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_천화동인(天火同人)

 

同人于野亨(동인우야형) : 사람을 같이 하는 것을 들에서 하면 형통하리니,

利涉大川(리섭대천) : 큰 내를 건너는 것이 이로우며,

利君子貞(리군자정) : 군자의 바름이 이로우니라.

 

彖曰(단왈) : 단에 가로대,

同人(동인) : 동인은 

柔得位得中而應乎乾(유득위득중이응호건) : 유가 위를 얻으며 중을 얻어서,건에 응하니

曰同人(왈동인) : 가로대 동인이니라.

同人曰(동인왈) : 동인에 가로대,

同人于野亨利涉大川(동인우야형리섭대천) : '동인우야형이섭대천'은

乾行也(건행야) : 건장하게 행함이오,

文明以健(문명이건) : 문명항으로써 굳건히 하고

中正而應(중정이응) : 중정해서 응함이

君子正也(군자정야) : 군자의 바름이니,

唯君子為能通天下之志(유군자위능통천하지지) : 오직 군자여야 능히 천하의 뜻을 통하느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天與火同人(천여화동인) : 하늘과 불이 동인이니

君子以類族辨物(군자이류족변물) : 군자가 이로써 류외 족으로 물건을 분별하느니라.

 

初九(초구) : 초구는

同人于門(동인우문) : 동인을 문에서 함이니

無咎(무구) :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出門同人(출문동인) : 문에 나가서 동인하는 것을

又誰咎也(우수구야) : 또 누가 허물하리오.

 

六二(육이) : 육이는

同人于宗吝(동인우종린) : 동인을 종친에서 함이니 인색하도다.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同人于宗(동인우종) : '동인우종'은

吝道也(린도야) : 인색한 도이다.

 

九三(구삼) : 구삼은

伏戎于莽(복융우망) : 군사를 숲에 매복시키고

升其高陵(승기고릉) : 그 높은 언덕에 올라

三歲不興(삼세불흥) : 3년을 일어나지 못하도다.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伏戎于莽(복융우망) : '복융우망'은

敵剛也(적강야) : 적이 강함이요,

三歲不興(삼세불흥) : '삼세불흥'이니

安行也(안행야) : 어디를 가리오.

 

九四(구사) : 구사는

乘其墉(승기용) : 그 담에 오르되

弗克攻吉(불극공길) : 능히 치지 아니하니 길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

乘其墉(승기용) : 승기용'은

義弗克也(의불극야) : 의리가 이기지 못함이요,

其吉(기길) : 그 길한 것은

則困而反則也(칙곤이반칙야) : 즉 곤해서 법에 동옴이라.

 

九五(구오) : 구오는

同人先號咷而後笑(동인선호도이후소) : 동인이 먼저는 부르짖고 울고 뒤에는 웃으니,

大師克相遇(대사극상우) : 큰 군사로 이겨야 서로 만나도다.

 

象曰(상왈) : 상에 가로되

同人之先(동인지선) : '동인지선'은

以中直也(이중직야) : 가운데하고 곧음으로써요,

大師相遇(대사상우) : '대사상우'는

言相克也(언상극야) : 서로 이김을 말함이라.

 

上九(상구) : 상구는

同人于郊(동인우교) : 동인을 들에서 함이니

無悔(무회) : 뉘우침이 없으니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同人于郊(동인우교) : '동인우교'는

志未得也(지미득야) : 뜻을 얻지 못함이라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13천화동인天火同人?category=343349 [빈막(賓幕)]

 

13_천화동인(天火同人)

음양오행의 원리_주역/역경(周易/易經)                    13_천화동인(天火同人) 同人于野亨(동인우야형) : 사람을 같이 하는 것을 들에서 하면 형통하리니, 利涉大川(리섭대천) : 큰

hwalove.tistory.com

 

 

 

12_천지비(天地否)

 

否之匪人

(부지비인) : 비는 사람의 도리가 거부된 것이라

不利君子貞

(불리군자정) : 군자의 바름도 이롭지 못하니,

大往小來

(대왕소래) : 큰 것이 가고 작은 것이 오느니라.

