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log.daum.net/junos111/8052893?category=286363

 

告子章句上 第八章 : 牛山之木

孟子曰 (맹자왈)  [牛山之木嘗美矣, (우산지목상미의)   以其郊於大國也, 斧斤伐之, 可以爲美乎? (이기교어대국야,부근벌지,가이위미호?)   是其日夜之所息, 雨露之所潤, 非無萌蘖之生焉, (시

blog.daum.net

 

8.牛山之木

孟子曰 

(맹자왈) 孟子께서 말씀하셨다

 [牛山之木嘗美矣, 

(우산지목상미의) "우산(牛山)의 나무가 아름다웠다.

  以其郊於大國也, 斧斤伐之, 可以爲美乎? 

(이기교어대국야,부근벌지,가이위미호?)

 그러나 큰 나라의 읍 밖에 있어, 도끼로 벌목하니 어찌 前과 같이 아름다울 수가 있겠는가?

  是其日夜之所息, 雨露之所潤, 非無萌蘖之生焉, 

(시기일야지소식,오로지소윤,비무맹얼지생언)

 나무들은 밤낮없이 자라나고 비와 이슬이 내려서 새싹은 늘 돋아나고 있건마는,

  牛羊又從而牧之, 是以若彼濯濯也. 

(우양우종이목지,시잉야피탁탁야)

 소와 양을 끌어다가 먹이기 때문에 저렇듯이 민둥山이 되었다.

  人見其濯濯也, 以爲未嘗有材焉, 此豈山之性也哉?

 (인견기탁탁야,이위미상유재언,차개산지성야재?)

 사람들은 그 민둥산을 보고 일찍이 나무가 없었다고 하지마는, 이것이 어찌 山의 本性이겠느냐?

 

雖存乎人者, 豈無仁義之心哉? 

(수재호인자,개무인의지심재?)

사람이 갖고 있는 본성엔들 仁義의 마음이 없겠는가?

其所以放其良心者, 亦猶斧斤之於木也, 

(기소이방기양심자,역유부근지어목야)

자기의 양심을 잃어버리는 것은 도끼로 나무를 베어 버리는 것과 같은 것이다.

旦旦而伐之, 可以爲美乎? 

(단단이벌지,가이위미호?)

매일 도끼로 찍어 내는데, 어떻게 아름다워질 수가 있겠는가?

其日夜之所息, 平旦之氣, 

(기일야지서식,평단지기)

수목도 밤낮으로 자라고, 아침 공기를 흡수하여 기운이 깨끗해질 때는

其好惡與人相近也者幾希,

 (기호오여인상근야자기희)

살기를 좋아하고 죽기를 싫어하는 그 본능이 사람과 서로 비슷하여 차이가 많지 않다.

則其旦晝之所爲,

 (즉기단주지소위)

그러나 나무는 낮에 도끼와 낮에 찍히어 그 깨끗한 기운이 눌리어 없어지게 된다.

有梏亡之矣. 梏之反覆, 

(유곡망지의,곡지반복)

그러나 나무는 낮에 도끼와 낮에 찍히어 그 깨끗한 기운이 눌리어 없어지게 된다.

則其夜氣不足以存. 

(즉기야기부족이존)

이 잃어버리게 하는 일을 거듭하게 되면

夜氣不足以存, 則其違禽獸不遠矣. 

(야기부족이존,즉기위금수불원의)

밤사이에 길러지는 맑은 기운(夜氣)을 보존할 수 없게 된다.

밤사이에 길러졌던 맑은 기운을 보존할 수 없게 되면 짐승과 다름이 없게 된다.

人見其禽獸也,

(인견기금수야)

사람들은 그 짐승과 같은 자를 보고서

而以爲未嘗有才焉者,

(이이위미상유재언야)

그에게는 본래부터 선한 일을 할 수 있는 본바탕이 없었다고 생각한다.

是豈人之情也哉? (시개인지정야재?)

그러나 그것이 어찌 사람이 가진 본래의 성정(性情)이겠는가?

 

故苟得其養, 無物不長.

(고구득기양,무물부장)

그러므로 길러 줄 수만 있다면 자라나지 않는 것이 없고,

苟失其養, 無物不消. (구실기양,무물부소)

길러주지 않을 것 같으면 없어져 버리지 않을 것이 없는 것이다.

