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_택뇌수(澤雷隨)

 

隨元亨(수원형) : 수는 크게 형통하니

利貞无咎(이정무구) : 바름이 이로우니 허물이 없으리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隨剛來而下柔(수강래이하유) : 수는 <강이> 오면 <유> 아래에 처하고,

動而說隨(동이열수) : 움직여 기뻐며 따르니

大亨貞(대형정) : 크게 형통하고 바르리라

无咎而天下隨時(무구이천하수시) : 허물이 없어서 천하가 때를 따르나니,

隨之時義大矣哉(수지시의대의재) : 따름의 때와 의미가 크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澤中有雷隨(택중유뢰수) : 못 가운데 우뢰가 있는 것이 수괘의 괘상이니,

君子以嚮晦入宴息(군자이향회입연식) : 군자가 이로써 그믐을 향하여 들어가서 잔치하고 쉰다.

 

初九(초구) : 초구는

官有(관유) : 관운에 변함이 있으니

貞吉(정길) : 바르게 하면 길하니,

出門交有功(출문교유공) : 문 밖에 나가서 사귀면 공이 있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官有渝從正吉也(관유투종정길야) : '관유유'에 바름을 좇으면 길할지니,

出門交有功不失也(출문교유공부실야) : '출문교유공'은 잃지 아니함이라.

 

六二(육이) : 육이는

係小子失丈夫(계소자실장부) : 소자에게 매이면 장부를 잃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係小子弗兼與也(계소자불겸여야) : '계소자'는 아울러 더불지 못함이라.

 

六三(육삼) : 육삼은

係丈夫失小子(계장부실소자) : 장부에 매이고 소자를 잃으니

隨有求得(수유구득) : 따름에 구함이 있음을 얻으나,

利居貞(이거정) : 바른데에 거함이 이롭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係丈夫(계장부) : '계장부'는

志舍下也(지사하야) : 뜻이 아래를 버림이라.

 

九四(구사) : 구사는

隨有獲(수유획) : 따름에 얻음이 있으면

貞凶(정흉) : 바르더라도 흉하니,

有孚在道(유부재도) : 믿음이 있으면 도에 두고

以明何咎(이명하구) : 밝음으로써 하면 무슨 허물이리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隨有獲其義凶也(수유획기의흉야) : '수유획'은 그 뜻이 흉함이오,

有孚在道明功也(유부재도명공야) : '유부재도'는 밝은 공이라.

 

九五(구오) : 구오는

孚于嘉吉(부우가길) : 아름다운데에 미더우니 길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孚于嘉吉(부우가길) : '부우가길'은

位正中也(위정중야) : 자리가 바르고 중정함이라.

 

上六(상육) : 상육은

拘係之(구계지) : 얽어서 매고

乃從維之(내종유지) : 이에 좇아 얽으니,

王用亨于西山(왕용형우서산) : 왕이 써 서산에서 형통하도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拘係之(구계지) : '구계지'는

上窮也(상궁야) : 위에서 궁함이라.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17택뇌수澤雷隨?category=343349 [빈막(賓幕)]

 

17_택뇌수(澤雷隨)

음양오행의 원리_주역/역경(周易/易經)                    17_택뇌수(澤雷隨) 隨元亨(수원형) : 수는 크게 형통하니 利貞无咎(이정무구) : 바름이 이로우니 허물이 없으리라. 彖曰(

hwalove.tistory.com

 

 

www.dailywrn.com/4667

 

http://www.dailywrn.com/sub_read.html?uid=4667

 

www.dailywrn.com

수(隨)는 못 속에 우레가 움직이니 못물이 출렁이며 따른다.

우레 소리에 따라서 못의 물이 출렁거리면서 따라 움직인다.

기뻐하며 출렁이고, 움직이며 기뻐하는 것이 서로가 서로를 따르는 것이다.

 

 

16_뇌지예(雷地豫)

 

豫(예) : 예는 

利建侯行師(이건후행사) : 후를 세우며 군사를 행함이 이롭다.

