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_이위화(離爲火)

 

離利貞(리이정) : <離>는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

亨畜牝牛吉(형축빈우길) : 형통하니, 암소를 기르면 길하리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離麗也(리려야) : <離>는 걸림이니,

日月麗乎天(일월려호천) : 해와 달이 하늘에 걸리며

百穀草木麗乎土(백곡초목려호토) : 백곡과 초목이 땅에 걸리니,

重明以麗乎正(중명이려호정) : 거듭 밝음으로써 바른 데 걸려

乃化成天下(내화성천하) : 이에 천하를 화하여 이루느니라.

柔麗乎中正故亨(유려호중정고형) : 부드러운 것이 中正에 걸린 까닭에 형통하니,

是以畜牝牛吉也(시이축빈우길야) : 이로써 암소를 기르면 길함이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明兩作離(명량작리) : 밝은 것 둘이 <리>를 지었으니

大人以繼明(대인이계명) : 대인이 이로써 밝은 것을 이어서

照于四方(조우사방) : 사방에 비추느니라.

 

初九(초구) : 초구는

履錯然(리착연) : 밟는 것이 섞이니

敬之无咎(경지무구) : 공경하면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履錯之敬(이착지경) : '이착지경'은

以避咎也(이피구야) : 허물을 피함이라.

 

六二(육이) : 육이는

黃離元吉(황리원길) : 누런 <離>니 크게 길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黃離元吉(황리원길) : '황리원길'은

得中道也(득중도야) : 중정을 얻음이라.

 

九三(구삼) : 구삼은

日仄之離(일측지리) : 해가 기울어져 걸림이니,

不鼓缶而歌(부고부이가) : 장구를 두드리고 노래하지 아니하면

則大耊之嗟凶(즉대질지차흉) : 즉 큰 노인이 슬퍼함이라 흉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日仄之離(일측지리) : '일측지리'가

何可久也(하가구야) : 어찌 가히 오래하리오.

 

九四(구사) : 구사는

突如其來如(돌여기래여) : 돌연히 그 오는 것이라.

焚如死如棄如(분여사여기여) : 불사르니 죽이며 버리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突如其來如(돌여기래여) : '돌여기래여'는

无所容也(무소용야) : 용납할 바가 없느니라.

 

六五(육오) : 육오는

出涕沱若(출체타약) : 눈물 나옴이 물흐르는 듯하며

戚嗟若吉(척차약길) : 슬퍼서 슬퍼하니 길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六五之吉(육오지길) : '육오지길'은

離王公也(리왕공야) : 왕공에 걸림이라.

 

上九(상구) : 상구는

王用出征有嘉(왕용출정유가) : 왕이 나가서 치면 아름다움이 있으리니,

折首獲匪其醜无咎(절수획비기추무구) :
머리를 끊고 얻는 것이 그 동류가 아니면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王用出征(왕용출정) : '왕용출정'은

以正邦也(이정방야) : 나라를 바로 함이라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30이위화離爲火?category=343349 [빈막(賓幕)]

 

 

 

  29_감위수(坎爲水)

 

習坎(습감) : 習坎은

有孚維心亨(유부유심형) : 믿음이 있어서 오직 마음이 형통하리니,

行有尙(행유상) : 행하면 숭상함이 있으리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習坎重險也(습감중험야) : 습감은 거듭 험한 것이니,

水流而不盈(수류이부영) : 물이 흘러서 차지(盈) 아니하며

行險而不失其信(행험이부실기신) : 험한데 행해도 그 믿음을 잃지 아니하니

維心亨乃以剛中也(유심형내이강중야) : '유심형'은 이에 <강>으로써 중정함이요

行有尙往有功也(행유상왕유공야) : '행유상'은 가서 공이 있음이라.

天險(천험) : 하늘의 험한 것은

不可升也(부가승야) : 가히 오르지 못함이요,

地險山川丘陵也(지험산천구릉야) : 땅의 험한 것은 산과 내와 구릉이니,

王公設險(왕공설험) : 왕공이 험한 것을 베풀어서

以守其國(이수기국) : 그 나라를 지키나니,

險之時用大矣哉(험지시용대의재) : <험>의 때와 씀이 크도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水洊至習坎(수천지습감) : 물이 거듭 이르는 것이 습감괘의 괘상이니

君子以常德行(군자이상덕행) : 군자가 이로써 덕행을 떳떳하게 하며

習敎事(습교사) : 가르치는 일을 익히느니라.

 

初六(초육) : 초육은

習坎入于坎窞凶(습감입우감담흉) : 습감에 구덩이에 들어감이니 흉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習坎入坎(습감입감) : '습감입감'은

失道凶也(실도흉야) : 도를 잃음이라. 흉하니라.