 

孔子曰 (공자왈)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操則存, 舍則亡.

(조즉존,사즉망)

"꼭 잡고 있으면 있지만 놓아버리면 없어지며,

 出入無時, 

(출입무시)

 나고 드는데는 때가 없으며,

莫知其鄕. 

(막지기향)

그 있는 곳을 알 수 없는 것은

 惟心之謂與? " 

(유심지위여?)

마음을 두고 말한 것이다."

 

 

m.blog.naver.com/sohoja/220555647200

 

맹자 152 – 고자 상 8

맹자 152 – 고자 상 8孟子曰:「牛山之木嘗美矣,以其郊於大國也,斧斤伐之,可以爲美乎?是其日夜之...

blog.naver.com

 

 

m.blog.daum.net/junos111/8052892?category=286363

 

告子章句上 第七章 : 富歲子弟多賴

孟子曰 (맹자왈) [富歲, 子弟多賴. 凶歲, 子弟多暴, (부세,자제다뢰,흉세,자재다포)  非天之降才爾殊也, (비천지강재이수야)  其所以陷溺其心者然也. (기소이함닉기심자연야) 맹자께서 말씀하셨

blog.daum.net

 

7.富歲子弟多賴

孟子曰 (맹자왈)

[富歲, 子弟多賴. 凶歲, 子弟多暴, (부세,자제다뢰,흉세,자재다포)

 非天之降才爾殊也, (비천지강재이수야)

 其所以陷溺其心者然也. (기소이함닉기심자연야)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풍년에는 젊은 이(子弟)들에 善이 많으며 흉년에는 젊은 이(子弟)들에 포악(暴)이 많다.

 이는 하늘이 사람의 본 바탕을 다르게 부여한 때문이 아니라,

 그 마음을 한곳에 빠지게 하는 것이 있어서 그렇게 된 것이다.

 

 

今夫麰麥, 播種而耰之, (금부모맥,파종이우지)

其地同, 樹之時又同,皆熟矣. (기지동,수지시우동,개숙의)

浡然而生, 至於日至之時, (발연이생,지어일지지시)

雖有不同, 則地有肥磽, (수유부동,즉지유비교)

雨露之養, 人事之不齊也. (우로지양,인사지부제야)

故凡同類者, 擧相似也, (고범동류자,거상사야)

何獨至於人而疑之? 聖人與我同類者. (하독지어인이의지?성인여아동류자)

이제 보리를 파종하고 흙을 덮어 주면,

그 땅이 같고 심은 시기(時期)도 같다면

곧 불쑥 싹이 나서 하지(夏至)가 되면 모두 익게 될 것이다.

비록 같지 않음이 있더라도, 이는 곧 땅의 기름짐과 메마름의 차이이거나,

비나 이슬의 길러줌과 사람이 들인 공(功)이 같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무릇 같은 종류의 것은 모두 서로 비슷하니,

어찌 홀로 사람에게 이르러 의심하는가? 聖人과 나는 같은 부류의 사람이다.

 

 

故龍子曰 (고용자왈)

 {不知足而爲屨, 我知其不爲蕢也. } (부지족이위구,아지기부위괴야)

  屨之相似, 天下之足同也. (구지상사,천하지족동야)

  口之於味, 有同耆也. (구지어미,유동기야)

  易牙先得我口之所耆者也. (역아선득아구지소기자야)

  如使口之於味也, 其性與人殊, (여사구지어미야,기성여인수)

  若犬馬之與我不同類也, (야견마지여아부동류야)

  則天下何耆 皆從易牙之於味也? (즉천하하기 개종역아지어미야?)

  至於味, 天下期於易牙, (지어미,천하기어역아)

  是天下之口相似也 (시천하지구상사야)

그러므로 용자(龍子-옛賢人)도

 '발의 크기를 모르고 신을 삼아도 삼태기처럼 크게 만들지 않음을 나는 알고 있다'고 했다.

  신이 비슷한 것은 모든 사람의 발이 같기 때문이다.

  입이 맛을 알되 다같이 좋아하는 것이 있다.

  역아(易牙)는 우리 입이 좋아하는 것을 알아낸 사람이다.

