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_수천수(水天需)

 

需有孚(수유부) : 수는 믿음이 있어서,

光亨貞吉(광형정길) : 빛나며 형통하고 바르게 하며 길하니,

利涉大川(리섭대천) : 큰 내를 건넘이 이로우니라.

 

彖曰(단왈) : 단에 가로대,

需須也(수수야) : 수는 기다림이니

險在前也(험재전야) : 험한 것이 앞에 있느니라

 

剛健而不陷(강건이불함) : 곧세고 튼튼히 하여 빠지지 않게 하니,

其義不困窮矣(기의불곤궁의) : 그 뜻이 곤궁하지 않음이라.

 

需有孚光亨貞吉(수유부광형정길) : '수유부광형정길'은

位乎天位(위호천위) : 천위에 자리에서

以正中也(이정중야) : 바르게 하고 가운데 함이니라

 

利涉大川(리섭대천) : '이섭대천'은 .

往有功也(왕유공야) : 가서 공이 있음이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雲上於天需(운상어천수) : 구름이 하늘로 오르는 것이 수니,

君子以飲食宴樂(군자이음식연악) : 군자가 이로써 마시고 먹으며, 잔치를 벌여 즐기느니라.

 

初九(초구) : 초구는

需于郊(수우교) : 들에서 기다림이라.

利用恆(리용긍) : 항상함을 씀이 이로우니

無咎(무구) :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需于郊(수우교) : '수우교'는

不犯難行也(불범난행야) : 어려움을 범치 아니하고 행함이요,

利用恆無咎(리용긍무구) : '이용항무구'는

未失常也(미실상야) : 떳떳함을 잃지 않음이라.

 

九二(구이) : 구이는

需于沙(수우사) : 모래밭에서 기다림이라

小有言(소유언) : 조금 말이 있으나

終吉(종길) : 마침내 길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需于沙(수우사) : '수우사'는

衍在中也(연재중야) : 너그러움으로 가운데 있으니,

雖小有言(수소유언) : 비록 조금 말이 있으나,

以終吉也(이종길야) : 길함으로써 마치라.

 

九三(구삼) : 구삼은

需于泥(수우니) : 진흙밭에서 기다림이니,

致寇至(치구지) : 도적 이름을 이루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需于泥(수우니) : '수우니'는

災在外也(재재외야) : 재앙이 밖에 있음이라.

自我致寇(자아치구) : 나로부터 말미암아 도적을 이르게 하니,

敬慎不敗也(경신불패야) : 공경하고 삼가하면 패하지 않으리라.

 

六四(륙사) : 육사는

需于血(수우혈) : 피에서 기다림이니

出自穴(출자혈) : 구멍으로 나오도다.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需于血(수우혈) : '수우혈'은

順以聽也(순이청야) : 순함으로써 들음이라.

 

九五(구오) : 구오는

需于酒食(수우주식) : 술과 음식에서 기다리니

貞吉(정길) : 바르고 길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酒食貞吉(주식정길) : '주식정길'은

以中正也(이중정야) : 가운데하고 바름으로써라.

 

上六(상륙) : 상육은

入于穴(입우혈) : 구멍에 들어감이니,

有不速之客三人來(유불속지객삼인래) : 청하지 않은 손님이 셋이 오리니,

敬之終吉(경지종길) : 공경하면 마침내 길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不速之客來敬之終吉(불속지객래경지종길) : '불속지객래경지종길'은

雖不當位(수불당위) : 비록 위는 마땅치 않으나

未大失也(미대실야) : 크게 잃지는 아니함이라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05수천수水天需?category=343349 [빈막(賓幕)]

 

05_수천수(水天需)

음양오행의 원리_주역/역경(周易/易經)                    05_수천수(水天需) 需有孚(수유부) : 수는 믿음이 있어서, 光亨貞吉(광형정길) : 빛나며 형통하고 바르게 하며 길하니, 利

hwalove.tistory.com

 

 

 

04_산수몽(山水蒙)

 

蒙亨(몽형) : 몽은 형통하니

匪我求童蒙(비아구동몽) : 동몽을 구함이 아니라

童蒙求我(동몽구아) : 동몽이 나를 구함이니,

初筮告(초서고) : 처음 점치거든 알려주고

再三瀆(재삼독) : 주번 세번하면 더럽히는 것이라.

