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w.youtube.com/watch?v=QlwhFljK8f0

 

 

 

www.youtube.com/watch?v=pzuzWt3Ydmg

 

 

www.youtube.com/watch?v=gziSfXnAptQ

 

 

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1613

 

유식사상(唯識思想)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선과 악도 마음이 발생하는 것이며 악을 명하고 선을 실행하는 것도 마음이 하면 범부의 무지를 정화하고 지혜로운 사람이 되는 것도 마음이 한다는 뜻이다. 이러한 유식사상은 안식(眼識), 이

encykorea.aks.ac.kr

번뇌는 마음으로부터 발생하는 것이며 마음을 정화하면 번뇌도 정화된다. 번뇌가 정화된다는 것은 번뇌 자체가 실체가 아니며, 가상의 생각에서 발생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무리 실체가 없는 번뇌라 할지라도 마음이 자아의 모습[我相]과 삼라만상의 모습[法相]을 확고하게 집착하고 있는 한 쉽게 정화되지 않는다. 그리하여 유식학에서는 먼저 자각을 야기하고 이타적인 보살의 수행을 하여야만 그 번뇌들이 정화될 수 있다.

수행은 육바라밀(六婆羅密)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육바라밀은 남에게 보시를 하고[布施], 몸과 마음을 단정하게 하고 대중을 교화하는 계율을 지키고[持戒], 고난을 참고 진리를 탐구하며[忍辱], 진리를 깨닫고 중생을 구제하는 일에 용맹정진하고[精進], 번뇌를 없애고 마음을 안정하여[禪定], 번뇌를 퇴치하여 지혜를 밝게 하는 것[知慧] 등을 말한다.

이와 같은 수행은 반드시 마음이 번뇌가 정화되어 보리와 열반을 증득할 수 있다는 뜻에서 바라밀이라고 한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유식사상(唯識思想))]

 

 

www.youtube.com/watch?v=8M8zpphEozE

 

 

ko.wikipedia.org/wiki/%EC%9C%A0%EC%8B%9D%EC%82%BC%EC%8B%AD%EC%86%A1

 

유식삼십송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식삼십송》(唯識三十頌)은 ’모든 것은 인식과 인식의 변화일 뿐이다’를 주된 내용으로 하는, 서른 줄의 게송(偈頌)으로 이뤄진 불교 이론서다. 바수반두

ko.wikipedia.org

《유식삼십송》과 《유식삼십론송》

《유식삼십론송》(唯識三十論頌)은 한역대장경에 수록된 《유식삼십송》(唯識三十頌)을 가리키는 문헌 이름이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두 문서 간에 존재한다.

즉, 《유식삼십송》은 오직 서른 개의 게송으로 구성된 바수반두의 저작물이지만, 《유식삼십론송》은 서른 개의 게송 외에도 게송 사이 사이에 한역자인 현장의 소개글이 짤막한 주석의 형태로 삽입되어 있다. 글의 분량 측면에서 《유식삼십론송》이 《유식삼십송》보다 더 많은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유식삼십송》은 글의 모든 부분에서 저자를 바수반두로 볼 수 있지만, 《유식삼십론송》은 글의 많은 부분에서 직접 글을 쓴 사람을 바수반두로 볼 수 없는 내용이 존재한다.

《유식삼십론송》을 《유식삼십송》에 대한 일종의 짤막한 형태의 간이 주석서로도 볼 수 있을 정도로 원문 외의 부가적인 내용이 많다는 점을 고려하면, 두 책을 같은 문헌으로 볼 수 없다.

 

 

 

www.youtube.com/watch?v=C31Mafm9CMw

 

www.ssanggyesa.net/bbs/board.php?bo_table=7050&wr_id=11

 

대한불교조계종 제13교구 총림(叢林) 쌍계사

대한불교조계종 제13교구 총림(叢林) 쌍계사, 쌍계총림, 선·차·범패의 근본도량

www.ssanggyesa.net

홀연히 생각하니 만사(萬事) 도시몽중(都是夢中)이라

천만고 영웅호걸 북망산(北邙山) 무덤이요

부귀문장 쓸데없다 황천객(黃泉客)을 면할소냐

오호라 나의몸이 풀끝에 이슬이요 바람속에 등불이라

삼계대사 부처님이 정녕(丁寧)히 이르사대,

마음깨쳐 성불하여 생사윤회 영단(永斷)하고

불생불멸 저 국토에 상락아정(常樂我淨) 무위도(無爲道)를

사람마다 다할 줄을 팔만장교(八萬藏敎) 유전(遺傳)이라


* 북망산(北邙山): 중국 낙양 북쪽에 있는 산으로 왕후나 공경대부등 사람이 죽으면 이곳에 와서 묻혔다고 한다.
* 황천객(黃泉客): 저승으로 가는 나그네
* 常樂我淨: 열반의 세계는 절대 영원하고 즐겁고 자재(自在)한 참된 자아가 확립되어 있으며 청정함을 이른다
* 무위도無爲道: 무심의 경지를 무위도라 한다. 무위심, 내기비심. 무주상보시 기복덕불가사량

