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9.명 나라 사람 중 글로 이름을 날린 십대가(十大家)는

공동(崆峒) 이헌길(李獻吉)ㆍ양명(陽明) 왕백안(王伯安)ㆍ형천(荊川) 당응덕(唐應德)ㆍ

좨주(祭酒) 왕윤령(王允寧)ㆍ안찰(按察) 왕신중(王愼中)ㆍ심양(潯陽) 동분(董玢)ㆍ

녹문(鹿門) 모곤(茅坤)ㆍ창명(滄溟) 이반룡(李攀龍)ㆍ봉주(鳳洲) 왕세정(王世貞)ㆍ

남명(南溟) 왕도곤(汪道昆)인데,

이공동(李崆峒)은 오로지 서한(西漢)만 본받고,

왕세정ㆍ이반룡은 난삽한 글귀가 선진(先秦)을 앞지르고자 하고,

왕남명(汪南溟)은 화려하고 건실하며 동분ㆍ모곤은 평이하고 원숙하며,

왕신중은 풍부하다.

그러나 명 나라 사람은 모두 역겹게 여기며 진부하고 속되다고 한다.

나의 의견도 거의 같다.

백안(伯安)은 문(文)을 전공하지 않고 학문으로 시작했기 때문에 박잡함을 면치 못하고,

형천(荊川)은 전아 순실(典雅純實)하여 모두 대가가 될 만하다.

왕원미(王元美)의 무리가 명인(明人)의 문장을 서한(西漢)에 비기고,

이헌길(李獻吉)을 태사공(太史公 사마천을 말함)에게 비기고,

우린(于鱗)은 양자운(揚子雲)에게 비기고,

자기는 사마상여(司馬相如)에게 비겼으니, 그 자기 자랑이 너무도 심하다.

우리나라 김계온(金季昷)ㆍ남지정(南止亭) [지정은 남곤(南袞)의 호]ㆍ김충암(金冲庵 )[충암은 김정(金淨)의 호]ㆍ노소재(盧蘇齋) [소재는 노수신(盧守愼)의 호]의 글은

명 나라 십대가 속에 넣어 동심양(董潯陽)이나 모녹문(茅鹿門)에 비긴다면 그다지 못할 것 없으나 중국에서 팔을 휘두르고 뽐낼 수 없음이 안타깝다.

계온(季昷)의 이름은 종직(宗直), 호는 점필재(佔畢齋)이며, 선산인(善山人)이다. 벼슬은 이조 판서에 이르렀고,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점필재가 제천정운(濟川亭韻)에 차운한 시에,

吹花劈柳半江風 취화벽유반강풍

檣影擔搖背暮鴻 장영담요배모홍

一片鄕心空倚柱 일편향심공의주

白雲飛度酒船中 백운비도주선중

꽃을 흩날리고 버들을 꺾는 반강 바람에

돛그림잔 석양 기러기를 진 채 건드렁거린다

한 조각 고향 생각에 부질없이 기둥에 기대니

흰 구름만 날아서 술 실은 배를 스치는구나

라 하였고, 보천탄즉사(寶川灘卽事)란 시에는,

桃花浪高幾尺許 도화랑고기척허

銀石沒頂不知處 은석몰정불지처

兩兩鸕鶿失舊磯 양양로자실구기

銜魚却入菰蒲去 함어각입고포거

복사꽃 필 때 이는 파도 그 몇 자런가

은빛 바윈 이마까지 묻혀 보이도 않는구나

쌍쌍이 나는 가마우지 옛 놀던 자갈밭 잃고는

물고기 입에 문 채 줄과 부들 속으로 날아드네

라 하였으니, 참 좋다.


68. 명 나라 사람 산동 참의(山東參議) 여민표(黎民表)의 자는 유경(惟敬)인데 시를 잘하였다.

장 시랑의 훌륭한 맏아들 초보(肖甫)에게 부치다[寄張侍郞佳胤肖甫]라는 시는 다음과 같다.

滿目川原百戰餘 만목천원백전여

旅情衰草共蕭疏 여정쇠초공소소

寒山古驛逢秋騎 한산고역봉추기

遠樹殘燈見夜漁 원수잔등견야어

地近瀟湘多暮雨 지근소상다모우

雁來湓浦少鄕書 안내분포소향서

故人政在雲霄外 고인정재운소외

怊悵煙波未定居 초창연파미정거

온 냇벌엔 백 번 이상 싸운 자취

나그네 시름과 이운 풀은 한결같이 스산하다

쓸쓸한 산 오래된 역에선 말탄 가을 손을 만나고

먼 숲과 가물대는 불빛은 밤낚시로다

땅이 소상강에 가깝고 보니 저녁 비는 늘 내리고

분포에 기러기는 온다만 고향 소식 드물구나

벗은 정녕 아득한 하늘가에 있거니

안개 낀 물가에 서글퍼 정처 없어라

이 시가 우리나라에 퍼져서, 《송계만록(松溪漫錄)》에는 나 장원 만화(羅壯元萬化)의 시로 실려 있는데, 글자가 잘못된 것이 많으니, 송계(松溪)는 전하는 사람의 말을 들었을 뿐이기에 착오를 면치 못했던 것이다.