 

彖曰(단왈) : 단에 이르되,

豫剛應而志行(예강응이지행) : 예는 강이 응하여 뜻이 행하고

順以動豫(순이동예) : 순함으로써 움직인다

豫順以動(예순이동) : 예가 순응하여 움직이니,

故天地如之(고천지여지) : 천지도 이와 같은데

而況建侯行師乎(이황건후행사호) : 하물며 제후를 세우고 군사를 행함에 있어서랴

天地以順動(천지이순동) : 천지가 순응하여 움직인다

故日月不過(고일월부과) : 그러므로 일월이 지나치지 아니하며

而四時不忒(이사시부특) : 사시가 어긋나지 않고,

聖人以順動(성인이순동) : 성인이 순응하여 움직이니

則刑罰淸而民服(칙형벌청이민복) : 형벌이 맑아서 백성이 복종하니라

豫之時義大矣哉(예지시의대의재) : 예의 때와 뜻이 크도다

 

象曰(象曰 ) : 상에 이르기를

雷出地奮豫(뇌출지분예) : 우뢰가 땅에서 나와 떨침이 예니,

先王以作樂崇德(선왕이작악숭덕) : 선왕이 이로써 음악을 만들고 덕을 숭상하여,

殷薦之上帝(은천지상제) : 성대하게 상제께 제물을 올리며

以配祖考(이배조고) : 조상으로써 배사한다.

 

初六(초육) : 초육은

鳴豫凶(명예흉) : 우는 예니 흉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初六鳴豫(초육명예) : '초육의 명예'는

志窮凶也(지궁흉야) : 뜻이 궁해서 흉함이라.

 

六二(육이) : 육이는

介于石(개우석) : 절개가 돌같음이라.

不終日貞吉(불종일정길) : 날을 마치지 않으니 정하고 길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不終日貞吉(불종일정길) : '불종일정길'은

以中正也(이중정야) : 중정함이기 때문이다.

 

六三(육삼) : 육삼은

盱豫(우예) : 바라보는 예라

悔遲有悔(회지유회) : 뉘우치며, 더디게 하여도 뉘우침이 있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盱豫有悔(우예유회) : '우예유회'는

位不當也(위불당야) : 자리가 마땅치 않음이라.

九四(구사) : 구사는

由豫(유예) : 말미암은 예라

大有得(대유득) : 크게 얻음이 있으니,

勿疑朋盍簪(물의붕합잠) : 의심치 말면 벗이 비녀를 합한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由豫大有得(유예대유득) : 유예대유득'은

志大行也(지대행야) : '뜻이 크게 행해짐이라.

 

六五(육오) : 육오는

貞疾(정질) : 바르고 병들으나

恒不死(항부사) : 항상하게 죽지 않도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六五貞疾乘剛也(육오정질승강야) : '육오정질'은 <강>을 탔음이요,

恒不死中未亡也(항부사중미망야) : '항부사'는 <중이> 없어지지 않음이라.

 

上六(상육) : 상육은

冥豫(명예) : 어두운 예니

成有无咎(성유무구) : 이룸에 변함이 있으면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冥豫在上(명예재상) : '명예'가 위에 있으니

何可長也(하가장야) : 어찌 오래하리오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16뇌지예雷地豫?category=343349 [빈막(賓幕)]

 

16_뇌지예(雷地豫)

음양오행의 원리_주역/역경(周易/易經)                    16_뇌지예(雷地豫) 豫(예) : 예는 제 利建侯行師(이건후행사) : 후를 세우며 군사를 행함이 이롭다. 彖曰(단왈) : 단에 이르되

hwalove.tistory.com

 

 

 

15_지산겸(地山謙)

 

謙亨(겸형) : 겸손하면 형통하리니

君子有終(군자유종) : 군자는 유종의 미를 거두리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謙亨(겸형) : ‘겸형’은