瀆則不告(독칙불고) : 더럽힌 즉 알려주지 말지니

利貞(이정) :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라.


彖曰(단왈) : 단에 가로대,

蒙山下有險(몽산하유험) : 산 아래 험한 것이 있고

險而止蒙(험이지몽) : 험해서 그치는 것이 몽이라.

 

蒙亨(몽형) : '몽형'은

以亨行(이형행) : 형통함으로써 행함이니

時中也(시중야) :  때로 중함이요,

匪我求童蒙童蒙求我(비아구동몽동몽구아) : '비아구동몽동몽구아'는

志應也(지응야) : 뜻이 응함이요,

初筮告(초서고) : '초사곡'은

以剛中也(이강중야) : 강하고 가운데 함으로써요,

再三瀆瀆則不告(재삼독독칙불곡) : '재삼독독즉불곡'은

瀆蒙也(독몽야) : 몽을 더럽히게 됨이니,

蒙以養正(몽이양정) : 몽으로써 바른 것은 기름이

聖功也(성공야) : 성스러운 공이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山下出泉蒙(산하출천몽) : 산 아래 샘이 솟아나는 것이 몽이니,

君子以果行育德(군자이과행육덕) : 군자가 이로써 과감히 행하며 덕을 기르니라.

 

初六(초륙) : 초육은

發蒙(발몽) : 몽을 일깨우는데

利用刑人(이용형인) : 사람에게 형벌함을 쓰고서

用說桎梏(용설질곡) : 질곡을 벗김이 이로우니,

以往吝(이왕린) : 형벌로써만 해 나가면 인색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利用刑人(이용형인) : '이용형인'은

以正法也(이정법야) : 써 법을 바르게 함이라.

 

九二(구이) : 구이는

包蒙吉(포몽길) : 몽을 감싸면 길하고

納婦吉(납부길) : 지어미를 얻으면 길하리니,

子克家(자극가) : 자식이 집을 다스리도다.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子克家(자극가) : '자극가'는

剛柔節也(강유절야) : 강과 유가 접함이라.

 

六三(육삼) : 육삼은

勿用取女(물용취녀) : 써 여자를 취하지 말지니,

見金夫(견금부) : 돈 있는 사내를 보고

不有躬(불유궁) : 몸을 두지 못하니

無攸利(무유리) : 이로울 바가 없으느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勿用取女(물용취녀) : '물용취녀'는

行不順也(행불순야) : 행실이 순하지 아니함이라.

 

六四(육사) : 육사는

困蒙吝(곤몽린) : 곤궁한 몽이니 인색하도다.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困蒙之吝(곤몽지린) : '곤몽지인'은

獨遠實也(독원실야) : 홀로 실상에서 멀다.

 

六五(육오) : 육오는

童蒙吉(동몽길) : 어린 몽이니 길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童蒙之吉(동몽지길) : '동몽지길'은

順以巽也(순이손야) : 순하고 공순함으로써라.

 

上九(상구) : 상구는

擊蒙(격몽) : 몽을 침이니.

不利為寇(불리위구) : 도적이 됨이 이롭지 아니하고

利禦寇(이어구) : 도적을 막음이 이로우니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利用禦寇(이용어구) : '도적 막음을 씀이 이로운 것'은

上下順也(상하순야) : 위와 아래가 순함이라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04산수몽山水蒙?category=343349 [빈막(賓幕)]

 

 

03_수뇌둔(水雷屯)

 

屯(둔) : 둔은

元亨(원형) : 크게 형통하고

利貞(리정) :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

勿用有攸往(물용유유왕) : 써 가는 바를 두지 말고

利建侯(리건후) : 제후를 세움이 이로우니라.

 

彖曰(단왈) : 단에 가로대,

屯剛柔始交而難生(둔강유시교이난생) : 둔은 강과 유가 처음 사귀어 어렵게 나오며

動乎險中(동호험중) : 험한 가운데 움직이니,

大亨貞(대형정) : 크게 형통하고 바른 것은

雷雨之動滿盈(뢰우지동만영) : 우뢰와 비의 움직임이 가득하기 때문이다.

