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경에 처해도 편안한 마음으로 자연변화에 순응하라

- 장자(외편) ; 제20편 산목[7]-

 

孔子窮於陳蔡之間,

공자궁어진채지간, 공자가 진나라와 채나라 사이에서 곤경에 빠져

七日不火食,

칠일불화식, 칠일 동안이나 불로 익힌 음식을 먹지 못하고 있었다

左據槁木,

좌거고목, 그러나 공자는 왼손은 마른 나무에 걸쳐놓고

右擊槁枝,

우격고지, 오른 손으로는 마른 나뭇가지를 두드리며

而歌猋氏之風,

이가표씨지풍, 신농씨의 노래를 불렀다.

有其具而无其數,

유기구이무기수, 그런데 그에게 악기는 있었지만 절주가 없고,

有其聲而无宮角,

유기성이무궁각, 그의 소리는 있지만 음률은 없는 상태였는데,

木聲與人聲,

목성여인성, 두드리는 나무소리와 그의 목소리는

犁然有當於人之心.

리연유당어인지심. 잘 어울려 사람의 마음을 울렸다.

顔回端拱還木

안회단공환목 그 때 안회가 두 손을 모아 쥐고 눈길을 떨구고

而窺之.

이규지. 공자를 바라보고 있었다.

仲尼恐其廣己而造大也,

중니공기광기이조대야, 공자는 안회가 자기의 뜻을 확대 해석해 재난을 크게 생각하거나

愛己而造哀也,

애기이조애야, 자기를 아낀 나머지 슬퍼할까 두려워 말했다.

曰:「回, 无受天損易,

왈:「회, 무수천손역, “안회야. 자연의 재해를 받아들이지 않고 편히 지내기는 쉽지만,

无受人益難.

무수인익난. 인위적인 부귀를 받아들이지 않고 마음을 바르게 갖기란 어려운 것이다.

无始而非卒也,

무시이비졸야, 모든 일은 시작되면 끝나지 않는 것이 없고 끊임없이 변화한다.

人與天一也.

인여천일야. 사람이란 자연과 한 가지인 것이다.

夫今之歌者其誰乎?」

부금지가자기수호?」 지금 노래를 부른 것은 누구였더냐?”

回曰:

회왈: 안회가 말했다.

「敢問无受天損易.」

「감문무수천손역.」 “자연의 재해를 받아들이지 않고 편히 지내기는 쉽다는 말씀의 뜻을 알고 싶습니다.”

仲尼曰:

중니왈: 공자가 말했다.

「飢渴寒暑,

「기갈한서, “굶주림과 목마름과 추위 더위와

窮桎不行,

궁질불행, 궁색해져 뜻대로 되지 않는 것은

天地之行也,

천지지행야, 천지의 운행이며

運物之泄也,

운물지설야, 만물 변화의 표현이다.

言與之偕逝之謂也.

언여지해서지위야. 그 말은 이런 운행변화와 함께 변화하여 가기만 하면 된다는 것을 뜻한다.

爲人臣者,

위인신자, 신하된 사람은

不敢去之.

불감거지. 임금의 명으로부터 감히 벗어나지 못한다.

執臣之道猶若是,

집신지도유약시, 신하 노릇을 하는 도리도 이와 같은데

而況乎所以待天乎!」

이황호소이대천호!」 하늘을 대하는 도리야 어떻겠느냐?”

안회가 다시 물었다.

「何謂无受人益難?」

「하위무수인익난?」 “무엇을 두고 인위적인 부귀를 받아들이지 않고 마음을 바르게 갖기는 어렵다고 하는 것입니까?”

仲尼曰:

중니왈: 공자가 말했다.

「始用四達,

「시용사달, “처음 출세를 하고 보면 모든 것이 뜻대로 되고,

爵祿竝至而不窮,

작록병지이불궁, 벼슬과 녹이 더불어 보태져서 궁하지 않게 된다.

物之所利,

물지소리, 이것은 밖의 물건이 이롭게 해주는 것이지

乃非己也,

내비기야, 자기가 지니고 있던 것은 아니다.

吾命其在外者也.

오명기재외자야. 결국 나의 운명이 밖으로부터 지배당하게 되는 것이다.

