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SqqOh0izpPo 

 

 

 

 

 

https://kydong77.tistory.com/20673

 

佛說大報父母恩重經/양주동, 어머니 마음& 신달자, 아! 어머니

불설대보부모은중경 www.youtube.com/watch?v=-DUGoeayQdg ko.wikipedia.org/wiki/%EC%96%B4%EB%A8%B8%EB%8B%88_%EB%A7%88%EC%9D%8C 어머니 마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

kydong77.tistory.com

 

ko.wikipedia.org/wiki/%EC%96%B4%EB%A8%B8%EB%8B%88_%EB%A7%88%EC%9D%8C

 

어머니 마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어머니 마음〉은 1930년대에 작곡된 한국의 가곡이다. 양주동의 시에 감동한 이흥렬이 곡을 지었다.[1] 가정가요로 방송을 통해 널리 알려졌다.[2] 어버이날에

ko.wikipedia.org

[1절] 낳실제 괴로움 다 잊으시고

기르실제 밤낮으로 애쓰는 마음

진자리 마른 자리 갈아 뉘시며

손발이 다 닳도록 고생하시네

하늘 아래 그 무엇이 넓다 하리오

어머님의 희생은 가이없어라

 

[2절] 어려선 안고 업고 얼려 주시고

자라선 문 기대어 기다리는 마음

앓을사 그릇될사 자식 생각에

고우시던 이마 위에 주름이 가득

땅 위에 그 무엇이 높다 하리오

어머님의 정성은 지극하여라

 

[3절] 사람의 마음 속엔 온가지 소원

어머님의 마음 속엔 오직 한 가지

아낌없이 일생을 자식 위하여

살과 뼈를 깎아서 바치는 마음

이 땅에 그 무엇이 거룩하리오

어머님의 사랑은 그지없어라

 

 

어머니 마음 - 양주동 작사, 이흥렬 작곡

https://www.youtube.com/watch?v=yI-WxkseBeQ

 

 

자식 위해 뭐든 하시는 은혜

 

https://kydong77.tistory.com/18818

 

<부모은중경>/ 양주동, 어머니 마음

 경기 양평 룡문사에 참배갔다가 지장전의 <부모은중경> 그림을 카메라에 담아 보았다. 어버이날 노래로 부르던 동요는 부모은중경을 바탕으로  양주동 선생님께서 작사하신 <어머님 은혜>가

kydong77.tistory.com

 

 

 

https://www.youtube.com/watch?v=M4IkadcOUKY&list=RDM4IkadcOUKY&start_radio=1 

 

 

[첨부] 용문산 사나사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207658 

 

[절로절로 우리절] <44> 양평 용문산 사나사 - 불교신문

사나사(舍那寺)라는 이름은 삼신불(三身佛) 중 한 분인 ‘노사나(盧舍那) 부처님’의 약칭에서 유래됐다. 오랜 수행공덕으로 장엄된 보신으로 삼천대천세계를 총괄하시며 법계를 고루 비추는

www.ibulgyo.com

 

사나사(舍那寺)라는 이름은 삼신불(三身佛) 중 한 분인 ‘노사나(盧舍那) 부처님’의 약칭에서 유래됐다. 오랜 수행공덕으로 장엄된 보신으로 삼천대천세계를 총괄하시며 법계를 고루 비추는 원만구족, 완전무결하신 원만보신(圓滿報身) 부처님이다.

출처 : 불교신문( http://www.ibulgyo.com)

https://ko.wikipedia.org/wiki/%EB%85%B8%EC%82%AC%EB%82%98%EB%B6%88

 

노사나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노사나불(盧舍那佛)은 무한한 수행의 과정을 거쳐 무궁무진한 공덕을 쌓아 부처로 환생한 사람을 말한다. 또한 노사나불을 대하는 점은 종파마다 조금씩 다르나, 일반적으로 불신관(佛身觀)의

ko.wikipedia.org

 

노사나불(盧舍那佛)은 무한한 수행의 과정을 거쳐 무궁무진한 공덕을 쌓아 부처로 환생한 사람을 말한다. 또한 노사나불을 대하는 점은 종파마다 조금씩 다르나, 일반적으로 불신관(佛身觀)의 대표적인 견해인 삼신설(三身說)에 따르면, 부처는 법신(法身) · 보신(報身) · 응신(應身)의 3가지 몸을 가지고 있는데, 비로자나불, 노사나불, 석가여래불은 각각 법신, 보신, 응신에 해당한다고 본다.

