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金剛經) 사구게(四句偈) ;

「一切有爲法  

 일체유위법, 일체 모든 유위법(有爲法)은

如夢幻泡影  

여몽환포영, 꿈과 같고, 환(幻)과 같고, 물거품과 같고, 그림자와 같다.

如露亦如電  

여로역여전, 풀끝의 이슬과 같고, 또 번쩍하는 번갯불과 같다.

應作如是觀」

응작여시관, 마땅히 이와 같이 관(觀)할지니라.

 

https://m.cafe.daum.net/seojinam/aApr/187?listURI=%2Fseojinam%2FaApr 

 

유위법(有爲法)과 무위법(無爲法)

유위법(有爲法)과 무위법(無爲法)여래소설법(如來所說法) 개불가취(皆不可取) 불가설(不可說) 비법 비비법(非法 非非法)소이자하(所以者何) 일체현성개이무위법(一切賢聖皆以無爲法) 이유차별(

m.cafe.daum.net

유위(有爲, 산스크리트어: saṃskrta, 팔리어: savkhata, 영어: created, formed, conditioned)에서 위(爲)는 위작(爲作) · 조작(造作: 만들다)의 뜻이다. 유위는 만들어진 것, 조작된 것, 다수의 요소가 함께 작용된 것, 여러 인연이 함께 모여서 지은 것, 인연으로 말미암아 조작되는 모든 현상을 가리킨다. 또는 이렇게 하여 드러난 생성과 소멸의 세계, 즉 우리가 경험하는 현상의 세계를 뜻한다. 즉, 여러 인연의 화합에 의해 만들어진 생성과 소멸의 현상세계의 모든 개별 존재(법·法)를 통칭한다.

  역사이래로 사람이 만든 법은 모두 유법인 셈이다. 성경, 불경, 코란, 헌법 등등 모두 유법이다.

무위(無爲, 산스크리트어: asaṃskrta, 팔리어: asavkhata, 영어: uncreated, unformed, unconditioned)는 조작(造作: 만들다)의 뜻이 없다. 조작되지 않은 세계, 즉 인연의 화합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 아닌 세계, 즉 생멸변화를 떠난 절대적이며 항상 존재하는 진리 또는 진리의 세계를 뜻한다. 즉 인연의 화합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 아닌 진리의 세계의 모든 개별 존재(법·法)를 통칭한다.  

분별하는 마음이 개입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것이 무위법이다.

본질적으로 고요하고 텅 빈 그자리에서 나오는 법이 무위법이요.

감정이나 욕심이 움직이기 이전의 자리에서 나오는 법이 무위법이다.

저절로 이루어지고 그냥 이루어져 있는 법이 무위법이다.

 

또한 부처님은 봄바람같이 처세한다. 

"봄이 되면 봄바람이 분다.“ 

이 봄바람을 맞으며 벚나무에는 벚꽃이,

살구나무에는 살구꽃이 피어나며,

진달래도 개나리도 꽃을 피운다. 

그런데 봄바람은 그냥 따듯한 바람만을 아낌없이 줄 뿐이다.

벚꽃은 예쁘니까 바람을 많이 주고, 개나리는 미우니까 바람을 적게 주는 것이 아니다. 그냥 차별 없이 바람을 줄 뿐이다. 그리고 나무들은 각각 지닌 법대로 바람의 도움을 받아 나름대로의 꽃을 피우는 것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sdwC-KQ_qDo 

아뇩다라삼먁삼보리’ㅡ 범어를 풀어보면

an[否定]  uttarā[위]  +samyak[적절한]  saṁ[동등한]  bodhi[깨달음]'이며 

*[운영자 생각]

한국어의 '안'도 부정의 의미다. 한국어의 뿌리는 범어다. 뜻글자인 한자는 '無'로 번역했다.  uttarā[위]도 마찬가지임.

뜻풀이로는 ‘더 이상의 위가 없는 적절하고도 동등한 깨달음’이다.

더 이상의 위가 없으니 무상(無上)이요, 적절하고도 동등하니 정・등(正・等)이며, 깨달음이니 각(覺)이기에 ‘무상정등각(無上正等覺)’이라 옮긴 것이다.

결국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중심이 되는 단어이자 의미는 ‘bodhi(菩提, 覺, 깨달음)’이며, 나머지는 그 깨달음이 어떤 유형인지를 설명해주는 내용들이다.

출처 : 법보신문(http://www.beopbo.com)

 

 [참고]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의 본뜻은

'길상존이시여 길상존이시여 지극한 길상존이시여 원만, 성취하게 해 주소서'

* '사바하' 는 기도문을 끝맺는 관용구, 기도문의 내용을 '성취케 해 주소서'의 의미임.  기독교의 '아멘'과 같은 관용구.

 

https://chamsonsajeon.tistory.com/398

 

금강경 사구게 (No.434)—금강경 사구게(四句偈)의 공덕 | 참선 공부가 가장 중요한 것이니 핑계를

*금강경(金剛經) 사구게(四句偈) ; 「一切有爲法 如夢幻泡影 如露亦如電 應作如是觀」 일체 모든 유위법(有爲法)은 꿈과 같고, 환(幻)과 같고, 물거품과 같고, 그림자와 같다. 풀끝에 이슬과 같고

chamsonsajeon.tistory.com

금강경(金剛經) 사구게(四句偈) ;

「一切有爲法  

 일체유위법, 일체 모든 유위법(有爲法)은

如夢幻泡影  

여몽환포영, 꿈과 같고, 환(幻)과 같고, 물거품과 같고, 그림자와 같다.

如露亦如電  

여로역여전, 풀끝에 이슬과 같고, 또 번쩍하는 번갯불과 같다.

應作如是觀」

응작여시관, 마땅히 이와 같이 관(觀)할지니라.

 

https://chamsonsajeon.tistory.com/398

 

금강경 사구게 (No.434)—금강경 사구게(四句偈)의 공덕 | 참선 공부가 가장 중요한 것이니 핑계를

*금강경(金剛經) 사구게(四句偈) ; 「一切有爲法 如夢幻泡影 如露亦如電 應作如是觀」 일체 모든 유위법(有爲法)은 꿈과 같고, 환(幻)과 같고, 물거품과 같고, 그림자와 같다. 풀끝에 이슬과 같고

chamsonsajeon.tistory.com

 

 

사구게(四句偈) / 금강경, 화엄경, 법화경, 열반경, 능엄경, 원각경  

 

1. 화엄경,법화경,열반경,금강경 4구게(四句偈)

2. 4구게(四句偈) 금강경, 화엄경, 법화경, 열반경, 능엄경, 원각경

 

[화엄경(華嚴經)] 4구게

 

若人欲了知 三世一切佛 

약인욕요지 삼세일체불

만약 사람들이

과거현재미래의 모든부처(진리)를 알고 싶거든

應觀法界性 一切唯心造

응관법계성 일체유심조

마땅히 법계의 성품을 비추어 관할지니

“일체모든 것은 마음으로 지어졌음‘이라!

 

[법화경(法華經)] 4구게

 

諸法從本來 

제법종본래

이 세상 모든 것은 본래부터 

常自寂滅相

상자적멸상

스스로 고요하고 청정하므로

 佛子行道已 

불자행도이

우리가 이와같이 닦고 닦으면 

來世得作佛

내세득작불

내세에는 부처를 이룰 것이다.

 

[열반경(涅槃經)] 4구게

 

諸行無常 

제행무상

모든 현상은 한시도 고정됨이 없이 변한다는 것이 

是生滅法 

시생멸법

곧 생하고 멸하는 생멸의 법이니

生滅滅已 

생멸멸이

이 생멸에 집착함이 없어지면 

寂滅爲樂

적멸위락

곧 고요한 열반의 경지에 이르는 것이다.

 

[금강경(金剛經)] 4구계 四句偈

 

범소유상 개시허망 

凡所有相

무릇 형상이 있는 것은

皆是虛妄

모두가 허망하다,

若見諸相非相 

약견제상비상

만약 모든 형상을 형상이 아닌 것으로 보면

卽見如來

즉견여래

곧 여래(진실)를 보리라.

 

 

不應住色生心  

불응주색생심 

응당 색(물질)에 머물러서 마음을 내지 말며

不應住聲香  味觸法生心

불응주성향 미촉법생심

응당 성향미촉법에 머물러서 마음을 내지 말 것이요

應無所住  以生其心

응무소주  이생기심

응당 머문 바 없이 그 마음을 낼지니라.

 

若以色見我 以音聲求我 

약이색견아 이음성구아 

만약 형상으로 나를 보거나

음성으로서 나를 구하면

是人行邪道 不能見如來

시인 행사도 불능견여래

이 사람은 삿된 도를 행함이라

능히 여래(진실)를 보지 못하리라.

 

一切有爲法 如夢幻泡影

일체유위법 여몽환포영 

일체 현상계의 모든 생멸법은

꿈과 같고 환상과 같고 물거품과 같고 그림자 같으며 

여로역여전 응작여시관

如露亦如電 應作如是觀

이슬과 같고  번개와도 같으니 

응당 이와 같이 관할지니라.

------------------------------

2. 사구게(四句偈) 금강경, 화엄경, 법화경, 열반경, 능엄경, 원각경

 4구게란 경전의 사상을 집약해서 짧은 4개의 구절로 이루어진 법문에 관한 한시(漢詩) 형식의 운문체 문장[게송]을 말한다. 대개 4~5자씩을 1구(句)로 해 4구, 곧 16~20자로 된 게송이다. 그러나 더러 이 규칙을 벗어나는 것도 있다.

 한권의 경전을 다 읽을 수 없는 경우를 생각해서 사구게에다 경전의 의미를 함축해서 담았기 때문에 사구게만 독송하고 사경하고 외우더라도 그 공덕은 불가사의하다고 한다. 이와 같이 사구게란 글자 그대로 경전에 등장하는 네 글귀로 된 하나의 의미를 가지는 경전의 말씀으로 대개 그 경전의 핵심 내용이다. 그런데 반드시 네 글귀로만 된 게 아닐 수도 있으므로 ‘네 글귀’란 말에 너무 얽매이지 말고 그냥 좋은 문장 정도로 생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사구게 내용의 핵심은 주로 부처님 가르침 중에서도 최고라고 할 수 있는 공성(空性)과 마음의 문제에 대한 것이다. 유명한 4구게는 아래와 같다.

 

1) 금강경(金剛經)의 4구게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해설]

이 사구게는 <금강경> ‘여리실견분(如理實見分)’에 나오는 말로서, 무릇 상(相)이 있는 바는 모두 허망하다는 말이다. 따라서 상이 상이 아님을 바로 보면 곧 여래를 볼 것이다 ― 깨달음을 얻을 것이란 말이다. 여기서 ‘범소유상(凡所有相)’은 상이 있는바 모든 것이란 뜻으로, 두두물물(頭頭物物) 일체 현상계에 벌어진 모든 것을 의미한다. 꼭 눈으로 보이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안 ? 이 ? 비 ? 설 ? 신 ? 의(眼耳鼻舌身意) 육근으로 감지할 수 있는 모든 대상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 일체 모든 현상계가 개시허망(皆是虛妄), 즉 일체 현상계가 모두 허망한 것이므로, 이렇게 상이 있다고 하는 바 모든 것이 상이 아닌 사실을 바로 본다면(若見諸相非相), 즉견여래(卽見如來)할 것이라고 했다. 즉, 이 참된 이치를 바로 본다면 여래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자리에서 여래를 본다는 말이다. ‘여래를 본다’는 말은 깨달음을 얻는다는 뜻이다.

 이 세상의 모든 존재는 바탕이 텅 비어 있다. 공(空)하다는 말이다. 그렇기 때문에 도리어 그 어떤 것도 나툴 수 있는 것이다. 텅 비어 있기 때문에 도리어 꽉 차서 인연 따라 모든 것이 나투게 된다.

 예를 들어보자, 나무와 나무를 비벼서 불을 얻었다고 하면 그 불이란 도대체 어디에서 온 것일까. 나무에서 나온 것도 아니고, 공기 중에서 나온 것도 아니며, 비비는 내 손에서 나온 것도 아니지만 분명이 이렇게 불이란 상이 나투었다.