사람되어 못 닦으면 다시 공부 어려우니 나도 어서 닦아보세 

닦는 길을 말하려면 허다히 많건마는 대강 추려 적어보세

앉고 서고 보고 듣고 착의끽반(着衣喫飯) 대인접화(對人接話) 일체처 일체시에

소소영영(昭昭靈靈) 지각하는 이것이 무엇인고

몸뚱이는 송장이요 망상번뇌 본공하고

천진면목(天眞面目) 나의 부처 보고 듣고 앉고 눕고

잠도 자고 일도 하고 눈 한번 깜짝할 제

천리 만리 다녀오고 허다한 신통묘용

분명한 나의 마음 어떻게 생겼는고 의심하고 의심하되, 

고양이가 쥐잡듯이 주린 사람 밥 찾듯이 '목마른데 물 찾듯이 

육칠십 늙은 과부 외자식을 잃은 후에 자식 생각 간절하듯

생각 생각 잊지 말고 깊이 궁구하여가되 일념만년(一念萬年) 되게 하여

폐침망찬(廢寢忘饌)할 지경에 대오하기 가깝도다

홀연히 깨달으면 본래생긴 나의부처 천진면목 절묘하다

아미타불 이 아니며 석가여래 이 아닌가

젊도 않고 늙도 않고 크도 않고 작도 않고

본래 생긴 자기 영광 개천개지(盖天盖地) 이러하고

열반진락涅般眞樂 가이없다

지옥 천당 본공하고 생사윤회 본래없다

선지식을 찾아가서 요연(了然)히 인가마쳐

다시 의심 없앤 후에 세상만사 망각하고 수연방광隨緣放曠 지내가되 
*廢寢忘饌폐침망찬: 몰두하여 침식을 잊다
*盖天盖地: 하늘과 땅을 덮어 가린다는 뜻으로, 중생(衆生)이 본래 갖추고 있는 마음의 빛이 하늘과 땅에 가득 참을 이르는 말
*放曠방광: 언행에서 거리낌이 없음 도인의 경지

빈 배 같이 떠돌면서 유연중생(有緣衆生) 제도하면 

보불은덕(報佛恩德) 이 아닌가

일체계행 지켜가면 천상인간 복수(福壽)하고

대원력을 발하여서 항수불학 생각하고

동체대비 마음 먹어 빈병걸인(貧病乞人) 괄시 말고

오온색신(五蘊色身) 생각하되 거품같이 관을하고

바깥으로 역순경계(逆順境界) 몽중으로 관찰하여

해태심(懈怠心)을 내지 말고 허령(虛靈한) 나의 마음

허공과 같은 줄로 진실히 생각하여

팔풍오욕(八風五慾) 일체경계 


      팔풍(八風) :이利---남이 나에게 이롭게 하는 것(흔들리지 말라)
           쇠衰---내외 형편이 쇠잔해지는것(
           훼毁---남이 나를 헐뜻고 비방할 때나
           예譽---모든 일이 내 뜻대로 되는것
           칭稱---나를 칭찬할 때나
           기譏---남이 나를 제 맘대로 희롱할 때나
           고苦---고생스러울 때나  
           락樂---편안하고 즐거운 때나
      오욕(五慾): 재 색 식 명 수(財 色 食 名 壽)  

부동한 이 마음을 태산같이 써나가세

허튼소리 우스개로 이날 저날 헛보내고

늙은 줄을 망각하니 무슨 공부 하여볼까

죽을 제 고통중에 후회한들 무엇하리

사지백절(四肢百節) 오려 내고 머리골을 쪼개낸듯

오장육부 타는중에 앞길이 캄캄하니

한심참혹寒心慘酷 내 노릇이 이럴 줄을 누가 알꼬

저 지옥과 저 축생의 나의신세 참혹하다

백천만겁 차타(蹉打)하여 다시 인신(人身) 망연(茫然)하다

참선 잘 한 저 도인은 서서 죽고 앉아 죽고 앓도 않고 선세(蟬兌)하며    

* 蹉打: 일을 이루지 못하고 나이가 들어감,          
* 蟬兌: 매미선, 바꿀세(애벌레에서 매미로 몸을 바꿈)

