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경호 - 슬픔의 미학, 두보_#001
https://www.youtube.com/watch?v=E3XJb6ZF180&list=PLX9xXlTjdQqGijQJWRhNRvOSDQ3zljzAQ&index=7
심경호 - 슬픔의 미학, 두보_#002
https://www.youtube.com/watch?v=1wCEVdPUHMQ&index=8&list=PLX9xXlTjdQqGijQJWRhNRvOSDQ3zljzAQ
심경호 - 슬픔의 미학, 두보_#003
https://www.youtube.com/watch?v=ewZvLskhPp0&index=9&list=PLX9xXlTjdQqGijQJWRhNRvOSDQ3zljzAQ
011두보, 夢李白1/2 (0) 2016.04.03
https://kydong77.tistory.com/15151
011두보, 夢李白1/2
011夢李白1(몽이백1)-杜甫(두보) (꿈 속에 이백을 보다) 死別已吞聲 (사별이탄성) : 사별 후의 이별은 소리마저 삼켜버리나 生別常惻惻 (생별상측측) : 생이별 뒤는 항상 슬프기만 하구나 江南瘴癘
kydong77.tistory.com
012두보, 夢李白2/2 (1) 2016.04.03
https://kydong77.tistory.com/15152?category=709257
012두보, 夢李白2/2
012夢李白2(몽이백2)-杜甫(두보) (꿈 속에 이백을 보다) 浮雲終日行 (부운종일행) : 뜬 구름 종일토록 하늘을 떠다녀도 遊子久不至 (유자구불지) : 떠난 친구는 오래도록 오지 않네 三夜頻夢君 (삼
kydong77.tistory.com
008두보, 망악(望岳) (0) 2016.04.01
https://kydong77.tistory.com/15138
008두보, 망악(望岳)
008망악(望岳)-두보(杜甫;712-770) 대종산을 바라보며 岱宗夫如何(대종부여하), ;대종산은 어떠한가 齊魯靑未了(제노청미료). ;제나라와 초나라로 이어져 끝없이 푸르구나 造化鐘神秀(조화종신수),
kydong77.tistory.com
009 두보, 증위팔처사(贈衛八處士) (0) 2016.04.02
https://kydong77.tistory.com/17285
009 두보(杜甫), 증위팔처사(贈衛八處士)
*정세균 의장이 들먹인 두보의 를 당시삼백수 번역에서 옮긴다. 009증위팔처사(贈衛八處士) ㅡ두보(杜甫;712-770) 위팔처사에게 人生不相見 (인생부상견) : 사람살이 서로 만나지 못함은 動如參與
kydong77.tistory.com
010두보, 가인(佳人) (0) 2016.04.02
https://kydong77.tistory.com/15143
010두보, 가인(佳人)
010가인(佳人)-두보(杜甫;712-770) 絶代有佳人 (절대유가인), ;당대엔 더문 아름다운 사람 있어 幽居在空谷 (유거재공곡). ;빈 산골에 혼자 산다오 自云良家子 (자운량가자), ;스스로 말하길, 양가의
kydong77.tistory.com
시의 두 천재는이백 44세, 두보 33세 때 장안에서 조우하고, 이듬해 이백이 장안을 떠났을 때도 만나 시를 수작했다지만 과문의 탓인지 아직 이백이 두보에게 준 시는 만나지 못했습니다. 도가적 삶과 유가적 삶에 익숙한 성격 차이도 있겠지만, 나이차로 보나 유가의 현실에 얽매인 두보의 모습이 귀여운 '알라'처럼 보였기 때문이 아닌지는 모르겠습니다.
아래의 시는 두보를 이별한 시는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102 이백, 송우인(送友人) (0) 2016.07.13
https://kydong77.tistory.com/15571
102 이백, 송우인(送友人)
한국 최고의 한시 고려조 정지상의 과 제목이 같다. 정지상의 해설은 아래 포스트에 있다. 표현은 왕유의 과 동일하다. 관련 설화도 소개한다. 013송별(送別)-왕유 김영동, 정지상 한시의 영원한
kydong77.tistory.com
<당시삼백수>는 실제로 320수가 수록되었는데 그중 이백과 두보의 시 제목을 발췌해 보았다.
이 블로그에서 제210수까지 정리하다 중단했는데 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해 나머지도 정리해 볼 요량입니다.
정리된 것 중에서 작품을 확인하려면 카테고리 <당시삼백수>에서 작품번호를 찾으시면 해당작품을 읽을 수 있습니다.