天道下濟而光明(천도하제이광명) : 하늘의 도리는 작용이 아래로 내려 와 빛나고

地道卑而上行(지도비이상행) :
땅의 도리는 낮은 위치를 지킴으로서 그 작용이 위로 올라 가 시행된다

天道虧盈而益謙(천도휴영이익겸) : 하늘의 도는 이지러지고 차고 하여 차지 않은 것을 보탠다

地道變盈而流謙(지도변영이류겸) : 땅의 도는 가득 찬 것을 변경하여 차지 않은 곳에 흘러든다

鬼神害盈而福謙人(귀신해영이복겸인) :
귀신은 가득 차 있는 것에는 해를 주고 겸손한 자에게는 복을 준다

道惡盈而好謙(도악영이호겸) : 사람의 도리는 교만한 것을 미워하고 겸손한 것을 좋아한다

謙尊而光(겸존이광) : 높은 지위를 겸손히 하면 빛나고

卑而不可踰(비이불가유) : 낮은 자리에 있는 자는 남이 업신여기지 못한다

君子之終也(군자지종야) : 군자는 유종의 미를 거둔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地中有山謙(지중유산겸) : 낮은 땅에 높은 산이 있는 것이 겸괘의 상이다

君子以裒多益寡(군자이부다익과) : 군자는 이 괘상을 보고 많은 것에서 들어 적은 것에 보태어

稱物平施(칭물평시) : 사물의 균형을 살피고 공평하게 베푼다

 

初六(초육) : 초육은

謙謙君子(겸겸군자) : 겸손한 군자는

用涉大川吉(용섭대천길) : 큰 내를 건너는 일을 해도 길하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謙謙君子(겸겸군자) : ‘겸손한 군자’란

卑以自牧也(비이자목야) : 낮추어서 스스로를 기르는 자이다

 

六二(육이) : 육이는

鳴謙貞吉(명겸정길) : 명성이 나도 겸손하고 곧으면 길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鳴謙貞吉(명겸정길) : ‘명성이 나도 겸손하고 곧다’는 것은

中心得也(중심득야) : 중심을 얻었다는 것이다

 

九三(구삼) : 구삼은

勞謙君子(로겸군자) : 수고해도 겸손한 군자는

有終吉(유종길) : 끝에 길함이 있을 것이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勞謙君子(로겸군자) : ‘수고해도 겸손한 군자’에게는

萬民服也(만민복야) : 만민이 심복한다 

 

六四(육사) : 육사는 

無不利撝謙(무불리휘겸) : 자신을 낮추고 겸손함에 이롭지 않음이 없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無不利撝謙(무불리휘겸) : ‘자신을 낮추고 겸손함에 이롭지 않음’은

不違則也(불위칙야) : 규칙을 어기지 않는다는 것이다

 

六五(육오) : 육오는

不富以其鄰(불부이기린) : 부귀하면서도 그 이웃을 해하지 않으니

利用侵伐(이용침벌) : 이용 침벌해도

無不利(무불리) : 이롭지 않음이 없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利用侵伐(이용침벌) : ‘이용 침벌이라함’은

征不服也(정불복야) : 복종하지 않는 자를 정벌함이다

 

上六(상육) : 상육은

鳴謙(명겸) : 명성은 세상을 울리고 있으나 겸손하다

利用行師(이용행사) : 군사를 동원하면

征邑國(정읍국) : 작은 읍국을 정복할 수 있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鳴謙(명겸) : ‘명성을 얻었으나 겸손하다함’은

志未得也(지미득야) : 뜻을 아직 얻지 못함이라

可用行師(가용행사) : 군사를 동원하면

征邑國也(정읍국야) : 작은 읍국을 정벌할 수 있다

 

hwalove.tistory.com/entry/15%EC%A7%80%EC%82%B0%EA%B2%B8%E5%9C%B0%E5%B1%B1%E8%AC%99?category=343349

 

15_지산겸(地山謙)

음양오행의 원리_주역/역경(周易/易經)                    15_지산겸(地山謙) 謙亨(겸형) : 겸손하면 형통하리니 君子有終(군자유종) : 군자는 유종의 미를 거두리라 彖曰(단왈) : 단에

hwalove.tistory.com

 

 

 

  14_화천대유(火天大有)

 

大有(대유) : 대유는

元亨(원형) : 크게 형통하니라.

