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혜영 - 물 같은 사랑, 그것은 인생

https://www.youtube.com/watch?v=3mFg5oyqpFU

 

법정스님의 무소유(법정스님의 의자 편집)

https://www.youtube.com/watch?v=6C0Faocxri4

 

강상원 : 기탄잘리 - 옴마니반메훔 -

https://www.youtube.com/watch?v=S26VrMkxx4I&t=797s

*어머님의 은헤는 붉은 연꽃보다 아름답습니다.

『묘법연화경』(약칭 『법화경』)은 산스크리트로 『사다르푼다리카 수트라』이다. 사다르마는 진리를 뜻하고, 푼다리카는 ‘하얀 연꽃이란 뜻이다.  사다르푼다리카 는 아버지의 공덕은 하얀 연꽃의 씨앗처럼 새 생명을 주셨습니다 아버지의 은공을 상징하는 백련은 흰옷의 의상으로 각국의 생활문회 속에 표출됩니다.

어머니는 紅蓮, 아버지는 白蓮,  부모가 만나 새 생명인 자식을 잉테함으로써 種의 영속성이 계속된다는 불가의 상징체계가 매우 흥미롭네요.

 

타고르의 <기탄잘리>는 長詩로 지은 시집명이기도 합니다.

한용운 - 원정(園丁)을 읽고/ 타고르의 <園丁>  (0) 2018.10.23

타고르 - 기탄잘리  (0) 2018.10.22

타고르 - 동방의 등불 & 한용운 - 타고르의 <정원사>를 읽고  (0) 2018.10.22

 

NANA MOUSKOURI - OVER THE RAINBOW,

https://www.youtube.com/watch?v=myEoDrJ922k

https://www.youtube.com/watch?v=dB7g9igSBnc

Somewhere over the rainbow way up high

(무지개 너머, 저하늘 높이 어딘가에)

There's a land that I heard of once in a lullaby

(자장가에서 들었던 나라가 있어요)

Somewhere over the rainbow skies are blue

(무지개 넘어 어딘가에 하늘은 파랗고)

And the dreams that you dare to dream really do come true

(꿈을 꾸는 모든것이 이루어지는 곳이죠)


Someday I'll wish upon a star

(언젠가 나는 별을 보며 소원을 빌고)

And wake up where the clouds are far behind me

(구름 저 멀리 위에서 잠을 깰 꺼예요)



Where troubles melt like lemon drops

Way above the chimney tops

(굴뚝 보다 훨씬 높은 그 곳에서

걱정은 레몬사탕처럼 녹아버려요)

That's where you'll find me

(거기로 날 찾으러 와요)


Somewhere over the rainbow blue birds fly

(무지개 너머 어딘가에 파랑새들이 하늘을 날아요)

Birds fly over the rainbow

(무지개 너머 새들이 날아 다녀요)

Why then, oh why can't  I ?

(그런데 왜, 왜 나라고 날지 못하겠어요)


If happy little blue birds fly beyond the rainbow

(무지개 너머 작은 새들이 행복에 잠겨 날아 다녀요)

Why, oh why can't  I ?

(왜 나라고 날지 못하겠어요)

 
 

 <법구경> 

第  2 章.   방일품(放逸品)  - 근면(勤勉)의 장  VIGILANCE        ( 21 - 32 )
       제 2장. 깨어있음(Appamada Vagga)- 근면에 대한 찬양이다. 절재된 생활(Appamada)과 무절재한 생활(ppamada)을 비교해 가면서 전자를 찬양하고 후자를 비판하는 식으로 시구가 전개되고 있다.

第  2 章.     방일품(放逸品) - 근면(勤勉)의 장 VIGILANCE  

2 . 부지런히 닦음

 

21
부지런함은 생명의 길이요  게으름은 죽음의 길이다 

부지런한 사람은 죽지 않지만  게으른 사람은 죽은것과 마찬가지다

戒爲甘露道 放逸爲死徑 不貪則不死 失道爲自喪  
계위감로도 방일위사경 불탐즉불사 실도위자상

22
이 이치를 똑똑히 알아  그것을 실천하는 사람은 

게으르지 않음을 기뻐하고  성인의 경지를 즐기리라

慧知守道勝 從不爲放逸 不貪致歡喜 從是得道樂  
혜지수도승 종불위방일 불탐치환희 종시득도락

23
이와 같이 지혜로운 자는  생각을 깊이 하고 참을성 있고  항상 부지런히 수행하여  마음의 대자유에 이르리라

常當惟念道 自强守正行 健者得度世 吉祥無有上   
상당유념도 자강수정행 건자득도세 길상무유상

24
부지런히 수행하고 깊이 생각하고  말과 행동이 맑고 신중하며 

스스로 억제하고 진리대로 사는  근면한 사람은 그 이름이 빛난다

正念常興起 行淨惡易滅 自制以法壽 不犯善名增   
정념상흥기 행정악이멸 자제이법수 불범선명증

25
항상 힘써 게으르지 않고  스스로를 자제할 줄 아는  지혜있는 사람은  홍수로도 밀어낼 수 없는 섬을 쌓는 것과 같다

發行不放逸 約以自調心 慧能作錠明 不返冥淵中  
발행불방일 약이자조심 혜능작정명 불반명연중

26
어리석어 지혜가 없는 사람은  게으름과 방종에 빠지고  

생각이 깊은 사람은  부지런을 가보처럼 지킨다

愚人意難解 貪亂好爭訟 上智常重愼 護斯爲寶尊   
우인의난해 탐란호쟁송 상지상중신 호사위보존

27
게으름에 빠지지 말라  육체의 즐거움을 가까이하지 말라 

게으르지 않고 생각이 깊은 사람만  큰 즐거움을 얻게 되리라

莫貪莫好諍 亦莫嗜欲樂. 思心不放逸 可以獲大安  
막탐막호쟁 역막기욕락. 사심불방일 가이획대안

28
지혜로운 이가 부지런해서  게으름을 물리칠 때는 

지혜의 높은 다락에 올라  근심하는무리들을 내려다본다 

마치 산 위에 오른 사람이  지상에 있는 사람들을 내려다보듯이

放逸如自禁 能却之爲賢. 己昇智慧閣 去危爲卽安. 明智觀於愚 譬如山如地. 
방일여자금 능각지위현. 기승지혜각 거위위즉안. 명지관어우 비여산여지.

29
게으른 무리 중에서 부지런하고  잠든 사람 가운데서 깨어 있는 현자는 

빨리 뛰는 말이 느린 말을 앞지르듯이  앞으로 앞으로 나아간다

不自放逸 從是多寤 羸馬比良 棄惡爲賢   
불자방일 종시다오 이마비량 기악위현

30
인드라 신은 부지런하여  신들 가운데서 으뜸이 되었다 

부지런함은 항상 찬양을 받고  게으른 비난을 받는 법이다

不殺而得稱 放逸致毁謗. 不逸摩竭人 緣諍得生天   
불살이득칭 방일치훼방. 불일마갈인 연쟁득생천

31
부지런함을 즐기고  게으름을 두려워하는 수행자는 

크고 작은 온갖 속박을  불같이 태우면서 나아간다

比丘謹愼樂 放逸多憂愆 結使所纏裏 爲火燒已盡 
비구근신락 방일다우건 결사소전리 위화소이진

32
부지런함을 즐기고  게으름을 두려워하는 수행자는 

어느새 대자유의 경지에 이르러  결코 물러나는 일이 없다

守戒福致喜 犯戒有懼心 能斷三界漏 此乃近泥洹  
수계복치희 범계유구심 능단삼계루 차내근니원


2, 법구비유경(法句譬喩經) 제2 교학품(第二 敎學品)|▶───법구비유경

마하불 | 조회 204 |추천 0 |2006.08.06. 18:31 http://cafe.daum.net/pokyodang/7HVj/4 
 

한문출처 : 중화전자불전협회(中華電子佛典協會:CBETA)  대정신수대장경(大正新修大藏經)

국역출처 : 동국역경원 전자불전연구소 한글대장경

------------------------------------------------------------------------------------------

法句譬喩經敎學品第二

법구비유경  제2 교학품

------------------------------------------------------------------------------------------
  昔佛在舍衛國祇樹精舍。佛告諸比丘。當勤修道除棄陰蓋。心明神定可免眾苦。
有一比丘志不明達。飽食入室閉房靜眠。愛身快意不觀非常。冥冥懈怠無復晝夜。却
後七日其命將終。

옛날 부처님께서 사위국(舍衛國) 기수정사(祇樹精舍:기원정사)에 계셨다.

부처님께서 여러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마땅히 부지런히 도를 닦아 음개(陰蓋:번뇌의 일종)를 제거해 버려야 한다. 마음이 밝고 정신이 안정되면 온갖 괴로움을 면할 수 있느니라."

그 때 어떤 비구는 뜻을 밝게 통달하지 못하여, 배불리 밥을 먹고 방에 들어가 문을 닫고 조용히 자고 있었다. 그는 몸만 사랑하고 마음의 쾌락만 추구할 뿐 덧없음[非常]을 관찰하지 않고, 아득한 어둠 속에서 밤낮 없이 게으르기만 하였다.

그런데 이레 뒤에는 그 목숨이 끝나게 되어 있었다.

