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磎 = 谿 = 溪 (시내 계)

 

 

 

https://www.youtube.com/watch?v=9N4ol59mCXg 

 

 

https://www.youtube.com/watch?v=fMZxF5BXSGA

 

 

https://www.youtube.com/watch?v=0ZaSLmZiviE 

 

 

https://www.youtube.com/watch?v=z9_B6WzjBxo 

 

 

https://www.youtube.com/watch?v=kBx9WEZ3FRc 

 

 

https://ko.wikipedia.org/wiki/%EC%8C%8D%EA%B3%84%EC%82%AC

 

쌍계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쌍계사(雙磎寺)는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에 있는 사찰로 지리산 국립공원 내에 위치하고 있다. 대한불교 조계종 제13교구 본사이다. 신라 성덕왕 21년(722)에 지어진 쌍계사는 의상대사의

ko.wikipedia.org

신라 성덕왕 21년(722)에 지어진 쌍계사는 의상대사의 제자인 대비(大悲)와 삼법(三法)이 유학을 마치고 돌아와 도를 닦은 곳이다.

처음에는 절 이름이 옥천사였으나, 신라 후기 정강왕 때 고쳐 지으면서 쌍계사로 바뀌었다. 지금의 절은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진 것을 벽암선사가 조선 인조 10년(1632)에 다시 지은 것이다.

현재 이곳에는 쌍계사진감선사대공탑비(국보 제47호), 쌍계사부도(보물 제380호), 쌍계사대웅전(보물 제500호), 쌍계사팔상전영산회상전(보물 제925호)과 일주문, 천왕상, 정상탑, 사천왕상 등 수많은 문화유산과 칠불암, 국사암, 불일암 등 부속암자가 있다.

지리산 쌍계사는 서부 경남일원의 사찰을 총람하는 조계종 25개 본사 중 하나이며, 우리나라 불교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므로 그 가치가 크다.

진감선사탑비

 이 부분의 본문은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입니다.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 대공탑비〉(河東 雙磎寺 眞鑑禪師塔碑)는 국보 제47호이다. 신라 정강왕이 진감선사의 높은 도덕과 법력을 앙모하여 대사가 도를 닦은 옥천사를 쌍계사로 고친 뒤 정강왕 2년(887년)에 건립한 것으로 고운 최치원이 비문을 짓고 썼으며 승, 빈영이 새겼다.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河東 雙磎寺 眞鑑禪師塔碑)는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쌍계사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의 비석이다. 1962년 12월 20일 대한민국 국보 제47호로 지정되었다.

신라 정강왕 진감선사의 높은 도덕과 법력을 앙모하여 대사가 도를 닦은 옥천사를 쌍계사로 고친 뒤 정강왕 2년(887년)에 건립한 것으로 고운 최치원이 비문을 짓고 썼으며 승려 환영(奐榮)이 새겼다. 이 탑비는 고운 최치원의 사산비의 하나로 유명하다. 진감선사는 애장왕 5년(804년)에 입당, 흥덕왕 5년(830년)에 귀국, 쌍계사를 창건하고 역대 왕의 존경을 받다가 문성왕 12년(85) 쌍계사에서 77세로 시적하였다. 비의 높이는 3m 63cm, 탑신의 높이는 2m 2cm, 혹은 1m, 귀부와 이수는 화강암이고 비신은 흑대리석이다. 현재 비신의 우측 상부에 크게 흠락된 부분이 있고 또 균열이 상당히 심하다.[1] 중앙에 높직한 비좌를 마련했는데 4면에는 운문이 있고 상면에는 비신에 맞게 구멍이 뚫어져 있다. 귀두는 짧고 추상적인 동물의 머리로 표현되어 신라 후기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이수는 양측을 비스듬히 자른 오각형으로 4면에 쟁주하는 용이 있고 전면 중앙에 방형으로 깊이 판 제액이 마련되어 있으며 비문의 자경은 2.3cm, 자수는 2,423자이다.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4098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河東雙磎寺眞鑑禪師塔碑)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887년(진성여왕 1)에 건립되었다. 전체높이 3.63m, 비신높이 2.13m, 너비 1.035m, 두께 22.5㎝. 국보 제47호. 귀부(龜趺)와 이수(螭首) 및 탑신이 완전한 탑비로, 신라 말기에 나타나는 탑비 양식에 따라 귀

encykorea.aks.ac.kr

 

 

이수는 용틀임이 실감나게 비틀려 새겨졌고, 앙화 위에 보주가 올려져있다. 중앙 네모진 부분은 두전(頭篆)이라고 하는데, 이곳에 비석의 제목인 제액(題額)을 쓴다. 대부분 전서체로 쓰기에 전액(篆額)이라고 한다. 진감선사탑비는 '敭해동고진감선사비(□海東故眞鑑禪師碑)'라고 쓰여 있다.

