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VxuI_s0sWMk&t=7s 

 

 

https://www.youtube.com/watch?v=UFrSTxBzSEc 

*구미 선산 지지자들의 166편의 편지와 박대통령의 답장. 책 제목은 편지의 글귀.

 

https://www.youtube.com/watch?v=EQsyPYlRLfI 

 

 

https://www.youtube.com/watch?v=oIcM13Yw2hs 

 

 

https://www.youtube.com/watch?v=f5E5s9T9wlw 

 

 

https://www.youtube.com/watch?v=nSN_c71H7yM 

 

https://www.youtube.com/watch?v=VIS27uqkd_c 

 

https://www.youtube.com/watch?v=yZ1jbI4vM1c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211231/111028165/1

 

박근혜 “대한민국 위해 할수 있는 일 할것”

박근혜 전 대통령의 사면을 하루 앞둔 30일 저녁 박 전 대통령이 입원해 있는 서울 강남구 일원동 삼성서울병원 앞에서 지지자들이 사면을 환영하고 쾌유를 기원하는 집회를 열었다. …

www.donga.com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37063

 

박근혜 “진실은 역사의 법정서 밝혀질 것” 탄핵 부당 주장

박 전 대통령은 서간집에서 탄핵을 부른 국정농단 사건이나 세월호 침몰 사고 등과 관련해 구체적인 사실관계나 배경 설명을 하는 대신 "훗날 역사의 법정에서 진실이 밝혀질 것" "많은 시간이

www.joongang.co.kr

 

https://www.mk.co.kr/news/politics/view/2021/12/1222617/

 

박근혜 "시간 걸려도 진실 밝혀져"…'세월호 7시간'도 언급(종합)

"사심 갖고 이권 챙겨주는 추한 일 한 적 없다"…탄핵 억울함 호소, 사과 메시지는 없어 "세월호, 몸 안 좋아 관저서 보고받아…감출 이유 없다, 루머·모함에도 진실 힘 믿어 침묵" 尹이 기소한

www.mk.co.kr

 

https://www.youtube.com/watch?v=5_-cHgrphlc 

 

 

https://www.youtube.com/watch?v=47vETr4sRmg 

 

윤석열 후보 뿔났다

https://www.youtube.com/watch?v=feP7TJ2zDFw 

 

https://www.youtube.com/watch?v=cTufSPjROOo 

 

https://www.youtube.com/watch?v=gW4N_G8XxiE 

 

https://www.youtube.com/watch?v=JhpCiH3MQ6k 

 

https://www.youtube.com/watch?v=MJl2SMb5Ni0 

 

https://www.youtube.com/watch?v=4oFxwuwckfY 

 

 

혐오감뿐인 대선판/ 선거일 '22.3.9.

리서치앤리서치 여론조사…安 지지율 '약진' 10.3% , 첫 두자릿수

칸타코리아 "이재명 32.4% vs 윤석열 31.4%"

https://www.mk.co.kr/news/politics/view/2021/12/1225390/

 

"이재명 35.5% vs 윤석열 30.9%…안철수 10.3% '첫 두자릿수'"(종합)

리서치앤리서치 여론조사…安 지지율 `약진` 칸타코리아 "이재명 32.4% vs 윤석열 31.4%"

www.mk.co.kr

 

https://www.youtube.com/watch?v=ODlVbxJeDPo 

 

 

 

https://www.youtube.com/watch?v=hxr0T1kQJ-s 

 

 

소원성취진언 (所願成就眞言) 

  소원하는 바가 원만히 성취되기를 바라는 진언(眞言}     
  「옴 아모까 살바다라 사다야 시베 훔」 (세번)
 

 

 

[리얼미터] 윤석열 40.4%, 이재명 39.7%…격차 6.4%p→0.7%p

https://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1024896.html

 

