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oGi4_qb2bJA 

 

 

https://ko.wikipedia.org/wiki/%EB%B2%95%ED%9D%A5%EC%99%95

 

법흥왕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법흥왕(法興王, ? ~ 540년 7월, 재위: 514년 ~ 540년)은 신라의 제23대 임금이다. 성은 김(金)이고 이름은 원종(原宗) 또는 모즉지(牟卽智, 另卽智)[1][2][3], 진(秦)이다.

ko.wikipedia.org

그의 아호(雅號)는 법운(法雲)이며 불교 승려로서의 법명은 법공(法空)이다.

이차돈의 순교(527년)를 거쳐 불교를 국교로 정한(528년)[8] 이후 불교정신에 의한 통치를 하여 국가 체제를 정비하고 삼국통일의 사상적 기반을 마련하였다.[9][10] 

* 승려 신분은 아니지만 불교 공인으로 삼국통일의 기반을 마련한 법흥왕추가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SvDwiXxXf4 

 

 

신라 33대 성덕대왕

https://ko.wikipedia.org/wiki/%EC%84%B1%EB%8D%95%EC%99%95

 

성덕왕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신라 성덕왕新羅 聖德王 제33대 신라 국왕 재위 702년∼737년 전임 효소왕(孝昭王) 후임 효성왕(孝成王) 부왕 신문왕(神文王) 이름 휘 김흥광(金興光), 김융기(金

ko.wikipedia.org

https://kydong77.tistory.com/18899

 

사명대사(四溟大師)/ 밀양 표충사 사명대사비

위 사진은 동국대전철역 위 동국대 후문옆 장충단공원 내려가는 길목에 있음. https://www.youtube.com/watch?v=wTqhcEu-RaM https://www.youtube.com/watch?v=YoRLAH4nbM0 https://ko.wikipedia.org/wiki/%EC%9..

kydong77.tistory.com

 

https://kydong77.tistory.com/18900

 

사명대사의 漢詩

이은영의 한시산책 사명대사, 목탁 대신 붓과 칼을 잡다 泗溟堂 영웅은 난세를 통해 세상에 나타난다. 물론 누구나 영웅이 되는 것은 아니다. 아무리 출중한 능력을... blog.naver.com 浮碧樓用李寒

kydong77.tistory.com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s_kdcd=&s_ctcd=32&ccbaKdcd=21&ccbaAsno=01400000&ccbaCtcd=32&ccbaCpno=2113201400000&ccbaLcto=36&culPageNo=4&header=region&pageNo=1_1_3_0&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RegionList.do&assetnamel= 

 

강원도 유형문화재 영은사범일국사진영 (靈隱寺梵日國師眞影) : 국가문화유산포털 - 문화재청

 

www.heritage.go.kr

범일(梵日 : 810~889년)은 신라말 구산선문(九山禪門)의 하나인 사굴산파(사굴山派)의 개산조(開山組)이다. 속성은 김씨이고 15세에 출가하여 20세에 비구계를 받고 흥덕왕때 당나라에 가서 마조도일(馬祖道一)의 문하인 염관제안(鹽官齊安)에게서 수학한후 문성왕 8년에 귀국하였다. 명주도독인 김공의 청으로 40여년을 굴산사에 지내는 가운데 경문왕, 헌강왕, 정강왕이 국사로 모시려고 하였으나 거절하였다. 889년 80세(법랍 60세)로 입적하였으며 시호는 통효(通曉), 탑호는 연휘(延徽)이다.

https://ko.wikipedia.org/wiki/%EB%8F%84%EC%9D%98

 

도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o.wikipedia.org

도의(道義, ? ~825년[1] )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승려이다. 속성은 왕(王), 법호는 원적(元寂)이다.[2][3]

선덕왕 1년(780년당나라에 가서 지장(智藏: 735~814[4])의 제자가 되어 불법(佛法)을 물려받고 도의라 개명했으며, 헌덕왕 13년(821년) 귀국하여 염거(廉居 ?~844)에게 남선(南禪)을 전하였다.[2][3]

도의에 의해 남선이 전해짐에 따라, 신라에는 북선(北禪)과 함께 2계통의 선(禪)이 있게 되고, 도의는 가지산파(迦智山派)의 개조가 되었다.[2] 헌덕왕(憲德王) 때에는 해은사(海恩寺)를 지었다.[3]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8060

 

자장(慈藏)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자장은 삼국시대 신라의 대국통, 황룡사 주지 등을 역임한 승려이다. 590년(진평왕 12)에 태어나 658년(태종무열왕 5)에 사망했다. 진골 출신으로, 왕이 재상으로 기용하려 했으나 목숨을 걸고 응하

encykorea.aks.ac.kr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4108

 