*진감선사탑비 두전의 첫 글자는 으로 밝혀졌지만 학자 사이에 양(揚), 당(唐) 및 상(傷)의 古字로 보는 등 의견이 다르다고 한다.

*'敭' 은  '揚'의 古字. "오르다, 날다, 흩날리다"의 뜻. '위대한' 정도로 해석함이 부합할 듯함.



출처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http://www.gnnews.co.kr)

https://blog.daum.net/bosar/13431347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河東 雙磎寺 眞鑑禪師塔碑)

최치원의 사산비문 신라 말기 학자 최치원(崔致遠)이 지은 4개의 비문. 지리산(智異山)의 쌍계사진감선사대공탑비(雙溪寺眞鑑禪師大空塔碑), 만수산(萬壽山)의 성주사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 초

blog.daum.net

 

 

 

https://www.youtube.com/watch?v=VkZ2goE7WNk 

 

 

 

 

https://www.youtube.com/watch?v=ddP08imnZWg 

 

 

 

 

 

https://www.youtube.com/watch?v=FdFc5E4KvrI 

 

 

 

구례의 금강산 구례 오산 사성암 - YouTube

 

 

http://www.hyunbu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99706 

 

동방 약사여래 바라보는 도량 / 원효·의상·도선·진각 ‘四聖’ 머물러 - 현대불교신문

해발 530m 기암절벽 유리광전원효 스님 손톱으로 마애불 새겨도선 스님 풍수철학 완성한 곳신라부터 고려까지 선지식 수행처 중생은 아프다. 아프니까 중생이다. 아픈 중생이 가장 간절하게 바

www.hyunbulnews.com

 

사성암에 오르면 구례가 한 눈에 들어온다. 지리산 첩첩 봉우리들과 섬진강의 반짝이는 물길이 절경이다. 구례 10경 중 하나인 사성암은 544년(백제 성왕 22년) 연기 스님이 ‘오산암’으로 문을 열었고, 이후 원효ㆍ의상ㆍ도선ㆍ진각 네 분의 스님이 머문 후 도량의 현판이 ‘사성암’으로 바뀐다. 어느 도량이나 선지식의 흔적은 있기 마련이지만 사성암의 내력은 그 이야기의 행간에 진한 선지식의 법향이 흐른다. 오십삼선지식을 모신 또 하나의 법당 ‘오십삼불전(五十三佛殿)’도 그 행간의 큰 어미 중 하나일 것이다. 법당엔 현재 서른 세분의 선지식만이 남아있다.

원감국사 <문집>은 “사성암이 있는 오산 정상에는 참선하기 알맞은 바위가 있는데 이들 바위는 도선과 진각 스님이 연좌수도 했던 곳이다”고 적고 있다. 이와 같은 기록으로 볼 때, 사성암은 통일신라 후기부터 고려까지 많은 선지식이 참선을 위해 머물렀을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또한 도선국사는 이곳 사성암에서 자신의 풍수철학을 완성했다. 스님이 정립한 풍수철학은 천년이 넘는 세월이 흐른 지금도 한국 풍수철학의 근간이 되고 있다. 우리 풍수철학의 큰 그늘인 도선 스님은 매일 이곳에서 선정에 들었다. 도선 스님이 찾아내고 머물렀다면 그 자리의 의미는 다름 아닌 ‘여법한 자리’일 것이다. 산왕전 옆에 도선 스님이 참선수행했다는 ‘도선굴’이 있다.

선지식의 눈은 한가지였을까. 원효 스님 역시 이 자리에 진한 흔적을 남겼다. 스님은 기암절벽에 마애불을 남겼다. 사성암 마애약사여래(전남유형문화재 제220호)다. 이렇듯 사성암엔 한 시대의 스승이었던 선지식들의 발자국이 곳곳에 남아있다.

