 푹푹 쌓이는 밤 흰 당나귀 타고
산골로 가자 출출이 우는 깊은 산골로 가 마가리에 살자

눈은 푹푹 나리고
나는 나타샤를 생각하고
나타샤가 아니 올 리 없다
언제 벌써 내 속에 고조곤히 와 이야기한다
산골로 가는 것은 세상한테 지는 것이 아니다
세상 같은 건 더러워 버리는 것이다

눈은 푹푹 나리고
아름다운 나타샤는 나를 사랑하고
어데서 흰 당나귀도 오늘밤이 좋아서 응앙응앙 울을 것이다

* 김영한은 이 시 속의 '나타샤'가 자기자신임을 의심치 않았다.

 

https://kydong77.tistory.com/4577

 

길상사-대원각 & 자야와 백석

https://ko.wikipedia.org/wiki/%EB%B0%B1%EC%84%9D 주요 작품[편집] 《사슴》: 1936년 1월 20일 자가본(自家本)으로 발행한 시집이다. 《사슴》에는 총 33편의 시가 4부로 나뉘어 수록되어 있다. 1부 ‘얼럭소새..

kydong77.tistory.com

북악산 자락이 끝나는 성북동 기슭에 자리한 길상사(吉詳寺). 이곳은 한 때 우리나라 제일의 요정 대원각이 있었다. 대원각은 군사문화의 서슬이 시퍼렇던 60년대 말 삼청각, 청운각과 함께 최고급 요정이었다.

이 절은 대원각 요정의 주인이었던 김영한(불명 吉詳華)이 죽기 전 법정스님에게 기증하여 절로 탈바꿈한 곳이다.
고급 요정이었던 대원각자리에 세워진 사찰인 길상사의 이름은 그녀의 법명인 길상화(吉詳華)에서 따서 길상사로 명명했던 것이다. 그래서 대웅전이라 하지 않고 김영한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의미로 극락전이라 한다.

대원각 소유자인 김영환 보살이 법정스님의 '무소유'를 읽고 대원각의 모든 것을 시주하려고 하였지만 무소유를 강조하며 실천하는 법정스님의 뜻과는 거리가 멀었다.
몇 번의 간곡한 요청으로 법정스님은 '길상사'라는 절을 세워 마음의 도량을 세운다.

김영환 보살은 1932년 16세의 꽃다운 나이에 진향 기생으로 시작하여 어느 날 함흥 영생고보 영어교사인 백석(白石)과의 만남을 시작으로 기나긴 사랑의 기다림을 가진다.
그녀는 명문가였던 백석 집안의 반대로 인연을 이룰 수 없다는 사실을 알고 헤어져 있으며, 시인 백석을 내 사랑으로 간직하며 죽는 날까지 그를 기린다. 하룻밤의 사랑으로 서로의 마음을 간직한 채 백석은 그녀에게 '자야(子夜)'라는 아호를 한지에 써서 편지와 함께 남기고 홀로 월북의 길을 떠나간다.

당나라 이태백의 중국의 변방 전쟁터로 떠난 남편을 기다리는 여인이 등장하는 '자야오가(子夜吳歌)'라는 시에서 이름을 따 왔다는 자야(子夜)는 길상사라는 절을 열 때 법정스님으로부터 '길상화(吉祥華)'라는 법명과 염주 하나를 받아든다.

백석과의 못다 한 사랑을 간직한 채 자야는 성북동 배밭골인 지금의 터에서 '첨암정'이라는 한식당을 운영한다.
수많은 정치인과 단골의 구애를 뿌리치고 첫사랑을 기다리며 다시 '대원각'이라는 요정을 운영하다.

백석이 북으로 떠나면서 그와 이별한 그녀는 백석을 잊기 위해 대원각을 냈다는 소문이고, 백석이 죽도록 보고싶으면 그녀는 줄담배를 피워댔다고 한다.

그래서 폐암이 발병하고 죽음이 임박하자 자신이 운영하던 시가 1천억 원의 요정은 절에 무보시 시주하였다. 또한,자신이 모았던 2억 원의 현금은생전에 기리며던 백석시인을 위하여 '백석상'을 만들기도 하였다.