 이처럼 세상 모든 만물, 범소유상은 다 인연 따라 잠시 나툰 것일 뿐이므로 인연이 다 하면 소멸되는, 그 어느 것도 고정된 실체로서 존재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눈 ·····  뜻'[ 안이비설신의(眼耳鼻舌身意)]으로 접할 수 있는 모든 상(相) 역시 고정된 상(실체)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생은 드러난 모양과 현상에 집착하고 있다. 그러나 상이 상이 아님을 여리실견(如理實見) 한다면, 정각(正覺)을 이룬다는 말이다.

[참고]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78342

 

육근(六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불교 인식론은 대상을 반영, 인식하는 색수상행식(色受想行識)이라는 오온(五蘊, pañca skandha)과 이것을 세분화한 십팔계(十八界, aṣṭādaśa dhātava)로 이루어져 있다.

십팔계는 여섯 가지 인식대상인 색성향미촉법(色聲香味觸法)인 육경(六境, ṣaḍ viṣayā)과 이것들을 지각하는 기관을 안이비설신의(眼耳鼻舌身意)인 육근(六根, ṣaḍ indriyāṇi), 그리고 이것들을 인식하는 것에 각각의 식을 붙인 육식(六識, ṣaḍ vijñāna) 등 총 18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 不應住色生心 不應住聲香味觸法生心 應無所住 以生其心

   (불응주색생심 불응주성향미촉법생심 응무소주 이생기심) 

[해설]

<금강경> ‘장엄정토분(莊嚴淨土分)’에 나오는 게송으로, 보살이 마음을 어떻게 가져야 할 것인가에 대해 설한 게송이다. 보살은 반드시 맑고 깨끗한 마음[淸淨心]을 내야하며, 오온(五蘊)에 집착하는 마음이 결코 있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마음작용이 결코 현상에 꺼들려 집착심을 내어서는 안 된다는 말이다.

즉, 응당 색(물질)에 머물러서 마음을 내지 말 것이며, 聲香味觸法 (성 향 미 촉 법)에 머물러서도 마음을 내지 말 것이니, 마땅히 머무는 바 없이 청정한 마음을 내라고 했다. 보통 우리가 마음을 일으킬 때는 안(眼) · 이(耳) · 비(鼻) · 설(舌) · 신(身) · 의(意)라는 육근(六根)이 색(色) · 성(聲) · 향(香) · 미(味) · 촉(觸) · 법(法)을 대상으로 해서 마음을 일으키게 된다.

 눈을 예로 들면, 눈으로 물질인 색을 보는데 있어서 여여하게 아무런 분별없이 바라보지 못하고 대상에 마음이 머물러서(집착해서) 마음을 일으킨다는 말이다. 좋아하는 연인을 볼 때와 미워하는 사람을 볼 때, 우리 마음은 좋다고 집착하고, 밉다고 싫어하며, 대상에 좋고 싫음의 분별을 덮어씌워 놓고 그 대상에 집착해서 좋고 싫은 마음을 일으킨다.

의(意)의 경우도 그렇다. 좋은 대상에 대해서 사랑을 하고, 미운 대상에 대해서는 다툼을 일으킨다. 그러나 대상은 늘 허망하기 때문에 잠시 인연 따라 좋고 싫게 나타날 뿐, 좋고 싫다는 딱 정해진 상은 없다. 죽고 못 살듯이 사랑한 여인과 결혼해 살다가 나중에 서로 미워하며 이혼하는 숱한 예를 우리는 보고 있다. 이처럼 좋고 싫다는 게 허망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수행자는 색 ? 성 ? 향 ? 미 ? 촉 ? 법의 대상에 머물러 마음을 내지 말고, 마땅히 머무는 바 없이 마음을 내야 한다는 것이다. 머무름 없는 행, 함이 없는 행이야 말로 모든 수행자들이 추구해야 할 길이다. 수행자의 길은 무집착(無執着), 방하착(放下着)의 실천이기 때문이다. 이 구절은 사구게 형식을 갖추지 않았으나 육조 혜능(慧能) 대사가 이 구절을 듣고 깨달음을 얻었다고 해서, <금강경>에서 가장 중요한 구절 중의 하나이기에 보통 사구게에 포함시킨다.

 

 若以色見我 以音聲求我 是人行邪道 不能見如來

   (약이색견아 이음성구아 시인행사도 불능견여래)

 

[해설]

이 게송은 <금강경> ‘법신비상분(法身非相分)’에 나오는 너무나 유명한 게송으로, 상(相)을 염두에 두고 부처를 보려고 하지 말라는 말이다. 그래서 부처님께서 수보리(須菩提) 존자에게 32상(相)으로 여래를 볼 수 있느냐고 질문 하니, 수보리 존자는 그렇다고 대답했다. 그러자 부처님께서는 그러면 전륜성왕(轉輪聖王)도 32상을 가졌으니 여래(如來)라 하겠구나 하고 바로 반박하셨다. 그러니까 수보리 존자는 32상으로는 여래를 볼 수 없다고 수정해 대답했다. 그러니까 겉모양을 가지고 판단하면 안 된다는 말이다. 

만약 형상으로 나를 보거나 음성으로서 나를 보기를 구하면, 이 사람은 삿된 도 ― 그릇된 도를 행함이니 결코 여래를 보지 못한다고 했다. 깨닫겠다고 부처를 찾아 나서는 이들이 많지만 부처라는 대상을 정해 놓고 찾아 나서려 한다면 그것은 이미 잘못 가고 있는 것이다. 육근으로 부처를 만나고자 해서는 안 된다. 눈으로 형상의 부처를 보려고 하거나, 귀로서 부처의 음성을 들으려 한다면 이 사람은 잘못 길을 든 것이기 때문에 부처를 찾지 못한다. 육근으로 접할 수 있는 대상은 모두가 허망한 것이기 때문이다. 

부처님의 제자 중에 왁깔리(Vakkali) 비구가 있었는데, 부처님 용모에 반해 가르침을 듣기보다 부처님 얼굴만 쳐다보고 있었으므로 부처님은 자신의 육신을 보지 말고 자신의 가르침에 주의를 집중하라고 말하셨다고 한다.

 

 一切有爲法 如夢幻泡影 如露亦如電 應作如是觀

   (일체유위법 여몽환포영 여로역여전 응작여시관) 

[해설]

이 게송은 <금강경> ‘응화비진분(應化非眞分)’에 나오는 것으로 공(空)을 어떻게 알아야 하는지에 대한 내용이다. 일체의 유위법이란 모든 삼라만상 모든 것을 말한다. 존재하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 일체의 유위법이 하나도 없다고 관하라고 말씀하시지 않고, 꿈 ? 환영 ? 거품 ? 그림자 ? 이슬 ? 번개와 같다고 관하라고 하셨다. 이게 바로 삼라만상의 공성(空性)을 제대로 관하는 것이다. 번개는 순식간에 사라져 버린다. 꿈, 거품 등도 마찬가지다. 그러니 있어도 있는 게 아니라는 말이다. 

우리의 몸도 마찬가지이다. 마음은 더 빠르게 사라진다. 그렇게 실체가 없이 나타났다가 순식간에 사라지는 것을 내 것이라고 여기고 영원하길 바라기 때문에 고통이 생긴다. 

부처님은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 응신(應身)과 화신(化身)으로 나투시지만 이는 여래의 참다운 법신(法身)이 아니다. 보신(報身)과 화신(化身)은 진실이 아닌 망연(妄緣)임을 깨달으라는 것이다. 오직 법신(法身)만이 청정해 크고 넓어 끝이 없다는 말이다. 상(相)을 떠나야 참다운 여래를 볼 수 있다는 말이다. <금강경>은 이와 같이 상을 떠나야 함을 누누이 강조하고 있다. 

그런데 유위법(有爲法)은 분별망상으로 이루어진 법이다. 즉, 번뇌 망상이 연기해서 일어나는 현상이어서 참으로 허망한 것이다. 일체 현상계의 모든 생멸법은 꿈과 같고, 환상과 같고, 물거품과 같고, 그림자 같으며, 이슬과 같고, 번개와도 같으니 응당 이와 같이 관해야 한다. 일체 현상계의 모든 생멸법이란 다 허망하며, 다만 잠시 인연 따라 생하고 멸할 뿐인 것이란 말이다. 여기서 ‘응작(應作)’이란 ‘마땅히 해야 할 일’이란 뜻이다.

 

헌데 초기경전인 빠알리어 <상윳다 니까야> 3권에 이런 말이 있다. 

“물질은 거품 덩어리와 같고, 느낌은 물거품과 같고, 인식은 아지랑이와 같고, 심리현상은 야자수나무와 같고, 알음알이는 요술과 같다.” 

<금강경> 4구게 문장과 초기불교 문장이 아주 비슷하다. 대승경전과 초기경전이 별개의 것이 아니며, 대승경전의 뿌리가 초기경전임을 이에서도 알 수 있다. 

이상의 <금강경> 4구게는 무상(無常)과 무아(無我)를 표현하고 있다. 이는 곧 대승의 공(空)을 말한다. 도자기로 된 용기에 모래가 담겨있다면 모래그릇이 되고, 그 용기를 비워 밥을 담으면 밥그릇이 되며, 물을 부으면 물그릇이 된다. 즉, 나를 비우는 것은 보다 바른 것을 채우기 위한 선행 작업이며, 궁극적으로는 거기에 팔정도를 채우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절대적인 공(空)일수록 그 속에 많은 것(유/有)을 담을 수 있으므로 이를 두고 진공묘유(眞空妙有)라 한다.

 

2) 화엄경(華嚴經) 4구게

 

 若人慾了知 三世一切佛 應觀法界性 一切唯心造

   (약인욕요지 삼세일체불 응관법계성 일체유심조)

 

[해설]

<화엄경> ‘야마천궁게찬품(夜摩天宮偈讚品)’에 나오는 게송으로 전체 게송 중 가장 잘 알려진 게송이다. 만약 사람들이 과거와 현재와 미래의 모든 부처님을 알고 싶으면 먼저 자기 마음의 체성(體性)을 요달(了達)해 봐라. 모든 것이 마음의 조화임을 알게 되리라고 했다. 

첫 구절은 만약 사람들이 과거ㆍ현재ㆍ미래의 모든 부처를 알고 싶다면, 다시 말해 과거에도 지금도 미래에도 두루 통용되는 참된 진리, 참된 근본을 알고자 한다면 하는 말이다. 그리고 참된 근본이란 곧 <화엄경>의 근본, 인간의 근본, 우주의 근본, 삼세일체불의 근본, 나의 근본이기도 하고, 온 우주 산하대지(山河大地) 두두만물(頭頭萬物)의 근본이고, 부처의 근본이기도 하며, 법계(法界)의 근본이 되기도 한다. 여기서 ‘삼세의 모든 부처’라는 말은 전적으로 대승불교사상에 의거한 표현이다. 그리고 이 같은 ‘삼세의 모든 부처님을 알고자 하면 법계의 성품 모두가 마음의 조작임을 관찰해서 알아야 한다’는 말이다. 

그래서 둘 째 구절은 (이렇게 참된 근본, 참 진리, 부처를 알고자 한다면) 마땅히 법계의 성품을 관해야 할 것이니, ‘일체 모든 것은 마음으로 지어졌다’고 했다. 법계의 성품이 바로 나의 성품이고, 법계의 근본이 나의 근본이기 때문에 법계의 성품을 관하라는 말이 바로 나의 근본을 살피라는 말이며, 나의 참 성품, 즉 불성(佛性)을 찾으라는 말이다. 그리고 바로 그 근본이 바로 ‘마음’이라 말하고 있다. 결국 이 4구게는 부처님을 알고자 한다면 법계의 성품을 관하라는 말이다. 그렇게 해놓고 마지막에 일체유심조(一切有心造)라, <화엄경>의 핵심사상도 다 마음이고, 모든 것들은 마음의 장난이라는 말이다. 