  만약 사람의 맛을 아는 것이 개와 말이 우리와 같은 종류가 아닌 것처럼 사람마다 다르다면

  천하의 사람들이 어찌하여 역아의 맛을 따르겠느냐?

  맛을 아는 일은 천하 사람들이 역아(易牙)에게 기대하는데,

  그것은 온 천하 사람들의 입이 비슷하기 때문이다.

 

 

惟耳亦然. (유이역연)

至於聲, 天下期於師曠, (지어성,천하기어사광)

是天下之耳相似也. (시천하지이상사야)

惟目亦然. (유목역연)

至於子都, 天下莫不知其姣也. (지어자도,천하막불지기교야)

不知子都之姣者, 無目者也. (부지자도직자,무목자야)

귀로 듣는 것도 또한 그러하다.

소리는 온 천하가 사광(師曠)에게 기대하는데,

그것은 온 천하 사람들의 귀로 듣는 것이 비슷하기 때문이다.

눈도 또한 그러하다.

자도(子都)라고 하면 천하 사람들이 모두 그 아름다움을 알고 있다.

자도의 아름다움을 모르는 사람은 눈이 없는 사람이다.

 

 

 

故曰 口之於味也, 有同耆焉. (고왈 구지어미야,유동기언)

耳之於聲也, 有同聽焉. (이지어성야,유동천언)

目之於色也, 有同美焉. (목지어색야,유동미언)

至於心, 獨無所同然乎? (지어심,독무소동연호?)

心之所同然者何也? (심지소동연자하야?)

謂理也, 義也. (위리야,의야)

聖人先得我心之所同然耳. (성인선득아심지소동연이)

故理義之悅我心, (고리의지열아심)

猶芻豢之悅我口. ] (유추환지열아구)      * 芻豢 : 꼴(풀)을 먹여 기른 가축(소,돼지등)

그러므로 입으로 맛보는 맛은 누구나 같으며,

귀로 듣는 소리도 누구나 같으며,

눈으로 보는 아름다움도 누구나 같은 것이다.

그런데 유독 마음에 있어서만 다같이 옳다고 여기는 것이 없겠는가?

마음이 같다는 것은 무엇인가?

이른바 理이고, 義이다.

聖人은 우리 마음이 같다는 것을 먼저 깨달은 자일 따름이다.

그러므로 理와 義가 우리 마음을 기쁘게 해 주는 것은

마치 쇠고기와 돼지고기가 우리 입을 즐겁게 해 주는 것과 같다."

 

 

m.blog.naver.com/sohoja/220549553111

 

맹자 151 – 고자 상 7

맹자 151 – 고자 상 7 孟子曰:「富歲,子弟多賴;凶歲,子弟多暴,非天之降才爾殊也,其所以陷溺其...

blog.naver.com

 

 

m.blog.daum.net/junos111/8052891?category=286363

 

告子章句上 第六章 : 乃若其情

公都子曰 [告子曰 {性無善無不善也. } (공도자왈 고자왈 성무선무불선야)) 或曰 {性可以爲善, 可以爲不善. (혹왈 성가이위선,가이위불선)         是故文武興, 則民好善. (시고문무흥,즉민호

blog.daum.net

 

公都子曰 [告子曰 {性無善無不善也. } (공도자왈 고자왈 성무선무불선야))

或曰 {性可以爲善可以爲不善(혹왈 성가이위선,가이위불선)

        是故文武興則民好善(시고문무흥,즉민호선)

        幽厲興則民好暴. } (유려흥,즉민호포)

或曰 {有性善有性不善(혹왈 유성선,유성불선)

       是故以堯爲君而有象(시고이요위군이유상)

       以瞽瞍爲父而有舜(이고수위부이유순)

       以紂爲兄之子且以爲君(이주위형지자차이위군)

       而有微子啓王子比干. } (이유미자계왕자비간)

공도자(公都子) "고자는 '性은 善도 없고, 不善도 없다' 라고 하고,

어떤 사람은 '性은 善을 할 수 있고 不善을 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文王이나 武王이 일어났을 때에는 백성들은 善을 좋아하였고,

  유왕(幽王)이나 려왕(厲王)이 일어났을 때에는 백성들은 포악을 좋아했다'고 말하며,

어떤 사람은 '性이 善한 이가 있고, 不善한 이도 있다.