君子不為盜,

군자불위도, 군자는 도둑질을 하지 않고,

賢人不為竊,

현인불위절, 현명한 사람은 물건을 훔치지 않는 법인데,

吾若取之,

오약취지, 우리가 벼슬이나 녹 같은 것은 취하는 것은

何哉?

하재? 어째서일까?

故曰:

고왈: 그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이다.

鳥莫知於鷾鴯,

조막지어의이,새 중에서는 제비보다 지혜로운 것이 없다.

目之所不宜處,

목지소불의처 눈으로 보아서 처신하기 부적합한 곳이면

不給視,

불급시, 뒤돌아볼 것도 없이 달아난다.

雖落其實,

수락기실, 비록 그의 먹이를 떨어뜨렸다 해도

棄之而走.

기지이주. 그것을 버리고 달아난다.

其畏人也,

기외인야, 제비는 그처럼 사람들을 두려워 하지만

而襲諸人間,

이습제인간, 사람들이 사는 집으로 들어와 집을 짓고 사는데,

社稷存焉爾.」

사직존언이.」 그 것은 살 곳과 먹을 것이 있기 때문이다.”

안회가 물었다.

「何謂无始而非卒?」

「하위무시이비졸?」 “무엇을 두고 모든 일이 시작되면 끝나지 않는 것이 없이 변화한다고 하는 것입니까?”

仲尼曰:

중니왈: 공자가 말했다.

「化其萬物而

「화기만물이 “만물은 변화하고 있지만

不知其禪之者,

부지기선지자, 그렇게 만드는 것이 누구인지는 알지 못한다.

焉知其所終?

언지기소종? 그러니 어찌 변화가 끝나는 곳을 알겠으며,

焉知其所始?

언지기소시? 어찌 변화가 시작되는 곳을 알겠느냐?

正而待之而已耳.」

정이대지이이이.」 자기를 올바르게 하고 그 변화에 호응할 뿐인 것이다.”

안회가 물었다.

「何謂人與天一邪?」

「하위인여천일사?」 “무엇을 두고 사람과 자연이 한가지라 하셨습니까?”

仲尼曰:

중니왈: 공자가 말했다.

「有人, 天也.

「유인, 천야. “ 사람이 존재하는 것도 역시 자연이다.

有天, 亦天也.

유천, 역천야. 자연이 존재하는 것도 자연이고,

人之不能有天,

인지불능유천, 사람이 자연의 도를 터득하지 못하는 것은

性也,

성야, 자기 성격에 사로잡히기 때문이다.

聖人晏然體逝而終矣!」

성인안연체서이종의!」 성인이란 편안히 자연의 변화에 몸을 맡겨 끝 가는 데까지 가는 것이다.”


가난한 것이지 곤경에 빠진 것은 아닙니다.

선비에게는 자연의 도와 덕이 있는데 그것을 실행하지 못하는 것이

곤경에 빠지는 것입니다.

- 장자(외편) ; 제20편 산목[6]-

 

莊子衣大布而輔之,

장자의대포이보지, 장자가 누더기로 기운 거친 무명옷에을 입고

正緳係履而過魏王.

정혈계리이과위왕. 삼 줄로 얽어맨 신을 신고서 위나라 임금을 찾아갔다.

魏王曰:

위왕왈: 위나라 임금이 말했다.

「何先生之憊邪?」

「하선생지비사?」 “어쩌다 선생은 이토록 곤경에 빠졌습니까?”

莊子曰:

장자왈: 장자가 말했다.

「貧也, 非憊也.

「빈야, 비비야. “가난한 것이지 곤경에 빠진 것은 아닙니다.

士有道德不能行,

사유도덕불능행, 선비에게는 자연의 도와 덕이 있는데 그것을 실행하지 못하는 것이

憊也.

비야. 곤경에 빠지는 것입니다.

衣弊履穿,

의폐리천, 옷이 해지고 신발에 구멍이 난 것은 가난한 것이지

貧也, 非憊也.

빈야, 비비야. 곤경에 빠진 것은 아닙니다.

此所謂非遭時也.

차소위비조시야. 이것이 바로 때를 만나지 못했다는 것입니다.

王獨不見夫騰猿乎?

왕독불견부등원호? 나무에 기어오르는 원숭이를 보지 못하셨습니까?