유심(唯心)사상은 <화엄경>의 사상일 뿐만 아니라 불교의 대표적인 사상이다. 그리고 이 마음의 문제는 근본불교(根本佛敎), 대승불교(大乘佛敎), 선불교(禪佛敎)에 이르기까지 모두 그 중심에 서 있다. 불교는 마음을 다스리는 종교이기 때문에 그렇다. 특히 대승불교와 선불교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그러므로 마음의 이치와 마음의 속성을 잘 이해해야 불교를 이해했다고 할 수 있으며, 이 마음을 깨달았다면 곧 불교를 깨달았다고 할 수 있다. 부처님이 도를 깨달았다는 것도 실은 이 마음을 깨달은 것이다.

 

心如工畵師 能畵諸世間 五蘊實從生 無法而不造

  (심여공화사 능화제세간 오온샐종생 무법이부조)

 [해설]

이 게송도 ‘야마천궁게찬품(夜摩天宮偈讚品)’에 나오는 것으로 마음은 그림을 그리는 화가와 같아서 능히 모든 세상일을 다 그려내고, 오온(五蘊-이 몸뚱이)도 다 마음으로부터 나온 것이고, 마음은 무엇도 만들지 않는 것이 없다는 말이다. <화엄경>은 아름다운 삶은 일심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설하면서, 우리들 마음의 공능을 화가와 비교해 일체가 모두 오직 마음임을 선명하게 이야기했다. <화엄경>에서 흔히 이야기되고 있는 마음과 부처와 중생, 이 셋이 차별이 없다는 의미와 함께 설한 내용이다. 화가가 흰 종이 위에다 그림을 그릴 경우 자신이 그리고자 하는 것을 마음대로 다 그릴 수 있다, 그와 같이 마음은 세상을 만들고 자기 자신의 온갖 능력도 만든다. 그와 같이 만들 줄 아는 능력을 ‘한 물건’이라고도 하고, 진여(眞如)라고도 하고, 자성(自性)이라고도 하고, 법계(法界)라고도 하지만 여기에서는 마음이라 했다.

 

 若修習正念 明了見正覺 無相無分別 是名法王子

   (약수습정념 명료견정각 무상무분별 시명법왕자)

 

[해설]

이 게송도 <화엄경> ‘야마천궁게찬품(夜摩天宮偈讚品)’에 나오는 것으로 만약 바른 생각으로 닦아 익혀 밝게 올바른 깨달음을 요달(了達)해 보면 모양도 없고, 분별도 없으니, 이것을 이름 해 법왕자(法王子=보살)라 한다는 말이다.

 

※법왕자(法王子)---미래에 부처님이 될 자리에 있는 보살. 세간의 국왕(國王)에게 왕자가 있듯이, 부처님을 법왕(法王)이라 함에 대해 법왕자(法王子)라 했다. 특히 문수(文殊) ? 미륵(彌勒) 등의 보살을 가리켜 법왕자라 하지만 때로는 불자(佛子)를 말하기도 했다. 특히 문수보살의 지혜와 덕이 뛰어나서 법왕자(法王子)라는 칭호로 불리며, 그래서 보살들 중 상수(上首:우두머리) 역할을 한다는 말도 있다.

 

 若人知心行 普造諸世間 是人則見佛 了佛眞實性

   (약인지심행 보조제세간 시인즉견불 요불진실성)

 

[해설] 이 게송 역시 <화엄경> ‘야마천궁게찬품(夜摩天宮偈讚品)’에 나오는 것으로 어떤 사람이 만약 마음이 모든 세간을 만들어내는 줄을 안다면 이 사람은 바로 부처님을 친견하게 될 것이고 부처님의 진실성을 알게 될 것이다 - 곧 깨달음을 얻을 것이란 말이다.

 

3) 법화경(法華經) 4구게

 

 諸法從本來 常自寂滅相 佛子行道已 來世得作佛

  (제법종본래 상자적멸상 불자행도이 내세득작불)

 

해설---<법화경>의 근본정신인 제법실상의 깊은 도리를 말하고 있다. <법화경>의 다른 이름이 곧 제법실상이다. 제법이라 함은 모든 것을 가리킨다. 있다는 모든 것을 말함이요, 실상이라 함은 모든 것의 참모습이며 중도를 일컫는 뜻이다. 이 세상 모든 것은 본래부터 스스로 고요하고 청정하므로 우리가 이와 같이 닦고 닦으면 내세에는 부처를 이룰 것이라는 말이다. 

제법(諸法) ― 이 세상 모든 것은 본래부터 스스로 고요해 청정한 것이라는 말은 그대로 <금강경>의 ‘범소유상 개시허망(凡所有相 皆是虛妄)’이나 <화엄경>의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와 같은 맥락의 말이다. ‘제법’이란 <금강경>에서의 상이 있는바 모든 것, 즉 ‘범소유상’을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래부터 스스로 고요하고 청정하다는 말은 세상 모든 것이 허망하지만 본래는 고요하고 청정하다는 말이다. 

우리 눈으로 보기에는 세상 모든 것이 얼마나 번잡하며 끊임없이 시비분별을 일으키는가. 그러나 그런 것은 모두 고정된 실체로 있는 것이 아니라 허망한 것, 공한 것이고, 본래는 청정하고 고요하다는 말이다. 각기 존재 본연의 고정된 실체가 있는 것이 아니라, 다만 마음으로 만들어진 것일 뿐[일체유심조]이므로 허망하고[개시허망], 본래는 청정하다는 말이다[상자적멸상]. 그러니 모든 수행자가 이와 같이 닦고 닦으면 부처를 이룰 것이라 했다. 이 말이 그대로 <금강경>의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나 <화엄경>의 ‘삼세일체불 응관법계성(三世一切佛 應觀法界性)’과 같은 맥락의 말이다.

 

4) 열반경(涅槃經)의 4구게

 

 諸行無常 是生滅法 生滅滅已 寂滅爲樂

   (제행무상 시생멸법 생멸멸이 적멸위락) 

해설---제행무상(諸行無常)이라고 하는 것은 생멸의 법칙이다. 모든 존재는 그 법칙에서 예외가 있을 수가 없다. 모든 현상은 한시도 고정됨이 없이 변한다는 것이 곧 생하고 멸하는 생멸의 법이고, 생멸은 영원한 것이다. 그러나 이 생멸에의 집착을 놓으면 곧 고요한 열반의 경지에 이르는 것이다. 보고 듣는 모든 현상은 변한다. 곧 생하고 멸하는 법칙이다. 이 생멸이 생멸 아님을 깨달으면 곧 고요한 열반의 경지가 된다는 말이다. 

무릇 화두를 들고 있어도 별별 망상이 일어나는 것이 중생의 마음이다. 그러면서 그 일어나는 근본 자리는 텅 비어 있다. 이 숱한 망상들이 어디에서 일어나는가. 찾아 들어가면 일어난 그 자리가 없다. 그 자리가 텅 비어 있다. 그것이 마음의 본체(本體) 자리이다. 생멸을 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지마는, 그 생멸 그 너머. 적멸(寂滅)한 고요한 자리. 부단히 생멸하면서도 고요한 자리가 틀림없이 있는데, 그것이야말로 즐거움의 자리다. 부처님은 입멸에 드시기 직전에 이 게송을 말씀하셨다고 한다. 

생멸멸이(生滅滅已)의 생멸(生滅)은 정신현상으로서의 생멸심, 즉 번뇌의 생멸로 봐야 한다. 그러므로 ‘생멸멸이’는 번뇌의 생멸을 가라앉히라는 의미이고, 그것은 탐ㆍ진ㆍ치(貪瞋痴)의 소멸이 바로 최상의 행복이라는 부처님의 열반에 대한 정의와 일치한다.

 

5) 능엄경(楞嚴經) 4구게

 

 實際理地 不受一塵 佛事門中 不捨一法

  (실제이지 불수일진 불사문중 불사일법)

해설 - 실질적인 진리자리에는 먼지 하나도 받아들이지 않지만, 중생을 교화하는 부분에서는 한 법(온갖 잡동사니들)도 버려서는 안 된다는 말이다. 

실제적인 진리란, 이면(裏面)에 있는 본질의 세계이다. 본질의 세계란, 완벽해서 빈틈이 없다. 그런 본체란 공적한 자리이다. 따라서 진실만 취하려 하다가 보면, 실은 아무것도 붙들 것이 없고 받아들일 만한 것이 없다. 그래서 먼지 하나 필요한 것이 없다. 하지만 사람의 삶이란 본질과 현상의 세계가 함께 존재한다. 불사(佛事)란 우리들이 사는 일상사(日常事)를 말한다. 사사불공(事事佛供)이라고 했듯이, 우리들이 사는 일상사 하나하나가 다 불공 아닌 게 없다는 말이다. 

개혁과 쇄신은 실제이지의 바탕에서 사람의 생각을 바꾸고 제도를 고쳐 국정을 바로 잡자는 것이다. 그래야 우리들이 사는 삶, 일상사 그대로가 다 바로 설 수 있겠기 때문이다. 그러나 참된 지도자란 이 땅의 어느 생명도 버리지 않고 함께 할 수 있어야 한다. 실제이지(實際理地)란 진리의 본체를 말한다. 그러므로 어떠한 티끌만한 허물도 용납이 되지 않는다. 하지만 불사(佛事)란 중생을 제도하는 일이다. 중생이란 온갖 종류의 사람들이 다 모인 세계이다. 그러나 잡동사니 그들도 모두 우리 백성이니 다 함께 해야 하는 이웃(생명)이다. 그래서 참된 지도자, 좋은 리더는 그 구성원(국민) 누구도 버릴 수가 없다. 어느 누구도 버릴 수 없다는 여기에서 통합정치가 시작되는 것이다. 그런 위대한 지도자가 나오기를 기원해야 하겠다.

 

6) 원각경(圓覺經) 4구게

 

 知幻卽離 不作方便 離幻卽覺 亦無漸次

  (지환즉리 부작방편 이환즉각 역무점차) 

해설 - 모든 것이 환(幻, 꼭두각시)인 줄 깨닫기만 하면, 곧 (헛된 생각을)여의면 더 방편을 지을 것이 없고, 환(幻)을 여의면 곧 깨친 것이라 더 닦아갈 것도 없다는 말이다. 

여기서 ‘환(幻)’은 일체의 모든 존재현상은 인연으로 얽혀 있을 뿐 불변의 실체성이 없고, 오직 환상과 같이 거짓 모습을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다는 것을 비유로 보인 말이다. 현상으로 나타나 있는 모든 것은 환유(幻有)이고, 나타나 있는 사상(事象)은 환술사(幻術師)가 요술을 부려 만들어 놓았듯이 환화(幻化)라는 것이다. 따라서 환을 여의면 바로 깨치게 된다는 말이다. <금강경>의 범소유상 개시허망(凡所有相 皆是虛妄)과 같은 맥락의 말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IKO8eGKXKK8&t=428s 

 

 

 

 

http://w3devlabs.net/hb/archives/14211

 

아함경 해설 – 建成의불교공부

1. 아함경이란 무엇인가 하나의 경전이 아니라 석가모니가 실제로 설했다고 생각되는 말씀들로 이루어진 수많은 경들의 총칭으로 경장 을 가리키며, 4아함으로 분류된다. 4아함은 경전의 길이를

w3devlabs.net

1. 원시경전의 내용과 설법상

아함경은 부처님이 45년 동안 설법한 가르침을 담고 있다. 그러나 부처님의 가르침을 받은 제자들이 부처님의 설법하신 뜻대로 이해하였다고 할 수는 없다. 불충분하게 또는 저속한 의미로 받아들이든지 하여 오늘날까지 전해 오는 것이 있을 지도 모른다. 또 부처님의 직제자들은 부처님 말씀을 바르게 이해하고 전했다 하더라도 그 후 수 백년 동안 구송전승(口誦傳承)되거나 다른 언어로 바뀌는 동안에 의식적 무의식적 변괴가 있을 런지 모른다. 이런 점에서 오늘의 아함경 설법 그대로가 불설이라고 하기 어려운 점도 있을 것이다. 그래도 아함경에는 부처님의 설법의 모습이 다분히 남아 있다. 또한 대승불교의 원천이 된 것도 포함하고 있다. 아함경을 소승설이라고 본 것은 잘못이다. 원래 부처님 설법 당시의 민중에게 이해되도록 전문용어를 쓰지 않고 평이하게 말씀한 것이고 높은 가르침도 민중이 알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예를 들면 물질의 요소로서 4원소를 말씀한 것도 그것이다. 또한 안근(眼根) 등 오근(五根)에 대하여도 일반이 이해될 수 있는 안이비설신(眼耳鼻舌身)의 감각기관을 말한 것이다. 또한 오온(五蘊)이라는 말의 개념은 우리의 심신의 구성요소를 색 수 상 행 식 (色受想行識)으로 본 것이다. 색은 육체(물질)이고, 수는 감수 작용, 상은 개념표상작용, 행은 수상식이 아닌 마음작용, 식은 인식 판단작용이다. 이렇듯 불교 독자의 오온도 상식적으로 분류된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이었다.

