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_화뢰서합(火雷噬嗑)

 

噬嗑亨(서합형) : 서합은  형통하니

利用獄(이용옥) : 감옥을 씀이 이로우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頤中有物曰噬嗑(이중유물왈서합) : 턱 가운데 물건이 있음을 이르기를  <서합>이니

噬嗑而亨(서합이형) : 씹어 합하여 형통하니라.

 

剛柔分(강유분) : <강>과 <유>가 나뉘고,

動而明(동이명) : 움직여서 밝고,

雷電合而章(뇌전합이장) : 우뢰와 번개가 합하여 빛나고,

柔得中而上行(유득중이상행) : <유>가 <중>을 얻어 위로 올라가니,

雖不當位(수불당위) : 비록 자리는 당치 않으나

利用獄也(이용옥야) : 감옥을 씀이 이로우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雷電噬嗑(뇌전서합) : 우뢰와 번개가  <서합>이니,

先王以明罰勅法(선왕이명벌칙법) : 선왕이 이로써 벌을 밝히고 법을 신칙하느니라.

 

初九(초구) : 초구는

屨校滅趾(구교멸지) : 형틀을 신겨서 발을 멸함이니

无咎(무구) : 허물이 없느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屨校滅趾(구교멸지) : '구교멸지'는

不行也(부행야) : 행하지 못하게 함이라.

 

六二(육이) : 육이는

噬膚滅鼻(서부멸비) : 살을 씹되 코를 멸하니

无咎(무구) : 허물이 없느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膚滅鼻(부멸비) : '서부멸비'는

乘剛也(승강야) : 굳셈을 탐이라.

六三(육삼) : 육삼은

噬腊肉遇毒(서석육우독) : 말린 고기를 씹다가 독을 만나니,

小吝无咎(소린무구) : 조금 인색하나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遇毒位不當也(우독위불당야) : '우독'은 자리가 마땅치 않음이라.

 

九四(구사) : 구사는

噬乾得金矢(서건득김시) : 마른 고기를 씹다가 금과 화살을 얻으나,

利艱貞吉(이간정길) : 어렵고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 길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利艱貞吉(이간정길) : '이간정길'은

未光也(미광야) : 빛나지 못함이라.

 

六五(육오) : 육오는

噬乾肉得黃金(서건육득황김) : 마른 고기를 씹어서 황금을 얻으니,

貞厲无咎(정려무구) : 바르고 위태하게 하면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貞厲无咎(정려무구) : '정려무구'는

得當也(득당야) : 마땅함을 얻음이라.

 

上九(상구) : 상구는

何校滅耳凶(하교멸이흉) : 형틀을 매어서 귀를 멸하니, 흉토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何校滅耳(하교멸이) : '하교멸이'는

聰不明也(총부명야) : 귀밝음이 밝지 못함이라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21화뢰서합火雷噬嗑?category=343349 [빈막(賓幕)]

 

21_화뢰서합(火雷噬嗑)

음양오행의 원리_주역/역경(周易/易經)                    21_화뢰서합(火雷噬嗑) 噬嗑亨(서합형) : 서합은 형통하니 利用獄(이용옥) : 감옥을 씀이 이로우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

hwalove.tistory.com

 

 

 

 

  20_풍지관(風地觀)

 

觀盥而不薦(관관이부천) : <관>은 세수를 하고 제사를 올리지 아니하면,

有孚顒若(유부옹약) : 믿음을 두어서 우러러 보리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大觀在上(대관재상) : 크게 봄으로 위에 있어서,

順而巽(순이손) : 순해서 겸손하고,

中正以觀天下(중정이관천하) : 중정으로 천하를 봄이니,

觀盥而不薦有孚顒若下(관관이부천유부옹약하) : '관관이부천유부옹약'은

觀而化也(관이화야) : 천하의 인민이 보아서 교화된다.

 

觀天之神道(관천지신도) : 하늘의 신비한 도를 봄에

而四時不忒(이사시부특) : 사시가 어긋나지 아니하니,

聖人以神道設敎(성인이신도설교) : 성인이 신비한 도로써 가르침을 베풂에

而天下服矣(이천하복의) : 천하가 복종하느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風行地上觀(풍행지상관) : 바람이 땅위를 지나는 것이 관괘의 상이니

先王以省方觀民設敎(선왕이성방관민설교) :
선왕이 이로써 방소를 살피고 백성을 살펴서 가르침을 베푸느니라.