其得枏梓豫章也,

기득남재예장야, 원숭이는 남나무나 가래나무나 예장나무 같은 큰 나무에 올라

攬蔓其枝而王長其間,

람만기지이왕장기간, 나뭇가지에 매달려 재주를 필 때에는

雖羿逢蒙不能眄睨也.

수예봉몽불능면예야. 예나 봉몽과 같은 명궁이라 해도 제대로 겨냥할 수가 없습니다.

及其得柘棘枳枸之間也,

급기득자극지구지간야, 그러나 원숭이가 산뽕나무나 가시나무나 탱자나무 같은 작은 나무 사이에 있을 때에는

危行側視,

위행측시, 위태로운 듯이 곁눈질을 하며 다니고

振動悼慄.

진동도률. 두려움에 덜덜 떨게 됩니다.

此筋骨非有加急

차근골비유가급 이것은 원숭이의 근육이나 뼈가 굳어져

而不柔也,

이불유야, 유연하지 않기 때문이 아니라

處勢不便,

처세불편, 그가 처해 있는 형세가 불편하여

未足以逞其能也.

미족이령기능야. 그의 능력을 발휘할 수 없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今處昏上亂相之間,

금처혼상란상지간, 지금 같이 혼미한 임금과 어지러운 신하들 사이에 처신하면서

而欲无憊,

이욕무비, 곤경에 빠지지 않으려 한다 해도

奚可得邪?

해가득사? 어찌 그것이 가능하겠습니까?

此比干之見剖心徵也夫!」

차비간지견부심징야부!」 이것은 충신인 비간이 심장을 도려내게 된 것으로도 증명이 됩니다.”

 

군자의 사귐은 물같이 담백하지만소인의 사귐은 단술처럼 달콤합니다.군자의 사귐은 담백하기 때문에 친해지고,소인의 사귐은 달콤하기 때문에 끊어지게 된다

ㅡ 장자(외편) ; 제20편 산목[5]-

 

孔子問子桑雽曰:

공자문자상호왈: 공자가 자상호에게 물었다.

「吾再逐於魯,

「오재축어로, “저는 노나라에서 두 번 쫓겨났고,

伐樹於宋,

벌수어송, 송나라에서는 뽑힌 나무에 죽을 뻔했고,

削迹於衛,

삭적어위, 위나라에서는 쫓겨났으며,

窮於商周,

궁어상주, 송나라와 주나라에서는 궁지에 몰렸고,

圍於陳蔡之間.

위어진채지간. 진과 채 두 나라 사이에서는 포위당했었습니다.

吾犯此數患,

오범차수환, 이렇게 여러 차례 어려움을 당하게 되자,

親交益疏,

친교익소, 친한 사람들과의 교분은 점차 멀어지고

徒友益散,

도우익산, 제자들도 차츰 흩어지게 되었는데,

何與?」 하여?」 이 어찌 된 까닭입니까?”

 

子桑雽曰:

자상호왈: 자상호가 대답했다.

「子獨不聞假人之亡與?

「자독불문가인지망여? “그대는 가(假)나라에서 도망쳤다는 사람의 얘기를 듣지 못했습니까?

林回棄千金之璧,

임회기천금지벽, 임회라고 하는 사람은 천금 가치가 나가는 옥을 버린 채

負赤子而趨.

부적자이추. 아기를 업고 도망쳤답니다.

 

或曰:

혹왈: 어떤이가 말했다.

‘爲其布與?

위기포여? 「값어치로 따지면

赤子之布寡矣.

적자지포과의. 아기는 별로 나가지 않으며,

爲其累與?

위기루여? 짐 되기로 말하면

赤子之累多矣.

적자지루다의. 아기가 더 힘이 듭니다.

棄千金之璧,

기천금지벽, 그런데도 값나가는 옥을 버리고

負赤子而趨,

부적자이추, 아기를 업고 도망친 것은

何也?’

하야?’ 무엇 때문입니까?」

 

林回曰:

림회왈: 임회가 말했다.

‘彼以利合,

‘피이리합, 「옥은 이익으로 결합된 것이지만

此以天屬也.’

차이천속야.’ 아기는 하늘이 맺어 준 것입니다.

夫以利合者,

부이리합자, 이익으로 맺어진 사람들은

迫窮禍患害相棄也.