[리얼미터] 윤석열 40.4%, 이재명 39.7%…격차 6.4%p→0.7%p

윤 4%p↓, 이 1.7%p↑

www.hani.co.kr

 

https://www.chosun.com/politics/opinion-poll/2021/12/27/V3D6OYXQQFEWFBCVZSYSM6KPUU/

 

윤석열 40.4% vs 이재명 39.7%…격차 6.4%p→0.7%p로 줄었다 [리얼미터]

윤석열 40.4% vs 이재명 39.7%격차 6.4%p→0.7%p로 줄었다 리얼미터

www.chosun.com

 

 

 

 

https://www.chosun.com/politics/politics_general/2021/12/27/QT57HOW4XJE4FD6OHA2YUNN2KE/

 

박근혜 사면 찬성 57.7% vs 반대 31.7%... 40대 제외 전세대 찬성

박근혜 사면 찬성 57.7% vs 반대 31.7%... 40대 제외 전세대 찬성

www.chosun.com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447572#home

 

‘허리가 불에 데인 듯’ 朴석방, 여론은 ‘냉랭’…반대 62% 찬성 34.4%

박근혜 전 대통령의 석방에 대해 반대(62%) 여론이 찬성(34.4%)보다 우세하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YTN 노종면의 더뉴스’의 의뢰로 지난 19일 전국 만 19세

www.joongang.co.kr

 

 

*늙으막에 열불 내지 말고 듣고 싶은 소리만 들으세요.

조선시대에도 '지가 제도(止家制度)'가 있었다니 놀랍네요.

코로나시대에도 이를 도입했는디...  

 

휴전선이 갈라 놓은 남북 분단에다

선거 때면 표면화되는 영호남의 갈등.

과거부터 따지자면

심리적으로는 심국시대의 재현이 따로 없네요.

발해로의 진출길조차 두만강에서 막혀 버린 채.

 

https://kydong77.tistory.com/15611

 

제298화 - 듣는 건 마음에 달렸다 (聾聽隨意)

• 고금소총 제298화 - 듣는 건 마음에 달렸다 (聾聽隨意) 조선 시대에는 '지가죄인(止家罪人)'이란 것이 있어 백성들이 매우 곤욕을 치렀다. 지체 높은 고관이 출입할 때 행차 앞에서 길을 침범하

kydong77.tistory.com

"내 귀는 말이지,

매우 신통해서

듣지 않아야 할 때는

아무 소리도 안 들리고,

들어야 할 때는

분명하게 잘 들린단 말이야.

 

https://www.youtube.com/watch?v=BLhpG8_TwV8&list=RDBLhpG8_TwV8&start_radio=1 

 

시편 제 23 편

[다윗의 시]

1   여호와는 나의 목자시니 내게 부족함이 없으리로다
2   그가 나를 푸른 풀밭에 누이시며 쉴 만한 물 가로 인도하시는도다  
3   내 영혼을 소생시키시고 자기 이름을 위하여 의의 길로 인도하시는도다
4   내가 사망의 음침한 골짜기로 다닐지라도 해를 두려워하지 않을 것은 주께서 나와 함께 하심이라 주의 지팡이와 막대기가 나를 안위하시나이다
5   주께서 내 원수의 목전에서 내게 상을 차려 주시고 기름을 내 머리에 부으셨으니 내 잔이 넘치나이다
6   내 평생에 선하심과 인자하심이 반드시 나를 따르리니 내가 여호와의 집에 영원히 살리로다

 

* 1-2절 배경: 유대 땅은 목축업에 적합한 척박한 토양임.

'젖과 꿀이 흐르는 가나안 땅'이란 사막지역인 아랍지역과 비교한 상대적 우위의 토질에 대한 표현임.