대적광전(大寂光殿)에 보통 비로자나불석가여래불와 함께 안치되며, 대적광전에 노사나불을 협시(夾侍)하는 경우는 선종 사찰에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노사나불의 수인은 보통 시무외인을 취한다고 한다.

 

수덕사 노사나불 괘불탱 (修德寺 盧舍那佛 掛佛幀)

 

 

https://www.youtube.com/watch?v=xZvh5w55T8M 

 

 

 

 

 

https://ko.wikipedia.org/wiki/%EA%B4%80%EC%84%B8%EC%9D%8C%EB%B3%B4%EC%82%B4

 

관세음보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관세음보살 1025년경 중국(북송)에서 제작된 관세음보살 목상 산스크리트어 अवलोकितेश्वर 아왈로키테슈와라 중국어 聖觀音 일본어 聖観音 (しょうかんのん) 쇼칸논[*] 한국어 관세

ko.wikipedia.org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산스크리트어: अवलोकितेश्वर avalokiteśvara ‘모든 것을 내려다보시는 지배자’)은 불교의 보살 가운데 가장 잘 알려진 보살 중 하나로, 석가모니의 입적 이후 미륵이 출현할 때까지 중생들을 고통으로부터 지켜주는 대자대비(大慈大悲)의 보살이다. 관자재보살(觀自在菩薩), 광세음보살(光世音菩薩), 관세자재보살(觀世自在菩薩), 관세음자재보살(觀世音自在菩薩), 또는 줄여서 관음보살이나 관음(觀音) 등으로도 불린다. 중국에서는 남해관음(南海觀音), 남해고불(南海古佛)이라고도 불린다. 모든 부처의 연민(compassion)이 구체화된 화신이며, 티베트에서는 달라이 라마를 관세음보살의 현신으로 보고 그를 받든다.

 

 

https://www.youtube.com/watch?v=0ntn3Q28BD4 

 

산스크리트어 원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본토말 : 가떼 가떼 빠라가떼 빠라상가떼 보디 스와하

가테 가테 파라가테 파라상가테 보디 스와하 <=== 억양을 부드럽게 했을 때

한국말 : 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영 어 : Gate Gate paragate parasamgate bodhi svaha

해 석 :

Gate Gate 가라. 가라.

paragate  피안으로 건너가라.

parasamgate  피안으로 완전히 건너가라.

bodhi svaha  깨달음에 뿌리를 내려라.

 

 

https://www.youtube.com/watch?v=XDZlbWTM474 

 

 

https://www.youtube.com/watch?v=hKNJo1PL7uQ 

 

 

https://www.youtube.com/watch?v=wd-tAAxOF8k 

 

 

 반야경 아미타경 등 주요 불교경전을 번역한 쿠마라지바.

‘색즉시공 공즉시색’

https://www.youtube.com/watch?v=rvyIEKDLLvM&t=1637s 

공명조는 산스트리트어 jīvajīvaka를 번역한 새의 이름이다. 이 새는 히말라야 설산 지역에 서식하는 목소리가 아름다운 새로 알려져 있다. 『아미타경』을 비롯한 많은 불교경전에서는 극락정토에 있는 여러 가지 진귀한 새들의 이름을 나열할 때 공명조도 함께 언급된다. 공명조에 대해서는 또한 ‘한 몸에 두 개의 머리’를 갖고 있다는 전설이 따른다.