박궁화환해상기야. 어려움과 곤란함을 당하게 되면 서로를 버리게 되지만,

以天屬者,

이천속자, 하늘이 맺어준 사람들은

迫窮禍患害相收也.

박궁화환해상수야. 어려움과 곤란함을 당하게 되면 서로 단결하는 것입니다.

夫相收之與相棄亦遠矣.

부상수지여상기역원의. 서로 버리려는 것과 서로 단결하는 것은 역시 그 차이가 매우 멉니다.」

 

且君子之交淡若水,

차군자지교담약수, 또한 군자의 사귐은 물같이 담백하지만

小人之交甘若醴.

소인지교감약례. 소인의 사귐은 단술처럼 달콤합니다.

君子淡以親,

군자담이친, 군자의 사귐은 담백하기 때문에 친해지고,

小人甘以絶.

소인감이절. 소인의 사귐은 달콤하기 때문에 끊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彼无故以合者,

피무고이합자, 다시 말씀드려 까닭 없이 맺어진 것은

則无故以離.」

즉무고이리.」 까닭 없이 떨어져 나가게 되는 것입니다.”

 

孔子曰:

공자왈: 공자가 말했다.

「敬聞命矣!」

「경문명의!」 “가르침을 잘 받들겠습니다.

徐行翔佯而歸,

서행상양이귀, 그리고 공자는 천천히 걸으면서 돌아와

絶學捐書,

절학연서, 학문을 끊고 책을 버렸다.

弟子无揖於前,

제자무읍어전, 제자들은 그의 앞에서 허리를 굽히지 않게 되었으나

其愛益加進.

기애익가진. 그들의 친애는 더욱 높아졌다.

 

異日, 桑雽又曰:

이일, 상호우왈: 다음날 자상호가 다시 말했다.

「舜之將死,

「순지장사, “순임금이 임종 때乃命禹曰:내명우왈: 우에게 명했습니다.

‘汝戒之哉!

여계지재! 「그대는 다음의 것을 경계하라.

形莫若緣,

형막약연, 육체는 자연을 따르는 것보다 더 좋은 것이 없으며,

情莫若率.

정막약솔. 심정은 본성을 따르는 것보다 더 좋은 것이 없다.」

緣則不離,

연칙불리, 자연을 따르면 서로 떨어지지 않게 되고,

率則不勞.

솔칙불로. 본성을 따르면 수고롭지 않게 되는 것입니다.

 

不離不勞,

불리불로, 자연으로부터 떨어지지 않고 수고롭지 않게 된다면

則不求文以待形.

칙불구문이대형. 학문을 추구하여 자신을 꾸미려 하지 않게 됩니다.

不求文以待形,

불구문이대형, 학문을 추구하여 자신을 꾸미려 하지 않게 되면

固不待物.’」

고불대물.’」 밖의 물건에 자신을 의지하지 않게 됩니다.”

 


스스로 뽐내는 자는 공이 없게 되고,

공을 이루고 물러나지 않는 자는 실패하게 되며,

명성을 이루고 그대로 머물고자 하는 자는 욕을 보게 된다

- 장자(외편) ; 제20편 산목[4]-

 

孔子圍於陳蔡之間,

공자위어진채지간, 공자가 진나라와 채나라 중간에서 사람들에게 포위당해

七日不火食.

칠일불화식. 칠일 동안이나 더운 음식을 먹지 못했다.

大公任往弔之曰:

대공임왕조지왈: 그 때 태공임이 찾아와서 공자를 위문하여 말했다.

「子幾死乎?」

「자기사호?」 “선생님은 죽게 될 것 같습니다.”

공자가 답했다.

曰:「然.」

왈:「연.」 “그렇소.”

태공임이 말했다.

「子惡死乎?」

「자오사호?」 “선생님은 죽는 것을 싫어하십니까?”

공자가 답했다.

曰:「然.」

왈:「연.」 “그렇소.”

任曰:

임왈: 태공임이 말했다.

「予嘗言不死之道.

「여상언불사지도. “제가 시험 삼아 죽지 않는 법을 얘기해 보겠습니다.

東海有鳥焉,

동해유조언, 동해에 새가 있는데

其名曰意怠.

기명왈의태. 그 이름을 의태라 부릅니다.

其爲鳥也,

기위조야, 그 새는 본성이

翂翂翐翐,

분분질질, 느려빠져서

而似无能.

