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_산천대축(山川大畜)

 

大畜利貞

(대축이정) : 대축은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

不家食吉

(부가식길) : 집에서 먹지 아니하면 길하니

利涉大川

(이섭대천) : 큰 내을 건넘이 이로우니라.

 

彖曰

(단왈) : 단에 이르기를

大畜

(대축) : 대축은

剛健篤實輝光

(강건독실휘광) : 강건하고 독실하고 빛나서

日新其德

(일신기덕) : 날로 그 덕을 새롭게 함이니,

剛上而尙賢

(강상이상현) : <강>이 올라가서 어진 이를 숭상하고,

能止健大正也

(능지건대정야) : 능히 굳건함을 그치게하니 크게 바름이라.

不家食吉

(부가식길) : '부가식길'은

養賢也

(양현야) : 어진 이를 기름이요,

利涉大川

(이섭대천) : '이섭대천'은

應乎天也

(응호천야) : 하늘에 응함이라.

 

象曰

(상왈) : 상에 이르기를

天在山中大畜

(천재산중대축) : 하늘이 산 가운데 있음이 <대축>이니

君子以多識前言往行以畜其德

(군자이다식전언왕행이축기덕) :

군자가 앞의 말과 간 행실을 많이 알아서 그 덕을 쌓느니라.

 

初九(초구) : 초구는

有利已(유이이) : 위태로움이 있으리니 그침이 이로우니라.

 

象曰

(상왈) : 상에 이르기를

有厲利已

(유려이이) : '유려이이'는

不犯災也

(부범재야) : 재앙을 범치 아니함이라.

 

九二

(구이) : 구이는

輿說輹

(여설복) : 수레의 바퀴살을 벗기도다.

 

象曰

(상왈) : 상에 이르기를

輿說輹中

(여설복중) : '여설복'은 중정함이라.

无尤也

(무우야) : 허물이 없느니라.

 

九三

(구삼) : 구삼은

良馬逐

(양마축) : 좋은 말로 쫓아감이니,

利艱貞

(이간정) :어렵게 하고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

日閑輿衛

(일한여위) : 날로 수레와 호위를 익히면

利有攸往

(이유유왕) : 가는 바를 둠이 이로우리라.

 

象曰

(상왈) : 상에 이르기를

利有攸往

(이유유왕) : '이유유왕'은

上合志也

(상합지야) : 위가 뜻을 합이다.

 

六四

(육사) : 육사는

童牛之梏

(동우지곡) : 어린 소의 뿔이니,

元吉

(원길) : 크게 길하니라.

 

象曰

(상왈) : 상에 이르기를

六四元吉

(육사원길) : '육사원길'은

有喜也

(유희야) : 기쁨이 있음이라.

 

六五

(육오) : 육오는

豶豕之牙吉

(분시지아길) : 불알 깐 돼지의 어금니니 길하니라.

 

象曰

(상왈) : 상에 이르기를

六五之吉

(육오지길) : '육오지길'은

有慶也

(유경야) : 경사가 있음이라.

 

上九

(상구) : 상구는

何天之衢亨

(하천지구형) : 어찌하여 하늘에 거니는가, 형통하다.

 

象曰

(상왈) : 상에 이르기를

何天之衢

(하천지구) : '하천지구'는

道大行也

(도대행야) : 도가 크게 행함이라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26산천대축山川大畜?category=343349 [빈막(賓幕)]

 

26_산천대축(山川大畜)

음양오행의 원리_주역/역경(周易/易經)                    26_산천대축(山川大畜) 大畜利貞(대축이정) : 대축은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 不家食吉(부가식길) : 집에서 먹지 아니하면 길

hwalove.tistory.com

 

 

 

 

  24_지뢰복(地雷復)

 

復亨(부형) : 복은 형통하니,

出入无疾(출입무질) : 출입에 병이 없어서

朋來无咎(붕래무구) : 벗이 와야 허물이 없으리라.

 

反復其道(반부기도) : 그 도를 반복해서

七日來復(칠일래복) : 7일에 와서 회복하니,

利有攸往(이유유왕) : 갈 바를 둠이 이로우니라.

 

彖曰(단왈) : 단에 가로되

復亨剛反(부형강반) : '부형'은 <강>이 돌아옴이니,

動而以順行(동이이순행) : 움직여 순응함으로써 행함이라

是以出入无疾朋來无咎(시이출입무질붕래무구) : 이로써 '출입질붕래구구'니라.