五言古詩 ( 001-035)
006.李白:月下獨酌
007.李白:春思
008.杜甫:望岳
009.杜甫:贈衛八處士
010.杜甫:佳人
011.杜甫:夢李白二首之一
012.杜甫:夢李白二首之二
樂府( 036-45)
038.李白:關山月
039.李白:子夜四時歌:春歌
040.李白:子夜四時歌:夏歌
041.李白:子夜四時歌:秋歌
042.李白:子夜四時歌:冬歌
043.李白:長干行
卷二
七言古詩( 046-73)
053.李白:廬山謠寄盧侍御虛舟
054.李白:夢游天姥吟留別
055.李白:金陵酒肆留別
056.李白:宣州謝月兆]樓餞別校書叔云
060.杜甫:韋諷錄事宅觀曹將軍畫馬圖
061.杜甫:丹靑引贈曹霸將軍
062.杜甫:寄韓諫議
063.杜甫:古柏行
064.杜甫:觀公孫大娘弟子 舞劍器行幷序
樂府 (074-89)
079.李白:蜀道難
080.李白:長相思二首之一
081.李白:長相思二首之二
082.李白:行路難三首之一
083.李白:行路難三首之二
084.李白:行路難三首之三
085.李白:將進酒
086.杜甫:兵車行
087.杜甫:麗人行
088.杜甫:哀江頭
089.杜甫:哀王孫
卷三
五言律詩(090-169)
100.李白:贈孟浩然
101.李白:渡荊門送別
102.李白:送友人
103.李白:聽蜀僧浚彈琴
104.李白:夜泊牛渚懷古
105.杜甫:月夜
106.杜甫:春望
107.杜甫:春宿左省
108.杜甫:至德二載甫自京金光門出問道歸鳳翔∘乾元初從左拾遺移華州掾∘與親
109.杜甫:月夜憶舍弟
110.杜甫:天末懷李白
111.杜甫:奉濟驛重送嚴公四韻
112.杜甫:別房太尉墓
113.杜甫:旅夜書懷
114.杜甫:登岳陽樓
卷四
七言律詩(170-222)
182.杜甫:蜀相
183.杜甫:客至
184.杜甫:野望
185.杜甫:聞官軍收河南河北
186.杜甫:登高
187.杜甫:登樓
188.杜甫:宿府
189.杜甫:閣夜
190.杜甫:詠懷古跡五首之一
191.杜甫:詠懷古跡五首之二
192.杜甫:詠懷古跡五首之三
193.杜甫:詠懷古跡五首之四
194.杜甫:詠懷古跡五首之五
卷五
五言絶句(224-252)
이백李白
233. 정야사靜夜思
234. 원정怨情
두보杜甫
235. 팔진도八陣圖
제9장 오언절구악부五言絶句樂府
이백李白
255. 옥계원玉階怨
卷六
七言絶句(261-311)
제10장 칠언절구七言絶句
이백李白
268. 송맹호연지광릉送孟浩然之廣陵
269. 조발백제성朝發白帝城
두보杜甫
271. 강남봉이구년江南逢李龜年
樂府(312-320)
제11장 칠언절구악부 七言絶句樂府
이백李白
317. 청평조淸平調 1
318. 청평조淸平調 2
319. 청평조淸平調 3
출처: http://kydong77.tistory.com/17185 [김영동교수의 고전& life]
唐詩三百首 작품 번역 정리
이태백의 채색 초상화 이 블로그에서 정리한 唐詩三百首 목차와 작품 포스트 [메모] 001장구령 -감우感遇 1/4 (0) 에서 020숙업사산방대정대부지(宿業師山房待丁大不至)-맹호연 까지와 078 도원의
kydong77.tistory.com
출처: http://kydong77.tistory.com/15119?category=709257 [김영동교수의 고전& life]
唐詩三百首 목차
동영상 포스트 https://www.youtube.com/watch?v=6i908OSPphI 이 블로그에 아래 책의 번역을 추가합니다. 邱燮友 편저 · 安秉烈 역,韓譯 唐詩三百首,계명대학교출판부,1991. 한글 번역에서 字句를 다소 수정한
kydong77.tistory.com
'중국고전 > 唐詩삼백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2-213. 이상은, 무제(無題) (0) | 2018.10.21 |
---|---|
211.수궁(隋宮) - 이상은 (0) | 2018.10.21 |
210.이상은, 無題 (0) | 2018.06.01 |
209 이상은, 금슬(錦瑟) (0) | 2018.05.11 |
208, 白居易 - 自河南經亂(자하남경난) (0) | 2018.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