『잡보장경』이나 『불본행집경』 속에 나타나는 본생담에서 공명조에 대한 설화를 찾아볼 수 있다. 공명조 설화는 인도의 서북부 지역에서 불교경전 속에 편입된 이후 경전의 번역과 석굴벽화의 조형을 매개로 하여 동아시아에 전파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공명조 설화는 실크로드 주변지역을 중심으로 유포되었던 대표적인 불교설화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극락이나 설산 기슭에 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새, 하지만 중국에는 살지 않는, 이 새에 대하여 중국인은 어떻게 받아들였을까.

공명조는 새의 몸에 인간의 머리를 하고 있는 가루빈가와 함께 소개되면서, 어느새 새의 머리가 아닌 인간의 얼굴을 한 형상으로 혼용되기 시작한다. 또한 세월이 지남에 따라 ‘가루빈가는 곧 공명조’라는 혼동의 양상을 보여준다. 이것은 인도나 서역에 존재하는 특이한 동식물이 중국에 전래되면서 생겨나는 문화적 변형의 한 가지 사례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후대에 저술된 『아미타경』의 주석 가운데에는 이러한 혼용은 잘못이며, 가루빈가와 공명조는 구분되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는 것을 엿볼 수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EKanMIzHxFo&t=329s 

 

 

 

https://www.youtube.com/watch?v=f-mB0JI-m2w 

동영상 안의 <YouTube에서 보기> 클릭하면 시청 가능함

 

https://www.youtube.com/watch?v=SJJgR5Y8QhM 

YouTube에서 보기

 

https://ko.wikipedia.org/wiki/%EB%A7%89%EA%B3%A0%EA%B5%B4

 

막고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장건의 서역원정, 막고굴(618~712년 사이 그림, 제323굴) 모가오쿠(중국어: 莫高窟, 병음: mò gāo kū, 표준어: 둔황 석굴, 문화어: 막고굴)은 중국 간쑤 성 둔황에 있는 대표적인 천불동으로 유네스코

ko.wikipedia.org

주요 석굴 소개

  • 제16굴, 제17굴 : 장경동(당나라)
  • 제61굴: 가장 오래된 우타이 산 형상도
  • 제96굴: 북대불(높이 34.5m)
  • 제130굴: 남대불
  • 제148굴: 와불, 열반경변상도
  • 제158굴: 와불
  • 제156굴: 장의조 출행도, 송씨 출행도
  • 제237굴: 유마힐변상도
  • 제427굴: 108 비천상
  • 제428굴: 비천도 (북조)

 

중국 3대 석굴

http://kr.people.com.cn/203092/206142/8115806.html

 

불교가 남긴 위대한 문화유산, 중국 3대 석굴

각박한 세상에서 상처받은 마음을 치유하고자 하는 현대인들이 늘어남에 따라 종교인들의 활약이 두드러지고 있다. 빠른 리듬으로 흘러가는 사회에서 멈추어 쉬어가길 권고하는 한 베스트셀러

kr.people.com.cn

 

돈황 석굴, 천 년의 세월, 천개의 동굴 

용문석굴, 불연(佛缘)의 땅 고도 낙양의 불교예술 

운강석굴, 중국 최대 석굴 사원 

 

 

 

 

https://www.youtube.com/watch?v=0ntn3Q28BD4 

 

 

 

 

https://www.youtube.com/watch?v=Tg4SiObQcpA 

 

 

 

https://www.youtube.com/watch?v=EnOu3dm6rVA 

 

 

https://www.youtube.com/watch?v=5eVXAn2PyCI

 

 

https://ko.wikipedia.org/wiki/%EA%B4%80%EC%84%B8%EC%9D%8C%EB%B3%B4%EC%82%B4

 

관세음보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관세음보살 1025년경 중국(북송)에서 제작된 관세음보살 목상 산스크리트어 अवलोकितेश्वर 아왈로키테슈와라 중국어 聖觀音 일본어 聖観音 (しょうかんのん) 쇼칸논[*] 한국어 관세

ko.wikipedia.org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산스크리트어: अवलोकितेश्वर avalokiteśvara ‘모든 것을 내려다보시는 지배자’)은 불교의 보살 가운데 가장 잘 알려진 보살 중 하나로, 석가모니의 입적 이후 미륵이 출현할 때까지 중생들을 고통으로부터 지켜주는 대자대비(大慈大悲)의 보살이다. 