 

反復其道七日來復(반부기도칠일래복) : '반부기도칠일래복'은

天行也(반부기도칠일래부천행야) : 하늘의 행함이요,

利有攸往(이유유왕) : '이유유왕'은

剛長也(이유유왕강장야) : <강>이 자라나는 것이니,

復其見天地之心乎(부기견천지지심호) : <부>에 그 천지의 마음을 볼진져

 

象曰(상왈) : 상에 가로되

雷在地中復(뇌재지중복) : 우뢰가 땅 가운데 있는 것이 복괘의 괘상이니,

先王以(선왕이) : 선왕이 이를 본받아서

至日閉關(지일폐관) : 동짓날에 관문을 닫아

商旅不行(상려부행) : 장사와 여행을 행하지 못하게 하며,

后不省方(후부성방) : 임금이 방소를 살피지 아니하니라.

 

初九(초구) : 초구는

不遠復(부원복) : 머지 않아 회복함이라.

无祗悔(무지회) : 뉘우치는데 이르지 아니하니

元吉(원길) : 크게 선하고 길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되

不遠之復(부원지부) : '부원지복'은

以脩身也(이수신야) : 몸을 닦음으로써라.

 

六二(육이) : 육이는

休復吉(휴부길) : 아름답게 회복함이니 길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되

休復之吉(휴부지길) : '휴부지길'은

以下仁也(이하인야) : 아래가 어짊으로써라.

 

六三(육삼) : 육삼은

頻復(빈복) : 자주 회복함이니,

厲无咎(려무구) : 위태하나 허물은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되

頻復之厲(빈부지려) : '빈부지려'는

義无咎也(의무구야) : 의리가 허물이 없음이라.

 

六四(육사) : 육사는

中行獨復(중행독부) : 중으로 행하되 홀로 회복하도다.

 

象曰(상왈) : 상에 가로되

中行獨復(중행독부) : '중행독복'은

以從道也(이종도야) : 도를 좇음으로써라.

 

六五(육오) : 육오는

敦復无悔(돈복무회) : 돈독하게 회복함이니 후회가 없느니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되

敦復无悔(돈부무회) : '돈부무회'는

中以自考也(중이자고야) : 중으로써 스스로 이룸이라.

 

上六(상육) : 상육은

迷復凶(미부흉) : 아득하게 회복함이라 흉하니,

有災用行師(유재용행사) : 재앙이 있어서 군사를 쓰면

終有大敗(종유대패) : 마침내 크게 패하고,

以其國君凶(이기국군흉) : 그 나라로써 하면 임금이 흉하여

至于十年不克征(지우십년부극정) : 10년에 이르도록 능히 가지 못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되

迷復之凶(미복지흉) : '미부지흉'은

反君道也(반군도야) : 임금의 도에 반함이라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24지뢰복地雷復?category=343349 [빈막(賓幕)]

 

24_지뢰복(地雷復)

음양오행의 원리_주역/역경(周易/易經)                    24_지뢰복(地雷復) 復亨(부형) : 복은 형통하니, 出入无疾(출입무질) : 출입에 병이 없어서 朋來无咎(붕래무구) : 벗이 와야 허

hwalove.tistory.com

 

 

23_산지박(山地剝)

 

剝不利有攸往(박부리유유왕) : <박>은 가는 바를 둠이 이롭지 아니하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剝剝也(박박야) : <박>은 깎는 것이니,

柔變剛也(유변강야) : <유>가 <강>을 변하게 함이니,

 

不利有攸往(부리유유왕) : 가는 바를 둠이 이롭지 않음은

小人長也(소인장야) : 소인이 성장이라.

 

順而止之觀象也(순이지지관상야) : 순하여 그침은 <상>을 봄이니,

君子尙消息盈虛天行也(군자상소식영천행야허) :
군자가 사라지고 불어나고 차고 비는 하늘의 행함을 숭상함이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山附於地剝(산부어지박) : 산이 땅에 붙은 것이 박괘의 괘상이니

上以厚下安宅(상이후하안택) : 상이 이를 본받아서 아래를 후하게하여 집을 편안히 한다.

 

初六(초육) : 초육은

剝牀以足(박상이족) : 상을 깎되 다리로써 함이니,

蔑貞凶(멸정흉) : 바른 것을 멸함이라. 흉하도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剝牀以足(박상이족) : '박상이족'은

以滅下也(이멸하야) : 아래를 멸함으로써라.

 

六二(육이) : 육이는

剝牀以辨(박상이변) : 상을 깎되 언저리로써 함이니,

蔑貞凶(멸정흉) : 바른 것을 없앰이라. 흉하도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剝牀以辨(박상이변) : '박상이변'은

未有與也(미유여야) : 더불음이 있지 아니함이라.

 

六三(육삼) : 육삼은

剝之无咎(박지무구) : 깎음에 허물이 없느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剝之无咎(박지무구) : '박지무구'는

失上下也(실상하야) : 상과 하를 잃음이라.