삼계(三界)나 악취(惡趣)를 객관적 존재로 설명하게 된 것은 삼세 인과업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게 된 부파불교 이후의 것으로서 아함경에는 보이지 않는다. 12연기(十二緣起) 등 연기설에서도 후세에 말하는 삼세양중(三世兩重)의 인과로서의 12연기설은 원시경전에서는 볼 수 없다. 다만 그 싹<萌芽> 같은 것을 비유로 말했을 뿐이다.

또한 열반이라든가 무위(無爲)라는 말도 부파불교에서 말하는 불생 불멸의 객관적 존재가 아니고 불교의 이상에 도달한 주관적인 마음의 상태를 의미했다.

2. 원시불교의 무아(無我)

오온 연기라는 말이 불교 독자의 용어이듯, 무아도 불교 독자의 용어다. 아함경에서 무아라는 말은 어떤 뜻으로 쓰였을까? 외교(外敎)에서는 대개 자아(自我)의 주체로서 상주불멸의 실체인 아(我: 아트만)를 말하지만 불교에서는 무아를 근본 입장으로 한다. 무아는 「아가 없다」「아가 아니다」라는 의미가 되지만 엄밀히 말하면 아가 없다고 할 수 없다. 아라는 실체가 존재할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다만 우리의 인식능력으로는 본체로서의 능력을 인식하거나 존재를 증명하지 못한다. 그래서 부처님은 인식하고 증명할 수 없는 실체를 문제 삼지 않았다.

부처님은 오온의 무아에 대하여 5비구에 대한 최초 설법으로 전법륜경(轉法輪經)을 설하신 다음에 무아상경(無我相經)을 설하셨다. 그런데 이 무아상경에 있는 아(我)나 무아의 의미가 부파에 따라 다르게 전해졌다. 제 1의적인 것과 세속적인 것이 있는데 그 어느 것이 부처님의 진의인가는 오늘날 입증할 수 없다. 제1의적인 무아설은 용수(龍樹)의 중론(中論)에서 말한 대승의 무아<空>설과 일치한 것이고 통속설은 당시의 민중의 속설인 듯 하다.

먼저 제1의적 무아설은 한역 잡아함에만 보인다. 오온 무아의 경문을 다음에 소개한다.

『색(色)은 유아(有我)가 아니다. 만약 색이 유아라면 색에 병고가 나지 않는다. 또한 색에서 무엇을 어떻게 되게 하고 또는 되지 않게 하고자 하여도 될 수 없을 것이다. 색은 무아이므로 색에 병이 있고 고가 생긴다. 또 색에 있어 어떻게 되게 하고 또는 어떻게 되지 않도록 하고자 할 수 있다. 수상행식도 그와 같다.』

여기서는 (육체)이 상주불변의 본체로서의 라면 색에 병고가 날 리 없고 색을 이리저리 하고 싶은 대로 움직이지는 못할 것이다색이 무아이고 고정성이 없으므로 색에 병고도 생기고 이리저리 뜻대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이다 라고 하고 있다.

그런데 통속의 무아설에서는 무아상경<팔리문>에 다음과 같이 설한다.

『색은 무아다. 만약 색이 아라면 색에 병고가 있을 리 없다. 또한 색을 이렇게 되라 이렇게 되지 말라고 자유로이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색이 무아이므로 색에 병고가 생기기도 하고 색을 이리 되라 저리 되지 말라고 자유롭게 할 수 없는 것이다. 수상행식도 또한 이와 같다.』

여기에서 이를 세속적 최고신 · 만능의 자재자의 뜻으로 잡아서 만약 색이 자재자라면 색에 병고가 있을 리 없고 색을 마음대로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색이 무아이고 자재자가 아니므로 색에 병이 있고 색을 마음대로 할 수 없다고 하고 있다. 이 통속적 입장에서는 아나 무아의 의미가 바로 이해되고 있지 않다.

현존하는 아함경이나 불전 등에는 대개 통속적인 무아설을 채용하고 있고 다만 한역 잡아함의 무아상경만이 본래 무아설을 취하고 있다. 여러 부파가 전하고 있는 무아상경이 대개 통속적 무아설을 채용하고 있는데 아마 처음부터 잘못 이해되고 있든지 불멸 후에 통속적 설명이 되었든지 그 어느 하나일 것이다. 이에 반하여 대승불교의 반야경 공(空)설 <무아설> 이라든가 중론에 공설<무아>에서는 제1의적 무아설을 바르게 설하고 있다. 이것은 부처님의 무아설이 듣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받아들여진 것이라 할 수 있으리라. 같은 부처님 설법도 듣는 자의 지혜 근기 우열에 따라 깊게도 옅게도 이해된다. 예를 들면 난타가교계경(難陀伽敎誡經)을 보면 난타가 비구가 오백인의 비구니를 위하여 오온 12처(十二處)의 무아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비구니들이 그 뜻을 이해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부처님은 난타가에게 명하여 그 다음날도 같은 설법을 반복시켰다. 그 결과 무아의 도리를 바르게 이해하고 최후의 비구니까지도 초보의 깨달음을 얻어 성자가 되었다.

3. 아함경의 제1의설과 세속설

부처님의 설법은 상대의 근기에 따라 적당한 가르침을 설하고 최후에는 모든 사람을 최고 이상까지 인도하는 것을 목표하고 있다. 그리고 지도 방법으로는 일승도(一乘道)로서 설한 것과 차제설법(次第說法)으로 설한 것이 있다. 일승도라 하는 것은 상대가 범부시절부터 성자까지 다시 최고의 깨달음에 이르도록 똑같은 수행방법을 실천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면 계정혜 삼학은 범부 때부터 수행시킨다. 처음에는 삼학 수행이 철저하지 못하지만 차차 수행이 깊어지면 삼학도 무루(無漏) 성자가 되고 최고의 깨달음에 따라 완전한 삼학이 된다. 또한 사제관(四諦觀)이나 오온관도 범부시대부터 최고 성위까지 수행한다. 처음에는 피상적인 것이지만 마침내는 최1의를 취득한다. 이처럼 일승도 수행에서는 같은 수행법을 닦지만 수행에 따라 그 내용이 심화해 가는 것이다.

또한 부처님은 차제설법의 교화수단으로 상대방의 근기나 이해력을 따라 다른 설법을 하셨다. 오늘날의 유치원에서 대학원까지 교육이 단계적으로 교과목이 다른 거와 같다.

여기에 특례를 하나 들어보자. 부처님이 난타를 교화하신 이야기다. 부처님이 성도 후 처음 고향을 방문하였을 때 첫날은 정반왕을 만났고 둘째 날은 난타가 석가국 세자가 되어 그 나라 첫째 미인인 손다리와 결혼하게 되어 있었다. 부처님은 그날 탁발차 난타의 집 앞에 섰다. 난타는 부처님의 발우를 받아 음식을 담아서 나와 보니 부처님이 안 계셨다. 난타는 부처님의 뒤를 쫓아 마침내 교외에 이르고 거기서 억지로 삭발 출가하게 된다. 억지로 출가한 난타는 그리운 손다리를 잊지 못해 수행은커녕 답답한 나날을 보낸다. 부처님은 신통력으로 난타와 외출하여 도중에 산불을 만나 불에 데인 암 원숭이를 보게 된다. 부처님은 다시 난타를 데리고 도리천궁으로 가서 5백인의 천녀들이 노는 것을 본다. 부처님은 난타에게 물었다. “이 천녀들과 손다리와는 어느 쪽이 미인인가?” “그것은 비교도 안 됩니다. 그것은 손다리와 좀 전에 본 원숭이와 비교하는 것 같습니다.”

이때부터 난타는 천녀에 마음이 끌려 손다리를 잊게 된다. 부처님은 출가수행에 힘쓰면 천국에 난다고 말하니 난타는 천녀를 얻을 욕심으로 열심히 수행한다. 그때의 비구들은 난타가 천녀를 얻기 위해 수행하는 것은 품팔이 일꾼이 품값 때문에 일하는 거와 같다고 하여 난타의 불순한 수행을 비난하고 멸시했다. 이를 들은 난타는 부끄러워하고 마침내 순수한 무소득의 불도 수행에 힘써 마침내 아라한이 되었다.

여기 난타에 대한 부처님의 교화방법은 먼저 재가의 욕락의 생활을 떠나게 하고 출가 후에는 욕심을 끊게 하고서 불탄 암 원숭이나 천녀를 보이고 또한 천상에 날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는 잘못을 알게 하여 최후에 진실한 불도수행으로 인도하여 깨달음을 얻게 한 것은 차제 설법적 교화법이었다.

부처님은 일반적으로 재가신자에게는 낮은 가르침을 설하고 출가자에게는 높은 가르침을 설했다. 그러나 그렇지 않은 때도 있었다. 파사익 왕에게 하신 설법은 대개 세속적 저급의 법이다. 이에 반하여 빈바사라왕에게는 일회의 설법으로 성위에 들게 하였다.

또한 부처님은 상대방의 성격에 따라 지도하였다. 이론이 뛰어난 자에게는 사제나 연기의 도리를 말했고 이론보다도 정서가 풍부한 자에게는 신앙 실천을 지도하였다. 선정 수행의 경우에도 그랬다. 탐욕이 많은 자는 부정관(不淨觀)을, 진에가 많은 자는 자비관(慈悲觀)을, 우치자에게는 연기관(緣起觀)을, 망상이 많은 자는 수식관(數息觀)을, 아집이 센 자는 신체의 부분적 요소를 관찰시켜 아의 실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실감하여 깨닫게 하는 계차별관(界差別觀)을 닦게 하였다.