오래 살고 곧 죽기를 마음대로 자재하며

항하사수 신통묘용 임의괘락(任意快樂) 소요하니

아무쪼록 이세상에 눈코를 쥐어뜯고 부지런히 하여보세 

오늘 내일 가는 것이 죽을 날에 당도하니

푸주간에 가는 소가 자욱자욱 사지로세

예전 사람 참선할 제 마디 그늘 아꼈거늘

나는어이 방일하며

예전 사람 참선할 제 잠오는 것 성화하여 송곳으로 찔럿거늘

나는 어이 방일하며

예전 사람 참선할 제 하루해가 가게 되면 다리뻗고 울었거늘

나는어이 방일한고

무명업식 독한술에 혼혼불각(昏昏不覺)  지내가니 

   * 昏昏 정신이 가물가물하고 희미한 모양,

오호라 슬프도다 타일러도 아니듣고

꾸짖어도 조심않고 심상히 지내가니

혼미한 이 마음을 어이하야 인도할고

쓸데없는 탐심진심 공연히 일으키고

쓸데없는 허다 분별 날마다 분요(紛擾)하니

우습도다 나의 지혜 누구를 한탄할고

지각없는 저 나비가 불빛을 탐하여서 제 죽을 줄 모르도다

내 마음을 못닦으면

여간계행(如間戒行) 소분복덕(少分福德) 도무지 허사로세

오호라 한심하다 이 글을 자세 보아 하루도 열두 때며

밤으로도 조금 자고 부지런히 공부하소

이 노래를 깊이 믿어 책상 위에 펴어놓고 시시때때 경책하소

할 말을 다하려면 해묵서이(海墨書而) 부진이라

이만 적고 그치오니 부디부디 깊이 아소

다시 한 말 있사오니 돌장승이 아기나면 그때에 말하리라.

* 분요紛擾: 먼지가 날려 어지러움, 가루가 날려 탁함  
* 여간계행如間戒行 소분복덕少分福德: 계행을 지키고 적은 복덕을 짓는다고 하여도  

 

 

 

namu.wiki/w/%EA%B2%BD%ED%97%88

 

경허 - 나무위키

경허는 본래 선승(禪僧)이 아닌, 31세까지 10여 년간 동학사에서 화엄 교학을 강의하던 스님이었다. 그러다 경허의 어린 시절 은사인 계허(桂虛)스님을 만나러 서울로 가는 길에 천안의 한 마을에

namu.wiki

 

心月孤圓

(심 월 고 원)  마음 달 홀로 둥근데

光吞萬象

(광 탄 만 상)  빛은 모든 것을 삼키네

光境俱亡

(광 경 구 망)  빛과 경계는 함께 사라지니

復是何物

(부 시 하 물)  또 이것은 무슨 물건인고?

 

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75176

 

“경허스님 가르침 받들어 선 대중화 이룰 것” - 법보신문

수덕사, 16~18일 선 수행 2차대회 봉행 대봉·청안·수불 스님 법문…토론회 개최 경허선사 선양음악회·백제미소길 걷기도     ▲근대 불교의 중흥조 경허선사의 열반 100주기를 ...

www.beopbo.com

 

 

ko.wikipedia.org/wiki/%EB%A7%8C%EA%B3%B5_(%EC%8A%B9%EB%A0%A4)

 

만공 (승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만공(滿空, 1871년 4월 26일(음력 3월 7일) ~ 1946년 10월 20일)은 조선과 일제 강점기의 승려이자 독립운동가이다. 한국 현대 불교의 대선사로, 석가모니 이래 제76대

ko.wikipedia.org

 

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99091

 

26. 만공 스님과 선학원 유교법회 - 법보신문

1941년 3월4일부터 10일간 서울 종로구 안국동 선학원 중앙선원에서 열린 유교법회(遺敎法會, 이하 법회)는, 당시 전국의 승려 6000여명 중 독신 비구승이 300여명에 지나지 않던 시절에 “조선 불교

www.beopbo.com

 

 

ko.wikipedia.org/wiki/%EC%A0%84%EA%B0%95_(1898%EB%85%84)

 

전강 (1898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전강(田岡, 1898년 ~ 1974년)은 한국 현대 불교의 대선사이며, 석가모니 이래 제77대 조사이다. 경허(75대) - 만공(76대) - 전강(77대)으로 법맥이 이어졌다. 조사는 전

ko.wikipedia.org

전강(田岡, 1898년 ~ 1974년)은 한국 현대 불교의 대선사이며, 석가모니 이래 제77대 조사이다. 