지눌(知訥)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성은 정씨(鄭氏). 자호는 목우자(牧牛子). 지눌은 법명. 황해도 서흥(瑞興) 출신. 아버지는 국학(國學)의 학정(學正)을 지낸 정광우(鄭光遇), 어머니는 개흥군(開興郡) 출신의 조씨(趙氏)이다. 선종

encykorea.aks.ac.kr

 

https://kydong77.tistory.com/21567

 

나옹선사, 自讚(자찬)外 漢詩 모음/三歌, 완주歌·고루歌·백납歌

완주가翫珠歌·고루가枯髏歌·백납가百衲歌 나옹혜근(懶翁惠勤)3歌,완주가翫珠歌·고루가枯髏歌·백납가百衲歌 여주 남한 강변의 신륵사에 있는 나옹선사 석종형 승탑 전경 신륵사 조사전에 있

kydong77.tistory.com

 

https://kydong77.tistory.com/20917

 

문경 묘적암 나옹화상 영정/ 탑명(塔銘), 이색(李穡) 奉敎撰

대성사 묘적암의 나옹선사 부도 https://www.youtube.com/watch?v=hNAqBFOpqCg 위 노래는 한물간 인기곡의 가사로 나옹회상의 시는 아래와 같습니다. 靑山兮要我以無語 [청산혜요아이무어] 청산은 나를보고

kydong77.tistory.com

 

https://kydong77.tistory.com/20546

 

나옹화상의 선불교/ 혜심(慧諶)의 선사상과 간화(看話)

www.youtube.com/watch?v=j95F-nQ_RPc 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1406 나옹선사 부도 및 석등(懶翁禪師浮屠─石燈)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승탑높이 3.5m,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50..

kydong77.tistory.com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2956

 

신미(信眉)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본명은 김수성(金守省). 본관은 영동(永同). 아버지는 옥구진(沃溝鎭) 병사였던 김훈(金訓)이며, 동생은 유생이면서도 숭불을 주장했던 김수온(金守溫)이다. 세조 때의 선승(禪僧)인데, 행장은 전

encykorea.aks.ac.kr

https://kydong77.tistory.com/18148

 

신미대사 - 훈민정음창제의 주역

​ https://www.youtube.com/watch?v=Bv0YCCew40g *설명중 우국이세의 한자는 祐國利世임 ‘선교종도총섭 밀전정법 비지쌍운 우국이세 원융무애 혜각존자 禪敎宗都摠攝 密傳正法 悲智雙運 祐國利世 圓融無

kydong77.tistory.com

https://kydong77.tistory.com/19510

 

한글 창제의 독창성/ 신숙주, 동국정운/ 신미대사 창제설, 불경譯의 범어

www.youtube.com/watch?v=tbcjsQX-DAY 한글의 독창성과 그 우수성은 자음은 발음기관의 형상에 따라 아설순치후를, 중성인 모음은 천지인을 형상화 한 점이다. 아설순치후 오음의 발음기관을 형상화하여

kydong77.tistory.com

https://ko.wikipedia.org/wiki/%EA%B2%BD%ED%97%88

 

경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경허(鏡虛, 1849년 ~ 1912년)는 한국 근현대 불교를 개창한 대선사이다. 1849년 전주 자동리에서 아버지 송두옥(宋斗玉)과 어머니 밀양 박씨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ko.wikipedia.org

경허 선사의 수제자로 흔히 '삼월(三月)'로 불리는 혜월(慧月, 1861년 - 1937년), 수월(水月, 1855년 - 1928년)·만공(滿空, 1871년 - 1946년) 선사가 있다. 경허는 '만공은 복이 많아 대중을 많이 거느릴 테고, 정진력은 수월을 능가할 자가 없고, 지혜는 혜월을 당할 자가 없다'고 했다. 삼월인 제자들도 모두 깨달아 부처가 되었다. 이들 역시 근현대 한국 불교계를 대표하는 선승들이다.

1904년 7월 15일, 만공스님에게 전법게를 주고서, 천장암을 떠났다.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3547

 

보천(寶川)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성승(聖僧). 신라 정신대왕(淨神大王)의 태자로서 아우 효명(孝明)과 함께 오대산으로 들어가 도를 닦았다. 두 왕자가 산 속으로 들어가자 홀연히 땅 속에서 청련(靑蓮)이 피므로 보천이 그곳에

encykorea.aks.ac.k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