목판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71845

 

직지심체요절권하(直指心體要節下卷)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civil58.tistory.com/3285

 

佛祖直指心體要節 註解

佛祖直指心體要節과거칠불(過去七佛) 1. 비바시불(毘婆尸佛)은 정관(淨觀)이니 이것은 정신수양을 말한 것이다. 이것은 고요히 관하는 것이다. 이 세상에 무엇이 좋으니 무엇이 좋으니 해도 정

civil58.tistory.com

 

 

 

https://civil58.tistory.com/3285?category=787260

 

佛祖直指心體要節 註解

佛祖直指心體要節 과거칠불(過去七佛) 1. 비바시불(毘婆尸佛)은 정관(淨觀)이니 이것은 정신수양을 말한 것이다. 이것은 고요히 관하는 것이다. 이 세상에 무엇이 좋으니 무엇이 좋으니 해도 정

civil58.tistory.com

 

 

https://civil58.tistory.com/3291

 

佛祖直指心體要節 / 過去七佛 偈頌

佛祖直指心體要節過去七佛■ 제1존 비바시불- 毘婆尸佛身從無相中受生 신종무상중수생하니 猶如幻出諸形像 유여환출제형상이로다 幻人心識本來無환인심식본래무하니 罪福皆空無所住죄복개

civil58.tistory.com

 

https://civil58.tistory.com/3289

 

佛祖直指心體要節 / 祖師 偈頌 2

佛祖直指心體要節 三十三 祖師 偈頌■ 제8조 불타난제존자- 佛陀難提尊者虛空無內外 허공무내외하니 心法亦如此심법역여차라 若了虛空故약료허공고하면 是達眞如理시달진여리이니라허공은

civil58.tistory.com

 

https://civil58.tistory.com/3288

 

佛祖直指心體要節 / 祖師 偈頌 3

佛祖直指心體要節 三十三 祖師 偈頌■ 제15조 가나제바존자- 迦那提婆尊者 本對傳法人 본대전법인하야 爲說解脫理 위설해탈리나 於法實無證 어법실무증하니 無終亦無始 무종역무시로다본래

civil58.tistory.com

 

https://civil58.tistory.com/3287

 

佛祖直指心體要節 / 祖師 偈頌 4

佛祖直指心體要節 三十三 祖師 偈頌■ 제22조 마나라존자- 摩拏羅尊者 心隨萬境轉 심수만경전하니 轉處實能幽 전처실능유니라 隨流認得性 수류인득성하니 無喜亦無憂 무희역무우로다마음이

civil58.tistory.com

 

https://civil58.tistory.com/3286

 

佛祖直指心體要節 / 祖師 偈頌 5

佛祖直指心體要節 三十三 祖師 偈頌禪宗의 初祖 ■ 제28조 보리달마존자- 菩提達磨尊者 吾本來玆土 오본래자토는 傳法救迷情 전법구미정이라 一花開五葉 일화개오엽하니 結果自然成 결과자연

civil58.tistory.com

 

 

 

한문 vs 국역

https://kydong77.tistory.com/21883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 금속활자본과 목판본/ 한문 vs 국역

목판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71845 직지심체요절권하(直指心體要節下卷)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civil58.tistory.com/3285 佛祖直指心體要節 註解 佛祖直指心體要節과거칠

kydong77.tistory.com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71845

 

직지심체요절권하(直指心體要節下卷)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개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본, 정식 서명은 <백우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이나 이 책을 줄여서, ‘직지’ 또는 ‘직지심체요절’이라고도 불린다. 2001년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내용

이 책의 중심주제인 ‘직지심체(直指心體)’는 ‘직지인심 견성성불(直指人心 見性成佛)’이라는 오도(悟道)의 명구에서 따온 것이다. 그 뜻은 사람이 마음을 바르게 깨달을 때 그 심성이 바로 부처의 실체라는 것이다. 사람의 본성은 그 자체가 본시 청정하므로 선지식(善知識)의 도움에 의하여 자기 마음 속에서 그 심성이 자정(自淨)함을 깨닫고 늘 자수(自修)·자행(自行)하면 곧 불성(佛性)을 체득하여 자기 자신이 바로 법신(法身)이 되며, 자기 마음이 바로 불심이 된다는 요지이다. 즉, 사람이 눈을 외계로 돌리지 않고 자기의 마음을 올바로 가지면서 참선하여 도를 깨친다면 마음 밖에 부처가 있는 것이 아니라 자기의 마음이 바로 부처가 됨을 뜻한다. 스승이 주는 공안(公案:참선의 과제로 주어지는 화두)에 의하여 선을 공부하는 간화선(看話禪)보다는, 일체의 사심과 망념에서 떠난 진심(眞心)을 중시하는 무심무념(無心無念)을 궁극의 경지로 삼음이 경한의 특징적인 선풍(禪風)이다. 이와 같은 특색있는 선풍을 펼치기 위하여 경한은 이 책을 편찬한 것으로, 그가 주창한 무심선(無心禪)을 연구하는 데에 긴요한 자료가 된다.

이 책은 1377년(우왕 3) 7월 청주목의 교외에 있었던 흥덕사(興德寺)에서 금속활자인 주자로 찍어낸 것이 그 초인본(初印本)이다. 그 간행에 조연(助緣)한 문인(門人)은 석찬(釋璨)과 달잠(達湛)이고, 시주한 사람은 비구니 묘덕(妙德)이다. 이 때 간행된 상하 2권 가운데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는 것은 하권 1책(첫 장은 결락)뿐이며, 프랑스 국립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프랑스인 쿠랑(Courant,M.)이 엮은 ≪한국서지 Bibliographie Cor0x8045enne≫의 부록에 일찍이 소개되었으나 책의 행방이 묘연하였는데, 1972년 ‘세계도서의 해’를 기념하기 위한 도서의 전시회에서 처음으로 공개되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특징

1372년(공민왕 21) 경한(景閑:1299~1375)이 부처와 조사(祖師)의 게송(偈頌) ·법어(法語) 등에서 선(禪)의 요체를 깨닫는 데 필요한 내용을 뽑아 엮은 책으로, 상 ·하 2권이며 수고본(手稿本)에 직접 초록한, 정식 서명은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白雲和尙褻錄佛祖直指心體要節)》이나, 주로 《불조직지심체요절》, 《직지심경(直指心經)》 등으로 관용되고 있다. 내용은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 《오등회원(五燈會元)》 등의 사전(史傳) 관계 문헌을 섭렵하여 선(禪)의 요체를 깨닫는 데 긴요한 것을 초록하여 편찬하였다. 권상(卷上)에서는 과거칠불(過去七佛)과, 석가모니불로부터 불법을 계승한 천축국의 제1조(祖) 마하가섭(摩訶迦葉) 이하 보리달마(菩提達磨)까지의 28존자, 그리고 중국의 5조사 및 그 법통을 이은 후세의 국사 중 안국대사(安國大師)에 이르기까지의 것이 수록되었다. 권하(卷下)에는 아호대의화상(鵝湖大義和尙)부터 대법안선사(大法眼禪師)까지 다양하게 수록되어 있는데, 그 중에는 대령선사(大嶺禪師)의 것도 초록되어 있다. 중심 주제인 직지심체는 <직지인심 견성성불(直指人心見性成佛)>이라는 오도(悟道)의 명구를 줄여 나타낸 것이다.

 

https://kabc.dongguk.edu/content/view?itemId=ABC_BJ&cate=bookName&depth=3&upPath=Z&dataId=ABC_BJ_H0100_T_002 

 

단락/경판 - 불교학술원 아카이브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 / 白雲和尙抄錄 佛祖直指心體要節卷下 ABC_BJ_H0100_T_002 URL복사 통합뷰어 006_0620_b_01L 006_0620_b_02L白雲和尙抄錄 006_0620_b_03L佛祖直指

kabc.dongguk.edu

 

白雲和尙抄錄
佛祖直指心體要節卷下

 

1)白雲 景閑抄錄

 
鵝湖大義和尙坐禪銘
叅禪學道幾般㨾 要在當人能擇上
莫只忘形與死心 此个難醫病最深
直須坐究探淵源 此道古今天下傳
正坐端然如泰山 巍巍不要守空閑
直須提起吹毛利 要剖西來第一義
瞠却眼兮剔起眉 反復看渠渠是誰
還如捉賊須見贓 不怕賊埋深處藏
有智捉獲刹那頃 無智經年不見影
深嗟兀坐常如死 千年萬歲只如此
若將此等當禪宗 拈花徵笑喪家風
黑山下坐死水浸 大地漫漫如何禁
若是鐵眼銅睛漢 着手心頭能自判
直須着到悟爲期 哮吼一聲師子兒
君不見 磨甎作鏡喩有由
車不行兮在打牛 又不見
嵓前湛水萬丈淸 沈沈寂寂杳無聲
一朝魚龍來攪動 波翻浪湧眞堪重
통합뷰어

比如靜坐不用功 何年及第悟心空
急下手兮高着眼 管取今生敎了辦
若還默默恣如愚 知君未解做功夫
抖擻精神着意看 無形無影悟不難
卷下第一張
此是十分眞用意 勇猛丈夫却須記
切莫聽2)道不須叅 古聖孜孜爲指南
雖然舊閣閑田地 一度嬴來得也未
要識坐禪不動尊 風行草偃悉皆論
而今四海淸如鏡 頭頭物物皆吾聽
長短方圓只自知 從來絲3)髮不曾移
若問坐禪成底事 日出東方夜落西

大珠禪師因僧問 一切衆生皆有佛性
如何 師云作佛用是佛性 作賊用是賊
性 作衆生用是衆生性 性無形相 隨
用立名 故經云 一切賢聖 皆以無爲
法 而有差別 又僧問無法可說 是名
說法 禪師如何體會 師曰爲般若體
畢竟淸淨 無有一物可得 是名無法可
說 是名說法

佛鑑和尙示衆 擧僧問趙州 如何是不
遷義 州以手作流水勢 其僧有省 又
撰者名補入{編}。「道」作「噵」{甲}。「髮」作
「髲」{甲}。
통합뷰어

僧問法眼 不取於相 如如不動 如何
不取於相 見不動去 法眼云日出東方
夜落西 其僧亦有省 若也於此二和尙
言句見得 方知道旋嵐偃岳 本來常
靜 江河競注 元自不流 此是如如不
動之義

羅山和尙 曾問石霜 起滅不停時如何
霜云直須寒灰枯木去 一念萬年去 全
淸絕點去 山不契 却往1)嵒頭處 如前
問 頭喝云 是誰起滅 山於言下大悟
卷下第二張

報恩則和尙 因法眼問曾見什麽人來
曰見靑峯和尙來 眼曰有2)什麽言句
曰某甲曾問如何是學人自己 峯曰丙
丁童子來求火 眼曰上座作麽生會 曰
丙丁屬火 將火求火 將自己求自己
師云情知 你不會佛法 若如此不到今
日則躁悶便起 至中路 却云他是五百
人善知識 道我不是 必有長處 却回
懺謝 便問如何是學人自己 師云丙丁
童子來求火 則於言下豁然大悟

昔楊歧會禪師 見慈明和尙 每到方丈
請益 明云你自會去 我不如汝 楊歧
切心切心一日伺候于狹路 兼値大3)雨
통합뷰어

楊歧扭住慈明云 今日不與我說 打和
尙去 慈明勵聲曰 你自會去 你自會
去 我不如汝 楊歧4)於言下 豁然大悟
龍潭和尙問天皇 某甲自到來 不蒙和
尙指示心要 皇曰自汝到來 吾未甞不
指示汝心要 曰何處是指示我心要 曰
汝擎茶來 我爲汝接 汝行食來 吾爲
汝受 汝和南時 吾便低首 何處不指
示汝心要 龍潭佇思之間 皇曰見則直
下便見 擬思即差 潭當下大悟 乃復
問如何保任 皇曰任性逍遙 隨緣放曠
但盡凡心 別無聖解如洛浦云 若欲保任 但忘諸見 諸見若盡 昏霧
不生 智照洞明 更無餘事

閑禪師示衆云 不生想念 本來無體
大用現前 不說時節 後臨遷化時 問
侍者云 坐去者誰 侍者曰僧5)加 又云
立去者誰卷下第三張 侍者曰僧會 師
乃周行七步 垂手而終

潙山一日侍立百丈 丈問誰 師云靈祐
丈云汝撥爐中有火不 師撥云無火 丈
躬起深撥得小火擧 以示之云 此不是
火 師大悟

南臺守安和尙 因僧問寂寂無依時如
何 師云寂寂底 聻 乃有頌曰
통합뷰어

南臺靜坐一爐香 終日凝然萬慮忘
不是息心除妄想 都緣無事可思量

玄沙因鏡淸問 學人乍入叢林 乞師指
个入路 師云還聞偃溪水聲麽 淸云聞
師云從這6)裏入 淸於言下得7)个入處

玄沙上堂云 我與釋迦老子同叅 且道
叅見阿誰 時有僧出禮拜 擬伸問 師
云錯錯 便下座

玄沙上堂 聞鷰子聲 乃云深談實相
善說法要 便下座

玄沙因雪峯云 備頭陀何不出嶺遊方
師才出嶺 踢着脚指頭 不覺作忍痛聲
云 彼處虛空 此處虛空 我身無有 痛
自何來 休休 達磨不來東土 二祖不
往西天 廻雪峯更不出嶺