경허(75대) - 만공(76대) - 전강(77대)으로 법맥이 이어졌다. 

 

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30580

 

21. 전강 스님 (1898∼1975) - 법보신문

1975년 1월 13일 입적 전강(田岡) 영신 스님은 20대 초반에 개안(開眼)을 이루고 30대에 조실의 지위에 오른 현대 한국 선종의 대표적인 선지식으로 추앙 받는 인물이다. 특히 혜월·혜봉·한암·용성

www.beopbo.com

 

 

www.youtube.com/watch?v=xTiwwQFupvg

 

 

www.youtube.com/watch?v=-Oa9TWQV7R8

 

 

www.youtube.com/watch?v=JYFujY9Emvk

 

 

www.youtube.com/watch?v=8_9qKCJJk7U

 

 

www.youtube.com/watch?v=1DzPljTu-Us

 

 

www.youtube.com/watch?v=GIUgyQjVbqQ

 

 

www.youtube.com/watch?v=oe0QZrlGuFg

 

 

www.youtube.com/watch?v=W3hUT9i5Dos

 

 

www.youtube.com/watch?v=dkRJCh9XPMc

 

 

www.youtube.com/watch?v=s6l_6u_sfB8

 

 

www.youtube.com/watch?v=Ej5F90XyX6o

 

 

www.youtube.com/watch?v=jZkyZYPRk8c

 

 

 

 

https://ko.wikipedia.org/wiki/%EC%9D%BC%EC%B2%B4%EC%9C%A0%EC%8B%AC%EC%A1%B0

 

일체유심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는 〈화엄경〉의 핵심사상을 이루는 말로 "모든 것은 오직 마음이 지어낸다"라는 뜻이다. 유식(唯識)에서는 일수사견이라는 비유를 든

ko.wikipedia.org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는 〈화엄경〉의 핵심사상을 이루는 말로 "모든 것은 오직 마음이 지어낸다"라는 뜻이다. 

유식(唯識)에서는 일수사견이라는 비유를 든다.

우리는 행복과 불행은 상황에 따라 또는 환경에 따라 온다고 생각하는데 매우 큰 착각이다.

행복과 불행은 마음에서 지어내는 것. 그 누구도 날 행복하게 할 수 없고 불행하게도 할 수 없다.

 

 

www.youtube.com/watch?v=r1MuU7k-4u8

 

 

www.youtube.com/watch?v=SBSM64jM3hc

 

 

ko.wikipedia.org/wiki/%ED%95%9C%EC%95%94

 

한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o.wikipedia.org

 

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30654

 

한암 스님 [상] - 법보신문

방한암(方漢岩) 큰 스님은 조선조 말 1876년 강원도 화천에서 태어나 22세 때 우연히 금강산 구경길에 나섰다가 장안사(長安寺) 행름노사를 만나 삭발 출가하였다. 24세 때에 당대 최고의 선지식

www.beopbo.com

부엌에서 불 지피다 홀연히 눈 밝으니
이로부터 옛길이 인연따라 분명하네
만일 누가 달마스님이 서쪽에서 오신 뜻을 나에게 묻는다면
바위 밑 샘물소리 젖는 일 없다 하리.

(이 때 한암 스님의 세속 나이는 35세.)

 

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69641

 

한암 스님 [중] - 법보신문

▲한암 스님 보조국사 ‘수심결’ 내용 중 “만약 마음 밖에 부처가 있고 자성 밖에 법이 있다는 생각을 굳게 집착하여 불도를 구하고자 한다면 오랜 세월이 지나도록 소신연비의 고행을 하고

www.beopbo.com

 

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69746

 

한암 스님 [하] - 법보신문

  ▲스님의 좌탈입망 모습.     한암 스님은 1929년 조선불교선교양종 승려대회에서 7인의 교정으로 추대된 이후 조계종 창종 때 초대 종정으로 추대되는 등 모두 네 차례에 걸...

www.beopbo.com

 

 

www.youtube.com/watch?v=Llprvoz5zWI

 

 

www.youtube.com/watch?v=OiMi07o_LW0

 

 

www.youtube.com/watch?v=aWe7exM-YHA

 