 

https://www.youtube.com/watch?v=0ntn3Q28BD4 

 

*위 주문(呪文)의 산스크리트어 원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본토말 : 가떼 가떼 빠라가떼 빠라상가떼 보디 스와하
            가테 가테 파라가테 파라상가테 보디 스와하 <=== 억양을 부드럽게 했을 때

{한자 음역)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揭諦揭諦 波羅揭諦 波羅僧揭諦, 菩提 娑婆訶)

출처 : 불교신문(http://www.ibulgyo.com)

 

한국말 : 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영   어 : Gate Gate paragate parasamgate bodhi svaha
 해   석 : 
Gate Gate  
paragate
parasamgate
bodhi svaha

가라. 가라. 
피안으로 건너가라. 
피안으로 완전히 건너가라. 
깨달음에 뿌리를 내려라.

 

[첨언]

[다냐타]....... "그리고" 혹은 "그리하여"라는 뜻이다.
[옴]...진언마다 나오는 말인데 "찬탄하다" "극찬하다" 등의 뜻이다.

[아리다라].....관세음보살의 다른 이름이다.
[사바하]....."성취하다" "원만" "이룩하다" 등의 뜻이다.

 

*[옴]은 기독교의 '할렐루야'와 유사하다.

할렐루야(Halleluj(y)ah)는 히브리어 단어인 הַלְּלוּיָהּ 의 음차(표준 히브리어: Halləluya, 티베리 히브리어: Halləlûyāh)인데, 이 단어는 '찬양하다', '영광스럽게 하다', '부르다'라는 뜻의 히브리어 동사의 2인칭 복수 명령형인 הַלְּלוּ(hallelu)와 'YHWH'의 축약형인 יָהּ(Yah)의 합성단어이다. "'Yah'를 찬양하라"로 직역할 수 있다.

라틴어 형태인 알렐루야(Alleluia)는 또 다시 그리스어의 음차인 알릴루이아(Αλληλούια)에서 유래했다. 

그리스어의 알파벳에는 'h'에 해당하는 문자가 없어서 'ἁ'를 사용한다.

영어권 성경에서는 할렐루야를 주로 "Praise (ye) the LORD."로 번역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NGt0gjFT6P8 

 

 

소원성취진언 (願成就眞言) 

               소원하는 바가 원만히 성취되기를 바라는 진언(眞言}     
             「옴 아모까 살바다라 사다야 시베 훔」 (세번)

 

https://www.youtube.com/watch?v=TDPtLq458Rs

 

 ● 소원성취진언 (所願成就眞言) 

               소원하는 바가 원만히 성취되기를 바라는 진언(眞言}     
             「옴 아모까 살바다라 사다야 시베 훔」 (세번)

 

             ● 보궐진언 (補闕眞言) 

               빠진것을 보충하는 진언 
            「옴 호로호로 사야모케 사바하」(세번)
 
                보궐진언은 빠진 것을 보충하는 진언입니다.
                불공을 하거나 진행하는 이가 아무리 열심히 준비하고
                불공을 진행한다 하더라도 원만하게 모든 것을 갖추지 못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불공에 모자람이 없도록 빠진 것을 보충하는 진언입니다.
 

*불가의 주문인  진언(眞言)은 범어(산스크리트)여서 한국어로는 그 뜻을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http://healmentoria.co.kr/rb/?m=bbs&bid=bbs10&p=2&uid=261 

 

생활에 유익한 진언

                             <생활에 유익한 진언들> 무슨진언? 어떻게? 어떤 경우? 정구업진언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 입으로 지은 업을 씻고 경전을 읽기시작할 때 육