  그러므로 요(堯)를 임금으로 모시면서도 상(象) 같은 이가 나왔는가 하면,

  고수(瞽瞍)를 아비로 순(舜)임금 같은 이가 나왔고,

  주(紂)를 형님의 아들로 하고 또 임금으로 모시는데도

  미자계(微子啓)와 왕자 비간(比干)이 나왔다' 고 말합니다.

 

 

今曰 {性善} , (금왈 성선)

   然則彼皆非與? ] (연즉피개비여?)

孟子曰 (맹자왈)

   [乃若其情, 則可以爲善矣, 乃所謂善也. (내야기정,즉가이위선의,내소위선야)

    若夫爲不善, 非才之罪也. (야부위불선,비재지죄야)

이제 말씀하시기를 '性이 善하다'라고 하시니,

 그렇다면 이것들은 모두 옳지 않습니까?"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사람의 본성 그대로라면 善해 질 수 있으니 그러므로 善이라 이른다.

 만약 不善하다고 해도 그것은 본바탕의 잘못(才之罪)이 아니다.

 

 

惻隱之心人皆有之(측은지심,인개유지)

羞惡之心人皆有之(수오지심,인개유지)

恭敬之心人皆有之(공경지심,인개유지)

是非之心人皆有之(시비지심,인개유지)

惻隱之心仁也(측은지심,인야)

羞惡之心義也(수오지심,의야)

恭敬之心禮也(공경지심,예야)

是非之心智也(시비지심,지야)

仁義禮智非由外鑠我也(인의예지,비유외삭아야)

我固有之也弗思耳矣(아고유지야,불사이의)

故曰 {求則得之舍則失之. } (고왈 구즉득지,사즉실지)

或相倍蓰而無算者(혹상배사이무산자)

不能盡其才者也(불능진기재자야)

남을 불쌍히 여기는 마음을 사람이 다 가지고 있으며,

惡을 부끄러워하고 미워하는 마음을 사람이 다 가지고 있으며,

恭敬하는 마음을 사람이 다 가지고 있으며,

是非를 가리는 마음을 사람이 다 가지고 있으니,

불쌍히 여기는 마음은 仁이오,

부끄러워하고 미워하는 마음은 義요,

恭敬하는 마음은 禮요,

是非를 가리는 마음은 智이니,

仁義禮智가 밖으로부터 나에게 녹여서 들어온 것이 아니라

내가 본래 가지고 있는 것이지마는 생각하지 않을 뿐이니,

그러므로 '구하면 갖게 되고 버려두면 잃는다'라고 말이 있다.

같은 사람이면서도 선악의 차이가 2 배가 되고 5 배가 되어 비교할 수조차 없게 되는 것은

자기가 본래 타고난 바탕을 온전히 다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詩曰 (시왈)

{天生蒸民, 有物有則. (천생증민,유물유즉)

  民之秉夷, 好是懿德. } (민지병이,호시의덕)

孔子曰 (공자왈)

 {爲此詩者, 其知道乎! (위차시자,기지도야)

   故有物必有則, (고유물필유즉)

   民之秉夷也, 故好是懿德. } ] (민지병이야,고호시의덕)

<詩經>에

<하늘이 묻 백성을 내시되, 내신 것마다 법칙이 있게 하셨다.

 백성들은 떳떳한 본성을 지녀서 모두 이 아름다운 덕을 좋아하게 된다>고 하였다.

孔子께서도

 '이 詩를 지은 이는 아마도 道理를 잘 아는 게로다.

  그러므로 事物에는 반드시 법칙이 있나니,

  백성은 떳떳한 본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 아름다운 德을 좋아한다'고 하셨다."

 

m.blog.naver.com/sohoja/220547499546

 

맹자 150 – 고자 상 6

맹자 150 – 고자 상 6公都子曰:「告子曰:『性無善無不善也。』或曰:『性可以爲善,可以爲不善;是...

blog.naver.com

 

 

m.blog.daum.net/junos111/8052890?category=286363

 

告子章句上 第五章 : 先酌鄕人

孟季子問公都子曰 [何以謂義內也? ] (맹계자문공도자왈 하이위의내야?) 曰 [行吾敬, 故謂之內也. ] (왈 행오경,고위지내야) 맹계자가 공도자에게 말했다. "어찌하여 義를 내재적인 것이라고 합니

blog.daum.net

 

5.先酌鄕人(선작향인)

孟季子問公都子曰 [何以謂義內也? ] (맹계자문공도자왈 하이위의내야?)