 

天造草昧(천조초매) : 하늘이 초매를 짓는데는

宜建侯而不寧(의건후이불녕) : 마땅히 제후를 세워야하고 편안히 아니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雲雷屯(운뢰둔) : 구름과 우뢰가 둔이니,

君子以經綸(군자이경륜) : 군자가 이로써 경륜하니라.

 

初九(초구) : 초구는

磐桓(반환) : 반환함이니,

利居貞(리거정) : 바른데에 거처함이 이로우며

利建侯(리건후) : 제후를 세움이 이로우니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雖磐桓(수반환) : 비록 제자리에서 맴도나,

志行正也(지행정야) : 뜻이 바른 것을 행하며,

以貴下賤(이귀하천) : 귀함으로써 친한 데에 내리니

大得民也(대득민야) : 크게 백성을 얻도다.

 

六二(륙이) : 육이는

屯如邅如(둔여전여) : 머려우며 머뭇거리며

乘馬班如(승마반여) : 말을 탔다가 내리니,

匪寇婚媾(비구혼구) : 도적이 아니면 청혼해오리니.

 

女子貞不字(녀자정불자) : 여자가 곧아서 시집가지 않다가

十年乃字(십년내자) : 십년만에 이에 시집가도다.

字許嫁也(자허가야) : 자는 시집감을 허락하는 것이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六二之難(륙이지난) : 육이의 어려움은

乘剛也(승강야) : 강을 탔음이요,

十年乃字(십년내자) : '십년만에 시집감'은

反常也(반상야) : 떳떳함으로 돌아옴이라.

 

六三(륙삼) : 육삼은

即鹿無虞(즉록무우) : 사슴사냥에 나아가나 몰이꾼이 없음이라.

惟入于林中(유입우림중) : 오직 숲 가운데 들어감이니.

君子幾不如舍(군자기불여사) : 군자가 기미를 보아서 그치는 것만 같지 못하니,

往吝(왕린) : 가면 인색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即鹿無虞(즉록무우) : '즉록무우'는

以從禽也(이종금야) : 새를 쫓음이요,

君子舍之(군자사지) : 군자가 그치는 것은

往吝窮也(왕린궁야) : 가면 인색하고 궁함이라.

 

六四(륙사) : 육사는

乘馬班如(승마반여) : 말을 탔다가 내리니,

求婚媾(구혼구) : 혼인을

往吉無不利(왕길무불리) : 구하여가면 길해서 이롭지 않음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求而往(구이왕) : '구하여 감'은

明也(명야) : 밝게 함이라.

 

九五(구오) : 구오는

屯其膏(둔기고) : 그 고택이 어려우니,

小貞吉(소정길) : 조금 바르게 나아가면 길하고

大貞凶(대정흉) : 크게 고집하면 흉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屯其膏(둔기고) : '둔기고'는

施未光也(시미광야) : 베풂이 빛나지 못함이라.

 

上六(상륙) : 상육은

乘馬班如(승마반여) : 말을 탔다가 내려서

泣血漣如(읍혈련여) : 피눈물이 줄줄 흐르도다.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泣血漣如(읍혈련여) : '읍혈연여'이니

何可長也(하가장야) : 어찌 가히 오래 가리오?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03수뇌준水雷屯?category=343349 [빈막(賓幕)]

 

03_수뇌준(水雷屯)

음양오행의 원리_주역/역경(周易/易經)                    03_수뇌준(水雷屯) 屯(둔) : 둔은 元亨(원형) : 크게 형통하고 利貞(리정) :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 勿用有攸往(물용유유왕) :

hwalove.tistory.com

 

 

02_곤위지(坤爲地)

 

坤元亨(곤원형) : 곤은 원하고 형하고

利牝馬之貞(리빈마지정) : 이하고 암말의 정함이니,

君子有攸往(군자유유왕) : 군자가 갈바를 두느니라.

 

先迷(선미) : 먼저 하면 아득하고,

後得主利(후득주리) : 뒤에 하면 얻으리니 이로움을 주창하니라.

 

西南得朋(서남득붕) : 서남은 벗을 얻고,

東北喪朋(동북상붕) : 동북은 벗을 잃으니,

安貞吉(안정길) : 안정하여 길하리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至哉坤元(지재곤원) : 지극하도다. 곤의 원이여.