文益法眼禪師 因地藏問上座何往 師
云迆邐行脚 藏曰行脚事作麽生 師曰
不知 藏曰不知最親切 師豁然大悟

法眼與悟空向火次 拈起香匙 問悟空
曰 不得喚作香匙卷下第四張 師兄喚
作甚麽 悟空曰香匙 法眼不肯 却後
「嵒」作「巖」{甲}。「什」作「甚」{甲}。「雨」作
「兩」{甲}。「於」無有{甲}。「加」作「伽」{甲}。
「裏」作「褁」{甲}。「个」作「箇」{甲}次同。
통합뷰어

二十日 空方明其義

法眼同行三人 擧法師僧肇語 天地與
我同根 萬物與我一體 曰也甚奇怪
也甚奇怪 桂琛禪師問曰 上座山河大
地與自己 是同是別 法眼云同 琛竪
兩指熟視曰 兩*个 法眼大驚

琛禪師 門外送法眼三人次 琛問曰上
座 你尋常道 三界唯心 乃指庭下石
曰 此石在心內 在心外 法眼曰在心
內 琛笑曰行脚人着甚來由 安塊石在
心頭耶 法眼於此大悟

法眼因江南李王請開堂 僧錄云 四衆
盡輻湊 觀瞻一時 先擁却法座了也 師
云他衆人却叅見眞善知識 僧錄於言
下大悟

法眼因僧問 如何是學人一卷經 師云
題目甚分明

法眼因僧問 聲色二字如何透得 師云
大衆 若會者僧問處 透1)色聲也不難
法眼因僧問 如何是曹源一滴水 師云
是曹源一滴水 時天台韶國師侍側 豁
然大悟

法眼因僧問 承敎有言從無住本 立一
切法 知何是無住本 師云形興未質
통합뷰어

名起未名

法眼因見俗人携兒到 問之不語 乃有
頌云 兒年八歲問不解語 不是不語大
法難擧 白雲端云卷下第五張 不是不
語大法全擧

紹修山主 第三度入嶺叅地藏 乃曰此
者特爲和尙從汀洲恁麽來 喫盡艱辛
涉歷許多山嶺 有什麽向處 地藏云涉
歷許多山嶺 也不惡 師不薦 至夜床
前侍次云 某甲百劫千生 曾與和尙違
背 此來又値和尙不安 地藏起身將拄
杖卓向面前云 只者*个也不背 師從
此省悟

修山主問僧 甚麽處來 僧云翠2)嵓來
師云翠*嵓有何言句示徒 僧云和尙尋
常道 出門逢彌勒 入門見釋迦 師云
與麽道又爭得 僧便問和尙 又如何
師云出門逢阿誰 入門見甚麽 僧於言
下有省

僧子方問法眼曰 公久親長慶 乃嗣地
藏何意耶 法眼曰以不解長慶說萬相
之中獨露身故 子方擧拂子示之 法眼
曰撥萬相不撥萬相 子方云不撥萬相
法眼云獨露身 ((口/尓)) 子方又云撥萬相
통합뷰어

法眼3)曰萬相之中 ((口/尓)) 子方於是悟旨
嘆曰 我幾枉度此生

修山主與法眼談次 法眼問曰 古人道
萬相之中獨露身 是撥萬相 不撥萬相
山主云不撥萬相 法眼云說甚麽撥不
撥 山主懵然却回地藏 藏問曰子去未
久 何以却來 山主云有事未決 豈憚跋
渉山川 藏曰汝跋渉許多山川也不惡
山主不諭其旨 乃問曰 古人云萬相之
中獨露身意旨如何卷下第六張 藏曰
汝道古人撥萬相不撥萬相 山主4)云不
撥 藏曰兩个 山主駭然沉思而却問曰
未審古人撥萬相 不撥萬相 藏云汝喚
甚麽作萬相 山主方大悟 拜辭地藏
覲于法眼 法眼語義與地藏開示5)如後
一如

居6)遯禪師 自嶺南來 *嵓頭問曰 嶺南
一尊功德 還成就也未 遁曰成就久矣
只欠點眼在 頭曰要點眼麽 遁曰要頭
垂下一足 遁禮拜 頭云汝見7)个甚麽
道理 遁曰據8)吾所見 如洪爐上一點
「色聲」作「聲色」{甲}。「嵓」作「巖」{甲}次同。
「曰」作「云」{甲}。「云」作「曰」{甲}。「如」作
「前」{甲}。「遯」通「遁」{編}。「个」作「箇」{甲}次
同。「吾」作「我」{甲}。
통합뷰어

殘雪 頭曰師子兒善能哮吼

師頌云

此生不息息何時 息在今生共要知
心息只緣無妄想 妄除心息是休時

1)又云尋牛須訪跡 學道訪無心 跡在
牛還在 無心道易尋

又2)云惟念門前樹 能容鳥泊飛 來者
無心喚 騰身不慕歸 若人心似樹 與
道不相違

汾陽無德和尙 一日謂衆曰 夜來夢中
亡父母 覓酒肉紙錢 未免徇俗 置以
祀之 事辦於庫堂 設位如俗 閒禮酌
酒行肉 化紙錢訖 令集知事 頭首散其
餘盤 知事輩却之 無德獨坐筵中 飮
啖自若 大衆皆曰 酒肉僧豈堪爲師法
耶 腰包盡去 唯慈明大愚泉大道等六
七人在焉 無德翌日上堂云 許多閑鬼
野神 只消一盤酒肉兩陌紙錢 斷送去
了 法華經云 此衆無枝葉 唯有3)一眞
實 便下座卷下第七張

東寺和尙問仰山 汝是什處人 山曰廣
南人 寺曰我聞廣南有鎭海明珠 曾收
得不 山曰收得來 寺曰珠作何色 山曰
白月即現 黑月即隱 寺曰何不呈似老
통합뷰어

僧看 山叉手近前云 4)惠寂昨到潙山
被索此珠 直得無言可造 無理可伸
圓悟勤和尙謂佛鑑禪師5)曰 此理如何
佛鑑其時無語 忽一日謂圓悟曰 仰山
見東寺因緣我有語也 東寺當時只索
一顆明珠 仰山當下 傾出一栲栳 圓
悟深肯之

天台德韶國師者 智者大師後身 年十
五有梵僧見之 勉令出家 唐同光中詣
舒州 見投子菴主 次謁龍牙踈山 如
是歷叅凡五十四人 皆法緣不契 至臨
川謁淨惠 但隨衆而已 無所咨叅 有
僧問法眼曰 十二時中 如何得頓息萬
緣去 眼*曰空與汝爲緣耶 色與汝爲
緣耶 言空爲緣 則空本無緣 言色爲
緣 則色心不二 日用果何物爲汝緣乎
韶聞悚然異之 又一日有僧問如何是
曹源一滴水 眼云是曹源一滴水 其僧
惘然 師於座側 豁然大悟 平生凝滯
渙然永釋 遂以所悟聞于法眼 眼曰汝
向後當爲國王所師 致祖道光大 吾不
如也 自此諸方 異唱古今玄揵 與之
決擇 不留微跡 一日上堂曰 靈山付
6)囑分明 諸上座一時驗取 若驗取得
통합뷰어

更無別理 只是如今 比如大虛日明雲
暗 山河大地一切有爲世界 悉皆明現
卷下第八張 乃至無爲法 亦復如是
自世尊付*囑迦葉 迄至于今 並無絲
毫差別 更付阿誰 所以祖師云 心自
本來心 本心非有法 有法有本心 非
心非本法 此是靈山付*囑榜樣 諸上
座徹底會取好 國王恩難報 諸佛恩難
報 父母師長恩難報 施主恩難報 若
要報恩 應須明徹道眼 入般若性海
始得 久立珎重

雪峯與*嵓頭 同至澧州鼇山鎭阻雪
頭每日打睡 師一向坐禪 一日喚云 師
兄師兄且起來 頭云作什麽 師云今生
不着便 共文7)邃*个漢 行脚到處 彼
他8)滯累 今日與師兄到此 又只管打
睡 頭喝云 噇眠去噇眠去 每日9)床上
坐 恰似七村裏土地相似 他時後日
魔魅人家男女去在 師自㸃胷云 某甲
這裏未穩在 不敢自謾 頭曰我將謂你
他後向孤峯頂上 盤結草菴 播揚大
「又云」無有{甲}。「云」無有{甲}。「一眞」作
「諸貞」{甲}。「惠」作「慧」{甲}。「曰」作「云」{甲}
次同。「囑」作「屬」{甲}次同。「邃」作「遽」{甲}。
「滯」作「帶」{甲}。「床」作「狀」{甲}。
통합뷰어

敎 猶作者个語話 師云1)某甲實未穩
在 頭云若實如此 據你見處 一一通
來 是處我與你證明 不是處與你剗却
師云某甲初到鹽官 見鹽官上堂擧色
空義 得*个入處 頭云此去三十年切
忌擧着 又因洞山偈云 切忌從他覓
迢迢與我踈 我今獨自往 處處得逢渠
渠今不是我 我今正是渠 應須恁麽會
2)万得契如如 頭云若3)恁麽自救 也不
徹在 師又曰後問德山 從上宗乘中事
學人還有分也無 德山打一棒云 道甚
麽 當時豁然 如桶底脫相似 頭喝云
你不聞卷下第九張 從門入者 不是家
珎 師云他後如何即是 頭云解問解問
他後若欲播揚大敎 一一從自己胷襟
流出 將來與我盖天盖地去 師於言下
大悟 便作禮起連聲云 今日始是鼇山
成道也

雪峯嵓頭欽山三人 自湘中入江南 至
新吳山之下 欽山濯足4)磵邊 見一菜
葉而喜指以謂二人曰 此山必有道人
可㳂流尋之 雪峯恚云 汝智眼大濁
他日如何辨人 彼不惜福 如此住山
何益也
통합뷰어
雪峯因一僧 在山中卓菴 多年不剃頭
自作一柄木杓 溪邊舀水喫時 有僧見
問 如何是祖師西來意 主竪起杓子云
溪深杓柄長 僧歸擧似師 師云也甚奇
怪 也甚奇怪 師一日與侍者 將剃刀
去 才相見 便問道得則不剃汝頭 主
便洗頭 胡跪師前 師便與他剃却之

長蘆和尙擧此話 并擧洞山行脚時 問
一菴主曰 見5)个什麽道理 便住此山
菴主云 我見兩箇泥牛鬪入海 直至如
今無消息 師曰諸仁者 門庭施設 還
他洞上之言 大古眞風 須是雪峯菴主
雪峯因僧問 如何是觸目菩提 師云還
見燈籠麽

大隨法眞禪師因僧問 劫火洞然 大千
俱壞 未審6)者个還壞也無 師云壞 僧
云恁麽則隨他去也 師云隨他去也 又
問修山主如前 修云不壞 云爲甚麽不
壞卷下第一○張 修云爲同大千

大隨因僧問 大隨山裏還有佛法也無
師云有 云如何是大隨山裏佛法 師云
石頭大底大小底小如云長者長法身 短者短法身 又如鑿破蒼崖喪本
眞 剩爲行客眼前塵 請君試見他山石 不費功夫自法身

智通禪師 在歸宗會下 忽一夜巡堂呌
통합뷰어

云 我已大悟也 大衆駭之 明日宗上
堂集衆問 昨日大悟底僧出來 師出云
智通 宗云汝見*个甚麽道理 言大悟
試說似看 對曰師姑元是女人造

玄挺禪師 一日侍立五祖次 有7)華嚴
僧來問 五祖眞性中緣起 其意云何
祖默然 師乃謂曰 大德正興一念問來
時 是眞性中緣起 其僧言下大悟

寶壽和尙 一日在市裏 見二人相諍
一人把住劈面打一拳 彼云得恁麽無
面目 師於此大悟8)拈云還知他伊麽道無面目9)麽 龍袖拂開全體現

神晏國師 一日叅雪峯 峯知其緣熟
忽起扭住云 是甚麽 師釋然了悟 亦
忘其10)了心 唯擧手搖拽而已 峯曰汝
作道理耶 師云何道理之有 峯乃撫而
印之

靈雲志勤禪師 在潙山會下 因見桃花
悟道 有偈曰三十年來尋劒客 幾廻落
葉又抽枝 自從一見桃花後 直至如今
更不疑 擧似潙山 山云從緣悟達 永
無退失 善自護持

「某甲」作「甲某」{甲}。「万」作「方」{甲}。「恁」
作「伊」{甲}。「磵」作「澗」{甲}。「个」作「箇」{甲}次
同。「者」作「這」{甲}。「華」作「花」{甲}。此
來註作本文{甲}。「麽」作「摩」{甲}。「了」下有
「悟」{甲}。통합뷰어