 

佛愍傷之。懼墮惡道即入其室。彈指覺曰。

 咄起何爲寐  蠹類   隱蔽以不淨  迷惑計爲身 
 焉有被斫瘡  心如嬰病痛 遘于眾厄難  而反爲用眠 
 思而不放逸  爲仁學仁迹 從是無有憂  常念自滅意 
 正見學務增  是爲世間明 所生福千倍  終不墮惡道

부처님께서는 그를 가엾게 여기시고 또 나쁜 길[惡道]에 떨어질 것을 염려하여, 곧 그의 방에 들어가 손가락을 퉁겨 깨우시고 말씀하셨다.

 

    깨어나라, 어째서 잠만 자는가   벌·소라고동·조개·좀벌레 따위는

   온갖 더러운 것 덮어 숨기고서   미혹하여 제 몸이라 생각한다。

 

   어찌 상처를 입었으랴만   마음이 마치 큰 병에 걸린 듯 고통스러워

   갖가지 재앙과 어려움 만나도   도리어 잠만 자고 있구나。

 

   깊이 생각하고 방일하지 않으며   인(仁)을 행하고 인의 자취 배우면

   이로 말미암아 근심이 없어지리니   늘 기억하여 제 욕심 없애야 하네。

 

   바른 견해를 배워 불어나도록 힘쓰면   이것이 세간의 등불[明]이 되고

   몇 천 배의 복이 생겨   마침내 나쁜 길에 떨어지지 않으리。

 

: 螉  : (대합조개 방)


  比丘聞偈即便驚寤。見佛親誨加敬悚息。即起稽首爲佛作禮。佛告比丘。汝寧自
識本宿命不。比丘對曰。陰蓋所覆實不自識也。佛告比丘。昔維衛佛時。汝曾出家貪
身利養。不念經戒。飽食却眠不念非常。命終魂神生蟲中。積五萬歲壽盡復爲螺

之蟲。樹中蠹蟲各五萬歲。此四品蟲生長冥中。貪身愛命樂處幽隱。以冥爲家不憙光
明。一眠之時百歲乃覺。纏綿罪網不求出要。今始罪畢得爲沙門。如何睡眠不知厭足
。於是比丘重聞宿緣。慚怖自責。五蓋雲除即得羅漢。

      비구는 이 게송을 듣고 곧 놀라 잠에서 깨어, 부처님께서 친히 가르치신 것을 보고는 더욱 공경하고 송구스러워하였다. 그는 곧 일어나 머리를 조아려 부처님께 예배하였다.

부처님께서 그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너는 자신의 전생 일을 아느냐?"

비구가 대답하였다. "음개에 덮여 스스로 알지 못합니다."

부처님께서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옛날 유위불(維衛佛:毘婆尸佛) 때에 너는 일찍이 출가했었으나, 네 몸의 이양만 탐하고 경전이나 계율을 생각하지 않았으며, 배불리 먹고는 물러가 잠만 자고 목숨의 덧없음을 생각하지 않았다.

그러다가 목숨을 마치고는 영혼은 벌[]로 태어나 5만 년을 지냈고 거기서 목숨이 다하여서는 다시 소라와 조개와 나무 속의 좀벌레가 되어 각각 5만 년을 지냈었다.

어둠 속에서 이 네 가지 벌레로 생장(生長)하는 동안 몸을 탐하고 목숨을 사랑하며 그윽한 곳을 즐기며 살았었다. 그리하여 어둠으로 집을 삼아 광명을 좋아하지 않고, 한 번 잠이 들면 백 년이 지나서야 비로소 깨어난다.

죄의 그물 속에 쌓여 있으면서 벗어나는 방법을 구하지 않다가, 이제야 비로소 그 죄가 다하여 사문이 되었거늘 어찌 잠에 빠져 만족할 줄을 모르느냐?"

그 때 그 비구는 또 전생의 일까지 듣고는 부끄럽고 두려워 자책하자, 곧 다섯 가지 음개가 없어져 아라한이 되었다

        

      ◈                                                  ◈                                                   ◈


  昔佛在舍衛國祇樹給孤獨園。與諸天人四輩說法。時有一年少比丘。爲人頑愚質
直踈野。未解道要。情意興盛思想於欲。陽氣隆盛不能自制。以此爲惱不獲度世。坐
自思惟有根斷者。然後淸淨可得道迹。即至檀越家。從之借斧還房閉戶脫去衣服。坐
木板上欲自斫陰正坐。此陰令我勤苦。經歷生死無央數劫。三塗六趣皆由色欲。不斷
此者無緣得道。佛知其意愚癡乃爾。道從制心心是根源。不知當死自害墮罪長受苦痛
。於是世尊往入其房。即問比丘。欲作何等。放斧著衣禮佛自陳。學道日久未解法門
。每坐禪定垂當得道爲欲所蓋。陽氣隆盛意惑目冥。不覺天地諦自責念事皆由此。是
以借斧欲斷制之。佛告比丘。卿何愚癡不解道理。欲求道者先斷其癡然後制心。心者
善惡之根源。欲斷根者先制其心。心定意解然後得道。

      옛날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祇樹給孤獨園)에 계시면서 여러 천인(天人)과 네 무리를 위해 설법하셨다.

그 때 어떤 젊은 비구가 있었는데 그는 사람됨이 미련하고 어리석으며 질박하고 고지식한 데다가 성질마저 거칠어 도를 알지 못하였다. 그러면서 생각은 왕성하여 항상 탐욕을 생각하였고 또한 양기(陽氣)가 왕성하여 스스로 억제하지 못하였다.

그는 그 때문에 늘 번민하면서 세간을 벗어나지 못하고 가만히 앉아 스스로 생각하였다. '이 뿌리를 끊어 버린 후에야 청정하게 되어 도적(道迹:須陀洹)을 증득할 수 있으리라.'

그는 곧 시주의 집으로 가서 도끼를 빌려왔다. 방에 들어가 문을 닫고 옷을 벗은 다음 나무판자 위에 앉아 그의 음경을 끊으려 하면서 바르게 앉아 생각하였다. '이 음경이 나를 괴롭히면서 무수한 겁 동안 생사(生死)를 헤매이게 했으니, 세 갈래 길[三塗]과 여섯 가지 세계[六趣]는 모두 이 색욕(色欲) 때문이다. 이것을 자르지 않으면 도를 얻을 인연이 없을 것이다.'

부처님께서 그의 마음을 아셨다. '어리석음이 어쩌면 저러할고. 도(道)는 마음을 억제하는 데서 얻어지는 것이므로 마음이 바로 그 근본인 것이다. 그런데 장차 죽을 것을 알지 못하고 제 자신을 해치면 죄에 떨어져 오랫동안 고통받을 것이다.'

그리고는 세존께서 곧 그의 방으로 들어가 비구에게 물으셨다. "너는 무엇을 하려고 그러느냐?"

그는 곧 도끼를 놓고 옷을 걸친 뒤 부처님께 예배하고 사정을 아뢰었다.

"도를 배운 지는 오래 되었으나 아직 법의 문[法門]을 알지 못합니다. 매번 앉아서 선정에 들 때에는 곧 도를 얻을 것 같았으나, 그만 음욕에 덮여 양기가 왕성하게 일어나므로 마음이 미혹해지고 눈이 어두워져 천지를 깨닫지 못하게 됩니다. 그리하여 제 자신을 꾸짖으면서 생각해보니 이것은 모두 색욕 때문임을 알았습니다. 도끼를 빌려다가 그것을 잘라 제거하려고 합니다."

부처님께서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너는 어찌 그리도 어리석어 도의 이치를 알지 못하느냐?

도를 구하려면 먼저 그 어리석음부터 끊고 그 다음에 마음을 제어하여라. 마음은 선·악의 근원이니, 그 근원을 끊으려면 먼저 그 마음을 제어하여야 한다. 마음이 안정되고 그 생각이 풀린 뒤에라야 도를 얻게 될 것이다."

 

於是世尊即說偈言。
 學先斷母  率君二臣   廢諸營從  是上道人

이에 부처님께서는 곧 게송을 말씀하셨다.

 

   배울 땐 먼저 그 근본[母]을 끊고   임금은 다만 두 신하만 거느리고

   여러 시종들을 없애버리면   그가 훌륭한 도인이니라。


  佛告比丘。十二因緣以癡爲本。癡者眾罪之源。智者眾行之本。先當斷癡然後意
定。佛說是已比丘慚愧即自責言。我爲愚癡迷惑來。久不解古典使如此耳。今佛所說
甚爲妙哉。內思正定安般。守意制心伏情杜閉諸欲。即得定意在於佛前逮得應眞。

      부처님께서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열두 가지 인연(因緣)은 어리석음[癡]을 근본으로 삼는다.

어리석음은 뭇 죄의 근원이요, 지혜는 온갖 행의 근본이다. 그러므로 먼저 어리석음을 끊은 뒤에야 비로소 뜻이 안정될 것이다."

부처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시자, 그 비구는 몹시 부끄러워[慙愧] 제 자신을 꾸짖으면서 아뢰었다.

"저는 어리석고 미혹하여 오랫동안 옛 말씀[古典]을 알지 못하였기 때문에 이렇게 되었습니다. 지금 부처님의 말씀은 매우 미묘합니다."