《송계만록》을 참고하건대, 만화(萬化)는 만호(萬湖)라고도 하는데 어떤 것이 옳은지 모르겠다.

의당 다시 상고해야 할 것이다.


67. 강릉부에서 구경할 만한 곳으로는 경포대(鏡浦臺)가 으뜸이요 한송정(寒松亭)이 다음간다.

이곳을 구경하는 사신(使臣)이 하 많은데도, 사람 입에 전파된 가구(佳句)ㆍ경어(警語)가 하나도 없으니, 이 어찌 묘사할 절경(絶景)이 너무나 무궁해서가 아니겠는가.

두로[杜老 두보(杜甫)를 가리킴]나 맹양양[孟襄陽 맹호연(孟浩然)을 말함]이 이 경치를 본다면,

吳楚東南坼 오초동남탁

乾坤日夜浮 건곤일야부

오와 초는 동남으로 트였고

하늘과 땅은 밤낮으로 떠 있도다

라든지, 또

氣蒸雲夢澤 기증운몽택

波撼岳陽城 파감악양성

운몽택엔대기가 찌는 듯하여

파도가 악양성을 뒤흔드네

등의 구절이 반드시 현판에 걸렸을 터인데,

우리나라 인재는 중국에 미치지 못하는 것을 또한 알 만하다.

'한문학 > 학산초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 십대가 & 김종직 /학산초담 69  (0) 2010.04.06
여민표 /학산초담 68  (0) 2010.04.02
강릉의 인재 / 학산초담 66  (0) 2010.03.28
김질충 /학산초담 65  (0) 2010.03.28
여류시인들 & 정철 / 학산초담 64  (0) 2010.03.25


66. 강릉부(江陵府)는 옛 명주(溟州) 땅인데,

산수의 아름답기가 조선[東方]에서 제일이다.

산천이 정기를 모아가지고 있어 이인(異人)이 가끔 나온다.

국초(國初)의 함동원(咸東原)의 사업이 역사에 실려 있고,

참판 최치운(崔致雲) 부자의 문장과 절개가 또한 동원(東原)만 못지 않다.

매월당(梅月堂 김시습(金時習)의 호)은 천고에 동떨어지게 뛰어났으니,

온 천하에 찾아보더라도 참으로 찾아볼 수 없으며,

원정(猿亭) 최수성(崔壽城) 또한 뛰어난 행실로 일컬어지고,

중종조의 어촌(漁村) 심언광(沈彦光)과 최간재(崔艮齋)의 문장이 세상에 유명하다.

요즘 이율곡(李栗谷) 또한 여느 사람과는 다르다.

우리 중씨(仲氏)와 난설헌 또한 강릉의 정기를 받았다 할 수 있다.

현재는 최운보(崔雲溥) 이후에는 등과(登科)한 사람이 없어,

이인(異人)이나 문인[翰士]을 만나기 쉽지 않다.

그런데도 과거한 선비는 전혀 볼 수 없으니,

또한 극히 성했다가는 쇠해지는 것이 만물의 이치인가보다.

동원(東原)의 이름은 부림(傅霖), 호는 난계(蘭溪)이며, 강릉인

인데, 벼슬은 대사헌(大司憲)이고, 시호는 정평(定平)이다.

치운(致雲)의 자는 백경(伯卿), 호는 경호조은(鏡湖釣隱)이며, 강릉인인데, 벼슬은 이조 참판이다.

그의 아들은 이름이 응현(應賢), 자는 보신(寶臣), 호는 수재(睡齋)이며, 벼슬은 대사헌이다.

간재(艮齋)의 이름은 연, 자는 연지(演之)이며, 강릉인인데, 벼슬은 참찬이고 시호는 문양(文襄)이다.

운보(雲溥)의 자는 대중(大仲)인데, 연지의 당질(堂姪)이다. 아버지 해(瀣)는 벼슬이 한림(翰林)이다.

'한문학 > 학산초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민표 /학산초담 68  (0) 2010.04.02
경포대 / 학산초담 67  (0) 2010.04.02
김질충 /학산초담 65  (0) 2010.03.28
여류시인들 & 정철 / 학산초담 64  (0) 2010.03.25
김안로 /학산초감 63  (0) 2010.03.2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