仰山一日見香嚴 乃問近日師兄見處
如何卷下第一一張 嚴云據我見處 無
一物可當情 師云你解猶在境 嚴云某
甲只如是 師兄又作麽生 師云你豈無
能知無一法可當情者

京兆米胡和尙訪王常侍 常侍視事次
乃擧筆1)示之 師曰還判得虛空麽 侍
乃擲下筆入宅 更不復見師 致疑明日
憑花嚴 置茶筵次 設問昨日米胡和尙
有何言句 便不得相見 侍云師子咬人
韓獹2)趂塊 師才聞 乃遽出朗笑曰 我
會也我會也 待云會即不無 你試道看
師云請常侍擧 侍乃竪起一隻箸 師云
者野狐精 侍云者漢徹也

米胡和尙 令僧問仰山云 今時人還假
悟也未 山云悟則不無 爭乃落在第二
頭何 師深肯之

徑山因代宗詔 至闕下 親加瞻禮 一
日師在內 見帝起立 帝曰師何以起
師云檀越何得向四威儀中見貧道 帝
大悅

德山宣鑑禪師 初到龍潭 問久嚮龍潭
及乎到來 潭又不見 龍又不顯 潭云
子親到龍潭 師作禮而退
통합뷰어
3)德山在龍潭 入室夜深 潭曰子且下
去 師珎重揭簾而出 見外面黑 却4)廻
曰和尙外面黑 潭點紙燭度與 師才接
潭便吹滅 師不覺失聲云 我自今已後
更不疑天下老和尙舌頭 遂取䟽鈔 於
法堂前 將一炬火提起云 窮諸玄辯
若一毫置於大虛 竭世樞機 似一滴投
於巨壑卷下第一二張 將䟽鈔云 畫餅
不可充飢 便燒 於是禮辭師

洞山良价禪師 問雲5)嵓和尙 百年
後忽有人 問還6)邈得師眞不 如何祗
對 *嵓良久云只這是 師佇思 *嵓云承
當者7)个事 大須審細 師猶渉疑 後因
過水覩影 大悟前旨 乃有偈曰 切忌
從他覓 迢迢與我踈 我今獨自往 處
處得逢渠 渠今正是我 我今不是渠
應須恁麽會 方得契如如

洞山問僧 世間是甚麽物最苦 僧云地
獄最苦 師云不然 向此衣線下 不明
大事始是苦

令遵禪師問翠微 如何是西來的的意
微云待無人時向汝道 師良久曰無人
也 請師說 微下禪床 引師入竹林 師
又云無人也 請師說 微指竹云 者一
통합뷰어

竿得恁麽長 那一竿得恁麽短 師於言
下大悟

高亭簡禪師 初隔江見德山 遙合掌呼
云 不審 山以手中扇子招之 師忽開
悟 乃橫趍而去 更不廻頋

雲*嵓問僧 闍8)棃念底是甚麽經 對曰
維摩經 師云不問維摩經 念底是甚麽
經 其僧從此得入

雲居在洞山三峯 住菴時 多日不赴堂
齋 山問汝因何不赴堂齋 師云每日有
天神送食來 山云將謂汝是箇人猶作
者*个見解 在晩間上來 師晩至 山召
云膺闍*棃 師應喏 山云不思善不思
惡 是甚麽卷下第一三張 師便歸菴中
宴坐 天神累日來不見 乃哭泣而去

薦福古擧此話云 諸上座 他古人直得
身心如是 尙被鬼神見 豈況你今時人
終日竟夜自 ((言+(澷-氵))) 天神土地 一一見得你
手脚 好之與惡 伊總識得 爲你這一
念心不忘 如今大意 只要諸人 息却叅
學底心 息却修行底心 如一塊頑石頭
「示」作「祖」{甲}。「趂」作「逐」{甲}。「德山」
作「又」{甲}。「廻」作「回」{甲}。「嵓」作「巖」{甲}
次同。「邈」作「貌」{甲}。「个」作「箇」{甲}次同。
「棃」作「梨」{甲}次同。
통합뷰어

去 如寒灰死火去 若能如是 却得相
應分 若不如此 縱你修行六度萬行
乃至盡未來際修 只得个報化佛 不見
云報化非眞 佛亦非說法者

雲居因僧問 如何是一法 師云如何是
諸法 僧云未審如何領會 師云一法是
汝本心 諸法是汝本性 且道 心之與
性 是一是二 僧禮拜 師乃有頌云

一法諸法宗 萬法一心通
唯心唯汝性 不說異兼同

曹山本寂禪師 因鏡淸問淸虛之理 畢
竟無身時如何 師曰理1)則如此 事又
作麽生 曰如理如事

曹山問德上座 佛眞法身 猶若虛空
應物現形 如水中月 作麽生說*个應
底道理 德云如驢覷井 師云道則大殺
道 只道得八成 德云和尙又如何 師
曰如井覷驢

鏡淸問僧 門外是甚麽聲 僧云雨滴聲
師曰衆生顚倒 迷己逐物 又問僧 門
外是甚麽聲 云蛇咬蝦蟇聲 師云將謂
衆生苦 更有苦衆生

處眞禪師示衆云 一片凝然光燦爛 擬
議追尋卒難見卷下第一四張 炳然擲
통합뷰어

着豁人情 大事分明皆總辦 是快活無
繫絆 萬兩黃金終不換 任他千聖出頭
來 總是向渠影中現

新羅大嶺禪師 因僧問 如何是一切處
淸淨 師云截瓊枝寸寸是寶 析栴檀片
片皆香

頌云 乾坤盡是黃金國 萬有全彰淨妙

桂琛禪師 問修山主 甚麽處來 主云
南方來 師云南方近日佛法如何 主
云2)啇量浩浩 師云爭如我這裏愽飯喫
主云爭乃三界何 師云你喚甚麽作三
界 主言下有省 頌曰

種田愽飯家常事 不是飽叅人不知 地
藏問保福僧 彼中佛法如何示人 僧
云保福有時 云塞却汝眼 敎汝覷不見
塞却汝耳 敎汝聽不聞 坐却汝意 敎
汝分別不得 師云吾問你 我不塞汝眼
汝見个甚麽 不塞汝耳 聞*个甚麽 不
坐汝意 3)作麽生分別則 僧於言下大悟
4)惠球禪師示衆云 我此間粥飯氣力

爲兄弟擧唱 終是不常 若得省要 却
是山河大 地 與汝發明 其道是常 亦
能究竟 若從文殊門入者 一切有爲土
통합뷰어

木瓦礫 助汝發機 若從觀音門入者
一切善惡音響 乃至蝦蟇蚯蚓 爲你擧
揚 若從普賢門入者 不動步而到 我
今以此三門方便示汝 如將一隻折箸
攪大海水 令彼無龍知水爲命 還會麽
若無智眼 而審諦之卷下第一五張 任
你百般善巧 不爲究竟

巴陵因僧問 祖意敎意 是同是別 師
云鷄寒上樹 鴨寒下水 源同派別如云登之
於口謂之敎 傳之於甚謂之禪 達其源者 無禪無敎 列其派者 禪敎各執

洞山守初禪師 因雲門問 近離甚麽處
師云査渡 門云夏在甚麽處 云湖南普
慈 門云幾時離彼中 云八月二十五
門云放汝三頓棒 次日師却問云 昨蒙
和尙放某甲三頓棒 未審過在甚麽處
門云飯袋子江西湖南 又恁麽去也 師
於言下大悟

薦福示衆云 直須向空劫時 了取自己
未具胞胎已前認取 何者 是空劫時自
己 本無名字 方便呼爲如來正法眼藏
涅槃妙心

淸豁禪師 初叅契如菴主 後見睡龍
「則」作「即」{甲}。「啇」作「商」{甲}。「作」上有
「汝」{甲}。「惠」作「慧」{甲}。
통합뷰어

龍一日問師 見何尊宿來 還悟也未
師云豁甞訪大章 得*个入處 龍於是
上堂集衆召淸豁 闍*棃出 對衆燒香
說悟處 看老僧 與你證明 師便出拈
香 乃云香則已燒 悟則不悟 龍大悅
而許之

玄覺道師 聞鳩子鳴 乃問僧 是甚麽
聲 云鵓鳩聲 師云欲得不招無間業
莫謗如來正法輪

韶國師因僧問 那吒1)太子 折骨還父
析肉還母然後 於蓮華臺上現本身 爲
母說法 未審如何是*太子本來身 師
曰大家見上座 問僧云 恁麽則大千同
一眞如性 師曰依俙似曲才堪聽 又被
風吹別調中卷下第一六張

牧菴忠拈 大衆要會麽 骨肉盡將還父
母 分明方見本來身 所以道父母非我
親 誰是最親者 只如諸人 每日普請
般土負木 且道是本來身 是父母身
若道是父母身 則辜負本來身 若道是
本來身 又辜負父母身 且道畢竟如何
忽有人出來道兩箇 你如何對他

瑯瑘因長水座主問 淸淨本然 云何忽
生山河大地 師抗聲曰 淸淨本然 云
통합뷰어

何忽生山河大地 主於言下大悟

于迪相公 特訪藥山 乃問如何是佛
山召相公 公應喏 山云是甚麽 公於
言下悟去

首山因僧問 一切諸佛 皆從此經出
如何是此經 師曰低聲低聲

神照如法師 問法智尊者曰 如何是經
王 尊者曰汝爲我主三年庫事 却向汝
道 如敬承其命三年畢 如再請曰 今
當說之 尊者大喚本 如一聲忽然大悟
作偈曰
處處逢歸路 頭頭是古鄕
本來現成事 何必待思量

西天七賢女 同遊屍多林 見一死屍中
有一賢女 指屍謂諸姊曰 屍在這裏
人向甚處去 中有一賢女云 作麽作麽
諸賢女諦觀 各各契悟 感帝釋散花供
養云 惟願諸賢女 有何所須 我當終
身供給卷下第一七張 女云我家四事
七珎 悉皆具足 唯要三般物 一要
無陰陽地一片 二要無根樹子一株 三
要呌不響山谷一所 帝釋云 一切所須
我悉有之 若此三般物 我實無 女云
汝無此物 爭解濟人 帝釋無語
통합뷰어
光孝安禪師 往台之雲峯 結芧而居
長坐不臥 一食終日 不衣繒纊 唯一
壞衲以度寒暑 尋謁韶國師 師問曰三
界無法 何處求心 四大本空 佛依何
住 你向甚麽處見老僧 安曰今日捉敗
和尙見處 師曰是甚麽 安掀倒香臺而
出 師器之 安一日閱華嚴經 至於身
無所取 於修無所着 於法無所住 過
去已滅 未來未至 現在空寂 到者裏
豁然入定經旬餘 方從定起身 心爽利
頓 發玄旨後 唯務宴坐 如入大定 一
日定中見二僧 倚殿檻語話 有天神侍
衛 傾聽久之 俄有惡鬼唾罵 復埽足跡
及詢倚檻僧所以乃初論佛法 後談世
諦 安曰閑論尙爾 況主法者 擊鼓陞
座 說無益事耶 安自此終身未甞一日
談世諦故 安死闍維舌根不壞 柔軟如
紅蓮2)華

華嚴座主問禪師 何故不許靑靑翠竹
盡是眞如 鬱鬱黃花 無非般若 大珠
禪師答曰 法身無相 應翠竹以成形
般若無知 對黃花而現相 非彼黃花翠
竹 而有法身般若 故經云 佛眞法身
「太」作「大」{甲}次同。「華」作「花」{甲}。
통합뷰어

