近體詩
1. 근체시의 특성
1.句法
(1)五言 三言+二言 독법
(2)七言 四言+三言 독법
2.篇法
(1)絶句: 起承轉結 4句
1)五言絶句
2)七言絶句
(2)律詩: 首·頷·頸·尾聯 4聯 各聯 2句 총8句
頷聯(함련)과 頸聯(경련)은 반드시 對句
1)五言律詩
2)七言律詩
(3)排律: 12句가 기본
1)五言排律
2)七言排律
3.押韻法
(1)五言: 偶數句
(2)七言: 偶數句 + 제1구
근체시 개발 이후에도 古詩는 계속 창작되었다.
아무런 제한이 없는 시상과 정서의 자연스러운 표현
형식의 틀 속에 구겨넣는 절제의 미학에 진력이 나면 자유의 추구라는 예술의 기본 속성상 시인들은 자유분방한 정서의 폭발을 형식이 자유로운 古詩를 빌어 전개하였다.
⊙平聲 押韻法이 일반적임.
⊙仄聲 押韻法도 있으나 적은 편이고 七絶 이하는 극히 드물다.
⊙通韻:근체시에서는 古詩에서와 달리 通韻이 불가능하다. 통운은 35部 가운데 같은 部로 분류된 韻目이면 대신 쓸 수 있는 것을 말하는데 王力은 근체시에서도 首句에서는 隣韻할 수 있다고 함.
③押韻法 韻目:唐韻은 "禮部韻略"에 의거 206韻, 宋韻은 金人 劉淵의 壬子新刊 "예부운략"에 의거하면 107韻이고, 宋 王文郁의 平水新刊 "韻略"의 韻目은 106韻인데 平水韻이라 함. 교재, pp.131-132.
4. 韻目:35部 106韻 / pp.131-132.
⊙唐韻은 "禮部韻略"에 의거 206韻.
⊙宋韻은 金人 劉淵의 壬子新刊 "부운략"에 의거하면 107韻(上聲⑧部 逈운 다음에 拯운 인정).
⊙宋 王文郁의 平水新刊 "韻略"의 韻目은 106韻인데 이것을 平水韻이라 함.
⊙邵長衡의 "古今韻略"에서는 平聲, 上聲, 去聲을 각 10부, 入聲을 5부로 나눔.
35部106韻
平聲 10部
① 東冬江
② 支微齊佳灰 [지(가르다), 미, 제(가지런하다), 가, 회(재)]
③ 魚虞 [어,우(헤아리다)]
④ 眞文元寒刪先
⑤ 蕭肴豪 [소(맑은대쑥,삼가다), 효(안주), 호(호걸)]
⑥ 歌麻
⑦ 陽
⑧ 庚靑蒸 [경(天干), 청, 증(찌다)]
⑨ 尤 우(더욱)
⑩ 侵覃鹽咸 [침(침노하다), 담(미치다), 염(소금), 함(다)]
上聲 10部
① 董腫講 [동(거두다,굳다), 종(부스럼), 강(해석하다)]
② 紙尾薺蟹賄 [지, 미, 제(냉이), 해(게), 회(뇌물)]
③ 語麌 [어, 우(큰사슴)]
④ 眞吻阮旱潸銑 [진, 문(입술), 완(월금), 한(가물다), 산(눈물흐르다), 선(끌)]
⑤ 篠巧皓 [소[조](조릿대), 교, 호(희다)]
⑥ 哿馬 [가(좋다,훌륭하다), 마]
⑦ 養
⑧ 梗逈 [拯](107운) [경(대개), 형(멀다), 증(건지다)]
⑨ 有
⑩ 寢感琰㻩 [침(잠자다), 감, 염(옥갈다), 겸(옥돌)]
去聲 10部
① 送宋絳 [송, 송, 강(진홍색)]
② 寘未霽泰卦隊 [치(두다), 미, 제(개다), 태(크다),괘(걸다), 대(무리)]
③ 御遇 [어(어거하다,다스리다), 우(만나다)]
④ 震問願翰諫霰 [진(벼락), 문, 원, 한(날개), 간(간하다), 산(싸라기눈)]
⑤ 嘯効號 [소,(휘파람), 효, 호(부르짖다)]
⑥ 個禡 [개(낱), 마제(禡祭:군대를 주둔시킨 곳에서 軍神에게 지내는 제사)]
⑦ 漾 [양(출렁거리다)]
⑧ 敬徑 [경(공경하다), 경(길,지름길)]
⑨ 宥 [유(용서하다)]
⑩ 沁勘艶陷 [심(스며들다), 감(헤아리다), 염(곱다), 함(빠지다)]
入聲 5部
① 屋沃覺 [옥(집), 옥(기름지다), 각]
② 質物月曷黠屑 [질(바탕), 물(만물), 월, 갈(어찌), 힐(약다), 설(가루)]
③ 藥
④ 陌錫職 [맥(두렁,길), 석(주석), 직(벼슬)]
⑤ 集合葉洽 [집, 합, 엽, 흡(윤택하다,적시다)]
5.平仄法
①平仄法:齊梁간의 沈約(441~513)의 八病說. 교재, pp.170-172.