그는 안[內]을 사유하여 바른 선정에 들어 안반(安般)으로 마음을 지켰다. 마음을 억제하고 정(情)을 항복받고 온갖 욕심을 막아 곧 안정된 마음을 얻어, 부처님 앞에서 아라한[應眞]을 체득하였다

 

안반(安般) - 범어로는 Ana-ap na 이며 5정심관(停心觀) 중 하나이다. 안나반나(安那般那)의 준말로서 수식관(數息觀)을 말함.

안나(安那)는 내쉬는 숨이고, 반나(般那)는 들이쉬는 숨으로 내쉬고 들이쉬는 숨을 헤아려 마음의 동요를 막는 것이다.

 

      ◈                                                     ◈                                                  ◈


  昔佛在羅閱祇國靈鷲山中。爲諸天人國王大臣說甘露法。有一比丘剛猛勇健。佛
知其意遣至山後鬼神谷中。令樹下坐數息求定。知息長短安般守意。斷求滅苦可得泥
洹。比丘受敎往至谷中欲坐定意。但聞山中鬼神語聲不見其形。但有音聲悚息。怖懼
不能自寧。意欲悔還即自念言。居家大富宗族。又强出家學道獨見安處。鬼神深山旣
無伴侶又無行人。但有諸鬼數來怖人。思惟如是未去之間。於是世尊往到其邊。坐一
樹下而問之曰。汝獨在此將無怖懼耶。比丘稽首白言。初未曾入山在此實憂。須臾之

間有一野象王來在邊。倚一樹臥心獨歡喜。遠離諸象一何快哉。佛知象意告比丘曰。
汝寧知是象所由來不。對曰。不審。佛告比丘。此象眷屬大小五百餘頭。厭患小象捨
來至此倚樹而臥。自念得離恩愛牢獄一何快哉。象是畜生猶思閑靜。況汝捨家欲求度
世。方以獨自欲求伴侶。愚冥伴侶多所傷敗。獨住無對亦無謀議。寧獨修道不用愚伴。

      옛날 부처님께서 나열기국(羅閱祇國) 영취산(靈鷲山) 속에 머무시면서 여러 천인(天人)들과 국왕과 대신들을 위해 감로법(甘露法)을 말씀하셨다.

그 때 어떤 비구가 있었는데 굳세고 용맹스럽고 씩씩하였다. 부처님께서는 그의 뜻을 아시고서 그를 산 뒤에 있는 귀신 골짜기로 보내 나무 밑에 앉게 하고 호흡을 세면서 선정을 구하게 하셨다.

"호흡의 길고 짧음을 헤아리되, 안반으로 뜻을 지켜 구하는 마음을 끊고 괴로움을 없애야 열반[泥洹]을 얻을 수 있느니라."

비구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받고 그 골짜기에 앉아 마음의 안정을 얻으려 하였으나, 그 산 속에서 다만 귀신의 말소리만 들릴 뿐 형상은 보이지 않았다. 단지 그 음성만 들리는 두려움에 숨을 죽였고 겁이 나서 스스로 안정을 얻을 수가 없었다.

그래서 마음으로 뉘우치고 돌아가려 하다가 스스로 생각하였다. '나는 집에 있으면 대부호의 종족(宗族)이다. 그런데도 억지로 출가하여 도를 배우면서도 유독 편안한 곳을 얻으려 하는구나.

지금 귀신이 사는 깊은 산중엔 아무 도반도 없고 또 다니는 사람도 없으며, 단지 귀신들만 자주 와서 사람을 두렵게 하는구나.'

생각이 이에 미치기도 전에 세존께서 그의 곁으로 오시어 한 나무 밑에 앉아 그에게 물으셨다. "네 홀로 여기에 있으면서 아무 두려움도 없었느냐?"

비구는 머리를 조아리며 아뢰었다.  "아직까지 이 산에 들어온 적이 없었다가 처음으로 여기에 있게 되니 실로 두렵습니다."

조금 있다가 어떤 야생 코끼리 왕이 곁에 와서 한 나무를 의지하고 누워 마음으로 기뻐하면서 '여러 코끼리들을 멀리 떠나 있으니 얼마나 유쾌한가'라고 하였다.

부처님께서 코끼리의 마음을 아시고서 그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너는 이 코끼리가 어디서 왔는지 아느냐?"

비구가 대답하였다.  "알 수 없습니다."

부처님께서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이 코끼리는 크고 작은 권속이 5백여 마리나 되는데, 작은 코끼리들을 귀찮게 여겨 그들을 버리고 여기로 왔다.

그리고 나무를 의지하고 누워 스스로 생각하되 '은애(恩愛)의 감옥을 떠났으니 얼마나 유쾌한가?'라고 하였느니라.

이 코끼리는 짐승인데도 오히려 한적한 것을 좋아하거늘, 하물며 너는 집을 떠나 세속을 벗어나려 하면서, 혼자 있다고 하여 친구를 구하려 하는가?

어리석고 어두운 친구는 손해만 많을 뿐이다. 혼자 있으면 적이 없고 또 일을 꾀하여 의논할 일도 없으니, 차라리 혼자서 도를 닦을지언정 어리석은 친구와는 짝하지 말아야 하느니라."

 

於是世尊即說偈言。
 學無朋類  不得善友   寧獨守善  不與愚偕

 樂戒學行  奚用伴爲 獨善無憂  如空野象

이에 세존께서는 곧 게송을 말씀하셨다.

 

   배울 때 친구가 없다 해도   착한 벗 얻지 못하거든

   차라리 홀로 선(善)을 닦을지언정   어리석은 이와는 짝하지 말라。

 

   계율을 즐겨하고 행을 배울 때   무슨 친구가 필요하리오

   혼자라도 착하여 근심 없으면   저 빈 들판의 코끼리 같으리라。


  佛說是時比丘意解。內思聖敎即得應眞。谷中鬼神亦皆聞解爲佛弟子。受誓誡勅
不復侵民。佛與比丘共還精舍。

      부처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시자 그 비구는 그 의미를 이해하고서 마음속으로 거룩한 가르침을 생각하고 곧 아라한[應眞]을 증득하였다.

그리고 그 골짜기의 귀신들도 모두 그 설법을 듣고 이해하여 부처님의 제자가 되었으며, 그들은 경계하는 가르침을 받들어 다시는 사람들을 침범하지 않았다.

 

 

소프라노 김순영 - over the rainbow

https://www.youtube.com/watch?v=IYtJpsJ-JZY

Somewhere over the rainbow way up high

(무지개 너머, 저하늘 높이 어딘가에)

There's a land that I heard of once in a lullaby

(자장가에서 들었던 나라가 있어요)

Somewhere over the rainbow skies are blue

(무지개 넘어 어딘가에 하늘은 파랗고)

And the dreams that you dare to dream really do come true

(꿈을 꾸는 모든것이 이루어지는 곳이죠)


Someday I'll wish upon a star

(언젠가 나는 별을 보며 소원을 빌고)

And wake up where the clouds are far behind me

(구름 저 멀리 위에서 잠을 깰 꺼예요)



Where troubles melt like lemon drops

Way above the chimney tops

(굴뚝 보다 훨씬 높은 그 곳에서

걱정은 레몬사탕처럼 녹아버려요)

That's where you'll find me

(거기로 날 찾으러 와요)


Somewhere over the rainbow blue birds fly

(무지개 너머 어딘가에 파랑새들이 하늘을 날아요)

Birds fly over the rainbow

(무지개 너머 새들이 날아 다녀요)

Why then, oh why can't  I ?

(그런데 왜, 왜 나라고 날지 못하겠어요)


If happy little blue birds fly beyond the rainbow

(무지개 너머 작은 새들이 행복에 잠겨 날아 다녀요)

Why, oh why can't  I ?

(왜 나라고 날지 못하겠어요)

 

법정스님이 읽어주는 산에는 꽃이피네 중에서

https://www.youtube.com/watch?v=h1Pmt8Uv2PQ

 

꽃사진

https://www.youtube.com/watch?v=a15v3BJLrVI

최혜영 - 물 같은 사랑, 그것은 인생

https://www.youtube.com/watch?v=3mFg5oyqpFU

 

"꿈을 위한 변명" 

             - 이 해인

아직 살아 있기에
꿈을 꿀 수 있습니다.

꿈꾸지 말라고
강요하지 마세요.
꿈이 많은 사람은
정신이 산만하고
삶이 맑지 못한 때문이라고
단정 짓지 마세요.

나는 매일
꿈을 꿉니다.
슬퍼도 기뻐도
아름다운 꿈
꿈은 그대로 삶이 됩니다.

오늘의 이야기도
내일의 이야기도
꿈길에 그려질 때가
생각보다 많습니다.

꿈이 없는 삶
삶이 없는 꿈은
얼마나 지루할까요.

죽으면 꿈이 멎겠지만
살아 있는 동안은
꿈을 꾸고 싶습니다.
꿈이 있어 외롭지 않았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오빠 생각

https://www.youtube.com/watch?v=UKiUDoGSzfc


 

 <법구경> 

第  1 章.   쌍서품 (雙敍品) - 대구(對句)의 장  THE TWIN-VERSES  (  1 - 20 )
       제 1장. 오늘(Yamaka Vagga) - 인간의 행동규범에 관한 내용이다. 문장의 구조로 본다면 '…하지 않으면'의 부정문이 반복되고 있다. 그래서 제1장을 긍정과 부정이 서로 대치되는 장이라고 한다.