萬物資生(만물자생) : 만물이 바탕하여 생하나니,

乃順承天(내순승천) : 이에 순히 하늘을 이으니,

坤厚載物(곤후재물) : 곤이 두터워 만물을 실음이

德合無疆(덕합무강) : 덕이 무강한 데 합하여,

含弘光大(함홍광대) : 머금으며 넓으며 빛나며 커서

品物咸亨(품물함형) : 품물이 다 형통하느니라.

 

牝馬地類(빈마지류) : 암말은 땅의 무리이니

行地無疆(행지무강) : 땅을 다님에 경계가 없으며,

柔順利貞(유순리정) : 유순하고 이정함은

君子攸行(군자유행) : 군자의 행하는 바이다.

 

先迷失道(선미실도) : 먼저 하면 아득해서 돌을 잃고,

後順得常(후순득상) : 뒤에 하면 순해서 항상함을 얻으리니,

西南得朋(서남득붕) : 서남에서 벗을 얻음은

乃與類行(내여류행) : 이에 무리로 더불어 행함이요,

東北喪朋(동북상붕) : 동북에서 벗을 잃음은

乃終有慶(내종유경) : 이에 마침내 경사가 있으리니.

 

安貞之吉(안정지길) : 인정하여 길함이

應地無疆(응지무강) : 땅의 지경이 없는 것에 응하느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地勢坤(지세곤) : 땅의 형세가 곤이니,

君子以厚德載物(군자이후덕재물) : 군자가 이로써 두터운 덕으로 만물을 싣는니라.

 

初六(초륙) : 초육은

履霜堅冰至(리상견빙지) : 서리를 밟으면 굳은 얼음을 이르니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履霜堅冰(리상견빙) : 이상견빙은

陰始凝也(음시응야) : 음이 처음 엉김이니,

馴致其道(순치기도) : 그 도를 길들여 이루어서 .

至堅冰也(지견빙야) : 굳은 얼음에 이르게 하느니라

 

六二(륙이) : 육이는

直方大(직방대) : 곧고 모나고 큰지라,

不習無不利(불습무불리) : 익히지 아니해도 이롭지 아니함이 없느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六二之動(륙이지동) : 육이의 동함이 

直以方也(직이방야) : 곧고 방정하니,

不習無不利(불습무불리) : 불습무불리는

地道光也(지도광야) : 땅의 도가 빛남이니라.

 

六三(륙삼) : 육삼은

含章可貞(함장가정) : 빛나는 것을 머금어 가히 바르게 함이니,

或從王事(혹종왕사) : 혹 왕의 일을 좇아서

無成有終(무성유종) : 이름은 없으되 마침은 있느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含章可貞(함장가정) : 함장가정이나

以時發也(이시발야) : 때로써 발함이요,

或從王事(혹종왕사) : 혹종왕사는

知光大也(지광대야) : 앎이 빛나고 큼이라.

 

六四(륙사) : 육사는

括囊(괄낭) : 주머니를 매면

無咎無譽(무구무예) : 허물이 없으며 명예로움도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括囊無咎(괄낭무구) : 괄낭무구는

慎不害也(신불해야) : 신중하면 해롭지 아니하리라.

 

六五(륙오) : 육오는

黃裳元吉(황상원길) : 누런 치마면 크게 길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黃裳元吉(황상원길) : 황상원길은

文在中也(문재중야) : 문채가 가운데 있음이라

 

上六(상륙) : 상육은

龍戰于野(룡전우야) : 용이 들에서 싸우니

其血玄黃(기혈현황) : 그 피가 검고 누르도다.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龍戰于野(룡전우야) : 용이 들에서 싸움은

其道窮也(기도궁야) : 그 도가 다함이아.

 

用六(용륙) : 용육은

利永貞(리영정) : 오래하고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用六永貞(용륙영정) : 용육영정은

以大終也(이대종야) : 큼으로써 마침 때문이라.

 

文言曰(문언왈) : 문언에 이르기를,

坤至柔而動也剛(곤지유이동야강) : 곤은 지극히 유순하되 움직임에 강하고,

至靜而德方(지정이덕방) : 지극히 고요하되 덕이 방정하니,

後得主而有常(후득주이유상) : 뒤에 하면 얻어서 리(利)를 주장하여 떳떳함이 있으며,

含萬物而化光(함만물이화광) : 만물이 머금어 화함이 빛나니

坤道其順乎(곤도기순호) : 곤의 도가 그 순한져!