맹계자가 공도자에게 말했다. "어찌하여 義를 내재적인 것이라고 합니까?"

曰 [行吾敬, 故謂之內也. ] (왈 행오경,고위지내야)

공도자가 말했다. "내가 내 마음 속의 공경을 행하기 때문에 내재적인 것이라고 이릅니다."

 

 

[鄕人長於伯兄一歲則誰敬? ] (향인장어백형일세,즉수경?)

(맹계자) “마을 사람이 자기 큰 형님보다 한 살 더 많을 것 같으면 누구를 존경하겠습니까?"

曰 [敬兄. ] (왈 경형)

(공도자) "자기 큰 형님을 공경합니다."

[酌則誰先? ] (작즉수선?)

(맹계자) "술잔은 누구에게 먼저 주겠습니까?"

曰 [先酌鄕人. ] (왈 선작향인)

(공도자) "마을 사람한테 먼저 줍니다."

[所敬在此所長在彼(소경재차,소장재피)

(맹계자) "공경해야 할 사람은 여기 있고, 나이 많은 이로 받들 사람은 저기 있으니

 果在外非由內也. ] (과재외,비유내야)

 과연 義는 외부에 있는 것이지 내부에서 나오는 것이 아닙니다."

 

 

公都子不能答, 以告孟子. (공도자불능답,이고맹자)

공도자가 대답을 못하고서 맹자에게 물었다.

孟子曰 [敬叔父乎? 敬弟乎? (맹자왈 경숙부호?경재호?)

맹자 "숙부를 공경하는가? 동생을 공경하는가? 하고 물으면,

           彼將曰 {敬叔父} . (피장왈 경숙부)

          그 사람은 '숙부를 공경한다'라고 대답할 것이다.

           曰 {弟爲尸, 則誰敬? } (왈 제위시,즉수경?)

           '동생이 시위(尸位)에 있다면 누구를 공경하겠는가?'하고 묻는다면

           彼將曰 {敬弟. } (피장왈 경제)

          그 사람은 '동생을 공경한다'고 말할 것이다.

          子曰 {惡在其敬叔父也? } (자왈 오제기경숙부야?)

          그대가 '어찌하여 숙부보다 동생을 공경하는가?'하고 물으면,

          彼將曰 {在位故也. } (피장왈 재이고야)

          그 사람은 '동생은 시위에 있기 때문이다' 라고 하리니,

         子亦曰 {在位故也. (자역왈 재위고야)

          그대가 또한 '자리에 있기 때문이다' 라고 말하라。

                     庸敬在兄, 斯須之敬在鄕人. } ] (용경재형,사수지경재향인)

                     평소의 공경은 형에게 있고, 잠시 동안의 공경은 마을 사람에게 있다"     

     

 

季子聞之曰 (계자문지왈)

맹계자는 이 말을 듣고 

[敬叔父則敬, (경숙부즉경)

"숙부를 공경해야 할 때에는 숙부를 공경하고,

 敬弟則敬, (경제즉경)

동생을 공경해야 할 때에는 동생을 공경해야 하는 것이면,

 果在外, 非由內也. ] (과재외,비유내야)

義는 외부에 있는 것이지 내부에 있는 것이 아닙니다." 라고 했다

公都子曰 (공도자왈) : 공도자가 말했다.

[冬日則飮湯, 夏日則飮水, (동일즉음탕,하일즉음수)

 "겨울에는 뜨거운 물을 마시고 여름에는 냉수를 마시는데,

 然則飮食亦在外也? ] (연즉음식역재외야?)

 그렇다면 마시고 먹는 것도 또한 외부에 있는 것이 됩니다."

 

 

m.blog.naver.com/sohoja/220543790156

 

맹자 149 – 고자 상 5

맹자 149 – 고자 상 5孟季子問公都子曰:「何以謂義內也?」曰:「行吾敬,故謂之內也。」 「鄉...

blog.naver.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