- 第  1 章.    쌍서품 (雙敍品) -  대구(對句)의 장     THE TWIN-VERSES  

1. 첫번째 가르침 


1
모든 일은 마음이 근본이다   마음에서 나와 마음으로 이루어진다  

나쁜 마음을 가지고 말하거나 행동하면 괴로움이 그를 따른다 수레바퀴가 소의 발자국을 따르듯이

心爲法本 心尊心使. 中心念惡 卽言卽行.  罪苦自追 車轢於轍.
심위법본 심존심사. 중심념악 즉언즉행.  죄고자추 거력어철.

2
모든 일은 마음이 근본이다   마음에서 나와 마음으로 이루어진다  

맑고 순수한 마음을 가지고 말하거나 행동하면 즐거움이 그를 따른다 그림자가 그 주인을 따르듯이

心爲法本 心尊心使. 中心念善 卽言卽行. 福樂自追 如影隨形.  
심위법본 심존심사. 중심념선 즉언즉행. 복락자추 여영수형.

3
'그는 나를 욕하고 상처입혔다   나를 이기고 내 것을 빼앗았다'   

이러한 생각을 품고 있으면  미움이 가라앉지 않는다

人若罵我 勝我不勝 快意從者 怨終不息.   
인약매아 승아불승 쾌의종자 원종불식.

4
'그는 나를 욕하고 상처입혔다   나를 이기고 내 것을 빼앗았다'  

이러한 생각을 품지 않으면  마침내 미움이 가라앉으리라

人若致毁罵 役勝我不勝 快樂從意者 怨終得休息.  
인약치훼매 역승아불승 쾌락종의자 원종득휴식.

5
이 세상에서 원한은   원한에 위해서는 결코 사라지지 않는다   

원한을 버릴 때에만 사라지나니  이것은 변치 않을 영원한 진리다

不可怨以怨 終以得休息. 行忍得息怨 此名如來法. 
불가원이원 종이득휴식. 행인득식원 차명여래법.

6
'우리는 이 세상에서 언젠가 죽어야 할 존재'임을  깨닫지 못하는 이가 있다   

이것을 깨달으면 온갖 싸움이 사라질 것을

不好責彼 務自省身. 如有知此 永滅無患. 
불호책피 무자성신. 여유지차 영멸무환.

7
더러운 것을 깨끗하게 보고   감각의 욕망을 억제하지 않으며  

먹고 마시는 일에 절제가 없고    게을러서 정진하지 않는 사람은 

악마가 그를 쉽게 정복한다   바람이 연약한 나무를 넘어뜨리듯이

行見身淨 不攝諸根 飮食不節 漫墮怯弱  爲邪所制 如風靡草.  
행견신정 불섭제근 음식부절 만타겁약  위사소제 여풍미초.

8
더러운 것을 더럽게 보고   감각의 욕망을 잘 억제하며  

먹고 마심에 절제가 있고  굳은 신념으로 정진하는 사람은  

악마도 그를 정복할 수 없다   바람이 바위산을 어찌할 수 없듯이

觀身不淨 能攝諸根 食知節度 常樂精進 不爲邪動 如風大山  
관신부정 능섭제근 식지절도 상락정진 불위사동 여풍대산

9
더러운 때를 버리지 못하면서  승복을 입으려고 한다면  

그는 승복 입을 자격이 없다   절제와 진실이 없기 때문에

不吐毒態 慾心馳騁 未能自調 不應法衣   
불토독태 욕심치빙 미능자조 불응법의

10
더러운 때를 씻어 버리고   계율을 잘 지키며  

절제와 진실을 지닌 사람만이   승복을 입기에 어울리는 자다

能吐毒態 戒意安靜  降心巳調 此應法衣  
태토독태 계의안정  강심사조 차응법의

11
진실을 거짓이라 생각하고  거짓을 진실로 생각하는 사람은  

이 잘못된 생각 때문에  끝내 진실에 이를 수 없다

以眞爲僞 以僞爲眞 是爲邪計 不得眞利   
이진위위 이위위진 시위사계 부득진리

12
진실을 진실인 줄 알고   진실 아닌 것을 아닌 줄 알면  

이런 사람은 그 바른 생각 때문에  마침내 진실에 이를 수 있다

知眞爲眞 見僞知僞 是爲正計 必得眞利  
지진위진 견위지위 시위정계 필득진리

13
허술하게 덮은 지붕에   비가 새듯이  

수행이 덜된 마음에는  욕망의 손길이 뻗치기 쉽다

蓋屋不密 天兩則漏 意不惟行 淫 ?爲穿  
개옥불밀 천량칙루 의불유행 음일위천

14
잘 덮인 지붕에    비가 새지 않듯이  수

행이 잘된 마음에는   욕망이 스며들 틈이 없다

蓋屋善密 雨則不漏 攝意惟行 淫泆不生  
개옥선밀 우칙불루 섭의유행 음일불생

15
악한 짓을 한 사람은 이 세상과 저 세상에서 근심한다  

자기 행실이 더러운 걸 보고  그는 슬퍼하고 괴로워한다

造憂後憂 行惡兩憂 彼憂惟懼 見罪心거  
조우후우 행악양우 피우유구 견죄심거

16
착한 일을 한 사람은  이 세상과 저 세상에서 기뻐한다 

자기 행동이 떳떳함을 보고  그는 기뻐하고 즐거워한다

造喜後喜 行善兩喜 彼喜惟歡 見福心安  
조희후희 행선양희 피희유환 견복심안

17
못된 짓을 한 사람은  이 세상과 저 세상에서 괴로워한다 

 '내가 못된 짓을 했구나' 하고 괴로워하고   지옥에 떨어져 거듭 괴로워한다

今悔後悔 爲惡兩悔 厥爲自殃 受罪熱惱  
금회후회 위악양회 궐위자앙 수죄열뇌

18
착한 일을 한 사람은  이 세상과 저 세상에서 기뻐한다 

 '착한 일을 했는가' 싶어 기뻐하고  좋은 세상에 가서 거듭 기뻐한다  

今歡後歡 爲善兩歡 厥爲自祐 受福悅豫  
금환후환 위선양환 궐위자우 수복열예

19
아무리 경전을 많이 외울지라도  이를 실천하지 않는 방탕한 사람은 

남의 소만 세고 있는 소몰이꾼일 뿐  참된 수행자의 대열에 들 수 없다

雖誦習多義 放逸不從正 如牧數他牛 難獲沙門果  
수송습다의 방일불종정 여목수타우 난획사문과

20
경전을 조금밖에 외울 수 없더라도  진리대로 실천하고 

욕망과 분노와 어리석음에서 벗어나  바른 지혜와 해탈을 얻고 

이 세상과 저 세상에 매이지 않는 이는  진실한 수행자의 대열에 들 수 있다

時言少求 行道如法 除狀怒痴 覺正意解 見對不起 是佛弟子  
시언소구 행도여법 제음노치 각정의해 견대불기 시불제자


출처: http://kydong77.tistory.com/18099?category=563674 [김영동교수의 고전& life]

 

1, 법구비유경(法句譬喩經) 제1 무상품(第一 無常品)|

마하불 | 조회 597 |추천 0 |2006.08.06. 17:16 http://cafe.daum.net/pokyodang/7HVj/3 
 

한문출처 : 중화전자불전협회(中華電子佛典協會:CBETA)  대정신수대장경(大正新修大藏經)

국역출처 : 동국역경원 전자불전연구소 한글대장경

-----------------------------------------------

法句譬喩經卷第一   晉世沙門法炬共法立譯

법구비유경 제 1 권   진세(晋世) 사문 법거(法炬)·법립(法立) 공역

----------------------------------------------

常品第一

제1 무상품

----------------------------------------------
  昔者天帝釋五德離身。自知命盡當下生世間。在陶作家受驢胞胎。何謂五德。一
者身上光滅。二者頭上華萎。三者不樂本坐。四者腋下汗臭。五者塵土著身。以此五
事自知福盡甚大愁憂。自念三界之中濟人苦厄唯有佛耳。於是奔馳往到佛所。時佛在
耆闍崛山石室中。坐禪入普濟三昧。天帝見佛稽首作禮伏地。至心三自歸命佛法聖眾
。未起之間其命忽出。便至陶家驢母腹中作子。時驢自解走瓦坏間破壞坏器。其主打
之尋時傷胎。其神即還入故身中。五德還備復爲天帝。佛三昧覺讚言。善哉天帝。能
於殞命之際。歸命三尊罪對已畢不更勤苦。

 

      옛날에 제석천[天帝釋]은 자신의 몸에서 다섯 가지 덕(德)이 떠났기 때문에, 목숨을 마치면 장차 인간 세상에 내려가 옹기장이 집에서 나귀의 태(胎)를 받으리라는 것을 알았다.

다섯 가지 덕이란 무엇인가? 첫째는 몸에서 광명이 사라지는 것이요, 둘째는 머리 위의 꽃이 시드는 것이며, 셋째는 본래의 자리를 좋아하지 않는 것이요, 넷째는 겨드랑 밑에서 땀 냄새가 나는 것이며, 다섯째는 흙먼지가 몸에 묻는 것이다.

그는 이 다섯 가지 일로써 복(福)이 다하였음을 스스로 알고, 매우 걱정하고 근심하였다.

