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ko.wikipedia.org/wiki/%EC%9E%90%EC%9E%AC%EC%95%94

 

자재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o.wikipedia.org

 

https://ko.wikipedia.org/wiki/%EC%9B%90%ED%9A%A8

 

원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원효일본 교토 고산사의 원효 진영법명원효(元曉)출생617년신라 금성 불지촌(佛地村) 율곡(栗谷)입적686년 4월 28일(음력 3월 30일) (70세)혈사(穴寺)속명설사(薛思)아명(兒名) : 서당(誓幢) · 신당(新幢) · 모(毛)저작《금강삼매경론》《대승기신론소》《해심밀경소》《열반경종요》외칭호소성거사(小性居士, 小姓居士) · 복성거사(卜性居士) · 서곡사미(西谷沙彌) · 백부논주(百部論主) · 해동법사(海東法師) · 해동종

ko.wikipedia.org

 

https://ko.wikipedia.org/wiki/%EC%9A%94%EC%84%9D%EA%B3%B5%EC%A3%BC

 

요석공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요석공주(瑤石公主)는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과 보희부인(寶姬夫人)의 딸로 김흠운(金歆運)과 원효(元曉)의 아내이자 설총(薛聰)의 어머니이다. 삼국사기와 화랑세기에서는 원효와 만나기 전에 김흠운(金歆運)에게 시집 갔으나 김흠운이 655년 백제의 조천성(助川城, 현재의 옥천)을 공략하다 전사하여 일찍 과부가 되었으며 소생으로 두 딸이 있었다고 한다. 그 중 둘째 딸이 자신의 누이이자 신라 30대 국왕인 김법민(金法敏)의 큰

ko.wikipedia.org

결혼 생활[편집]

하루는 마음이 들떠 거리에 나가 노래하기를,

"누가 자루 없는 도끼를 내게 주겠느냐,

내 하늘을 받칠 기둥을 깎으리로다

(誰許沒柯斧 我斫支天柱)."

라고 하니 사람들이 듣고 그 뜻을 몰랐으나, 태종무열왕이 이를 듣고

"대사가 귀부인을 얻어 슬기로운 아들을 낳고자 하는구나.

나라에 큰 현인이 있으면 이보다 더 좋은 일이 없을 것이다.

(此師殆欲得 貴婦産賢子之謂 爾國有大賢 利莫大焉)"라며

요석궁의 홀로된 둘째 공주(요석공주)를 짝되게 하니, 과연 공주가 아이를 배어 설총[8] 을 낳았다.

 

https://ko.wikipedia.org/wiki/%EC%84%A4%EC%B4%9D

 

설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직책}}} 신상정보 국적 신라 출생일 658년? 출생지 경상북도 경산시 사망일 미상 학력 한림 부모 원효 / 요석공주 배우자 단초 유씨, 이름 미상 별명 자는 총지, 호는 빙월당, 소성거사, 작호는 홍유후 종교 불교->유교 웹사이트 설총 설총(薛聰, 658년? ~ ?)은 신라 시대의 대표적인 학자이다. 자는 총지(聰智), 호는 빙월당(氷月堂)이다.[1] 중국 한자를 신라어로 치환, 해석한 이두를 창시하였다. 처음 불

ko.wikipedia.org

설총(薛聰, 658년? ~ ?)은 신라 시대의 대표적인 학자이다. 는 총지(聰智), 호는 빙월당(氷月堂)이다.[1] 

중국 한자를 빌어 우리말인 신라어 를 표기한 이두를 창시하였다. 삼국유사의 향가는 모두 이두로만 표기되었다.

 

https://kydong77.tistory.com/18026

 

양주동 선생님/ 향가 25수 해석

아래 포스트에서 고려가요 정리한 것을 보니 향가연구로 일세를 풍미한 양주동 선생님을 회억한 글이 생각나 재구성해 올립니다. http://kydong77.tistory.com/18023 소창진평이 시작한 향가 연구의 오류를..

kydong77.tistory.com

 

 

 

 

 

10/9(수) 오르산우회에서 회원 12명이 소요산 자재암에 가다.

흔히 산신각이라 부르는 전각이 사찰마다 존재한다. 불교가 전래하던 민간신앙을 유지해 온 것을 나는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무당이라면 덮어놓고 미신이라 치부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실상 진짜 무당은 제사장의 전통을 계승한 분들이다. 말하자면 단군은 제사장이셨다. 한자 표기에서 檀이 아니라 제단 壇이 바른 표기다. 제사장은 노자가 말하는 하늘의 이치, 곧 '大道'를 터득한 분이시다. 통치자는 데모꾼들 모아 민의라 떠벌릴 게 아니라 자연의 이치를 터득하여 이에 걸맞게 통치하는 것이 바른 통치다. 단군조차 부정하는 사람들과 어떻게 통일에 대한 체제 논의를 하겠다는 건지 그것이 알고 싶다.

