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B-Vg6tx1Kr0
https://ko.wikipedia.org/wiki/%ED%98%9C%EB%8A%A5
혜능(慧能: 638~713)은 당나라(618~907) 시대의 선승이며 선종(禪宗)의 제6조이자 남종선(南宗禪)의 시조이다.[1] 일반적으로 6조대사 또는 조계대사(曹溪大師)라고 한다. 대감선사(大鑑禪師)라고 시호되었다.[1]
전기
신주(新州: 광둥성)에서 태어나 세살 때 부친을 잃고 가난하게 자랐다.[1] 어느 날 나무를 짊어지고 팔러 다녔는데 《금강경(金剛經)》 외는 소리를 듣고 출가할 결심을 하게 되었다 한다.[1] 24세 때에 기주 황매산(黃梅山: 후베이성)의 동선원(東禪院)에 주처하고 있던 선종의 제5조 홍인(弘忍: 601~674)을 찾아가 가르침을 받고, 나중에는 홍인으로부터 선법(禪法)을 물려받아 선종의 제6조가 되었다.[1]
활동
혜능은 소주(韶州) 조계(曹溪)의 보림사(寶林寺) · 대범사(大梵寺)에 머물면서 신도들의 귀의를 크게 얻었다.[1] 대범사에서 혜능이 설한 설법을 중심으로 편찬된 문헌이 《육조법보단경(六祖法寶壇經)》 또는 《육조단경(六祖壇經)》이란 이름의 선종의 경전으로 후세에 전해졌다.[1]
혜능으로부터 사법(嗣法)을 이어받은 문하의 제자가 43인을 헤아렸고 중국의 선종은 이 때부터 융성하게 되었다.[1] 그의 계통의 선을 남종(南宗) 또는 남종선(南宗禪)이라 하여 신수(神秀: ?~706) 계통의 북종(北宗) 또는 북종선(北宗禪)과 대립하였다가, 당나라 말기 이후에는 남종만이 번영하였다.[1] 남종은 돈오(頓悟)를, 북종은 점오(漸悟)를 주장하였다.[1] 후대에 이 양자의 선풍의 차이를 남돈북점(南頓北漸)이라 하였다.[1]
혜능의 문하 제자 중에는 청원행사(靑原行思: ?~740[2]) · 남악회양(南岳懷讓: 677~744[3]) · 하택신회(荷澤神會: 685~760[4]) · 석두희천(石頭希遷: 700~790[5]) · 영가현각(永嘉玄覺: 647~713[6]) 등이 가장 유명하다.[1]
저서
중국어 위키문헌에 이 글과 관련된 원문이 있습니다. |
https://kydong77.tistory.com/20559
https://kydong77.tistory.com/20560
https://kydong77.tistory.com/20561
https://kydong77.tistory.com/20565
https://kydong77.tistory.com/20566
https://kydong77.tistory.com/20567
https://kydong77.tistory.com/20568
https://www.youtube.com/watch?v=HzxIytTKgYs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39512
한국의 임제종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7640
https://ko.wikipedia.org/wiki/%EC%9D%98%ED%98%84
임제의현(臨濟義玄: ?~867[1]), 임제(臨濟) 또는 의현(義玄)은 당나라의 선승(禪僧)으로 속성(俗性)은 형(邢), 산동성 조현(曺縣) 사람이다. 선종(禪宗)의 일파인 임제종(臨濟宗)의 시조(始祖)이기도 하다. 황벽희운(黄檗希運)을 이어, 중국 선종 11대 조사이다.
임제의현이 입적한 후 그의 제자인 삼성혜연(三聖慧然: ?~?[2])이 편집한 《임제록》은 임제종(臨濟宗)의 기본이 되며 또한 실천적인 선(禪)의 진수를 설파한 책으로서 널리 알려져 있다.[1]
임제록, 벽암록, 허당록, 선관책진, 육조단경, 서장, 오가정종찬을 종문칠서(宗門七書) 또는 종문(宗門)의 칠부서(七部書)라고 부른다.