healmentoria.co.kr

 
 <생활에 유익한 진언들>
진언의 명칭 진언 진언 시기와 그 목적
정구업진언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 입으로 지은 업을 씻고 경전을 읽기시작할 때
육자대명왕진언 옴 마니 반메훔 부처님의 가르침을 마음에 새길 때
참회진언 옴 살바 못자모지 사다야 사바하 잘못을 참회할 때
답살무죄진언 옴 이제리니 사바하
옴 일디유리 사바하
생명을 밟아 죽인 죄를 참회할 때
해원결진언 옴 삼다라 가닥 사바하 원망하는 마음을 풀어줄 때
광명진언 옴 아모가 바이로차나
마하무드라 마니 파드마
즈바라 프라바를타야 훔
모든 영가를 천도할 때
지장보살멸정업진언 옴 바라 마니 다니 사바하 죄업 소멸을 발원할 때
선망부모왕생정토진언 나모 사만다 못다남
옴 숫제유리 사바하
돌아가신 부모님의 정토왕생을 기원할 때
결정왕생정토진언 나무 사만다 못다남
옴 아마리 다바폐 사바하
정토에 나고자 할 때
호신진언 옴 치림 위험에서 몸을 보호
준제진언 나무 사다남 삼먁 삼못다
구치남다냐타 옴 자례
주례 준제 사바하 부림
죄업을 소멸하고 소원을 성취코자 할 때
보시주은진언 옴 아리야 승하 사바하 남의 도움을 받을 때
보부모은중진언 옴 아아나 사바하 부모의 은혜를 갚음
세수면진언 옴 사만다 바리숫제 세수할 때
헌향진언 옴 바라야 도비아 훔 향을 올릴 때
대원성취진언 옴 아모카 살바다라 사다야 시베 홈

소원을 이루고자 할 때

"정구업진언((淨口業眞言)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

(修里修里 摩訶修里 洙修里 沙波訶)'

범어의  한자 음차여서 한문과는 무관함.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는

길상존이시여 길상존이시여, 지극한 길상존이시여 원만성취하소서’가 된다.

출처 : 불교신문(http://www.ibulgyo.com)

법회 때마다 빠지지않고 독송되는 경전 가운데 하나인<천수경>의 첫 구절이다.

 

https://ko.wikipedia.org/wiki/%EC%98%B4_%EB%A7%88%EB%8B%88_%ED%8C%8C%EB%93%9C%EB%A9%94_%ED%9B%94

 

옴 마니 파드메 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ཨོཾ་མ་ཎི་པ་དྨེ་ཧཱུྃ་ 관세음보살 본심미묘 육자대명왕진언(觀世音菩薩 本心微妙 六字大明王眞言), 육자대명왕다라니(六字大明王陀羅尼), 옴 마니 파드메 훔(산스크리

ko.wikipedia.org

관세음보살 본심미묘 육자대명왕진언(觀世音菩薩 本心微妙 六字大明王眞言), 육자대명왕다라니(六字大明王陀羅尼), 옴 마니 파드메 훔(산스크리트어: ॐ मणि पद्मे हूँ, 한국 한자: 唵麼抳鉢訥銘吽) 및 옴 마니 반메 훔은 불교의 천수경에 나오는 관세음보살의 진언이다. 밀교를 비롯하여 불교에서 사용되는 주문 가운데 하나이다. 한국어에서는 성철스님이 50년 전에 '옴 마니 반메 훔'이 아니라 '옴 마니 파드메 훔'이라고 고쳤으나 현재 전자쪽이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1]

대승불교의 경전인 '육자대명왕다라니경'(六字大明王陀羅尼經) 및 '불설대승장엄보왕경'(佛説大乘莊嚴寶王經) 등에서는, 이 진언을 부르면, 여러가지 재앙이나 병환, 도적 등의 재난에서 관세음보살이 지켜주고, 성불을 하거나 큰 자비를 얻는다고 주장하며, 이 주문의 효과가 적혀있다.[2][3]

문자적인 뜻은 "옴, 연꽃속에 있는 보석이여, ”으로서, 관세음보살을 부르는 주문이다. 티베트인들이 특히 많이 외운다. 보통 티베트인들은 이런 뜻과 상관없이 그냥 많이 외우기만 하면 그 자체로 영험을 얻을 수 있다고 믿는다.[4]

 

옴마니파드메훔의 의미 

진언/ 육바라밀/    정화                     육도/        색상/   신성의 상징                희망된 영역