참고로, 산신각 그림의 맨우측 그림의 하단에 '산신님'이라 쓴 분이 단군님이시다. 칠성전 그림은 인간이 삼태성에서 생명을 부여 받아 칠성판을 덮으면 그 사람은 근원지로 회귀한다. 독성전이라 쓴 그림의 설산 수도상이 인상적이었다. 아래 조각보다는 형상화가 부족하지만.

 

https://kydong77.tistory.com/18704

 

壇君/ 弘益人間

https://www.youtube.com/watch?v=eGIqes-kVOU 祭司長 壇君은 인간 세상 사람들의 福祉와 利益을 기도했다. 이것이 弘益人間의 본질이다. https://kydong77.tistory.com/8033 단군신화 해설 壇君神話 해설 [은자..

kydong77.tistory.com

 

 

 

 

한명희 - 비목 [碑木]/ 장일남곡, 신영옥(소프라노)

https://www.youtube.com/watch?v=ew0G09K1Ix4

 

한명희 - 비목 / 고성현(바리톤)

https://www.youtube.com/watch?v=wE4wpdOSIgk 

 

 


통도사영산전팔상도[ 殿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30814&cid=46660&categoryId=46660

 

통도사영산전팔상도

경상남도 양산 통도사에 소장된 조선후기의 팔상도. [개설] 보물 제1041호. 이 작품은 부처님의 생애 중 중요한 부분을 8장면으로 나누어 그린 팔상도로서, 세로 233.5㎝, 가로 151㎝의 비단에 채색하여 그렸다. [내용] 석가모니가 도솔천에서 육아백상(六牙白象)을 타고 사바세계로 내려오는 장면과 마야부인에게 입태되는 장면 등을 그린 도솔래의상(兜率來儀像), 룸비니에서 마야부인의 옆구리를 통해 석가모니가 출생하는 모습과 출생한 석가가 오른손으로 땅,

terms.naver.com

위 포스트 아래의 팔상도 그림을 클릭하면 자세한 설명이 나옵니다.

 

팔상도 (八相圖)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9745

 

팔상도(八相圖)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사찰의 팔상전(八相殿, 捌相殿)이나 영산전(靈山殿)에 많이 봉안된다. 우리 나라의 팔상도는 대개 『불본행집경 佛本行集經』의 설을 참고로 하였다. 그리고 『법화경』을 숭신하는 자들에 의

encykorea.aks.ac.kr

 

석가모니불의 생애를 묘사한 불화.

아래의 설명처럼 부처님의 생애를 8가지로 압축하여 형상화한 그림을 팔상도(八相圖)라 합니다.

사찰의 팔상전(八相殿, 捌相殿)이나 영산전(靈山殿)에 많이 봉안된다. 우리 나라의 팔상도는 대개 『불본행집경 佛本行集經』의 설을 참고하였다. 그리고 『법화경』을 숭신(崇信)하는 자들에 의하여 그 사상이 묘사되고 있다.

팔상도(八相圖)

① 도솔천에서 내려오는 상, 도솔래의상(兜率來儀相),

② 룸비니 동산에 내려와서 탄생하는 상, 비람강생상(毘藍降生相),

③ 사문에 나가 세상을 관찰하는 상, 사문유관상(四門遊觀相),

④ 성을 넘어가서 출가하는 상, 유성출가상(踰城出家相),

⑤ 설산에서 수도하는 상, 설산수도상(雪山修道相),

⑥ 보리수 아래에서 마귀의 항복을 받는 상,수하항마상(樹下降魔相)

⑦ 녹야원에서 처음으로 포교하는 상, 녹원전법상(鹿苑轉法相),

⑧ 사라쌍수 아래에서 열반에 드는 상, 쌍림열반상 (雙林涅槃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 나라에서는 보통 8폭을 각각 그려서 봉안하거나 2개씩 한 폭에 묶어 4폭으로 구성하기도 한다.

 

① 도솔천에서 내려오는 상, 도솔래의상(兜率來儀相)

도솔내의상에서는 네 장면이 전개된다. 즉 탱화의 왼쪽에는 마야궁(摩耶宮)에서 마야 부인이 의자에 앉아 흰 코끼리를 탄 호명보살(護明菩薩)이 내려오는 꿈을 꾸는 장면이 묘사된다.

바로 그 위에 입태전(入胎殿)이 있어서 입태되는 장면이 묘사되고, 그 위에는 소구담이 도적으로 몰리어 죽는 장면이 묘사된다. 오른쪽에는 정반왕궁(淨飯王宮)이 있고 여기에는 왕과 왕비가 꿈꾼 내용을 바라문에게 물어보는 장면이 묘사된다.