 

六四(육사) : 육사는

剝牀以膚凶(박상이부흉) : <상>을 깎되 살(피부)로써 함이니 흉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剝牀以膚(박상이부) : '박상이부'는

切近災也(절근재야) : 절박하게 재앙에 가까이 있음이라.

 

六五(육오) : 육오는

貫魚以宮人寵(관어이궁인총) : 고기를 꿰어서 궁인의 사랑으로써 하면,

无不利(무부리) : 이롭지 않음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以宮人寵(이궁인총) : '이궁인총'은

終无尤也(종무우야) : 마침내 허물이 없으리라.

 

上九(상구) : 상구는

碩果不食(석과부식) : 큰 열매는 먹지 아니함이니,

君子得輿(군자득여) : 군자는 수레를 얻고

小人剝廬(소인박려) : 소인은 집을 깎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君子得輿(군자득여) : '군자득여'는

民所載也(민소재야) : 백성을 실음이요,

小人剝廬(소인박려) : '소인박려'는

終不可用也(종부가용야) : 마침내 쓰지 못함이라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23산지박山地剝?category=343349 [빈막(賓幕)]

 

23_산지박(山地剝)

음양오행의 원리_주역/역경(周易/易經)                    23_산지박(山地剝) 剝不利有攸往(박부리유유왕) : <박>은 가는 바를 둠이 이롭지 아니하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hwalove.tistory.com

 

 

22_산화비(山火賁)

 

賁亨(분형) : <비>는 형통하니,

小利有攸往(소리유유왕) : 가는 바가 있음이 조금 이로우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賁亨柔來(분형유래) : <분형>은 <유>가 와서

而文剛故亨(이문강고형) : <강>을 무늬하는 까닭에 형통하고,

分剛上而文柔故(분강상이문유고) : <강>을 나누어 올라가서 <유>를 무늬하는 까닭에

小利有攸往天文也(소리유유왕천문야) : 가는 바를 가짐이 조금 이로우니 천문이요,

文明以止人文也(문명이지인문야) : 문명해서 그치니 인문이고

觀乎天文以察時變(관호천문이찰시변) : 천문을 보아서 때의 변화를 살피며,

觀乎人文以化成天下(관호인문이화성천하) : 인문을 살펴서 천하를 화하여 이루느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山下有火賁(산하유화분) : 산아래 불이 있는 것이 분괘의 상이니,

君子以明庶政(군자이명서정) : 군자가 이로써 뭇 정사를 밝히되

敢折獄(감절옥) : 감히 옥을 판단함이 없느니라.

 

初九(초구) : 초구는

賁其趾(분기지) : 그 발을 꾸밈이니,

舍車而徒(사거이도) : 수레를 버리고 걷도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舍車而徒(사거이도) : '사거이도'는

義弗乘也(의불승야) : 의리가 타지 못함이라.

 

六二(육이) : 육이는

賁其須(분기수) : 그 수염을 꾸밈이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賁其須(분기수) : '분기수'는

與上興也(여상흥야) : 위와 더불어 일어남이라.

 

九三(구삼) : 구삼은

賁如濡如(분여유여) : 빛나고 윤택하니

永貞吉(영정길) : 오래도록 바르게 하면 길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永貞之吉(영정지길) : '영정지길'은

終莫之陵也(종막지능야) : 마침내 능멸하지 못하니라.

 

六四(육사) : 육사는

賁如皤如(분여파여) : 빛나고 희며

白馬翰如(백마한여) : 흰말이 나니,

匪寇婚媾(비구혼구) : 도적이 아니면 청혼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六四當位疑也(육사당위의야) : 육사는 당위를 의심함이니,

匪寇婚媾(비구혼구) : '비구혼구'는

終无尤也(종무우야) : 마침내 허물이 없음이라.

 

六五(육오) : 육오는

賁于丘園(분우구원) : 동산에 빛남이니,

束帛孱孱吝終吉(속백잔잔인종길) : 비단 묶음이 작으면 인색하나 마침내 길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六五之吉(육오지길) : '육오지길'은

有喜也(유희야) : 기쁨이 있음이라.

 

上九(상구) : 상구는

白賁无咎(백분무구) : 희게 빛나면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白賁无咎(백분무구) : '백분무구'는

上得志也(상득지야) : 위에서 뜻을 얻음이라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22산화비山火賁?category=343349 [빈막(賓幕)]

 

22_산화비(山火賁)

음양오행의 원리_주역/역경(周易/易經)                    22_산화비(山火賁) 賁亨(분형) : <비>는 형통하니, 小利有攸往(소리유유왕) : 가는 바가 있음이 조금 이로우니라. 彖曰(단왈) :

hwalove.tistory.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