 

彖曰

(단왈) : 단에 가로대,

否之匪人不利君子貞大往小來

(부지비인불리군자정대왕소래) : '비지비인불리군자정대왕소래'는

則是天地不交而萬物不通也
(즉시천지불교이만물불통야) :곧 이 천지가 사귀지 못해서 만물이 통하지 아니하며,

上下不交而天下無邦也'

(상하불교이천하무방야) : 상하가 사귀지 못해서 천하에 나라 없음이라.

內陰而外陽

(내음이외양) : 안에는 음이고 밖에는 양이며,

內柔而外剛

(내유이외강) : 안에는 유하고 밖에는 강하며,

內小人而外君子

(내소인이외군자) : 안에는 소인이요 밖에는 군자니,

小人道長

(소인도장) : 소인의 도가 자라나고

君子道消也

(군자도소야) : 군자의 도는 사라지느니라.

 

象曰

(상왈) : 상에 가로대,

天地不交否

(천지불교부) : 천지가 사귀지 않는 것이 비괘의 괘상니,

君子以儉德辟難

(군자이검덕벽난) : 군자가 아로써 덕을 검소히 하고 어려움을 피해서

不可榮以祿

(불가영이록) : 가히 록 받는 것으로써 영화를 누리지 않느니라.

 

初六

(초육) : 초육은

拔茅茹

(발모여) : 띠뿌리를 뽐음이라.

以其彙

(이기휘) : 그 무리로써

貞吉亨

(정길형) : 바름이 길해서 형통하니라.

 

象曰

(상왈) : 상에 가로대,

拔茅貞吉

(발모정길) : '발모정길'은

志在君也

(지재군야) : 뜻이 임금에 있음이라.

 

六二

(육이) : 육이는

包承

(포승) : 포옹하여 이음이니,

小人吉

(소인길) : 소인은 길하고

大人否亨

(대인부형) : 대인은 비색하니 형통하니라

 

象曰

(상왈) : 상에 가로대,

大人否亨

(대인부형) : '대인비형'은

不亂群也

(불란군야) : 무리를 어지럽히지 않음이라.

 

六三

(육삼) : 육삼은

包羞

(포수) : 싼 것이 부끄럽도다.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包羞(포수) : '포수'는

位不當也

(위불당야) : 위가 마땅치 않음이라.

 

九四

(구사) : 구사는

有命無咎

(유명무구) : 명을 두면 허물이 없어서

疇離祉

(주리지) : 무리가 복에 걸리리라.

 

象曰

(상왈) : 상에 가로대,

有命無咎

(유명무구) : '유명무구'는

志行也

(지행야) : 뜻이 행하여 짐이라.

 

九五

(구오) : 구오는

休否

(휴부) : 비색한 것을 쉬게 하니라

大人吉

(대인길) : 대인의 길함이니

其亡其亡

(기망기망) : 그 망할까 망할까 하여야

繫于苞桑

(계우포상) : 우묵한 뽕나무에 매리라.

 

象曰

(상왈) : 상에 가로대,

大人之吉

(대인지길) : '대인지길'은

位正當也

(위정당야) : 위가 바르고 마땅함이라.

 

上九

(상구) : 상구는

傾否

(경부) : 비색한 것이니 기울어 짐이니,

先否後喜

(선부후희) : 먼저는 비색하고 뒤에는 기뻐하지도다.

 

象曰

(상왈) : 상왈 가로대,

否終則傾

(부종칙경) : 비색한 것이 마친 즉 기울어지나니

何可長也

(하가장야) : 어찌 가히 길이 하리오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12천지비天地否?category=343349 [빈막(賓幕)]

 

12_천지비(天地否)

음양오행의 원리_주역/역경(周易/易經)                    12_천지비(天地否) 否之匪人(부지비인) : 비는 사람의 도리가 거부된 것이라 不利君子貞(불리군자정) : 군자의 바름도 이롭지

hwalove.tistory.com

 

 

 

11_지천태(地天泰)

 

泰小往大來

(태소왕대래) : 태는 작은 것이 가고, 큰 것이 오는 것이니

吉亨

(길형) : 길하여 형통하리라.