 

② 룸비니 동산에 내려와서 탄생하는 상, 비람강생상(毘藍降生相)

비람강생상에서는 여섯 장면이 묘사된다. 첫째 마야 부인이 궁전을 떠나서 친정으로 가던 도중 룸비니 동산에서 무우수(無憂樹) 나뭇가지를 잡고 서서 오른쪽 겨드랑이로 아기를 낳는 장면, 둘째 태어난 아기가 한 쪽 손은 하늘을, 한 쪽 손은 땅을 가리키면서 ‘천상천하유아독존(天上天下唯我獨尊)’이라고 외치는 장면, 셋째 제천(諸天)이 기뻐하면서 갖가지 보물을 공양하는 장면, 넷째 용왕(龍王)이 탄생불을 씻겨 주는 장면, 다섯째 왕궁으로 돌아오는 장면, 여섯째 아지타선인의 예언 장면 등으로 묘사된다.

 

③ 사문에 나가 세상을 관찰하는 상, 사문유관상(四門遊觀相)

사문유관상에서는 네 장면이 묘사된다. 태자가 동문으로 나가 노인의 늙은 모습을 보고 명상하는 장면, 남문으로 나가 병자를 보고 노고(老苦)를 느끼는 장면, 서문으로 나가 장례 행렬을 보고 죽음의 무상을 절감하는 모습, 북문으로 나가 수행하는 사문(沙門)주 01)의 모습을 보고 출가를 결심하는 장 등이다.

사문(沙門)주 01)

[불교] 부지런히 모든 좋은 일을 닦고 나쁜 일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뜻으로, 불문에 들어가서 도를 닦는 사람을 이르는 .

 

④ 성을 넘어가서 출가하는 상, 유성출가상(踰城出家相)

유성출가상에서는 보통 세 장면이 묘사된다. 첫째 태자궁에서 시녀들이 취하여 잠자고 있는 모습, 둘째 태자가 말을 타고 성문을 뛰어넘는 모습, 셋째 마부 찬다카가 돌아와서 왕비와 태자비에게 태자의 옷을 바치면서 태자가 떠났음을 보고하자 왕비와 태자비가 태자의 소재를 묻는 장면 등이다.

 

⑤ 설산에서 수도하는 상, 설산수도상(雪山修道相)

설산수도상에서는 보통 여섯 장면이 묘사된다. 첫째 태자가 삭발하고 사문의 옷으로 갈아입는 장면, 둘째 찬다카가 돌아가는 장면, 셋째 정반왕이 교진여 등을 보내어 태자에게 왕궁으로 돌아갈 것을 설득하는 장면, 넷째 환궁을 거절하자 양식을 실어 보내는 장면, 다섯째 목녀(牧女)가 우유를 석가에게 바치는 장면, 여섯째 모든 스승을 찾는 모습 등이다.

 

⑥보리수 아래에서 마귀의 항복을 받는 상,수하항마상(樹下降魔相)

수하항마상에서는 네 장면이 묘사된다. 첫째 마왕 파순이 마녀로 하여금 유혹하게 하는 장면, 둘째 마왕의 무리가 코끼리를 타고 위협하는 장면, 셋째 마왕이 80억의 무리를 모아 부처님을 몰아내려고 하는 장면, 넷째 마왕의 항복을 받아 성도하는 장면이다.

 

⑦ 녹야원에서 처음으로 포교하는 상, 녹원전법상(鹿苑轉法相)

녹야전법상에는 네 장면이 묘사된다. 대개 상단과 하단으로 구분되는 경우가 많다. 상단에는 석가삼존불이 설법하는 모습이다.

하단에는 교진여 등의 다섯 비구에게 최초로 설법하는 모습, 기원정사(祇園精舍)주 02)를 건립하는 장면, 흙장난을 하던 아이들이 흙을 쌀로 생각하고 부처님께 보시하자 탑으로 바뀌는 장면 등이다.

 

⑧사라쌍수 아래에서 열반에 드는 상, 쌍림열반상 (雙林涅槃相)

쌍림열반상은 보통 세 장면으로 묘사된다. 첫째 사라쌍수 아래에서 열반하는 모습, 둘째 금관에 입관된 부처님이 가섭의 문안을 받고 두 발을 관 밖으로 내보이는 모습, 셋째 다비하여 사리가 나오자 8대왕이 차지하기 위하여 다투는 장면과 바라문이 이를 중재하는 모습 등이다.

 

팔상도에는 화폭의 각 장면마다 내용의 제목을 적어 놓아 그림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꼽을 수 있다.

또한 일본에서 열반을 묘사한 탱화를 많이 봉안하는 데 비하여, 우리 나라에서는 부처님의 전 생애를 모두 묘사하고 있는 것도 특징 중의 하나이다. 현전하는 탱화 중 중요한 것으로는 통도사·쌍계사·운흥사(雲興寺)·개심사(開心寺)·선암사·송광사·해인사의 팔상도꼽을 수 있다.