그리고 스스로 생각하기를 '이 삼계(三界) 안에서 사람들의 괴로움과 재액(災厄)을 구제할 이는 오직 부처님뿐이다'라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그는 부처님 처소로 달려갔다.

그 때 부처님께서는 기사굴산(耆闍崛山)의 석실(石室) 안에서 좌선하시며 보제삼매(普濟三昧)에 들어 계셨다. 제석천은 부처님을 뵙자 땅에 엎드려 머리를 조아린 채 예배하고 지극한 마음으로 삼보인 부처님과 법(法)과 거룩한 대중[聖衆]들에게 귀의하였다. 그리고 미처 일어서기도 전에 목숨을 마치고 곧 옹기장이 집으로 내려가 나귀의 새끼로서 어미 배 속에 들어갔다.

그 때 나귀는 스스로 고삐를 풀고 아직 굽지 않은 기왓장 사이를 내달으면서 질그릇을 모두 부수어 버렸다. 그러자 그 주인이 나귀를 때렸는데 조금 뒤에 태(胎)가 손상되었다. 그리하여 그의 신식(神識)은 도로 본래의 몸 속으로 들어가, 다섯 가지 덕을 갖추고 다시 제석천이 되었다.

부처님께서 삼매에서 깨어나 칭찬하며 말씀하셨다. 부처님께서 삼매에서 깨어나 칭찬하며 말씀하셨다.  

 

爾時世尊以偈頌曰。

이 때 세존께서는 게송을 읊으셨다.


 所行非常  謂興衰法   夫生輒死  此滅委樂

   譬如陶家  埏埴作器   一切要壞  人命亦然

 

 

   모든 행(行)은 덧없어  흥하고 쇠하는 법이라 하네

   대개 나면 이내 죽고마니   이 멸(滅:滅度)만이 즐거움일세.

 

   마치 저 옹이장이가   흙을 개어 그릇을 만들었어도

   그것은 모두 깨어지는 것처럼   사람의 목숨도 그러하니라.


  帝釋聞偈知無常之要。達罪福之變。解興衰之本。遵寂滅之行。歡喜奉受得須陀
洹道。

      제석천은 이 게송을 듣고, 덧없음[無常]의 이치를 깨닫고 죄와 복이 변하는 것을 통달하고, 흥하고 쇠하는 근본을 알았다. 그리하여 적멸(寂滅)의 행을 그대로 따라 기뻐하며 받들어 수다원(須陀洹)의 도를 증득하였다.

 

 

  昔佛在舍衛國精舍中。爲諸天人龍鬼說法。時國王波斯匿大夫人。年過九十卒得
重病。藥望差遂便喪亡。王及國臣如法葬送。遷神墳墓。葬送畢訖還過佛所。脫服
前禮佛足。佛命令坐而問之曰。王所從來衣麤形異何所施爲也。王稽首曰。國大
夫人年過九十間得重病。奄便喪亡。遣送靈柩遷葬墳墓。今始來還過覲聖尊。佛告王
曰。自古至今大畏有四。生則老枯病無光澤。死則神去親屬別離。是謂爲四。不與人
期萬物無常難得久居。一日過去人命亦然。如五河流晝夜無息。人命駛疾亦復如是。

      옛날 부처님께서 사위국(舍衛國)의 정사(精舍)에 머무시면서 여러 하늘[天]과 사람·용·귀신들을 위해 설법하셨다.

그 때 국왕인 파사닉(波斯匿)의 큰 부인은 나이 90이 지나 갑자기 중병(重病)에 걸렸는데 약을 써 차도가 있기를 바랬으나 끝내 목숨을 마치고 말았다. 왕과 신하들은 법에 맞게 장례를 치르고 혼백을 무덤으로 옮겼다.

왕은 장례를 마치고 돌아오는 길에 부처님 계신 곳을 지나다가 옷과 신을 벗고 부처님 앞에 나아가 그 발에 예배하였다.

부처님께서는 분부하여 앉게 하시고 그에게 물으셨다. "왕은 어디서 오시기에 옷이 누추하고 얼굴빛이 이상하십니까? 무슨 일이 있었습니까?"

왕은 머리를 조아리며 아뢰었다. "큰 부인이 나이 90이 지났는데, 근래에 중병에 걸리더니 갑자기 죽었습니다. 그래서 영구(靈柩)를 보내 무덤에 옮겨 장사하고, 지금 막 돌아오는 길에 부처님[聖尊]을 뵙는 것입니다."

부처님께서 왕에게 말씀하셨다.  "옛날부터 지금까지 매우 두려운 것이 네 가지가 있습니다. 즉, 태어나고, 늙어 쇠하며, 병들어 몸에 광택이 없어지고, 죽어서 영혼이 떠나 친척들과 이별하는 것, 이 네 가지를 말합니다.

사람의 목숨은 기약할 수 없고 만물은 덧없어 오래 보전하기 어려운 것입니다. 하루하루가 지나가는 것처럼 사람의 목숨도 그와 같아서 마치 다섯 강물이 밤낮으로 쉬지 않고 흐르는 것처럼, 사람 목숨의 빠르기도 그와 같습니다."

 

: 의 대치,(의원 의)이체자  : 의 대치,(버선 말)이체자


於是世尊即說偈言。

그리고 세존께서는 곧 게송을 말씀하셨다.


 如河駛流  往而不返   人命如是  逝者不還

 

 

   저 강물이 빨리 흘러   가버리면 다시 돌아오지 않듯

   사람의 목숨도 이와 같아서   가고 나면 다시는 돌아오지 않는다.


  佛告大王世皆有是。無長存者皆當歸死無有脫者。往昔國王諸佛眞人五通仙士。
亦皆過去無能住者。空爲悲感以殞軀形。夫爲孝子哀愍亡者爲福爲德。以歸流之福祐
往追如餉遠人。佛說是時。王及群臣莫不歡喜忘憂除患。諸來一切皆得道迹。

      부처님께서 대왕에게 말씀하셨다. "세상은 다 그런 것입니다. 영원토록 보존되는 것은 아무것도 없습니다. 모두 죽음으로 돌아가나니, 그것을 벗어날 이는 아무도 없습니다.

옛날 국왕이나 모든 부처·아라한[眞人]이나 다섯 가지 신통을 가진 선사(仙士)들도 다 가버려 지금 살아 있는 이는 아무도 없으니 부질없이 슬퍼함으로써 몸을 해치지 마십시오.

대개 효자로서 죽은 이를 가엾게 여기면 복과 덕이 되는 것이니, 그 복이 흘러 들어가 복덕이 그를 따르는 것이 마치 먼 길을 온 사람에게 음식을 대접하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부처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시자 왕과 신하들은 모두 기뻐하면서 근심을 잊었고 우환이 없어졌으며, 거기에 온 모든 사람들도 다 도적(道迹:須陀洹)을 증득하였다.

 

                                     

 

  昔佛在羅閱祇竹園中。與諸弟子入城受請說法畢訖。晡時出城道逢一人驅大群牛
放還入城。肥飽跳騰轉相觝觸。

 

      옛날 부처님께서는 나열기(羅閱祇) 죽림정사[竹園]에 계셨는데 여러 제자들과 함께 성 안으로 들어가 어떤 사람의 공양을 받고 설법하신 뒤에 해질녘이 되어 성을 나오셨다.

마침 길에서 많은 소떼를 풀어 성으로 몰고 돌아가는 어떤 사람을 만났는데 소들이 모두 살이 쪘으며 배가 불러 이리저리 뛰고 서로 떠받으면서 좋아하였다.

 

於是世尊即說偈言。

그 때 부처님께서는 곧 게송을 읊으셨다.

 


 譬人操杖  行牧食牛   老死猶然  亦養命去

   千百非一  族姓男女   貯聚財産  無不衰喪

   生者日夜  命自攻削   壽之消盡  如ㅇㅈ

 

 

   마치 소 치는 사람이 채찍을 들고   소를 길러 잡아먹듯이

   늙음과 죽음도 이와 같아서   기른 뒤에 목숨을 앗아가네.

 

   천 명이나 백 명 중 한 사람이 아닌    모든 족성의 남자와 여자들이

   아무리 재물을 쌓고 모아도    쇠하거나 잃지 않는 이 없네.

 

   이 세상 태어나 밤낮으로   목숨을 스스로 치고 깎다가

   그 목숨 차츰 줄어 다함이   마치 저 잦아드는 옹달샘 같네.

 

: [榮-木+巾]   : * *如[榮-木+巾][雨/井]水。


  佛到竹林洗足却坐。阿難即前稽首問言世尊。向者道中說此三偈。不審其義願蒙
開化。佛告阿難。汝見有人驅放群牛不。唯然見之。佛告阿難。此屠家群牛。本有千
頭。屠兒日日遣人出城。求好水草養令肥長。擇取肥者日牽殺之。殺之死者過半而餘
者不覺。方相觝跳騰鳴吼。傷其無智故說偈耳。佛語阿難。何但此牛。世人亦爾。
計於吾我不知非常。饕餮五欲養育其身。快心極意更相殘賊。無常宿對卒至無期。曚
曚不覺何異於此也。時坐中有貪養比丘二百人。聞法自勵逮六神通得阿羅漢。眾坐悲
喜爲佛作禮。

 

      부처님께서 죽림정사에 이르시어 발을 씻고 물러가 앉으셨다. 아난이 즉시 앞으로 나아가 머리를 조아리며 여쭈었다. "세존께서는 아까 길에서 이 세 게송을 읊으셨는데 그 뜻을 자세히 알지 못하겠습니다. 원컨대 몽매함을 깨우쳐[開化] 주십시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아난아, 너는 어떤 사람이 소떼를 놓아 몰고 가는 것을 보았느냐?"