 

彖曰

(단왈) : 단에  가로대

泰小往大來吉亨

(태소왕대래길형) : '태소왕대래길형'은

則是天地交而萬物通也

(즉시천지교이만물통야) : 곧 천지가 사귀어 만물이 통하는 것이며,

上下交而其志同也

(상하교이기지동야) : 위와 아래가 사귀어 그 뜻이 같음이라.

內陽而外陰

(내양이외음) : 안에는 양이고, 밖에는 음이며,

內健而外順

(내건이외순) : 안으로는 강건하고 밖으로는 유순하며,

內君子而外小人

(내군자이외소인) : 안으로는 군자요 밖으로는 소인이니,

君子道長

(군자도장) : 군자의 도는 자라나고

小人道消也

(소인도소야) : 소인의 도는 사라지느니라.

 

象曰

(상왈) : 상에 가로대,

天地交泰

(천지교태) : 하늘과 땅의 사귐이 태괘의 괘상이니,

后以財成天地之道

(후이재성천지지도) : 군주가 이로써 천지의 도를 재단하여 이루며,

輔相天地之宜

(보상천지지의) : 천지의 마땅함을 힘 보태고

以左右民

(이좌우민) : 도움으로써 백성을 좌하고 우하느니라.

 

初九

(초구) : 초구는

拔茅茹

(발모여) : 띠풀 뿌리를 뽑음이라.

以其彙征吉

(이기휘정길) : 그 무리로써 감이니 길하니라.

 

象曰

(상왈) : 상에 가로대,

拔茅征吉

(발모정길) : 발모정길은

志在外也

(지재외야) : 뜻이 밖에 있음이라.

 

九二

(구이) : 구이는

包荒

(포황) : 거친 것을 싸며

用馮河

(용풍하) : 하수를 건너는 용맹을 쓰며,

不遐遺

(불하유) : 멀리 있는 것을 버리지 아니하며

朋亡

(붕망) : 붕당을 없애면,

得尚于中行

(득상우중행) : 중정의 도를 행함에 숭상함을 얻으리라.

 

象曰

(상왈) : 상에 가로대

包荒得尚于中行

(포황득상우중행) : '포황득상우중행'은

以光大也

(이광대야) : 빛나고 큼을 얻기 때문이라.

 

九三

(구삼) : 구삼은

無平不陂

(무평불피) : 평평하다가 언덕지지 않음이 없으며,

無往不復

(무왕불부) : 가다가 돌아오지 않음이 없으니,

艱貞

(간정) : 어렵게 하고 바르게 하면

無咎

(무구) : 허물이 없어서

勿恤其孚

(물휼기부) : 근심치 않더라도 그 미더운지라.

于食有福

(우식유복) : 먹는 데에 복이 있으리라.

 

象曰

(상왈) : 상에 가로대

無往不復

(무왕불부) : 무왕불복은

天地際也

(천지제야) : 천지가 사귐이라.

 

六四

(육사) : 육사는

翩翩

(편편) : 펄펄 나래짓하듯

不富以其鄰

(불부이기린) : 부하려 하지 않고 그 이웃으로써 하여,

不戒以孚

(불계이부) : 경계하지 아니해도 미덥도다.

 

象曰

(상왈) : 상에 가로대,

翩翩不富

(편편불부) : '편편불복'는

皆失實也

(개실실야) : 모두 실질을 잃음이요,

不戒以孚

(불계이부) : '부계이부'는

中心願也

(중심원야) : 중심으로 원함이라.

 

六五

(육오) : 육오는

帝乙歸妹

(제을귀매) : 제을이 누이동생을 시집보내는 것이니,

以祉元吉

(이지원길) : 이로써 복이 되며 크게 길하리라.

 

象曰

(상왈) : 상에 가로대,

以祉元吉

(이지원길) : '이지원길'은

中以行願也

(중이행원야) : 가운데로써 원함을 행함이라.

 

上六

(상륙) : 상육은

城復于隍

(성부우황) : 성이 무너져 터에 돌아옴이라.

勿用師

(물용사) : 군사를 쓰지 말고

自邑告命貞吝

(자읍고명정린) : 읍으로부터 명이 고할지니 바르더라도 인색하니라.