 

初六(초육) : 초육은

童觀(동관) : 아이의 봄이니,

小人无咎(소인무구) : 소인은 허물이 없고

君子吝(군자인) : 군자는 인색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初六童觀(초육동관) : '초육동관'은

小人道也(소인도야) : 소인의 도라.

 

六二(육이) : 육이는

窺觀(규관) : 엿보는 것이니,

利女貞(이여정) : 여자의 바름이 이로우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窺觀女貞(규관여정) : '규관여정'이

亦可醜也(역가추야) : 또한 추함이라.

 

六三(육삼) : 육삼은

觀我生進退(관아생진퇴) : 나의 생김새를 보아서 나아가고 물러나도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觀我生進退(관아생진퇴) : '관아생진퇴'하니

未失道也(미실도야) : 도를 잃지 아니함이라.

 

六四(육사) : 육사는

觀國之光(관국지광) : 나라의 빛을 봄이니,

利用賓于王(이용빈우왕) : 왕에게 손님대접을 받는 것이 이로우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觀國之光尙賓也(관국지광상빈야) : '관국지광'은 손님을 숭상함이라.

 

九五(구오) : 구오는

觀我生(관아생) : 나의 생김새를 보되,

君子无咎(군자무구) : 군자면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觀我生觀民也(관아생관민야) : '관아생'은 백성을 봄이라.

 

上九(상구) : 상구는

觀其生(관기생) : 그 생김새를 보되,

君子无咎(군자무구) : 군자면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觀其生(관기생) : '관기생'은

志未平也(지미평야) : 뜻이 평안치 않음이라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20풍지관風地觀?category=343349 [빈막(賓幕)]

 

20_풍지관(風地觀)

음양오행의 원리_주역/역경(周易/易經)                    20_풍지관(風地觀) 觀盥而不薦(관관이부천) : <관>은 세수를 하고 제사를 올리지 아니하면, 有孚顒若(유부옹약) : 믿음을 두어

hwalove.tistory.com

 

 

 

19_지택임(地澤臨)

 

臨元亨(임원형) : 임은 크게 형통하고

利貞(이정) :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

至于八月(지우팔월) : 8월에 이르러선

有凶(유흉) : 흉함이 있으리라.

 

彖曰(단왈) : 단에 가로되

臨剛浸而長(임강침이장) : 임은 강이 차츰차츰 길어지며,

說而順(열이순) : 기뻐하고 순응하며,

剛中而應(강중이응) : 강이 가운데하고 응해서,

大亨以正(대형이정) : 크게 형통하고 바르니

天之道也(천지도야) : 하늘의 도라.

 

至于八月有凶(지우팔월유흉) : '至于八月有凶'은

消不久也(소부구야) : 사라져서 오래하지 못한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澤上有地臨(택상유지임) : 못 위에 땅이 있는 것이 <임>이니,

君子以敎思无窮(군자이교사무궁) : 군자가 이로써 가르치는 생각이 다함이 없으며,

容保民无疆(용보민무강) : 백성을 용납해서 보전함이 지경이 없느니라.

 

初九(초구) : 초구는

咸臨(함림) : 느껴서 임함이니

貞吉(정길) : 바르게 해야 길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咸臨貞吉(함림정길) : '함림정길'은

志行正也(지행정야) : 뜻이 바름을 행함이라.

 

九二(구이) : 구이는

咸臨(함림) : 느껴서 임함이니

吉无不利(길무부리) : 길해서 이롭지 않음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咸臨吉无不利(함림길무부리) : '함림길무부리'는

未順命也(미순명야) : 명에 순응함만은 아님이라.

 

六三(육삼) : 육삼은

甘臨无攸利(감림무유리) : 달게 임함이라 이로운 바가 없으니,

旣憂之无咎(기우지무구) : 이미 근심함이라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甘臨位不當也(감림위불당야) : '감림'은 자리가 마땅치 아니함이요,

旣憂之咎不長也(기우지구불장야) : 이미 근심하니 허물이 오래하지 않으리라.

 

六四(육사) : 육사는

至臨无咎(지림무구) : 지극하게 임함이니 허물이 없느니라.

 

象曰(상왈) :

至臨无咎(지림무구) : 상에 이르기를 '지림무구'는

位當也(위당야) : 자리가 마땅함이라.