"예, 보았습니다."

부처님께서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그것은 백정 집의 소떼들이다. 본래는 천 마리가 있었는데 백정이 날마다 성 밖으로 사람을 보내어 좋은 물과 풀을 구해 먹여 살찌게 한 다음 살찐 놈부터 가려내어 날마다 도살하였다.

그렇게 하여 죽은 소가 절반이 넘건만 나머지 소들은 그것도 모르고 서로 떠받고 뛰어다니며 소리지르고 좋아하고 있었다. 나는 그들의 어리석음[無智]을 가엾게 여겼기 때문에 그 게송을 읊었을 뿐이다."

부처님께서 이어 말씀하셨다. "아난아, 어찌 그 소들뿐이겠느냐? 세상 사람들도 또한 마찬가지이다. 항상 나(我)라고 헤아려 그것이 덧없는 것[非常]임을 알지 못하고 다섯 가지 욕망[欲]을 탐하여 그 몸을 기르고 마음껏 향락하면서 또 서로 해치고 죽인다. 그리하여 오래도록 머물지 못하고 죽음이 아무런 기약 없이 갑자기 닥쳐오건만 그들은 까마득하게 깨닫지 못하고 있으니 저 소들과 무엇이 다르겠느냐?"

그 때 그 자리에서 이양(利養)만을 탐하던 2백 비구들은 이 설법을 듣고 스스로 가다듬어 여섯 가지 신통(神通)을 체득하여 아라한이 되었다. 앉아있던 대중들은 모두 슬퍼하고 기뻐하면서 부처님께 예배하였다.

 

: 의대치,(거칠 조)이체자

 

      昔佛在舍衛國祇樹給孤獨園。爲諸弟子說法。時有梵志女。年十四五。端正聰辯
。父甚憐愛。卒得重病即便喪亡。田有熟麥爲野火所燒。梵志得此憂惱愁憒失意恍惚
。譬如狂人不能自解。傳聞人說佛爲大聖天人之師。演說經道忘憂除患。於是梵志往
到佛所。作禮長跪白佛言。素少子息。唯有一女。愛以忘憂。卒得重病捨我喪亡。天
性悼愍。情不自勝。唯願世尊垂神開化釋我憂結。佛告梵志世有四事。不可得久。何
謂爲四。一者有常必無常。二者富貴必貧賤。三者合會必別離。四者强健必當死。

 

      옛날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祇樹給孤獨園)에 계시면서 여러 제자들을 위해 설법하셨다.

그 때 어떤 범지에게 딸이 있었는데 그녀의 나이는 열너댓 살 정도로서 단정하고 총명하며 말솜씨가 있었다. 그래서 아버지는 매우 예뻐하고 사랑했는데 갑자기 딸이 중병을 얻어 이내 죽고 말았다. 그것은 마치 밭에 잘 익은 보리가 들불에 모조리 탄 것과 같았다.

범지는 이런 근심과 번뇌와 슬픔 속에서 정신을 잃고 멍청해져서 마치 미친 사람이 제 자신에 대하여 아무 것도 모르는 것과 같았다.

마침 그는 어떤 사람에게서 "부처님께서는 큰 성인으로서 천상과 인간의 스승이시며, 법을 연설하시어 사람들의 근심을 잊게 하고 걱정을 덜어 주신다"는 말을 전해 들었다.

이에 범지는 부처님 계신 곳으로 나아가 예배하고 꿇어앉아[長跪] 부처님께 아뢰었다. "저는 본래부터 아들은 없고 오직 딸만 하나 있어 그 딸을 사랑하며 온갖 시름을 잊고 살아왔습니다. 그런데 그 딸이 갑자기 중병을 얻어 저를 버리고 죽었습니다. 저는 정말로 가엾고 애처로운 마음에 어찌할 바를 모르겠습니다. 원컨대 세존께서는 굽어 살피시고 깨우쳐 주시어 제 맺힌 근심을 풀어 주십시오."

부처님께서 범지에게 말씀하셨다.  "이 세상에는 오래 갈 수[久] 없는 네 가지 일이 있다. 첫째는 항상할 것 같아도 반드시 덧없게 되고, 둘째는 부귀(富貴)한 것은 반드시 빈천(貧賤)하게 되며, 셋째는 만나면 반드시 헤어지게 되고, 넷째는 강건한 이도 반드시 죽는 것이니라."

 

於是世尊即說偈言。

그리고는 세존께서 곧 게송을 말씀하셨다.


 常者皆盡  高者必墮   合會有離  生者有死

 

 

   항상할 것 같아도 모두 다 없어지고   높은 데 있는 것도 반드시 떨어지며

   만나면 반드시 헤어짐이 있고   태어난 것은 언젠가는 죽느니라.


  梵志聞偈心即開解。願作比丘。鬚髮自墮即成比丘。重惟非常得羅漢道。

      범지는 이 게송을 듣고 곧 마음이 열리어 비구가 되기를 원하였다. 그러자 수염과 머리털이 저절로 떨어져 곧 비구가 되었다.

그리고 덧없음[非常]을 되풀이해 생각하다가 아라한도(阿羅漢道)를 증득하였다.

 

     


  昔佛在羅閱祇耆闍崛山中。時城內有女人。名曰蓮華。姿容端正國中無雙。大
臣子弟莫不尋敬。爾時蓮華善心自生。欲棄世事作比丘尼。即詣山中就到佛所。未至
中道有流泉水。蓮華飮水澡手。自見面像容色紅輝頭髮紺靑。形貌方正挺特無比。心
自悔曰。人生於世形體如此。云何自棄行作沙門。且當順時快我私情。念已便還。佛
知蓮華應當化度。化作一婦人端正絶世。復勝蓮華數千萬倍尋路逆來。蓮華見之心甚
愛敬。即問化人從何所來。夫主兒子父兄中外皆在何許。云何獨行而無將從。化人答
言從城中來欲還歸家。雖不相識寧可共還。到泉水上坐息共語不。蓮華言善。二人相
將還到水上。陳意委曲。化人睡來枕蓮華膝眠。須臾之頃忽然命絶。脹臭爛腹潰蟲
出。齒落髮墮肢體解散。蓮華見之心大驚怖。云何好人忽便無常。此人尙爾我豈久存
。故當詣佛精進學道。即至佛所五體投地。作禮已訖具以所見向佛說之。佛告蓮華。
人有四事不可恃怙。何謂爲四。一者少壯會當歸老。二者強健會當歸死。三者六親聚

歡娛樂會當別離。四者財寶積聚要當分散。

 

      옛날 부처님께서 나열기성(羅閱祇城) 기사굴산(耆闍崛山)에 머무실 때, 성 안에 연화(蓮華)라 이름하는 어떤 음탕한 여자가 있었는데 그녀는 자태와 용모가 아름다워 그 나라에서는 짝할 이가 없었으므로 대신(大臣)의 자제들치고 깊이 동경하지 않는 이가 없었다.

그 때 연화는 착한 마음이 저절로 생겨 세속의 일을 버리고 비구니가 되고자 하였다. 그래서 산 속의 부처님 처소로 가려고 걸어가다가 채 이르지 못하였는데 길에 어떤 샘물이 흐르고 있었다. 연화는 물을 마시고 손을 씻다가 물 속에 비친 제 얼굴을 보았다. 얼굴빛은 붉고 빛나며 머리털은 검푸르고 몸매는 반듯하고 빼어나 견줄 데 없이 뛰어났다.

그는 마음으로 후회하며 말하였다. '사람이 이 세상에 태어나서 이처럼 아름다운 얼굴을 가졌거늘 왜 이것을 버리고 가서 사문이 되겠는가? 우선 세월에 순응하며 내 마음껏 향락하리라.'

그리고 곧 발길을 되돌렸다.

부처님께서는 연화를 마땅히 교화하여 제도할 수 있음을 아시고서 변화로 한 허깨비 부인을 만드니 그 아름답고 단정한 미색이 연화보다도 수천만 배나 뛰어났다.

그런 그녀가 길을 거슬러 오자, 연화는 그녀를 보고 마음으로 매우 사랑스럽고 공경스러워 곧 변화로 만든 허깨비 여인에게 물었다. "어디서 오십니까? 남편이나 아이들이나 부모나 형제나 그 밖의 사람들은 모두 어디 있으며, 어째서 시종도 없이 혼자 길을 가십니까?"

허깨비 여인[化人]이 대답하였다. "성에서 집으로 돌아가는 길입니다. 비록 서로 모르는 사이지만, 저 샘물로 같이 가서 앉아 쉬면서 함께 이야기나 나누지 않겠습니까?"

연화가 말했다. "좋습니다."

두 사람은 서로 샘물 가로 가서 허심탄회하게 얘기를 나누었다.

그러다 그 허깨비 여인은 졸린 체하며 연화의 무릎을 베고 누워 잠이 들더니, 어느 순간 갑자기 목숨이 끊어졌다.

그러자 얼굴은 부풀어올랐다가 썩어 문드러지면서 몹쓸 냄새가 났고, 배는 터져 벌레가 기어 나오며, 이빨은 빠지고 머리털은 떨어지며 사지(四肢)는 모두 허물어 흩어졌다.