황벽삼타(黄檗三打)
28조
https://www.youtube.com/watch?v=OKnjfv1wDAA
https://ko.wikipedia.org/wiki/%EB%B3%B4%EB%94%94%EB%8B%A4%EB%A5%B4%EB%A7%88
39조 혜가
https://ko.wikipedia.org/wiki/%EC%A1%B0%EC%82%AC_(%EB%B6%88%EA%B5%90)
조사(祖師, Patriarch)는 불교의 총대주교(總大主敎, Patriarch)인 스님을 말한다.
역대 조사
증도가에서 밝힌 천축 28대 조사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대한불교 조계종에서도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있다.
산스트리트어 | 중국어 | 베트남어 | 일본어 | 한국어 | |
1 | Mahākāśyapa | 摩訶迦葉 / Móhējiāyè | Ma-Ha-Ca-Diếp | Makakashō | 마하가섭 / Mahagasŏp |
2 | Ānanda | 阿難陀 (阿難) / Ānántuó (Ānán) | A-Nan-Đà (A-Nan) | Ananda (Anan) | 아난다 (아난) / Ananda (Anan) |
3 | Śānavāsa | 商那和修 / Shāngnàhéxiū | Thương-Na-Hòa-Tu | Shōnawashu | 상나화수 / Sangnahwasu |
4 | Upagupta | 優婆掬多 / Yōupójúduō | Ưu-Ba-Cúc-Đa | Ubakikuta | 우바국다 / Upakukta |
5 | Dhrtaka | 提多迦 / Dīduōjiā | Đề-Đa-Ca | Daitaka | 제다가 / Chedaga |
6 | Miccaka | 彌遮迦 / Mízhējiā | Di-Dá-Ca | Mishaka | 미차가 / Michaga |
7 | Vasumitra | 婆須密 (婆須密多) / Póxūmì (Póxūmìduō) | Bà-Tu-Mật (Bà-Tu-Mật-Đa) | Bashumitsu (Bashumitta) | 바수밀다 / Pasumilta |
8 | Buddhanandi | 浮陀難提 / Fútuónándī | Phật-Đà-Nan-Đề | Buddanandai | 불타난제 / Pŭltananje |
9 | Buddhamitra | 浮陀密多 / Fútuómìduō | Phục-Đà-Mật-Đa | Buddamitta | 복태밀다 / Puktaemilda |
10 | Pārśva | 波栗濕縛 / 婆栗濕婆 (脅尊者) / Bōlìshīfú / Pólìshīpó (Xiézūnzhě) | Ba-Lật-Thấp-Phược / Bà-Lật-Thấp-Bà (Hiếp-Tôn-Giả) | Barishiba (Kyōsonja) | 파률습박 (협존자) / P'ayulsŭppak (Hyŏpjonje) |
11 | Punyayaśas | 富那夜奢 / Fùnàyèshē | Phú-Na-Dạ-Xa | Funayasha | 부나야사 / Punayasa |
12 | Ānabodhi / Aśvaghoṣa | 阿那菩提 (馬鳴) / Ānàpútí (Mǎmíng) | A-Na-Bồ-Đề (Mã-Minh) | Anabotei (Memyō) | 아슈바고샤 (마명) / Asyupakosya (Mamyŏng) |
13 | Kapimala | 迦毘摩羅 / Jiāpímóluó | Ca-Tỳ-Ma-La | Kabimora (Kabimara) | 가비마라 / Kabimara |
14 | Nāgārjuna | 那伽閼剌樹那 (龍樹) / Nàqiéèlàshùnà (Lóngshù) | Na-Già-Át-Lạt-Thụ-Na (Long-Thọ) | Nagaarajuna (Ryūju) | 나가알랄수나 (용수) / Nakaallalsuna (Yongsu) |