 

九二(구이) : 구이는

坎有險(감유험) : <감>에 <험>함이 있으나

求小得(구소득) : 구하는 것을 조금 얻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求小得(구소득) : '구소득'은

未出中也(미출중야) : 가운데에서 나가지 않음이라.

 

六三(육삼) : 육삼은

來之坎坎(래지감감) : 오고 감에 구덩이와 구덩이며,

險且枕(험차침) : 험한데에 또 베개하여

入于坎窞(입우감담) : 구덩이에 들어감이니,

勿用(물용) : 쓰지 말지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來之坎坎(래지감감) : '래지감감'은

終无功也(종무공야) : 마침내 공이 없으리라.

 

六四(육사) : 육사는

樽酒簋貳用缶(준주궤이용부) : 동이술과 대그릇 둘을 질그릇에 쓰고,

納約自牖(납약자유) : 간략하게 드리되 바라지 창문으로부터 하면,

終无咎(종무구) : 마침내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樽酒簋貳(준주궤이) : '준주궤이'는

剛柔際也(강유제야) : <강>과 <유>가 사귐이라.

 

 

九五(구오) : 구오는

坎不盈(감부영) : <감>에 차지 아니하니,

祗旣平无咎(지기평무구) : 이미 평평한데 이르면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坎不盈(감부영) : '감부영'은

中未大也(중미대야) : 가운데가 크지 않음이라.

 

 

上六(상육) : 상육은

係用徽于叢棘(계용휘우총극) : 매는 데 노끈을 써서 가시덩쿨에 두어서

三歲不得凶(삼세불득흉) : 삼년이라도 얻지 못하니 흉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上六失道(상육실도) : '上六失道'은

凶三歲也(흉삼세야) : 그 흉함이 삼세리라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29감위수坎爲水?category=343349 [빈막(賓幕)]

 

29_감위수(坎爲水)

음양오행의 원리_주역/역경(周易/易經)                    29_감위수(坎爲水) 習坎(습감) : 習坎은 有孚維心亨(유부유심형) : 믿음이 있어서 오직 마음이 형통하리니, 行有尙(행유상) :

hwalove.tistory.com

 

 

28_택풍대과(澤風大過)

 

大過棟橈(대과동요) : <대과>는 기둥이 흔들리니,

利有攸往亨(이유유왕형) : 갈 바를 둠이 이로와서 형통하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大過大者過也(대과대자과야) : '大過'는 큰 것이 지나침이요,

棟橈本末弱也(동요본말약야) : '동요'는 본말이 약한 것이다.

剛過而中(강과이중) : 강한 것이 지나치되 중정하고,

巽而說行(손이열행) : 겸손하고 기쁨으로 행함이라.

利有攸往乃亨(이유유왕내형) : 가는 바를 둠이 이로와서 이에 형통하니,

大過之時大矣哉(대과지시대의재) : 대과의 때가 크도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澤滅木大過(택멸목대과) : 못이 나무를 없애는 것이 <대과>니,

君子以獨立不懼(군자이독립부구) : 군자가 홀로 서도 두려워 하지 않으며

遯世无悶(둔세무민) : 세상을 멀리해도 민망하게 여기지 않느니라.

 

初六(초육) : 초육은

藉用白茅无咎(자용백모무구) : 자리를 까는데 흰 띠풀을 쓰니 허물이 없느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藉用白茅(자용백모) : '자용백모'는

柔在下也(유재하야) : 부드러운 것이 아래에 있음이라.

 

九二(구이) : 구이는

枯楊生(고양생) : 마른 버들이 싹이 나며

老夫得其女妻(노부득기여처) : 늙은 지아비가 그 처를 얻으니,

无不利(무부리) : 이롭지 않음이 없느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老夫女妻(노부여처) : '노부여처'는

過以相與也(과이상여야) : 지나침으로써 함께 하느니라.

 

九三(구삼) : 구삼은

棟橈凶(동요흉) : 기둥이 흔들리니 흉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棟橈之凶(동요지흉) : '동요지흉'은

不可以有輔也(부가이유보야) : 가히 도움이 있지 않음이라.

 

九四(구사) : 구사는

棟隆吉(동륭길) : 기둥이 높아짐이니 길하거니와

有宅吝(유댁인) : 다른 것을 두면 인색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棟隆之吉(동륭지길) : '동륭지길'은

不橈乎下也(부요호하야) : 아래에 흔들리지 아니함이라.