⊙절구:p.169, ․율시:p.179.
② 押韻法
平聲 押韻法이 일반적임.
․仄聲 押韻法도 있으나 적은 편이고 七絶 이하는 극히 드물다.
․通韻:근체시에서는 古詩에서와 달리 通韻이 불가능하다. 통운은 35部 가운데 같은 部로 분류된 韻目이면 대신 쓸 수 있는 것을 말하는데 王力은 근체시에서도 首句에서는 隣韻할 수 있다고 함.
③押韻法 韻目:唐韻은 "禮部韻略"에 의거 206韻, 宋韻은 金人 劉淵의 壬子新刊 "예부운략"에 의거하면 107韻이고, 宋 王文郁의 平水新刊 "韻略"의 韻目은 106韻인데 平水韻이라 함. 교재, pp.131-132.
④ 對句法:모든 律詩의 ?聯과 頸聯은 對句임.
6. 近體詩의 平仄法
(1) 五言絶句 . 2言+3言. 구성:起承轉結,제1자 不論.
⊙仄 起 式(正 格)
(仄)仄平平仄
平平(仄)仄平[韻]
(平)平平仄仄
(仄)仄仄平平[韻]
⊙平 起 式(偏 格)
(平)平平仄仄
(仄)仄仄平平[韻]
(仄)仄平平仄
平平(仄)仄平[韻]
(2) 七言絶句. 2言+5言. 제3자 不論(五言詩의 제3자는 七言詩의 제5자에 해당함)
⊙平 起 式(正格)
(平)平(仄)仄仄平平[韻]
(仄)仄平平(仄)仄平[韻]
(仄)仄(平)平平仄仄
(平)平(仄)仄仄平平[韻]
⊙仄 起 式(偏格)
(仄)仄平平(仄)仄平[韻]
(平)平(仄)仄仄平平[韻]
(平)平(仄)仄平平仄
(仄)仄平平(仄)仄平[韻]
(3) 五言律詩. 5-8句는 前4句의 반복.
二四 不同.
反法:各句의 二四字 平仄 다름.
仄 起 式(正 格)
(仄)仄平平仄
平平(仄)仄平[韻]:首聯
(平)平平仄仄
(仄)仄仄平平[韻]:함련(對句)
(仄)仄平平仄
平 平(仄) 仄 平[韻]:경련(對句)
(平)平平仄仄
(仄)仄仄平平[韻]:尾聯
平 起 式(偏 格)
(平)平平仄仄
(仄)仄仄平平[韻]:首聯
(仄)仄平平仄
平平(仄)仄平[韻]:頷聯(對句)
(平)平平仄仄
(仄)仄仄平平[韻]:頸聯(對句)
(仄)仄平平仄
平平(仄)仄平[韻]:尾聯
(4) 七言律詩. 6-8구는 전3구의 반복, 제5구는 제6구에 反함.
⊙二四 對(同聲).
⊙反法:二四六字 평측 다름.
⊙粘法:23구, 45구, 67구는 각각 246자의 평측이 같음.
⊙孤平과 孤仄, 第五字를 중심으로 한 平三連과 仄三聯을 금기시 했는데 특히 前者가 심함.
⊙盛唐期에는 규칙의 위반이 줄어들고 中唐 이후에는 매우 엄격 하게 지켜짐.
⊙平 起 式(正 格)
(平)平(仄)仄仄平平[韻]
(仄)仄平平(仄)仄平[韻]:首聯
(仄)仄(平)平平仄仄
(平)平(仄)仄仄平平[韻]:顑聯(對句)
(平)平(仄)仄平平仄
(仄)仄平平(仄)仄平[韻]:頸聯(對句)
(仄)仄(平)平平仄仄
(平)平(仄)仄仄平平[韻]:尾聯
⊙仄 起 式(偏 格)
(仄)仄平平(仄)仄平[韻]
(平)平(仄)仄仄平平[韻]:首聯
(平)平(仄)仄平平仄
(仄)仄平平(仄)仄平[韻]:頷聯(對句)
(仄)仄(平)平平仄仄
(平)平(仄)仄仄平平[韻]:頸聯(對句)
(平)平(仄)仄平平仄
(仄)仄平平(仄)仄平[韻]:尾聯
⊙排 律:十句 이상, 句數 제한 없음.
7.對句法:모든 律詩의 함聯과 頸聯은 對句임
[계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