承天而時行(승천이시행) : 하늘을 이어 때로 행하느니라.

 

積善之家(적선지가) : 선을 쌓은 집안에는

必有餘慶(필유여경) : 반드시 남은 경사가 있고,

積不善之家(적불선지가) : 불선을 쌓은 집안에는

必有餘殃(필유여앙) : 반드시 남은 재앙이 있나니,

臣弒其君(신시기군) : 신하가 그 인군을 죽이며,

子弒其父(자시기부) : 자식이 그 아비를 죽임이

非一朝一夕之故(비일조일석지고) : 하루아침 하루저녁의 연고가 아님이라.

 

其所由來者漸矣(기소유래자점의) : 그 말미암아 온 바가 점차함이니,

由辯之不早辯也(유변지불조변야) : 분별할 것을 일찍 분별치 못함으로 말미암은 것이니,

 

易曰(역왈) : 역에 가로대,

履霜堅冰至(리상견빙지) : '서리를 밟으면 굳은 얼음이 이른다'하니

蓋言順也(개언순야) : 대개 순종함을 이른다.

 

直其正也(직기정야) : 직은 그 바름이요,

方其義也(방기의야) : 방은 그 의로운 것이니.

君子敬以直內(군자경이직내) : 군자가 공경함으로써 안을 곧게 하고

義以方外(의이방외) : 의리로써 밖을 방정하게 해서,

敬義立而德不孤(경의립이덕불고) : 경과 의가 섬에 덕이 외롭지 아니하나니,

 

直方大(직방대) : '직방대

不習無不利(불습무불리) : 불습무불리'는

則不疑其所行也(칙불의기소행야) : 즉 그 행하는 바를 의심치 아니 함이라.

 

陰雖有美(음수유미) : 음이 비록 아름다움이 있으나,

含之以從王事(함지이종왕사) : 머금어서 써 왕의 일을 좇아서

弗敢成也(불감성야) : 감히 이루지 못하니,

 

地道也(지도야) : 땅의 도이며,

妻道也(처도야) : 처의 도이며.

臣道也(신도야) : 신하의 도이니,

地道無成(지도무성) : 땅의 도는 이룸은 없되

而代有終也(이대유종야) : 이어서 마침을 두느니라.

天地變化(천지변화) : 천지가 변화하면

草木蕃(초목번) : 초목이 번성하고

天地閉(천지폐) : 천지가 닫히면

賢人隱(현인은) : 현인이 숨나니,

 

易曰(역왈) : 역에 이르기를,

括囊無咎無譽(괄낭무구무예) : 괄낭무구무예'라 하니

蓋言謹也(개언근야) : 대개 '삼감'을 말함이다.

 

君子黃中通理(군자황중통리) : 군자가 황중의 이치를 통해서

正位居體(정위거체) : 바른 자리에 몸을 거하며,

 

美在其中(미재기중) : 아름다움이 그 가운데 있어

而暢於四支(이창어사지) : 사지에 빛나며

發於事業(발어사업) : 사업을 발하나니,

美之至也(미지지야) : 아름다움의 지극함이다.

 

陰疑於陽必戰(음의어양필전) : 음이 양을 의심하면 반드시 싸우나니,

為其嫌於無陽也(위기혐어무양야) : 그 양이 없음을 의심함이라.

 

故稱龍焉(고칭룡언) : 그러므로, 용이라 일컫고,

猶未離其類也(유미리기류야) : 오히려 그 동류를 떠나지 못는지라.

故稱血焉(고칭혈언) : 그러므로 혈이라 일컬으니,

 

夫玄黃者(부현황자) : 무릇 '현황'이라는것은

天地之雜也(천지지잡야) : 천지의 섞임이니

天玄而地黃(천현이지황) : 하늘은 검고 땅은 누르니라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02곤위지坤爲地?category=343349 [빈막(賓幕)]

 

02_곤위지(坤爲地)

음양오행의 원리_주역/역경(周易/易經)                    02_곤위지(坤爲地) 坤元亨(곤원형) : 곤은 원하고 형하고 利牝馬之貞(리빈마지정) : 이하고 암말의 정함이니, 君子有攸往

hwalove.tistory.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