15 | Āryadeva / Kānadeva | 迦那提婆 / Jiānàtípó | Ca-Na-Đề-Bà | Kanadaiba | 가나제바 / Kanajeba |
16 | Rāhulata | 羅睺羅多 / Luóhóuluóduō | La-Hầu-La-Đa | Ragorata | 라후라다 / Rahurada |
17 | Sanghānandi | 僧伽難提 / Sēngqiénántí | Tăng-Già-Nan-Đề | Sōgyanandai | 승가난제 / Sŭngsananje |
18 | Sanghayaśas | 僧伽舍多 / Sēngqiéshèduō | Tăng-Già-Da-Xá | Sōgyayasha | 가야사다 / Kayasada |
19 | Kumārata | 鳩摩羅多 / Jiūmóluóduō | Cưu-Ma-La-Đa | Kumorata (Kumarata) | 구마라다 / Kumarada |
20 | Śayata / Jayata | 闍夜多 / Shéyèduō | Xà-Dạ-Đa | Shayata | 사야다 / Sayada |
21 | Vasubandhu | 婆修盤頭 (世親) / Póxiūpántóu (Shìqīn) | Bà-Tu-Bàn-Đầu (Thế-Thân) | Bashubanzu (Sejin) | 바수반두 (세친) / Pasubandu (Sechin) |
22 | Manorhita | 摩拏羅 / Mónáluó | Ma-Noa-La | Manura | 마나라 / Manara |
23 | Haklenayaśas | 鶴勒那 (鶴勒那夜奢) / Hèlènà (Hèlènàyèzhě) | Hạc-Lặc-Na | Kakurokuna (Kakurokunayasha) | 학륵나 / Haklŭkna |
24 | Simhabodhi | 師子菩提 / Shīzǐpútí | Sư-Tử-Bồ-Đề / Sư-Tử-Trí | Shishibodai | 사자 / Saja |
25 | Vasiasita | 婆舍斯多 / Póshèsīduō | Bà-Xá-Tư-Đa | Bashashita | 바사사다 / Pasasada |
26 | Punyamitra | 不如密多 / Bùrúmìduō | Bất-Như-Mật-Đa | Funyomitta | 불여밀다 / Punyŏmilta |
27 | Prajñātāra | 般若多羅 / Bānruòduōluó | Bát-Nhã-Đa-La | Hannyatara | 반야다라 / Panyadara |
28 | Dharma / Bodhidharma | Ta Mo / 菩提達磨 / Pútídámó | Đạt-Ma / Bồ-Đề-Đạt-Ma | Daruma / Bodaidaruma | 보리달마 / Poridalma |
선불교 조사
선종 1대 제28조 일조 보리달마 (菩提達磨)(457 ~ 528)
선종 2대 제29조 이조 혜가 (二祖慧可) (528 ~ 593)
선종 3대 제30조 삼조 승찬 (三祖僧璨) (593 ~ 606)선종
4대 제31조 사조 도신 (四祖道信) (606 ~ 651)선종
5대 제32조 오조 홍인 (五祖弘忍) (651 ~ 674)선종
6대 제33조 육조혜능 (六祖慧能) (674 ~ 718)선종
7대 제34조 남악회양 (南嶽懷讓) (718 ~ 744)
선종 8대 제35조 마조도일 (馬祖道一) (744 ~ 788)
선종 9대 제36조 백장회해 (百丈懷海) (788 ~ 814)
선종 10대 제37조 황벽희운 (黃蘗希運) (814 ~ 850)
선종 11대 제38조 임제의현 (臨濟義玄) (850 ~ 867)
선종 12대 제39조 흥화 존장 (興化存奬) (867 ~ 888)선종
13대 제40조 남원 도옹 (南院道癰) (888 ~ )