 

六五(육오) : 육오는

知臨(지림) : 앎으로 임함이니

大君之宜吉(대군지의길) : 대군의 마땅함이니 길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大君之宜(대군지의) : '대군지의'는

行中之謂也(행중지위야) : 중을 행함을 이름이라.

 

上六(상육) : 상육은

敦臨(돈림) : 돈독하게 임함이니,

吉无咎(길무구) : 길해서 허물이 없느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敦臨之吉(돈림지길) : '돈림지길'은

志在內也(지재내야) : 뜻이 안에 있음이라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19지택임地澤臨?category=343349 [빈막(賓幕)]

 

19_지택임(地澤臨)

음양오행의 원리_주역/역경(周易/易經)                    19_지택임(地澤臨) 臨元亨(임원형) : 임은 크게 형통하고 利貞(이정) :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 至于八月(지우팔월) : 8월에

hwalove.tistory.com

 

 

     18_산풍고(山風蠱)

 

蠱元亨(고원형) : 고는 크게 형통하니,

利涉大(이섭대) : 큰 내를 건너는 것이 이로우니,

先甲三日(선갑삼일) : 갑으로 먼저 삼일하며

後甲三日(후갑삼일) : 갑으로 뒤에 삼일이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蠱剛上而柔下(고강상이유하) : <고>는 <강이> 위에 하고 <유가> 아래하고,

巽而止蠱(손이지고) : 겸손해서 그침이 <고>이라.

蠱元亨(고원형) : 고가 크게 형통해서

而天下治也(이천하치야) : 천하가 다스려짐이요,

利涉大川往有事也(이섭대천왕유사야) : '이섭대천'은 가서 일을 둠이요,

先甲三日後甲三日(선갑삼일후갑삼일) : '선갑삼일후갑삼일'은

終則有始天行也(종칙유시천행야) : 마치면 곧 비롯함이 있음이 하늘의 행함이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山下有風蠱(산하유풍고) : 산 아래 바람이 있는 것이 고괘의 괘상이니,

君子以振民育德(군자이진민육덕) : 군자가 이로써 백성을 진작시키며 덕을 기르느니라.

 

初六(초육) : 초육은

幹父之蠱(간부지고) : 아비의 고를 주장함이니

有子考无咎(유자고무구) : 자식이 있으면 죽은 아비가 허물이 없으리니,

厲終吉(려종길) : 위태하였다가 마침내 길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幹父之蠱(간부지고) : '간부지고'는

意承考也(의승고야) : 뜻이 죽은 아비를 이음이라.

 

九二(구이) : 구이는

幹母之蠱(간모지고) : 어미의 일을 주장함이니

不可貞(불가정) : 가히 바르게 못하느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幹母之蠱(간모지고) : '간모지고'는

得中道也(득중도야) : 중도를 얻음이라.

 

九三(구삼) : 구삼은

幹父之蠱(간부지고) : 아비의 <고>를 주장함이니,

小有悔无大咎(소유회무대구) : 조금 후회가 있으나 크게 허물은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幹父之蠱終无咎也(간부지고종무구야) : '간부지고'는 마침내 허물이 없음이라.

 

六四(육사) : 육사는

裕父之蠱(유부지고) : 아비의 <고>를 너그럽게 함이니

往見吝(왕견린) : 가면 인색함을 보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裕父之蠱(유부지고) : '유부지고'는

往未得也(왕미득야) : 감에 얻지 못함이라.

 

六五(육오) : 육오는

幹父之蠱(간부지고) : 아비의 <고>를 주장함이니,

用譽(용예) : 그러므로써 명예로우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幹父用譽(간부용예) : '간부용예'는

承以德也(승이덕야) : 이음으로서 덕스러운 것이라.

 

上九(상구) : 상구는

不事王侯(부사왕후) : 왕과 제후를 섬기지 아니하고,

高尙其事(고상기사) : 그 일을 높이 숭상하도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不事王侯(부사왕후) : '부사왕후'는

志可則也(지가칙야) : 뜻이 가히 본받을만 함이라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18산풍고山風蠱?category=343349 [빈막(賓幕)]

 

18_산풍고(山風蠱)

음양오행의 원리_주역/역경(周易/易經)                    18_산풍고(山風蠱) 蠱元亨(고원형) : 고는 크게 형통하니, 利涉大(이섭대) : 큰 내를 건너는 것이 이로우니, 先甲三日(선갑삼

hwalove.tistory.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