그리고 <내사랑 백석-1995년 문학동네> <내 가슴 속에 지워지지 않는 이름-창작과 비평>을 출간했다. 그녀는 국악계에도 공헌을 했으며 김진향으로도 널리 알려졌다.

1999년 11월 14일 그녀는 사랑의 그리움만 간직한 채 길상헌에서 생을 마감하였다.
죽기 전날 그녀는 목욕 재계하고 절에 참배하고 하룻밤을 길상헌에서 자고 임종하였다고 한다.

그의 유해는 유언대로 눈이 하얗게 쌓인 길상사 앞마당에 뿌려졌다.
84살의 적지도 많지도 않은 일생을 살다간 자야의 하룻밤의 심정은 어떠했을까?.

아마 첫사랑으로 간직한 젊을 적의 백석을 그리워하며, 가진 것 없이 모든 것을 희사한 무보시를 한 기쁨으로 가볍게 이승을 훌훌 털고 생을 마감했으리라.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4577

 

김영한의 기생명 '자야'는 이백의 시 <子夜呉歌>에 근거하여 백석이 지어 줌. 

kydong77.tistory.com/17357

 

039 이백, 子夜吳歌1

039자야오가1(子夜吳歌1)-이백(李白) 자야오가 봄의 노래-春歌(춘가) 秦地羅敷女(진지라부녀) : 진나라 땅 나부라는 여인 採桑綠水邊(채상록수변) : 푸른 물가에서 뽕잎을 따고 있었네 素手青條上(

kydong77.tistory.com

 

kydong77.tistory.com/17359

 

040 이백, 子夜吳歌2

040자야오가2(子夜吳歌2)-이백(李白) 자야오가-이백(李白) 여름의 노래-夏歌(하가) 鏡湖三百里(경호삼백리) : 거울 같이 맑은 호수 삼백리 菡萏發荷花(함담발하화) : 연봉오리에서 연꽃이 피는구나

kydong77.tistory.com

 

kydong77.tistory.com/17360

 

041 이백, 子夜吳歌3

041子夜吳歌3(자야오가3)-李白(이백) 자야오가3 가을의 노래-秋歌(추가) 長安一片月(장안일편월) : 장안 한 조각 달 萬戶搗衣聲(만호도의성) : 집집마다 다듬이 소리 秋風吹不盡(추풍취불진) : 가을

kydong77.tistory.com

 

kydong77.tistory.com/17361?category=709257

 

042 이백, 子夜吳歌4

042 子夜吳歌4-이백(李白) 자야오가 겨울의 노래-冬歌(동가) 明朝驛使發(명조역사발) : 내일 아침 역사가 떠나니 一夜絮征袍(일야서정포) : 온 밤을 서방님 솜옷을 짓는다네 素手抽針冷(소수추침��

kydong77.tistory.com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19465

 

 

 

https://www.youtube.com/watch?v=QfmilrieAmU 

 



 https://kydong77.tistory.com/20777

 

법정 국역, 숫타-니파타 Sutta Nipāta & 法句經 26章 423게송

https://www.youtube.com/watch?v=8Kg5nJERDqU https://www.youtube.com/watch?v=S9COX-5Ks2k https://kydong77.tistory.com/19148 처럼 대승 경전에 나타나는 4성제, 8정도 같은 논리적인 말씀을 찾을 수 없는,..

kydong77.tistory.com

 

https://kydong77.tistory.com/19148

 

법정 국역, 숫타-니파타 Sutta Nipāta 外/ 해설- 김종욱 · 김용옥

www.youtube.com/watch?v=C31Mafm9CMw 'Sutta Nipāta' 란 '經 + 集'의 뜻으로 대승경전 이전의 초기 경전. <백유경>처럼 대승 경전에 나타나는 4성제, 8정도 같은 논리적인 말씀을 찾을 수 없는, 붓다의 소박한..

kydong77.tistory.com

 

https://kydong77.tistory.com/20597

 

법정譯 , 法句經 26章 423게송

https://www.youtube.com/watch?v=tZCA8Uz9fRs 경전의 결집 1차 불멸후 제자들의 암송. <숫타니파타> <법구경> 2차 불멸후 100년경 계율 심의(미얀마 점심후 결식 등) 3차 BC 250년경 아쇼카왕(인도통일) 구전에..

kydong77.tistory.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