 

www.youtube.com/watch?v=NOOT5o1AKhc

 

 

www.youtube.com/watch?v=nFC8USDHHV8

 

 

news.bbsi.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02429

 

시대를 초월한 성자 한암스님이 본 '불교의 미래는?' - BBS NEWS

< 앵커 >한국 불교를 대표하는 선지식으로 조계종 초대 종정을 지낸 한암스님의 생애와 사상 등을 연구한 책이 출간됐습니다.국내 최다 박사학위를 소유한 자현스님이 쓴 은 탈종교 시대 한국

news.bbsi.co.kr

 

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206355

 

46. 일체유심조 - 법보신문

서울 인사동에는 행인들에게 가훈이 될 만한 글을 붓으로 써 무료로 나눠주는 분이 있다. 글 내용도 다양해서 성인이나 철인들의 말씀, 고사성어, 그밖에 삶의 귀감이 될 만한 내용들을 골라서

www.beopbo.com

 

 

화엄경 사구게에

心如工畵師

심여공화사, 마음은 그림을 그리는 화가와 같아서

能畵諸世間

능화제세간, 능히 세상사를 다 그려내며

五蘊實從生

오온실종생, 오온이 다 마음으로부터 나온 것이어서 

(無法而不造

무법이불조, 그 무엇도 만들어 내지 않은 것이 없다.

‘부처, 참나’는 개념(槪念)이 아니고, 이름(名)이나 모양(色)에 있는 것이 아니다.

말(言)이나 문자(文字)로 들어 낼수 없는 ‘텅빈충만, 공적영지(空寂靈智)’이다.

세상은 명색(名色)으로 존재(存在)하는 것이며,

‘나’라는 것도 이름과 모양일 뿐 실체(實體)가 없는 환(幻)이다.

마음이 있기 때문에 나와 세상이 있는 것이며, 망심(妄心)이 없다면 나와 세상이 본래 있는 것이 아니다.

생노병사(生老病死)의 고통도 환일 뿐이다.

출처 : 현대불교신문(http://www.hyunbulnews.com)


 

www.youtube.com/watch?v=tgBh3ugqpLw

 

 

www.youtube.com/watch?v=RthFVHqxyoY

 

 

 

 

ko.wikipedia.org/wiki/%EB%8C%80%EC%8A%B9%EB%B6%88%EA%B5%90

 

대승불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승불교(大乘佛敎, 영어: Mahāyāna Buddhism) 또는 마하야나(산스크리트어: महायान mahāyāna)는 "대승(大乘)"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큰 탈것"(great vehicle) 또

ko.wikipedia.org

 

 

www.youtube.com/watch?v=ebj5WXua3gM

 

 

www.youtube.com/watch?v=L538KfVAzrE

 

 

www.youtube.com/watch?v=KBhg2MShJFk&t=185s

 

 

ko.wikipedia.org/wiki/%EB%82%98%EA%B0%80%EB%A5%B4%EC%A3%BC%EB%82%98

 

나가르주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나가르주나(산스크리트어: नागार्जुनः), 또는 용수(龍樹: 150년경 ~ 250년경?)는 중관(中觀 · Madhyamaka)을 주창한 인도의 불교 승려이다. 베트남 · 중

ko.wikipedia.org

용수(龍樹: 150년경 ~ 250년경?)는 중관(中觀 · Madhyamaka)을 주창한 인도의 불교 승려이다. 베트남 · 중국 · 대한민국 · 일본 등에서는 흔히 용수라 불리며 티베트에서는 Klu Sgrub이라 한다. 한국 조계종에서는 육조단경에 의거해 인도 제14대 조사로 보지만 이는 역사적으로 근거가 전혀 없다. 3세기 용수는 중관불교의 틀은 유지하는 동시에 상좌부 불교를 비판하고 대승불교의 논리를 창시했기 때문에 제2의 석가모니 또는 대승불교의 아버지라고 불린다. 석가모니 이래 출가자 위주의 "수행 중심 불교"였는데, 이를 비판하고 대승불교 교단을 새로 만들었다.

 

 

mkmk.tistory.com/2857

 

대승불교의 기원과 '만민 구제'와 '자기 구제'의 차이

"만민구제, 재가불교, 보살신앙" 세 가지 특징 중에 대승불교에서 초기불교와 구분되는 뚜렷한 특징을 들라하면 만민구제이다. 自他一時成佛道 모두가 함께 부처가 되자. 衆生無邊誓度 중생

mkmk.tistory.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