옴/명상/ 축복 자긍심 천신 흰색 지혜 정토 ('포탈라')
마/ 인내 질투 / 여흥의 성욕 아수라 초록 연민 정토 ('포탈라')
니/ 계율 열정 / 갈망 인간 노랑 몸과 말과 마음의
범위 및 활동
극락
파드/ 지혜 무지 / 편견 축생 파랑 평정 관세음보살의 면전에서
메/ 관용 재산 / 소유 아귀 빨강 축복 정토 ('포탈라')
훙/근면 공격성 / 증오 지옥 검정 자비의 품질 관세음보살의 연화좌(蓮華座)의
면전에서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 화엄경/ 전현수, 행복과 세상의 이치/옴 마니 반메 훔

정신이 의탁하는 것은 그 육신이다 -태사공자서 1 /열전 제70 https://kydong77.tistory.com/4241 를 " data-og-host="kydong77.tistory.com" data-og-source-url="https://kydong77.tistory.com/4241" data-og..

kydong77.tistory.com

 

 

https://www.youtube.com/watch?v=S9COX-5Ks2k&t=181s 

 

 

https://kydong77.tistory.com/11323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번역

반야심경을 암송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아래 포스트를 참고하여 정리해 보았습니다.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6&dirId=60903&docId=186820599&qb=J+yYpOyYqCfsnYAg7J2EIOunkO2VqeuLiOuLp..

kydong77.tistory.com

 

 

https://www.youtube.com/watch?v=RMiNJRsFWSY 

 

 

 

 

https://www.youtube.com/watch?v=FRP2dstf5o4 

 

라훌라자토(Rahulajato) ㅡ 산스크리트어. “속박이 생겼다”는 뜻이다

싯다르타는 야소다라가 아기를 낳았을 때 “라훌라자토(Rahulajato) 반다낭 자땅”이라고 말했다. “속박이 생겼다”는 뜻이다. 이 소식을 들은 숫도다나 왕은 손자의 이름을 아예 ‘라훌라’라고 지었다. 라훌라는 ‘속박’  혹은 ‘구속’이란 뜻이다.

https://kydong77.tistory.com/18110

 

라훌라經 & 코뿔소의 외뿔

*코뿔소는 대개 군집하지 않고 혼자서 산다네요. 더구나 외뿔은 귀 부근 머리에 달려 있지 않고 주둥이 위에 달려 있으니 참으로 별난 짐승이군요. 부처님은 독각을 강조하기 위함인지 출가에

kydong77.tistory.com

 

(335) 스승께서 말씀하셨다.

"라아훌라야, 늘 함께 살고 있기 때문에 너는 어진 이(賢者)를 가볍게 보고 있는 것은 아니냐? 모든 사람을 위해 횃불을 비춰주는 사람을 너는 존경하고 있느냐?"

(336) 라아훌라는 대답했다.

"늘 함께 살고 있다고 해서 어진이를 가볍게 보는 일은 없습니다. 모든 사람을 위해 횃불을 비춰 주는 사람을 저는 항상 존경합니다." (이상 序詩)

(337) "사랑스럽고 즐거움이 되는 오욕(5欲)의 대상 버리고, 믿음으로 집을 떠나 괴로움 없애는 사람이 되라.

(338) 선한 친구와 사귀어라. 인가(人家)를 떠나 깊숙하고 고요한 곳에서 거처하여라. 그리고 음식의 양을 아는 사람이 되어라.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18110 

 

 

https://www.youtube.com/watch?v=BYfTss13x1Y 

 

 

동국대 국문과 졸업

 

걸림돌

 ㅡ 공광규

 