 

象曰

(상왈) : 상에 가로대

城復于隍

(성부우황) : '성복우황'은

其命亂也

(기명란야) : 그 명이 어지러움이라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11지천태地天泰?category=343349 [빈막(賓幕)]

 

11_지천태(地天泰)

음양오행의 원리_주역/역경(周易/易經)                    11_지천태(地天泰) 泰小往大來(태소왕대래) : 태는 작은 것이 가고, 큰 것이 오는 것이니 吉亨(길형) : 길하여 형통하리라. 彖

hwalove.tistory.com

 

 

 

10_천택리(天澤履)

 

履虎尾(리호미) : 호랑이 꼬리를 밟더라도

不咥人亨(불질인형) : 사람을 물지 않으니 형통하리라

 

彖曰(단왈) : 단에 가로대,

履柔履剛也(리유리강야) : 리는 유가 강에 밟힘이니,

說而應乎乾(설이응호건) : 기쁨으로 건에 응하는지라.

是以履虎尾(시이리호미) : 이로써 호랑이 꼬리를 밟아도

不咥人亨(불질인형) : 물지 않으니 형통함이라

剛中正(강중정) : 강건하고 중정함으로써

履帝位而不疚(리제위이불구) : 제위(帝位)를 밟아 평폐가 없으니

光明也(광명야) : 광명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上天下澤履(상천하택리) : 위는 하늘이고 아래는 못이 있는 리괘의 괘상이니

君子以辯上下(군자이변상하) : 군자가 이로써 위 아래를 분별하여

定民志(정민지) : 백성의 뜻을 정하느니라.

 

初九(초구) : 초구는

素履往無咎(소리왕무구) : 본래대로 밟아 나아가면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素履之往(소리지왕) : '소리지왕'은

獨行願也(독행원야) : 홀로 원하는 것을 행함이라.

 

九二(구이) : 구이는

履道坦坦(리도탄탄) : 밟는 도가 탄탄하니,

幽人貞吉(유인정길) : 유인이라야 바르고 길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幽人貞吉(유인정길) : '유인정길'은

中不自亂也(중불자란야) : 중을 얻어 스스로 어지럽지 않음이라.

 

六三(육삼) : 육삼은

眇能視(묘능시) : 소경이 능히 보며

跛能履(파능리) : 절름발이가 능히 잛는지라.

履虎尾(리호미) : 호랑이 꼬리를 밟아서

咥人凶(질인흉) : 사람을 무니 흉하고,

武人為于大君(무인위우대군) : 무인이 대군이 되다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眇能視(묘능시) : '능시'는

不足以有明也(불족이유명야) : 족히 밝음이 있지 못함으로써요,

 

跛能履(파능리) : '파능리'는

不足以與行也(불족이여행야) : 족히 더불어 행하지 못함으로써요.

咥人之凶(질인지흉) : '질인지흉'은

位不當也(위불당야) : 자리가 마땅치 않음이요,

武人為于大君(무인위우대군) : '무인위우대군'은

志剛也(지강야) : 뜻이 강함이라.

 

九四(구사) : 구사는

履虎尾(리호미) : 호랑이 꼬리를 밟음이니,

愬愬終吉(소소종길) : 조심하고 조심하면 마침내 길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愬愬終吉(소소종길) : '소소종길'은

志行也(지행야) : 뜻이 행하여짐이라.

 

九五(구오) : 구오는

夬履貞厲(쾌리정려) : 흔쾌히 밟음이니, 바르더라도 위태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夬履貞厲(쾌리정려) : '쾌리정려'는

位正當也(위정당야) : 위가 정당함이라.

 

上九(상구) : 상구는

視履考祥(시리고상) : 밟아온 것을 보아서 상서로운 것을 상고하되

其旋元吉(기선원길) : 그 시행을 두루 잘했으면 크게 길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되

元吉在上(원길재상) : 크게 길함이 위에 있음이

大有慶也(대유경야) : 큰 경사가 있음이라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10천택리天澤履?category=343349 [빈막(賓幕)]

 

10_천택리(天澤履)

음양오행의 원리_주역/역경(周易/易經)                    10_천택리(天澤履) 履虎尾(리호미) : 호랑이를 꼬리를 밟더라도 不咥人亨(불질인형) : 사람을 물지 않으니 형통하리라 彖曰(

hwalove.tistory.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