출처 : 현대불교신문(http://www.hyunbulnews.com)

 

http://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211677 

 

비를 피해 부처님 품으로 찾아든 소들 - 법보신문

계속된 집중 호우로 호남지역의 사찰들이 피해가 집중되는 가운데 수해를 피해 부처님의 품으로 찾아든 소들이 화제다.8월8일 오후 1시경 전남 구례 사성암(주지 대진 스님)에는 인근 축사를 탈

www.beopbo.com

 

https://www.youtube.com/watch?v=wMmE-ZT8Dhc 

 

 

전남 구례 사성암(四聖庵)

원효ㆍ의상ㆍ도선ㆍ진각

 

https://kydong77.tistory.com/21082

 

원효불기(元曉不羈)/ 설총의 이두, 향가 - 삼국유사 14수, 균여전 보현행원품11수

https://www.youtube.com/watch?v=Klnpf8FEDxo https://kydong77.tistory.com/20536 일연, 元曉不羈(삼국유사) & 원효, 발심수행장 (發心修行章) 설총- 이두로 우리말 글쓰기 www.youtube.com/watch?v=sdwC-KQ_qD..

kydong77.tistory.com

 

 

 

https://kydong77.tistory.com/19385

 

의상대사, 고승전 5-7회/ 부석사, 의상대사와 선묘낭자

https://ko.wikipedia.org/wiki/%EB%B6%80%EC%84%9D%EC%82%AC 부석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부석사(浮石寺)는 신라 문무대왕 16년(..

kydong77.tistory.com

 

https://namu.wiki/w/%EB%8F%84%EC%84%A0

신라 말기의 승려이며 고려부터 유행한 풍수지리설에 큰 영향을 미쳤다. 호는 연기(烟起)이며 자는 옥룡자(玉龍子) 및 옥룡(玉龍)이다.

원효자장의상과 더불어 전국 각지에 있는 여러 오래된 들의 최초 창건자로 자주 이름이 오르내리는 인물이다.[3]

2. 생애[편집]

출가 전 속성은 김씨로 827년에 전라남도 영광군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누군지 모르나 선각국사비에는 태종 무열왕의 서자 가문이라는 추측이 있다고 전한다. 어머니는 강씨. 841년(15세)에 출가하여 승려가 되었고 846년에 전라남도 곡성군 동리산 태안사 혜철(惠徹) 화상 밑에서 수학했으며 큰 명성을 얻어 신승(神僧)이라고 불렸다.

864년(38세)부터 전라남도 광양군 옥룡사(玉龍寺)에 자리를 잡고 후학들을 양성하였는데 언제나 제자 수백 명이 모여들어 그의 강론을 들었다고 한다. 어찌나 명성이 높았는지 당시 신라의 임금인 헌강왕이 도선의 명성을 듣고 궁궐로 초빙하여 직접 법문을 들었을 정도였다.

도선대사는 승려로서보다는 한국의 음양풍수설(풍수지리)의 원조이자 대가, <도선비기>로 대표되는 예언가로 유명하다.[4] 도선대사가 예언가로서 역사적으로 유명해진 가장 중요한 계기는 고려 태조 왕건의 탄생을 예언했다는 이야기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HILdHchvYJU 

 

 

진각국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6104 

 

천희(千熙)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호는 설산(雪山). 일명 희(稀). 흥해(興海) 출신. 1319년(충숙왕 6) 출가하여 화엄종 반룡사주(盤龍社主) 일비(一非)를 은사로 득도하였다. 이때 화엄종뿐만 아니라 참선에도 힘써 선지(禪旨)에도 널

encykorea.aks.ac.kr

 

전남 구례 사성암(四聖庵) 풍경

 

 

 

 

 

 

*여좌천로망스다리. 주소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여좌동/ 여좌천- 장복산에서 시가지 여좌동으로 흘러내리는 개울.

*로망스 다리- 군항제 관광왔다가 사랑의 인연을 맺은 영화의 배경에서 유래함.

 

 

 

[펌]진해 벚꽃 여좌천 로망스다리& 경화역(2022년 3월 31일)

https://www.youtube.com/watch?v=ghCZa9alPXk 

 

 

 

[제황산 부엉이길]

 

[코메디 꽁트] 강하늘, 동백꽃 필 무렵

https://www.youtube.com/watch?v=VSzj7r_z04U 

 

 

https://www.youtube.com/watch?v=2r21iRv6JNc 

 

https://www.youtube.com/watch?v=6ziy92WH_cw 

 

https://www.youtube.com/watch?v=6MnAwOM2ea0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2134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