 잘 아는 스님께 행자 하나를 들이라 했더니

 지옥 하나를 더 두는 거라며 마다하신다

 석가도 자신의 자식이 수행에 장애가 된다며

 아들 이름을 아예 ‘장애’라고 짓지 않았던가

 우리 어머니는 또 어떻게 말씀하셨나

 인생이 안 풀려 술 취한 아버지와 싸울 때마다

 “자식이 원수여! 원수여!” 소리치지 않으셨던가

 밖에 애인을 두고 바람을 피우는 것도

 중소기업 하나 경영하는 것만큼이나 어렵다고 한다

 누구를 들이고 둔다는 것이 그럴 것 같다

 오늘 저녁에 덜 되먹은 후배 놈 하나가

 처자식이 걸림돌이라고 푸념하며 돌아갔다

 나는 “못난 놈! 못난 놈!” 훈계하며 술을 사주었다

 걸림돌은 세상에 걸쳐 사는 좋은 핑계거리일 것이다

 걸림돌이 없다면 인생의 안주도 추억도 빈약하고

 나도 이미 저 아래로 떠내려가고 말았을 것이다.

출처 : 전북도민일보(http://www.domin.co.kr)

 

 

소주병

 ㅡ 공광규

 

술병은 잔에다

자기를 계속 따라주면서

속을 비워간다

 

빈병은 아무렇게나 버려져

길거리나

쓰레기장에서 굴러다닌다

 

바람이 세게 불던 밤 나는

문 밖에서

아버지가 흐느끼는 소리를 들었다

 

나가 보니

마루 끝에 쪼그려 앉은

빈 소주병이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POXvb89LUfY 

 

 

https://www.youtube.com/watch?v=dqvUmE7SIa0 

 

https://www.youtube.com/watch?v=0MRTPCBKK2Q 

 

 

https://www.youtube.com/watch?v=AM46LLQPbPg 

 

https://www.youtube.com/watch?v=MMnYpCTgcU4 

 

https://www.youtube.com/watch?v=dc2_jyVPoIc 

 

 

https://www.youtube.com/watch?v=bE5A06EXKYk 

 

 

https://www.youtube.com/watch?v=b4f3NFr9TeU 

 

 

[상습적 말바꾸기]

https://www.youtube.com/watch?v=3R36a54vdqU 

 

https://www.youtube.com/watch?v=LlEHiPUth5w 

 

 

[국민의 힘]

https://www.youtube.com/watch?v=hYIg6D19pWI 

 

https://www.youtube.com/watch?v=eza7p14uM6s 

 

https://www.youtube.com/watch?v=2zR6vDoD_Wk 

 

 

https://www.youtube.com/watch?v=hk4vcWWC9fw 

 

 

 

https://coronaboard.kr/

 

코로나19(COVID-19) 실시간 상황판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세계 각 국가들의 통계 및 뉴스 등을 취합하여 실시간 정보를 제공합니다.

coronaboard.kr

 

 

2021년 12/18

https://coronaboard.kr/

 

코로나19(COVID-19) 실시간 상황판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관한 세계 각 국가들의 통계 및 뉴스 등을 취합하여 실시간 정보를 제공합니다.

coronaboard.kr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200213/99665899/1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로 명칭 바꾼 까닭?

우리에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이름으로 익숙한 중국 우한발(發) 바이러스의 명칭이 12일부터 ‘코로나19’로 공식 바뀌었다. 같은 날 먼저 세계보건기구(WHO)는 스위스 제…

www.donga.com

먼저 세계보건기구(WHO)는 스위스 제네바 소재 본부에서 이 바이러스 명칭을 ‘COVID-19’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정부는 ‘COVID-19’보다 익숙한 ‘코로나’ 단어를 살려 WHO 명칭과 다르게 지은 것이다. WHO의 바이러스 명칭마저 잔머리 굴려바꾸는사람들. 이를 우야믄 좋노?

김강립 중앙사고수습본부 부본부장(보건복지부 차관)은 이 날 정례브리핑에서 “영어식 이름이 긴 편이어서 질변관리본부 의견을 수용해 정부 차원에서 ‘코로나19(일구)’라는 한글 표현을 별도로 명명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WHO가 명명한 ‘COVID-19’는 ‘씨오브이아이디-일구’라고 발음하는 만큼 ‘코로나19’보다 긴 편이다. 첫 글자인 씨오(CO)는 코로나(Corona)를 의미한다. 그 뒤 브이아이(VI)는 바이러스(Virus), 디(D)는 질환(Disease) 그리고 일구는 이 바이러스가 처음 발견됐던 시점인 2019년말의 뒷숫자를 말한다.