연화는 그것을 보고 마음으로 크게 놀라고 두려워하여 생각하였다. '어떻게 저토록 아름답던 사람이 갑자기 덧없게[無常] 되었는가? 이런 사람도 이러하거늘 하물며 내가 어찌 오래 살 수 있겠는가? 그러므로 나는 부처님께 나아가 부지런히 도를 배우리라.'

그는 곧 부처님께 나아가 온몸[五體]을 땅에 던져 예배한 뒤에, 그가 이전에 본 것을 모두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께서 연화에게 말씀하셨다.  "사람으로써 믿지 못할 네 가지 일이 있다. 네 가지란 무엇인가? 첫째는 젊음도 마침내 늙음으로 돌아가는 것이요, 둘째는 건장한 것도 마침내 죽음으로 돌아가는 것이며, 셋째는 육친(六親)이 한데 모여 즐기다가도 마침내 헤어질 수밖에 없는 것이요, 넷째는 아무리 재보(財寶)를 쌓아 두어도 마침내 흩어지고 마는 것이다."

 

: (불룩할 방)   : 의 대치,(음란할 음)이체자

 

於是世尊即說偈言。

그리고 부처님께서 곧 게송을 말씀하셨다.


 老則色衰  所病自壞   形敗腐朽  命終其然

   是身何用  洹漏臭處   爲病所困  有老死患

   嗜欲自恣  非法是增   不見聞變  壽命無常 
 非有子恃  亦非父兄   爲死所迫  無親可怙

 

 

   늙으면 형색이 쇠잔해지고   병들면 몸은 저절로 무너져

   온몸이 허물어지고 썩고 마니   목숨을 마치는 것이 그러하니라.

 

   이 몸을 무엇에 쓰겠는가   언제나 더러움만 새어나오는 곳

   게다가 병으로 시달림 받고   늙음과 죽음을 근심할 뿐이네.

 

   욕망에 빠져 스스로 방자하면   법 아닌 것만 늘어가나니

   변하는 것 보고 듣지 못했는가   목숨이란 덧없는 것이라네.

 

   자식이라 하여 믿을 것 없고   부모 형제도 믿을 것 없나니

   죽음의 핍박을 받을 때에는   친족이라 해도 믿을 것 없네.


  蓮華聞法欣然解釋。觀身如化命不久停。唯有道德泥洹永安。即前白佛願爲比丘
尼。佛言善哉頭髮自墮。即成比丘尼。思惟止觀即得羅漢。諸在坐者聞佛所說莫不歡
喜。

      연화는 이 설법을 듣고 상쾌하게 마음이 풀려 이 몸은 허깨비와 같고 목숨은 오래 머물지 못하며, 오직 도덕(道德)이 있어 열반을 성취하는 것만이 영원히 편안한 것임을 관찰하였다.

그리고 곧 부처님 앞으로 나아가 아뢰었다. "비구니가 되고 싶습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착하다."

 이런 일이 있고 나서 곧 머리털이 저절로 떨어져 비구니가 되었고, 선정[止觀]에 들어 깊이 생각하여 아라한이 되었다.

그 자리에 있던 대중들도 부처님 말씀을 듣고 기뻐하지 않는 이가 없었다.

 

     


  昔佛在王舍城竹園中說法。時有梵志兄弟四人。各得五通。却後七日皆當命盡。
自共議言五通之力。反覆天地手捫日月。移山住流靡所不能。寧當不能避此死。對一
人言。吾入大海上不出現。下不至底正處其中。無常殺鬼安知我處一人言。吾入須彌
山中。還合其表令無際現。無常殺鬼安知吾處。一人言。吾當輕擧隱虛空中。無常殺
鬼安知吾處。一人言。吾當藏入大市之中。無常殺鬼趣得一人。何必求吾也。四人議
訖相將辭王。吾等壽算餘有七日。今欲逃命冀當得脫還。乃覲省唯願進德。於是別去
。各到所在七日期滿。各以命終猶果熟落。市監白王有一梵志卒死市中。王乃悟曰。
四人避對。一人已死其餘三人豈得獨免。王即嚴駕往至佛所。作禮却坐王白佛言。近
有梵志兄弟四人。各獲五通自知命盡皆共避之。不審今者皆能得脫不。佛告大王人有
四事。不可得離。何謂爲四。一者在中陰中。不得不受生。二者已生不得不受老。三
者已老不得不受病。四者已病不得不受死。

 

      옛날 부처님께서 왕사성(王舍城) 죽림정사[竹園]에서 설법하고 계셨다.

그 때 어떤 범지 4형제가 있었는데, 그들은 모두 다섯 가지 신통(神通)을 얻어 이레 뒤에는 모두 목숨이 다하리라는 것을 알았다.

그리하여 그들은 서로 의논하였다.  "우리는 다섯 가지 신통의 힘으로 하늘과 땅을 엎치락 뒤치락할 수도 있고 해와 달을 어루만질 수도 있으며 산을 옮겨 놓고 흐르는 강물을 멈추게 하는 등 하지 못하는 일이 없는데 어찌 죽음이라 하여 피할 수 없겠는가?"

그러자 한 사람이 대답하였다. "나는 큰 바다 속에 들어가 물 밖으로 나오지도 않고, 밑에까지 가라앉지도 않으며 그 중간에 있으련다. 아무리 죽음[無常]의 살귀(殺鬼)라 한들 어떻게 내가 있는 곳을 알겠는가?"

또 한 사람이 말하였다. "나는 수미산(須彌山) 속에 들어가 그 표면을 합쳐 틈이 나지 않게 하련다. 아무리 죽음의 살귀라 한들 어떻게 내가 있는 곳을 알겠는가?"

또 한 사람이 말하였다. "나는 허공으로 올라가 허공 중에 숨어 있으련다. 아무리 죽음의 살귀라 한들 어떻게 내가 있는 곳을 알겠는가?"

또 한 사람이 말하였다. "나는 큰 시장 한복판에 들어가 숨으련다. 죽음의 살귀가 와서 한 사람을 잡아가려 할 때에 어찌 굳이 나만을 찾으려 하겠는가?"

그 네 사람들은 이렇게 의논을 마치고 그 왕의 앞으로 나아가 하직하면서 말하였다.  "저희들의 남은 수명을 계산해보니 앞으로 이레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지금 그 죽음을 피하여 도망치려고 합니다. 죽음을 벗어난 뒤에 다시 돌아와 뵈오려 하오니, 부디 덕에 힘쓰기를 바랍니다."

그들은 왕과 이별하고 각자 자신이 있을 곳으로 갔다. 그러나 이레의 기한이 차차 모두 목숨을 마치고 말았으니, 비유하면 마치 과일이 익으면 저절로 떨어지는 것과 같았다.

시장 감독이 왕에게 아뢰었다. "어떤 한 범지가 시장 안에서 갑자기 죽었습니다."

왕은 곧 그 범지임을 알고 말하였다. "네 사람이 죽음을 피하려고 떠나더니 벌써 한 사람이 죽었구나. 그 나머지 세 사람인들 어찌 죽음을 면하였겠는가?"

왕은 곧 수레를 장엄하고 부처님 처소로 나아가 예배한 뒤에 물러나 앉았다.

왕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요즘 어떤 범지 4형제가 있었는데, 그들은 모두 다섯 가지 신통을 얻어 제 목숨이 다한 것을 알고, 모두 죽음을 피해 떠났습니다. 알 수 없으나 지금 그들은 과연 죽음을 벗어났겠습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대왕이여, 사람에게는 떠날 수 없는 네 가지 일이 있습니다. 무엇을 네 가지라 하는가 하면, 첫째는 중음(中陰:귀신)으로 있어도 생(生)을 받지 않을 수 없는 것이요, 둘째는 태어난 이상 늙지 않을 수 없는 것이며, 셋째는 늙으면 병들지 않을 수 없는 것이요, 넷째는 이미 병이 들었을 때는 죽지 않을 수 없는 것입니다."

 

於是世尊即說偈言。

그리고 세존께서는 곧 게송을 말씀하셨다.


 非空非海中  非入山石間   無有地方所  脫之不受死 
 是務是吾作  當作令致是   人爲此躁擾  履踐老死憂 
 知此能自靜  如是見生盡   比丘厭魔兵  從生死得度

 

   허공도 아니요, 바다 속도 아니며   깊은 산 속의 바위틈도 아니다

   죽음을 받지 않고 그것을 벗어날   그 어떤 장소도 있을 수 없네.

 

   이것이 곧 힘써 내가 해야 할 일이니   마땅히 힘써 이것을 성취해야겠다

   사람들은 이렇게 초조히 날뛰면서   늙음과 죽음의 근심을 그대로 밟고 다니네.

 

   이런 줄 알아 스스로 고요히 하고   이리하여 생(生)이 다함을 보게 되면

   비구는 악마의 군사들을 싫어하여   비로소 나고 죽음에서 벗어나게 되리라.


  王聞佛言歎曰。善哉誠如尊敎。四人避對一人已死。祿命有分餘復然矣。群臣從
官莫不信受。

 

      왕은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며 말하였다. "훌륭하십니다. 진실로 부처님 말씀과 같습니다. 네 사람이 죽음을 피하고자 했으나, 한 사람은 이미 죽었습니다. 자신이 지은 업으로 얻은 목숨은 한계가 있어서 나머지 사람들도 또한 그렇게 될 것입니다."