 

九五(구오) : 구오는

枯楊生華(고양생화) : 마른 버들이 꽃이 나며

老婦得其士夫(노부득기사부) : 늙은 지어미가 그 젊은 남자를 얻으니,

无咎无譽(무구무예) : 허물은 없으나 기림도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枯楊生華(고양생화) : '고양생화'가

何可久也(하가구야) : 어찌 가히 오래갈 것이며,

老婦士夫(노부사부) : '노부사부'가

亦可醜也(역가추야) : 또한 추한 것이다.

 

上六(상육) : 상육은

過涉滅頂(과섭멸정) : 지나치게 건너다 이마를 멸함이라

凶无咎(흉무구) : 흉하니, 허물할 데가 없느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過涉之凶(과섭지흉) : '과섭지흉'은

不可咎也(부가구야) : 허물할 수가 없느니라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28택풍대과澤風大過?category=343349 [빈막(賓幕)]

 

28_택풍대과(澤風大過)

음양오행의 원리_주역/역경(周易/易經)                    28_택풍대과(澤風大過) 大過棟橈(대과동요) : <대과>는 기둥이 흔들리니, 利有攸往亨(이유유왕형) : 갈 바를 둠이 이로와서 형

hwalove.tistory.com

 

 

  27_산뢰이(山雷頤)

 

頤貞吉(이정길) : <이> 는 바르면 길하니,

觀頤自求口實(관이자구구실) : 기르며 스스로 입의 실상을 구하는 것을 본다.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頤貞吉(이정길) : '이정길'은

養正則吉也(양정칙길야) : 바른 것을 기르면 길하니

觀頤觀其所養也(관이관기소양야) : '관이'는 그 기르는 바를 보는 것이요,

自求口實(자구구실) : '자구구실'은

觀其自養也(관기자양야) : 그 스스로 기르는 것을 보는 것이라.


天地養萬物(천지양만물) : 천지가 만물을 기르며

聖人養賢(성인양현) : 성인이 어진 이를 길러서

以及萬民(이급만민) : 만민에게 미치니,

頤之時大矣哉(이지시대의재) : 기르는 때가 큼이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山下有雷頤(산하유뢰이) : 산 아래에 우뢰가 있는 것이 이괘의 상이니

君子以愼言語(군자이신언어) : 군자가 이로써 언어를 삼가하며

節飮食(절음식) : 음식을 절도있게하느니라.

 

初九(초구) : 초구는

舍爾靈龜(사이영귀) : 너의 신령한 거북이를 버리고

觀我朶頤凶(사이영귀관아타이흉) : 나를 보고서 턱을 벌리니, 흉하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觀我朶頤(관아타이) : '관아타이'하니

亦不足貴也(역불족귀야) : 또한 족히 귀하지 못하도다.

 

 

六二(육이) : 육이는

顚頤拂經(전이불경) : 엎어진 턱이라 법도를 거스르니,

于丘頤征凶(우구이정흉) : 언덕에 기르려 해서 가면 흉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六二征凶(육이정흉) : '육이정흉'은

行失類也(행실류야) : 행함이 같은 무리를 잃음이라.

 

六三(육삼) : 육삼은

拂頤貞凶(불이정흉) : <이> 의 바름을 거스르치니 흉하다

十年勿用(십년물용) : 십년을 쓰지 말지니라

无攸利(무유리) : 이로울 바가 없느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十年勿用(십년물용) : '십년물용'은

道大悖也(도대패야) : 도가 크게 패함이라.

 

六四(육사) : 육사는

顚頤吉(전이길) : 순서에 위배되나 길하니,

虎視耽耽(호시탐탐) : 호랑이가 탐탐히 보며

其欲逐逐无咎(기욕축축무구) : 그 하고자 함이 쫓고 쫓고자 하면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顚頤之吉(전이지길) : '전이지길'은

上施光也(상시광야) : 위에서 베풂이 빛남이라.

 

六五(육오) : 육오는

拂經居貞吉(불경거정길) : 법을 거스리나, 바른 데 거하면 길하려니와

不可涉大川(부가섭대천) : 큰 내를 건널 수는 없느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居貞之吉(거정지길) : '거정지길'은

順以從上也(순이종상야) : 순함으로써 위를 좇음이라.

 

上九(상구) : 상구는

由頤厲吉(유이려길) : 말미암음 이니, 위태롭게 여기면 길하니,

利涉大川(이섭대천) : 큰 내를 건넘이 이로우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由頤厲吉(유이려길) : '유이려길'은

大有慶也(대유경야) : 큰 경사가 있음이라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27산뢰이山雷頤?category=343349 [빈막(賓幕)]

 

27_산뢰이(山雷頤)

음양오행의 원리_주역/역경(周易/易經)                    27_산뢰이(山雷頤) 頤貞吉(이정길) : <이> 는 바르면 길하니, 觀頤自求口實(관이자구구실) : 기르며 스스로 입의 실상을

hwalove.tistory.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