 

[운영자] 

COVID-19>코로나?

한국에는  또다른 바이러스 전염병이 있는 줄 알겠네요. 구구한 변명이 가관이네요.

코비드가 중국 우한을 연상시킬 것을 염려한 배려가 뻔한데.

영어권 사람들도 못 알아먹는 'with 코로나' 라더니, 7천명이 넘는 환자들을 양산하고 말았네요.

백신도입은 다른 나라에서 면역력을 테스트한 뒤에 하자더니 도입이 마냥 늦어지질 않나,

장기간 거리두기로 K방역을 자랑하더니, 결국 앞으로 년말년시 모임은 16일간 3차접종자 최대 4명이라네요.

 

https://www.youtube.com/watch?v=pcXzcpomh0Y 

 

【다윗의 시】

(시 23:1) 여호와는 나의 목자시니 내게 부족함이 없으리로다
(시 23:2) 그가 나를 푸른 풀밭에 누이시며 쉴 만한 물 가로 인도하시는도다
(시 23:3) 내 영혼을 소생시키시고 자기 이름을 위하여 의의 길로 인도하시는도다  시31:3
(시 23:4) 내가 사망의 음침한 골짜기로 다닐지라도 해를 두려워하지 않을 것은 주께서 나와 함께 하심이라 주의 지팡이와 막대기가 나를 안위하시나이다
(시 23:5) 주께서 내 원수의 목전에서 내게 상을 차려 주시고 기름을 내 머리에 부으셨으니 내 잔이 넘치나이다
(시 23:6) 내 평생에 선하심과 인자하심이 반드시 나를 따르리니 내가 여호와의 집에 영원히 살리로다

 

https://www.youtube.com/watch?v=BLhpG8_TwV8 

 

 

https://www.youtube.com/watch?v=lDeIaV_-6Hg 

 

 

https://www.youtube.com/watch?v=UAhNMPaa9Gs

 

 

https://www.youtube.com/watch?v=76kZz3M5d7U 

 

 

https://www.youtube.com/watch?v=R_Gir3NbwCQ

 

 

https://www.youtube.com/watch?v=pIcRFF2sJ6c 

 

 

https://www.youtube.com/watch?v=qikkN-U28lk 

 

 

https://www.youtube.com/watch?v=W5eW_F4SAS8 

 

 

https://www.youtube.com/watch?v=DfsRYZmrWm0 

 

 

https://kydong77.tistory.com/21036

 

깨달음을 얻은 자, 붓다/ 가떼 가떼 빠라가떼 빠라상가떼 보디 스와하

https://www.youtube.com/watch?v=0ntn3Q28BD4 https://www.youtube.com/watch?v=LNDAtyK6nRg https://www.youtube.com/watch?v=DFwphiC2Mfk https://www.youtube.com/watch?v=8zKecSZ5guk&t=166s https://www.yo..

kydong77.tistory.com

아제아제(揭諦揭諦) : 가자 가자.

바라아제(波羅揭諦) : 피안으로 가자.

바라승아제(波羅僧揭諦) : 피안으로 완전히 가자.

모지(菩提) : 깨달음에

사바하(娑婆訶) : 뿌리를 내려라.

 

이 반야바라밀다주는 산스크리트어로 외우는게 좋습니다.

그게 원어에 더 가깝기 때문입니다.

산스크리트어 원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본토말 : 가떼 가떼 빠라가떼 빠라상가떼 보디 스와하

가테 가테 파라가테 파라상가테 보디 스와하 <=== 억양을 부드럽게 했을 때

한국말 : 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영 어 : 

Gate Gate / 가라 가라

paragate / 피안으로 건너가라.

parasamgate / 피안으로 완전히 건너가라.

bodhi svaha / 깨달음에 뿌리를 내려라.