선종 14대 제41조 풍혈 연소 (風穴延沼)
선종 15대 제42조 수산 성념 (首山省念)
선종 16대 제43조 분양 선소 (紛陽善昭)
선종 17대 제44조 자명 초원 (慈明楚圓)
선종 18대 제45조 양기 방회 (楊岐方會)
선종 19대 제46조 백운 수단 (白雲守端)
선종 20대 제47조 오조법연 (五祖法演)
선종 21대 제48조 원오극근 (圓悟克勤)
선종 22대 제49조 호구소융 (虎丘紹隆)
선종 23대 제50조 응암담화 (應庵曇華)
선종 24대 제51조 밀암 함걸 (密庵咸傑)
선종 25대 제52조 파암 조선 (破庵祖先)
선종 26대 제53조 무준 원조 (無準圓照)
선종 27대 제54조 설암 혜랑 (雪巖惠朗)
선종 28대 제55조 급암 종신(及庵宗信)
선종 29대 제56조 석옥청공 (石屋淸珙) ( ~ 1352
한국 선맥
제57조 원증국사(圓證國師) 태고 보우(太古普愚) - (1325 ~ 1382)
제58조 보각국사(普覺國師) 환암 혼수(幻庵混修) - (1382 ~ 1392)
제59조 구곡 각운 (龜谷覺雲)(1392 ~ )
제60조 벽계 정심 (碧溪淨心)
제61조 벽송 지엄(碧松智嚴) - ( ~ 1534)
제62조 부용 영관(芙蓉靈觀) - (1534 ~ 1571)
제63조 청허 휴정(淸虛休靜) - (1571 ~ 1604)
제64조 편양 언기(鞭羊彦機) - (1604 ~ 1644)
제65조 풍담 의심(楓潭義諶) - (1644 ~ 1665)
제66조 월담 설제(月潭雪霽) - (1665 ~ 1704)
제67조 환성 지안(喚惺志安) - (1704 ~ 1729)
제68조 호암 체정(虎巖體淨) - (1729 ~ 1748)
제69조 청봉 거안(靑峰巨岸) - (1748 ~ )
제70조 율봉 청고(栗峰靑古) - ( ~ 1823)
제71조 금허 법첨(錦虛法沾) - (1823 ~ )
제72조 용암 혜언(龍岩慧彦)
제73조 영월 봉율(永月奉律)
제74조 만화 보선(萬化普善) - ( ~ 1879)
제75조 경허 성우(鏡虛惺牛) - (1879 ~ 1912)
한국 선맥 (만공-혜암계)
북1조 제76조 만공 월면 (滿空月面) (1871 ~ 1946)
북2조 제77조 혜암 현문 (惠菴玄門) (1886 ~ 1985)[1] 북
3조 제78조 묘봉 인공 (妙峰印空) (1943 ~ )[2]
북4조 제79조 원제 혜충 (圓濟惠忠) (1951 ~ )[3]
북5조 제80조 정명 대적 (淨名大寂) (1974 ~ )
한국 선맥 (만공-전강계)
북1조 제76조 만공 월면 (滿空月面) (1912 ~ 1946)
북2조 제77조 전강 영신 (田岡永信) (1898 ~ 1975)
북3조 제78조 송담 정은 (松潭正隱) (1927 ~ )
한국 선맥 (혜월계)
남1조 제76조 혜월 혜명 (慧月慧明) (1912 ~ 1937)남2조
제77조 운봉 성수 (雲峰性粹) (1937 ~ 1941)남3조
제78조 향곡 혜림 (香谷蕙林) (1941 ~ 1967)
남4조 제79조 진제 법원 (眞際法遠) (1967 ~ )
'불교 불경 > 고승 불교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효(元曉) 게송& 보현행원품(普賢行願品) 게송/소요산자재암 단풍 (0) | 2022.11.07 |
---|---|
불조직지심체요절(佛祖直指心體要節) 역대조사 게송 모음 (0) | 2022.09.28 |
한국의 개산조(開山祖), 오대산 월정사 개산조각(開山祖閣) (0) | 2022.08.28 |
나옹선사, 自讚(자찬)外 漢詩 모음/나옹三歌, 완주歌·고루歌·백납歌 (0) | 2022.08.22 |
원효불기(元曉不羈)/설총 이두, 향가25수;삼국유사 14수, 균여전 보현행원품11수 (1) | 2021.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