이사무능. 아무 능력도 없는 듯이 보입니다.

引援而飛,

인원이비, 날 때는 다른 새들이 서로 이끌어 주어야 날고,

迫脅而棲.

박협이서. 쉴 때는 다른 새들과 붙어 있습니다.

進不敢爲前,

진불감위전, 나아갈 때는 감히 다른 새들의 앞에 서지 않고,

退不敢爲後.

퇴불감위후. 물러설 때는 다른 새들보다 뒤서지 않습니다.

食不敢先嘗,

식불감선상, 먹이를 먹을 때도 감히 다른 새들보다 앞서 맛보지 않고,

必取其緖.

필취기서. 반드시 다른 새가 먹고 난 나머지를 먹습니다.

是故其行列不斥,

시고기행렬불척, 그래서 그 새는 다른 새들 무리에게 배척당하는 일이 없고,

而外人卒不得解,

이외인졸부득해, 사람들에게도 해를 입지 않는 것입니다.

是以免於患.

시이면어환. 그래서 재난을 면하고 있습니다.

直木先伐,

직목선벌, 곧은 나무는 먼저 잘리고,

甘井先竭.

감정선갈. 맛있는 우물은 먼저 마르는 법입니다.

子其意者飾知以驚愚,

자기의자식지이경우, 선생을 보면 자신의 지식을 꾸며 어리석은 사람들을 놀라게 하고,

修身以明汙,

수신이명오, 몸을 닦아 남의 허물을 들추어내고,

昭昭乎如揭日月而行,

소소호여게일월이행, 마치 해와 달을 걸고 가듯이 훤하게 자신을 내세우기 때문에

故不免也.

고불면야. 환난을 면치 못하는 것입니다.

昔吾聞之大成之人曰:

석오문지대성지인왈: 옛날에 내가 위대한 덕을 이룬 사람에게서 들은 바에 의하면,

‘自伐者无功,

‘자벌자무공, 스스로 뽐내는 자는 공이 없게 되고,

功成者墮,

공성자타, 공을 이루고 물러나지 않는 자는 실패하게 되며,

名成者虧.’

명성자휴.’ 명성을 이루고 그대로 머물고자 하는 자는 욕을 보게 된다고 했습니다.

孰能去功與名

숙능거공여명 어느 누가 과연 공명을 마다하고

而還與衆人!

이환여중인! 보통 사람들과 같이 처신하겠습니까?

道流而不明居,

도류이불명거, 그의 도가 널리 행하여져도 자기의 이름을 밝히지 않고,

德行而不名處.

덕행이불명처. 그의 덕이 세상에 시행되어도 명성을 받아들이지 않으며,

純純常常,

순순상상, 마음을 순수하게 가지고, 언제나 한결같이 행동하여

乃比於狂.

내비어광. 마치 미친 사람인 것처럼 무심하게 공적을 남기지 않고,

削迹捐勢,

삭적연세, 권세를 버리며

不爲功名.

불위공명. 공명을 추구하지 않는 사람이어야 합니다.

是故无責於人,

시고무책어인, 그러면 남을 책잡을 일도 없고,

人亦无責焉.

인역무책언. 남에게 책잡힐 일도 없을 것입니다.

至人不聞,

지인불문, 지인은 세상에 알려지지 않는 법이건만

子何喜哉?

자하희재? 선생께서는 어째서 공명을 좋아하는 것입니까?”

孔子曰:

공자왈: 공자가 말했다.

「善哉!」

「선재!」 좋은 말씀입니다.

辭其交遊,

사기교유, 그는 사람들과의 교류를 끊고

去其弟子,

거기제자, 제자들을 보내고는

逃於大澤.

도어대택. 큰 늪지에 숨어

依裘褐,

의구갈, 엉성한 옷을 입고

食杼與栗.

식저여률. 도토리와 밤을 주워 먹으며 살았다.

入獸不亂群,

입수불란군, 그리하여 짐승들 사이로 들어가도 무리가 흩어지지 않았고,

入鳥不亂行.

입조불란행. 새들 틈에 들어가도 그 행렬이 흐트러지지 않았다.

鳥獸不惡,

조수불오, 새와 짐승들도 그를 싫어하지 않았으니

而況人乎!

이황인호! 하물며 사람들이야 어떠했겠는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