 

고문헌

 

 

  • 『찬란한 불교미술의 세계, 불화』(김정희, 돌베개, 2009)
  • 「조선후기 팔상도의 특징」(박수연, 『불교미술사학』4, 통도사성보박물관·불교미술사학회, 2006)
  • 「통도사 팔상도와 『석씨원류』의 관계 비교」(양운기, 『불교미술사학』3, 통도사 성보박물관·불교미술사학회, 2005)
  • 「조선시대 팔상도 도상의 연원과 전개」(이영종, 『미술사학연구』215, 한국미술사학회, l997)
  • 「통도사의 팔상도」(홍윤식, 『한국의 불화(3): 통도사 본사편』하, 성보문화재연구원, 1997)[네이버 지식백과] 통도사영산전팔상도 [通度寺靈山殿八相圖]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이것이 만들어진 때는 1775년 불교미술의 사조를 담은 것이라고 볼수있습니다. 보통 불교회화방법으로 이 그림을 그렸는데요

팔상도는 부처의 생애를 8장면으로 요약해서 그린 그림이라고 말합니다. 그래서 이작품은 그중에서 첫번째 에 해당하는 도솔래의상을 묘사한 그림입니다. 그림의 내용은 도솔천굴에서 흰코끼리를 타고 호명보살이 내려와 석가모니의 어머니인 마야부인의 몸에 입태하는 장면을 묘사한 부분입니다. 상단부 왼쪽에는 둥근 원안에 코끼리를 탄 호명보상이 표사되었는데 그주위를 악기를 연주하는 천부중들이 둘러싸고 있는데 호명보살에게서 뻗어나간 연기 같은 것이 하단부 오른쪽 궁궐안에 앉아 있는 마야부인에게 연결되고있습니다. 그리고 나무를 사이에 두고 왼쪽 조금 윗부분에는 마야부인이 정반왕에게 태몽을 이야기하는 장면이 묘사됩니다.

[출처] 신비의 그림 통도사영산전팔상도|작성자 도톨

*운영자는 하단의 설산수도상을 불교미술의 으뜸으로 여깁니다.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하는 인생의 핵심적 과제에 대한 해답을 얻은 것은 문자 그대로 뼈를 깎는 용맹정진의 결과물이기 때문입니다.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18111 [김영동교수의 고전 & Life]

 

 

 

조용필 이선희 듀엣 (1986-87년)

https://www.youtube.com/watch?v=xZ7-VImZS8g 

 

https://www.youtube.com/watch?v=9yResFAwl4I

 

https://www.youtube.com/watch?v=mXE3lzEGrls

 

 

https://www.youtube.com/watch?v=UGGCf94SEGM

 

https://www.youtube.com/watch?v=3AxvFHp2Ai0

 

https://www.youtube.com/watch?v=rxKo01kkzoE

 

 

 

 

芙蓉樓送辛漸 (부용루에서 신점을 전송하며)

ㅡ 唐 王昌齡 (왕창령, 698 ~ 765 추정)

 

寒雨連江夜入吳

한우연강야입오, 찬비 내리는 강물 따라 밤에 오나라로 흘러 드는데

平明送客楚山孤

평명송객초산고, 새벽녘 벗 보내니 초산(楚山)이 외롭구나

洛陽親友如相問

낙양친우여상문, 낙양의 벗들이 만약 내 안부를 묻거든

一片氷心在玉壺

일편빙심재옥호, 한 조각 얼음 같은 마음 옥항아리에 있다 전해주오.

 

○芙蓉樓: 장쑤성江蘇省 진강鎭江에 있는 누각으로 이 장소는 애초 오吳나라 땅이었다가 나중에 초(楚)나라 땅이 되었기에 사실상 같은 지역.

平明: 아침에 해가 돋아 날이 밝아질 무렵.

如: ‘같을 여’자로 여기선 ‘같을 약若’자의 ‘만일’의 뜻.

一片氷心: ‘조각 얼음 같은 마음, (명리에 담담한) 순수한 마음, 아주 맑고 깨끗한 마음’의 뜻.

[시 해설]

http://cafe.daum.net/kiryung88/qiZ6/30?q=%EB%B6%80%EC%9A%A9%EB%A3%A8

 

30]≪ 七言絶句 : 30 ~ 80,324,325 ≫ 芙蓉樓送辛漸부용루송신점 -唐 王昌齡왕창령

30] 芙蓉樓送辛漸부용루에서 신점을 전송하며 -唐 王昌齡왕창령 (698 ~ 765 추정)寒雨連江夜入吳한우연강야입오 /찬비 내리는 강물 따라 밤에 오나라로 흘러 드는데平明送客楚山孤평명송객초산고

cafe.daum.ne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