신하들과 관리들도 모두 믿고 받들었다.

 

<법구비유경>의 불분명한 한자는 아래 goole 포스트에서 확인하세요.

아래 포스트를 클릭하면 내용이 열립니다.

http://tripitaka.cbeta.org/T04n0211_001

http://tripitaka.cbeta.org/T04n0211_002

http://tripitaka.cbeta.org/T04n0211_003

http://tripitaka.cbeta.org/T04n0211_004

法句譬喻經吉祥品第三十九 까지 있습니다.

출처: http://kydong77.tistory.com/18116 [김영동교수의 고전& life]

 

法句譬喻經卷第一

無常品第一

[0575b19] 昔者天帝釋五德離身,自知命盡當下生世間,在陶作家受驢胞胎。何謂五德?一者身上光滅,二者頭上華萎,三者不樂本坐,四者腋下汗臭,五者塵土著身。以此五事自知福盡,甚大愁憂。自念三界之中,濟人苦厄唯有佛耳,於是奔馳往到佛所。時佛在耆闍崛山石室中,坐禪入普濟三昧。天帝見佛,稽首作禮伏地,至心三自歸命佛法聖眾,未起之間其命忽出,便至陶家驢母腹中作子。時驢自解走瓦坏間破壞坏器,其主打之,尋時傷胎,其神即還入故身中,五德還備復為天帝。佛三昧覺,讚言:「善哉天帝!能於殞命之際歸命三尊,罪對已畢,不更勤苦。」

[0575c02] 爾時世尊以偈頌曰:

「所行非常,  謂興衰法,  夫生輒死,
 此滅為樂。  譬如陶家,  埏埴作器,
 一切要壞,  人命亦然。」

[0575c07] 帝釋聞偈,知無常之要,達罪福之變,解興衰之本,遵寂滅之行,歡喜奉受得須陀洹道。

[0575c09] 昔佛在舍衛國精舍中,為諸天人龍鬼說法。時國王波斯匿大夫人,年過九十卒得重病,毉藥望差遂便喪亡。王及國臣如法葬送,遷神墳墓。葬送畢訖,還過佛所,脫服跣禮佛足。佛命令坐而問之曰:「王所從來衣麤形異,何所施為也?」王稽首曰:「國大夫人年過九十間得重病,奄便喪亡,遣送靈柩遷葬墳墓,今始來還過覲聖尊。」佛告王曰:「自古至今大畏有四:生則老枯病無光澤,死則神去親屬別離,是謂為四。不與人期,萬物無常難得久居,一日過去;人命亦然,如五河流晝夜無息,人命駛疾亦復如是。」

[0575c20] 於是世尊即說偈言:

「如河駛流,  往而不返,  人命如是,
 逝者不還。」

[0575c23] 佛告大王:「世皆有是,無長存者,皆當歸死,無有脫者。往昔國王、諸佛真人、五通仙士,亦皆過去,無能住者,空為悲感以殞軀形。夫為孝子哀愍亡者,為福為德以歸流之,福祐往追如餉遠人。」

[0575c27] 佛說是時,王及群臣莫不歡喜,忘憂除患,諸來一切皆得道迹。

[0575c29] 昔佛在羅閱祇竹園中,與諸弟子入城受請,說法畢訖,晡時出城。道逢一人驅大群牛放還入城,肥飽跳騰轉相觝觸。於是世尊即說偈言:

「譬人操杖,  行牧食牛,  老死猶然,
 亦養命去。  千百非一,  族姓男女,
 貯聚財產,  無不衰喪。  生者日夜,
 命自攻削,  壽之消盡,  如[榮-木+巾][雨/井]水。」

[0576a08] 佛到竹林洗足却坐,阿難即前稽首問言:「世尊!向者道中說此三偈,不審其義?願蒙開化。」佛告阿難:「汝見有人驅放群牛不?」「唯然見之。」佛告阿難:「此屠家群牛,本有千頭,屠兒日日遣人出城,求好水草養令肥長,擇取肥者日牽殺之。殺之死者過半,而餘者不覺,方相觝跳騰鳴吼,傷其無智故說偈耳。」佛語阿難:「何但此牛?世人亦爾。計於吾我不知非常,饕餮五欲養育其身,快心極意更相殘賊,無常宿對卒至無期,曚曚不覺,何異於此也?」

[0576a18] 時坐中有貪養比丘二百人,聞法自勵,逮六神通,得阿羅漢。眾坐悲喜,為佛作禮。

[0576a21] 昔佛在舍衛國祇樹給孤獨園,為諸弟子說法。時有梵志女,年十四五,端正聰辯,父甚憐愛,卒得重病即便喪亡,田有熟麥為野火所燒,梵志得此憂惱愁憒失意恍惚,譬如狂人不能自解。傳聞人說佛為大聖、天人之師,演說經道忘憂除患。於是梵志往到佛所,作禮長跪白佛言:「素少子息,唯有一女,愛以忘憂,卒得重病捨我喪亡,天性悼愍,情不自勝。唯願世尊垂神開化,釋我憂結。」佛告梵志:「世有四事,不可得久。何謂為四?一者有常必無常,二者富貴必貧賤,三者合會必別離,四者強健必當死。」

[0576b03] 於是世尊即說偈言:

「常者皆盡,  高者必墮,  合會有離,
 生者有死。」

[0576b06] 梵志聞偈心即開解,願作比丘,鬚髮自墮即成比丘,重惟非常得羅漢道。

[0576b08] 昔佛在羅閱祇耆闍崛山中。時城內有婬女人,名曰蓮華,姿容端正國中無雙,大臣子弟莫不尋敬。爾時蓮華善心自生,欲棄世事作比丘尼,即詣山中就到佛所,未至中道有流泉水,蓮華飲水澡手,自見面像容色紅輝頭髮紺青,形貌方正挺特無比,心自悔曰:「人生於世形體如此,云何自棄行作沙門?且當順時快我私情。」念已便還。佛知蓮華應當化度,化作一婦人端正絕世,復勝蓮華數千萬倍,尋路逆來。蓮華見之心甚愛敬,即問化人:「從何所來?夫主兒子父兄中外皆在何許?云何獨行而無將從?」化人答言:「從城中來,欲還歸家,雖不相識寧可共還,到泉水上坐息共語不?」蓮華言:「善。」二人相將還到水上,陳意委曲。化人睡來枕蓮華膝眠,須臾之頃忽然命絕,膖脹臭爛腹潰蟲出,齒落髮墮肢體解散,蓮華見之心大驚怖。「云何好人忽便無常?此人尚爾,我豈久存?故當詣佛精進學道。」即至佛所,五體投地,作禮已訖,具以所見向佛說之。佛告蓮華:「人有四事不可恃怙。何謂為四?一者少壯會當歸老,二者強健會當歸死,三者六親聚歡娛樂會當別離,四者財寶積聚要當分散。」

[0576c01] 於是世尊即說偈言:

「老則色衰,  所病自壞,  形敗腐朽,
 命終其然。  是身何用?  漏臭處,
 為病所困,  有老死患。  嗜欲自恣,
 非法是增,  不見聞變,  壽命無常。
 非有子恃,  亦非父兄,  為死所迫,
 無親可怙。」

[0576c09] 蓮華聞法欣然解釋,觀身如化命不久停,唯有道德泥洹永安,即前白佛願為比丘尼。佛言:「善哉!」頭髮自墮,即成比丘尼,思惟止觀即得羅漢。諸在坐者聞佛所說,莫不歡喜。

[0576c13] 昔佛在王舍城竹園中說法。時有梵志兄弟四人,各得五通,却後七日皆當命盡,自共議言:「五通之力,反覆天地、手捫日月、移山住流,靡所不能,寧當不能避此死對?」一人言:「吾入大海,上不出現、下不至底,正處其中,無常殺鬼安知我處?」一人言:「吾入須彌山中,還合其表令無際現,無常殺鬼安知吾處?」一人言:「吾當輕舉隱虛空中,無常殺鬼安知吾處?」一人言:「吾當藏入大市之中,無常殺鬼趣得一人,何必求吾也?」四人議訖相將辭王:「吾等壽算餘有七日,今欲逃命冀當得脫,還乃覲省唯願進德。」於是別去,各到所在。七日期滿,各以命終,猶果熟落。市監白王:「有一梵志卒死市中。」王乃悟曰:「四人避對,一人已死,其餘三人豈得獨免?」王即嚴駕往至佛所,作禮却坐,王白佛言:「近有梵志兄弟四人,各獲五通,自知命盡皆共避之,不審今者皆能得脫不?」佛告大王:「人有四事,不可得離。何謂為四?一者在中陰中,不得不受生。二者已生,不得不受老。三者已老,不得不受病。四者已病,不得不受死。」

[0577a04] 於是世尊即說偈言:

「非空非海中,  非入山石間,
 無有地方所,  脫之不受死。
 是務是吾作,  當作令致是,
 人為此躁擾,  履踐老死憂。
 知此能自靜,  如是見生盡,
 比丘厭魔兵,  從生死得度。」

[0577a11] 王聞佛言歎曰:「善哉!誠如尊教,四人避對一人已死,祿命有分餘復然矣。」群臣從官莫不信受。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