 

https://ko.wikipedia.org/wiki/%EC%A7%80%EC%9E%A5%EB%B3%B4%EC%82%B4

 

지장보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지장보살(地藏菩薩, 산스크리트어: क्षितिगर्भ, Ksitigarbha, 크시티가르바)은 석가모니불의 열반 후 미륵보살이 성불할 때까지의 무불시대(말법시대)에 육도중생(六道衆生)을 교화하겠

ko.wikipedia.org

지장보살(地藏菩薩, 산스크리트어: क्षितिगर्भ, Ksitigarbha, 크시티가르바)은 석가모니불의 열반 후 미륵보살이 성불할 때까지의 무불시대(말법시대)에 육도중생(六道衆生)을 교화하겠다는 큰 대원을 세운 보살마하살(대비보살)이다. 지장으로 줄여 부르기도 한다. 일체중생에게 불성이 있다고 보는 여래장사상에서 비롯된 보살로, 지장신앙은 대체적으로 민중 지향적인 성격이다. 생명을 낳고 기르는 대지를 모태로 한다는 뜻으로, 그리스 신화에서 대지의 여신 가이아데메테르와 비교된다.[1] 그리고 불교 세계관에서 지장보살은 일체 모든 중생들이 전부 모두 다 성불 한 뒤에 최후에 마지막으로 성불할 보살이다.

 

 

https://ko.wikipedia.org/wiki/%EC%95%84%EB%AF%B8%ED%83%80%EB%B6%88

 

아미타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미타불(阿彌陀佛), 무량광불(無量光佛) 또는 무량수불(無量壽佛)은 서방 극락세계(西方極樂世界)에 머물며 설법을 한다는 부처로, 주로 정토교에서 숭앙하는 구제불이다. 《무량수경》(無量

ko.wikipedia.org

아미타불(阿彌陀佛), 무량광불(無量光佛) 또는 무량수불(無量壽佛)은 서방 극락세계(西方極樂世界)에 머물며 설법을 한다는 부처로, 주로 정토교에서 숭앙하는 구제불이다.

오늘날 정토(淨土)라고 하면 아미타불의 이 서방 극락정토를 가리킬 만큼 일반인에게 신앙의 대상이 되어 있다.[1] 이에 따라 아미타불과 관련된 각종 존상(尊像)이 세워져 예배되는데, 미타삼존(彌陀三尊)은 아미타불 옆에 관음보살(觀音菩薩)과 세지보살(勢至菩薩)의 두 보살이 있는 상이다.[1]

 

https://ko.wikipedia.org/wiki/%EB%8F%84%EC%86%94%EC%B2%9C

 

도솔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도솔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o.wikipedia.org

도솔천은 수미산(須彌山, Sumeru mountain) 정상에서 12만 유순(由旬, 고대 인도의 거리 단위, yojana)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도솔천은 내원(內院)과 외원(外院)으로 나뉜다.

내원은 내원궁(內院宮)이라고도 하며, 석가모니가 남섬부주(南贍部洲, 인간세계)에 내려오기 전에 머물던 곳으로, 현재는 미륵보살이 지상에 내려갈 때를 기다리며 머무르고 있는 곳이다.

외원은 여러 천인(天人)들이 모여 행복과 쾌락을 누리는 곳이다. 덕업을 쌓고 불심이 깊은 사람만이 죽어서 도솔천에 다시 태어날 수 있다고 하며 때로는 문학에서 정신적 이상향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xQPyeGdnV78&t=2815s 

 

至心歸命禮  大智文殊舍利菩薩  大行普賢菩薩  大悲觀世音菩薩  大願本尊地藏菩薩摩訶薩

지심귀명례  대지문수사리보살  대행보현보살  대비관세음보살  대원본존지장보살마하살       

            

https://www.youtube.com/watch?v=XcK3Kng_Lxc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