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log.daum.net/junos111/8052893?category=286363
8.牛山之木
孟子曰
(맹자왈) 孟子께서 말씀하셨다
[牛山之木嘗美矣,
(우산지목상미의) "우산(牛山)의 나무가 아름다웠다.
以其郊於大國也, 斧斤伐之, 可以爲美乎?
(이기교어대국야,부근벌지,가이위미호?)
그러나 큰 나라의 읍 밖에 있어, 도끼로 벌목하니 어찌 前과 같이 아름다울 수가 있겠는가?
是其日夜之所息, 雨露之所潤, 非無萌蘖之生焉,
(시기일야지소식,오로지소윤,비무맹얼지생언)
나무들은 밤낮없이 자라나고 비와 이슬이 내려서 새싹은 늘 돋아나고 있건마는,
牛羊又從而牧之, 是以若彼濯濯也.
(우양우종이목지,시잉야피탁탁야)
소와 양을 끌어다가 먹이기 때문에 저렇듯이 민둥山이 되었다.
人見其濯濯也, 以爲未嘗有材焉, 此豈山之性也哉?
(인견기탁탁야,이위미상유재언,차개산지성야재?)
사람들은 그 민둥산을 보고 일찍이 나무가 없었다고 하지마는, 이것이 어찌 山의 本性이겠느냐?
雖存乎人者, 豈無仁義之心哉?
(수재호인자,개무인의지심재?)
사람이 갖고 있는 본성엔들 仁義의 마음이 없겠는가?
其所以放其良心者, 亦猶斧斤之於木也,
(기소이방기양심자,역유부근지어목야)
자기의 양심을 잃어버리는 것은 도끼로 나무를 베어 버리는 것과 같은 것이다.
旦旦而伐之, 可以爲美乎?
(단단이벌지,가이위미호?)
매일 도끼로 찍어 내는데, 어떻게 아름다워질 수가 있겠는가?
其日夜之所息, 平旦之氣,
(기일야지서식,평단지기)
수목도 밤낮으로 자라고, 아침 공기를 흡수하여 기운이 깨끗해질 때는
其好惡與人相近也者幾希,
(기호오여인상근야자기희)
살기를 좋아하고 죽기를 싫어하는 그 본능이 사람과 서로 비슷하여 차이가 많지 않다.
則其旦晝之所爲,
(즉기단주지소위)
그러나 나무는 낮에 도끼와 낮에 찍히어 그 깨끗한 기운이 눌리어 없어지게 된다.
有梏亡之矣. 梏之反覆,
(유곡망지의,곡지반복)
그러나 나무는 낮에 도끼와 낮에 찍히어 그 깨끗한 기운이 눌리어 없어지게 된다.
則其夜氣不足以存.
(즉기야기부족이존)
이 잃어버리게 하는 일을 거듭하게 되면
夜氣不足以存, 則其違禽獸不遠矣.
(야기부족이존,즉기위금수불원의)
밤사이에 길러지는 맑은 기운(夜氣)을 보존할 수 없게 된다.
밤사이에 길러졌던 맑은 기운을 보존할 수 없게 되면 짐승과 다름이 없게 된다.
人見其禽獸也,
(인견기금수야)
사람들은 그 짐승과 같은 자를 보고서
而以爲未嘗有才焉者,
(이이위미상유재언야)
그에게는 본래부터 선한 일을 할 수 있는 본바탕이 없었다고 생각한다.
是豈人之情也哉? (시개인지정야재?)
그러나 그것이 어찌 사람이 가진 본래의 성정(性情)이겠는가?
故苟得其養, 無物不長.
(고구득기양,무물부장)
그러므로 길러 줄 수만 있다면 자라나지 않는 것이 없고,
苟失其養, 無物不消. (구실기양,무물부소)
길러주지 않을 것 같으면 없어져 버리지 않을 것이 없는 것이다.
孔子曰 (공자왈)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操則存, 舍則亡.
(조즉존,사즉망)
"꼭 잡고 있으면 있지만 놓아버리면 없어지며,
出入無時,
(출입무시)
나고 드는데는 때가 없으며,
莫知其鄕.
(막지기향)
그 있는 곳을 알 수 없는 것은
惟心之謂與? "
(유심지위여?)
마음을 두고 말한 것이다."
m.blog.naver.com/sohoja/220555647200
'중국고전 > 맹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맹자, 告子上 - 10.魚與熊掌 (0) | 2021.01.13 |
---|---|
맹자, 告子上 - 9.無或乎王之不智 (0) | 2021.01.13 |
맹자, 告子上 - 7.富歲子弟多賴 (0) | 2021.01.13 |
맹자, 告子上 - 6.乃若其情 (0) | 2021.01.13 |
맹자, 告子上 - 5.先酌鄕人(선작향인) (0) | 2021.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