 

彖曰(단왈) : 단에 가로대,

大有(대유) : 대유는

柔得尊位大中(유득존위대중) : 부드러운 것이 존귀한 위를 얻고 크게 중정의 효에 위치하여

而上下應之曰大有(이상하응지왈대유) : 상하의 효들이 잘 호응하여 대유라 하니,

其德剛健而文明(기덕강건이문명) : 그 덕이 강건해서 문명하고,

應乎天而時行(응호천이시행) : 하늘에 응하여 때로 행함이라.

是以元亨(시이원형) : 이로써 형통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火在天上(화재천상) : 불이 하늘 위에 있는 것이

大有(대유) : 대유니,

君子以遏惡揚善(군자이알악양선) : 군자가 이로써 악한 것을 막고 선한 것을 드날려서

順天休命(순천휴명) : 하늘의 아름다운 명을 따르느니라.

 

初九(초구) : 초구는

無交害(무교해) : 해로운 데에 사귐이 없으니

匪咎(비구) : 허물이 아니나,

艱則無咎(간칙무구) : 어렵게 해야 곧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大有初九(대유초구) : '대유초구'는 

無交害也(무교해야) : 해로운데 사귐이 없느니라.

 

九二(구이) : 구이는

大車以載(대차이재) : 큰 수레로써 실음이니

有攸往(유유왕) : 갈 바를 두어

無咎(무구) :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大車以載(대차이재) : '대거이재'는

積中不敗也(적중불패야) : 가운데 쌓아서 패하지 않음이라.

 

九三(구삼) : 구삼은

公用亨于天子(공용형우천자) : 공이 천자에게 바침이니,

小人弗克(소인불극) : 소인은 능하지 못하느니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公用亨于天子(공용형우천자) : '공용형우천자'는

小人害也(소인해야) : 소인은 해로우리라.

 

九四(구사) : 구사는

匪其彭(비기팽) : 성대히 하지 아니하면

無咎(무구) :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匪其彭無咎(비기팽무구) : '비기방무구'는

明辨晢也(명변절야) : 밝게 분별하는 지혜라.

 

六五(육오) : 육오는

厥孚交如(궐부교여) : 믿음있게 사귀니

威如吉(위여길) : 위엄이 있으면 길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厥孚交如(궐부교여) : '궐부교여'는

信以發志也(신이발지야) : 믿음으로써 뜻을 발함이요,

威如之吉(위여지길) : '위여지길'은

易而無備也(이이무비야) : 쉽게 하면 갖추지 못합이라.

 

上九(상구) : 상구는

自天祐之(자천우지) : 하늘로부터 돕는지라.

吉無不利(길무불리) : 길하여 이롭지 않음이 없도다.

 

象曰(상왈) : 상구에 가로대,

大有上吉(대유상길) : '대유상길'은

自天祐也(자천우야) : 하늘로부터 도움이라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14화천대유火天大有?category=343349 [빈막(賓幕)]

 

14_화천대유(火天大有)

음양오행의 원리_주역/역경(周易/易經)                    14_화천대유(火天大有) 大有(대유) : 대유는 元亨(원형) : 크게 형통하니라. 彖曰(단왈) : 단에 가로대, 大有(대유) : 대유는 柔

hwalove.tistory.com

 

https://blog.daum.net/yc012175/15945015

 

주역 64괘풀이

주역은 8괘가 기본이다. 8개의 괘는 각각 3개의 막대기로(3효) 구성돼 있고, 8괘를 상하로 배치해 괘상을 만들면 모두 64개가 된다.(8X8=64) 64개의 괘는 각각 6개의 막대기로(6효) 구성돼 있고, 64괘

blog.daum.net

 

주역 64괘풀이
주역은 8괘가 기본이다. 8개의 괘는 각각 3개의 막대기로(3효) 구성돼 있고, 8괘를 상하로 배치해 괘상을 만들면 모두 64개가 된다.(8X8=64) 64개의 괘는 각각 6개의 막대기로(6효) 구성돼 있고, 64괘

3.天火同人


17. 火天大有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