해 석 :

가라. 가라.

피안으로 건너가라.

피안으로 완전히 건너가라.

깨달음에 뿌리를 내려라.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21036 [김영동교수의 고전 & Life]

 

https://www.youtube.com/watch?v=0ntn3Q28BD4 

 

https://ko.wikipedia.org/wiki/%EC%98%B4_%EB%A7%88%EB%8B%88_%ED%8C%8C%EB%93%9C%EB%A9%94_%ED%9B%94

 

옴 마니 파드메 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ཨོཾ་མ་ཎི་པ་དྨེ་ཧཱུྃ་ 관세음보살 본심미묘 육자대명왕진언(觀世音菩薩 本心微妙 六字大明王眞言), 육자대명왕다라니(六字大明王陀羅尼), 옴 마니 파드메 훔(산스크리

ko.wikipedia.org

관세음보살 본심미묘 육자대명왕진언(觀世音菩薩 本心微妙 六字大明王眞言), 육자대명왕다라니(六字大明王陀羅尼), 옴 마니 파드메 훔(산스크리트어: ॐ मणि पद्मे हूँ, 한국 한자: 唵麼抳鉢訥銘吽) 및 옴 마니 반메 훔은 불교의 천수경에 나오는 관세음보살의 진언이다. 밀교를 비롯하여 불교에서 사용되는 주문 가운데 하나이다. 한국어에서는 성철스님이 50년 전에 '옴 마니 반메 훔'이 아니라 '옴 마니 파드메 훔'이라고 고쳤으나 현재 전자쪽이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1]

대승불교의 경전인 '육자대명왕다라니경'(六字大明王陀羅尼經) 및 '불설대승장엄보왕경'(佛説大乘莊嚴寶王經) 등에서는, 이 진언을 부르면, 여러가지 재앙이나 병환, 도적 등의 재난에서 관세음보살이 지켜주고, 성불을 하거나 큰 자비를 얻는다고 주장하며, 이 주문의 효과가 적혀있다.[2][3]

문자적인 뜻은 "옴, 연꽃속에 있는 보석이여, 훔”으로서, 관세음보살을 부르는 주문이다. 티베트인들이 특히 많이 외운다. 보통 티베트인들은 이런 뜻과 상관없이 그냥 많이 외우기만 하면 그 자체로 영험을 얻을 수 있다고 믿는다.[4]

 

선지식/정목스님

일심광명화신 2011. 6. 13. 21:55

[아미타불 본심미묘 진언]

아미타불 본심미묘 진언.......다냐타 옴 아리다라 사바하

"나무아미타불" 염불법에는 [진언]이 거의 없다. 이것은 염불이 부처님의 말씀에 의지하되 신비주의적 요소를 배제한 합리적인 가르침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여기 유일하게 등장하는 [아미타불 본심미묘 진언]은 꼭 해설하고자 하면 대개 이렇다.



[다냐타 옴 아리다라 사바하]

(염불하고) 관세음보살을 찬탄하오니 부디 성취하리라.

[다냐타]....... "그리고" 혹은 "그리하여"라는 뜻이다.
[옴]...진언마다 나오는 말인데 "찬탄하다" "극찬하다" 등의 뜻이다. (참조) 할렐루야*
[아리다라].....관세음보살의 다른 이름이다.
[사바하]....."성취하다" "원만" "이룩하다" 등의 뜻이다.

* 할렐루야

히브리어인 할렐루야는 두 단어가 합쳐진 합성어다. ‘찬양하다’라는 뜻의 동사 ‘힐렐(hillel)’의 명령형인 ‘할렐루(hallelu)’와 하나님이란 뜻의 ‘야훼(Yahweh)’를 축약한 ‘야(yah)’를 합친 말이다. ‘야훼(하나님)를 찬양하라’란 뜻이다.
[출처] - 국민일보
[원본링크] -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95528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