猶若虛空 應物現形 如水中月 黃花
若是般若 般若即同無情 翠竹若是法
身卷下第一八張 翠竹還能應用 座主
降伏 領悟其旨

德山密禪師會下 有一禪客 用功甚銳
看狗子無佛性話 久無所入 一日忽見
狗頭 如日輪之大 張口欲食之 禪者
畏避席而走 隣人問其故 禪者具陳其
事 遂白德山 山曰不必畏矣 但痛加
精彩 待渠開口 撞入裏許便了 禪者
依敎坐至中夜 狗復現前 禪者以頭用
極力一撞 則在凾櫃中 於是廓然契悟
後出世文殊道法大振 即眞禪師也

圭峯宗密禪師云 但可以空寂爲自體
勿認色身 以靈知爲自心 勿認妄念
妄念若起 都不隨之 則臨命終時 自
然業不能繫 天上人間 隨意寄托 此
是悟理之人朝夕修行要節

張拙相公 叅石霜 霜問先輩何姓 曰
名拙姓張 師云覓巧了不可得 拙自何
來 張於言下有省 乃述頌云
光明寂照徧河沙 凡聖 ((尒/口)) 靈共一家
一念不生全體現 六根才動被雲遮
斷除煩惱重增病 趣向菩提亦是邪
통합뷰어

隨順衆緣無罣㝵 涅槃生死是空花

雲門問僧 光明寂照徧河沙 豈不是張
拙相公語 僧云是 師云話墮也

香嚴禪師云 去年貧未是貧 今年貧始
是貧 去年有卓錐之地 今年錐也無
仰山云 如來禪即許師兄 祖師禪未夢
見在 嚴云我有一機 瞬目視伊 若人
不會卷下第一九張 別喚沙彌 仰山云
且喜師兄會祖師禪

道吾因僧問 如何是祖師禪 吾云遙憶
江南三月裏 鷓鴣啼處百花香私曰此一句具色聲
言語 此所謂凡欲下語一句具三句 與庭前柏樹子本分答話一般

白雲端和尙云 悟了須遇人始得 若不
遇人 1)只是一个無尾巴猢猻相似 才
弄出人便笑 深信此道者 萬中無一
誠可憐憫 誠可憐憫

圓悟勤和尙 侍立五祖演和尙 偶陳提
刑 解印還蜀 過山中問道 因語話次
祖問曰提刑 曾讀少炎詩否 有兩句
頗近禪旨 曰頻呼小玉非他事 只要丹
郞認得聲 提刑應諾諾 祖曰且子細看
圓悟問曰提刑聞和尙擧2)少炎詩 會麽
祖云他只認得聲去 悟曰本文云只要
丹郞認得聲 他旣認得聲 爲什麽 却
통합뷰어

不是 祖曰僧問如何是祖師西來意 答
曰庭前柏樹子 聻 悟忽然大悟 遽出
去 見雞飛上欄干 鼓翼而鳴 復自謂
曰此豈不是聲 遂袖香入室通所悟 祖
曰佛祖大事 非3)小根劣智所能造詣
吾助汝喜 祖4)徧請山中耆舊曰 我侍
者 叅得祖師禪也

應菴華和尙云 上古老宿 心眼未明
火急就有道而正之 一旦心眼洞明 以
本願力 晦跡山林 或二十三十年 辦
累生計 揩磨心識使 及之淨盡 無纎
毫過患 至逢境遇緣視之 如墻壁瓦礫
絶無一念世間卷下第二○張 心如大
虛空 湛然凝寂 謂之金剛正體 淨裸
裸圓陀陀地然後 以無功用行 雖無心
應世 而應世之心 常而無間 雖無心
濟物 而濟物之心 霈然無窮 當知上
古老宿 就有道而正之 契證之妙 皎
如十日並照 豈造次承荷者哉

古靈禪師行脚時 遇百丈開悟後 却廻
福州大中寺受業 師問曰汝離吾在外
得何事 業答曰無 師遂遣執役 一日
「只」作「祗」{甲}。「少」作「小」{甲}。「小」作
「少」{甲}。「徧」作「遍」{甲}。
통합뷰어

因澡身 命靈去垢 靈乃拊背曰 好1)个
佛殿 而佛無靈 其師回首見之 靈曰
佛雖無靈 亦能放光 其師又一日在明
窓下看經 蜂子投窓紙求出 靈見之曰
世界與麽廣闊不肯出 鑚他2)古紙作麽
作麽 其師置經問曰 汝行脚時遇何人
前後見汝 發言異常 爲我說 靈陞座
擧百丈門風曰
靈光獨耀 逈脫根塵 體露眞常
不拘文字 心性無染 本自圓成
但離妄緣 即如如佛

玄素和尙 一日因有屠者 禮謁願就所
居辦供 師欣然而往 衆皆訝之 師曰
佛性平等 賢愚一致 但可度者 吾即
度之 復何差別之有

大顚和尙 初叅石頭 頭問師曰 那*个
是汝心 師云言語者是 便被喝出經旬
日 師却問曰 前者旣不是 除此外何
者是心 頭曰除却揚眉動目將心來 師
云無心可將來 頭云元來有心 何言無
心 無心盡同謗 師於言下大悟卷下第
二一張

曹山耽章禪師有僧以紙爲衣 號爲紙
衣 道者自洞山來 師問曰如何是紙衣
통합뷰어

下事 僧曰一裘才掛體 萬事悉皆如
又問如何是紙衣下用 其僧前而拱立
曰 諾即脫去 師笑曰汝3)只解伊麽去
不解4)伊麽來 僧忽開眼曰 一靈眞性
不假胞胎時如何 師曰未是妙 僧云如
何是妙 師曰不借借 其僧退坐於堂中
而化 師作偈曰
覺性圓明無相身 莫將知見妄踈親
念異便於玄體異 心差莫與道爲隣
情分萬法沉前境 識鑑多端喪本眞
若向句中全曉會 了然無事昔時人
師如是啓發上根 曾無䡄轍可尋也

蒙山和尙云 發明之後 常當入眞空三
昧 洗除多生塵習 塵習輕淸時 能念
知今生出母胎時事 及前生一世二世
以至十世事 若塵習淨盡者 能知多生
事 名宿命智 神通次第得耳根眼根
以至六根淸淨 能滌蕩 得一切根塵淸
淨者 諸通諸三昧 大智慧大辯才大神
通大機用 皆自眞空實相中發現

蒙5)山示衆云 廻心立志 不論尊卑 入
聖超凡 豈拘僧俗 當機頓悟 一步到
家 擬議思量 白雲萬里 豈不見 世尊
拈花示衆 迦葉破顔微笑 世尊云吾有
통합뷰어

正法眼藏涅槃妙心 付屬摩訶迦葉 敎
外別傳 無令斷絶 諸仁者見麽 識得
老瞿曇 與大迦葉者 洞明正法眼藏涅
槃妙心 已得入門 更當進步 承堂入
室 其或未然卷下第二二張世尊拈花
意作麽生 迦葉微笑畢竟如何 子細叅
究叅究 忽然大悟 一一道得 諦當許你
是个靈利男兒 且如山僧 數日前出街
廻到于將坊 有一女人 敎化底 趕來
當街禮拜云 我十年敎化積聚 鈔五十
二貫 要捨與常住 造佛殿三次 到菴
中不見長老 是我緣淺福薄 痛心無已
今望長老 攝受爲我 買一莖木一塊石
幾片瓦幾片甎 圓成佛殿 結三寶緣
老僧云汝十年敎化 所得鈔兩 來處不
易 何不留取買衣着買食喫 女云我發
心已十年矣 山僧問曰汝姓甚麽 何處
住 因何發心 女云休問我姓名 我在
養育院 住我二十前 因去大富貴家敎
化 立於門首多 時把門人等 罵詈趕
逐 有將惡水潑者 由是怨恨 我命不
好 前世不曾修來 苦惱如是不忍 痛
「个」作「箇」{甲}次同。「古」作「故」{甲}。「只」
無有{甲}。「伊」作「恁」{甲}。「山」下有「和尙」
{甲}。
통합뷰어

哭而來 來至龍興寺 遇一講主 說經
云 若人有福 曾供養佛 我聞是已 省
心省心 從此發心 十年敎化 積聚鈔
兩 誓願不買衣着 不買食喫 要結三
寶緣 又於至元十八年 蔡提領請長
老說法時 我聞說生老病死苦 人人
皆有 不論男女貴賤貧當 生不知來處
是生大 死不知去處是死大 出息不保
入息 是無常迅速 人能於此省察 發
心回道者 但提撕話頭 云見性成佛
那*个是我性 但恁麽叅究看 叅來叅
去 忽然悟明 便知生來死去 十二時
中 自有主宰 生死岸頭 可以轉業 我
從此持戒叅究 那*个是我性 今經二
十年卷下第二三張 曉得些子見聞 又
聞長老云 道不屬見聞覺知 亦不離見
聞覺知 至今疑着 那*个是道 今日
1)望因便敎我 山僧云正好叅究 不可
放捨此疑 何耶 大疑之下 必有大悟
山僧又問 去日汝所捨鈔兩 有願意無
女云我有願結三寶緣 頓悟妙道 早捨
女身 徑生西方安樂世界 親見阿彌陀
佛 親授菩提妙記 永離貧窮苦惱 却
來此界 作大施主 普度衆生 山僧見
통합뷰어

他有此志氣 有此行願 遂受所捨鈔
歸菴爲他 買一丈五尺樑一條 又乘樑
柱大石一箇 甎五百片 筒瓦五十片
滿他願心 諸仁者 洞明此女所捨寶鈔
具何功德也未 一一見得 分曉道得
端的時 許汝等正眼已明 山僧敢道所
捨鈔兩 具檀波羅蜜 十方諸佛 同時
爲授無上菩提記
樂普和尙浮漚2)歌
雲天雨落庭中水 水上漂漂見漚起
前者已滅後者生 前後相續無窮已
本因雨滴水成漚 還緣風激漚歸水
不知漚水性無殊 隨他轉變將爲異
外明瑩內含虛 內外玲瓏若寶珠
正在澄波看似有 及乎動着又如無
有無動靜事難明 無相之中有相形
只知漚向水中出 豈知水亦從漚生
權將漚水類3)予身 五藴虛攅假立人
解達4)藴空漚不實 方能明見本來眞
騰騰和尙了元*謌卷下第二四張
修道道無可修 問法法無可問
迷人不了色空 悟者本無5)逆順
통합뷰어

八萬四千法門 至理不離方寸
識取自家城郭 莫謾尋他鄕郡
不用廣學多聞 不要辯才聰儁
不知月之大小 不管歲之餘閏
煩惱即是菩提 淨花生於泥糞
人來問我若爲 不能共伊談論
寅朝用粥充飢 齋時更飡一頓
今日任運騰騰 明日騰騰任運
心中了了摠知 且作佯癡縛鈍
梁寶誌和尙大乘讃頌十首
大道常在目前 雖在目前難覩
若欲悟道眞體 莫除色聲言語
言語即是大道 不可斷除煩惱
煩惱本來空寂 妄情遞相纒繞
一切如影如響 不知何惡何好
有心取相爲實 定知見性不了
若欲作業求佛 業是生死大兆
生死業常隨身 黑暗獄中未曉
悟理本來無異 覺後誰脫誰早
法界量同大虛 衆生心智自小
但能不起吾我 涅槃法食常飽
「望」下有「和尙」{甲}。「謌」作「歌」{甲}次同。
「予」作「余」{甲}。「蘊」作「薀」{甲}。「逆順」作
「順逆」{甲}。
통합뷰어

妄身臨鏡照影 影與妄身不殊
若欲去影留身 不知身本同虛
身本與影不殊 不得一有一無
若欲存一捨一 永與眞理相踈
更若愛聖僧凡 生死海裏浮沉
煩惱因心故有 無心煩惱何居
不勞分別取捨 自然得道須臾
夢時夢中1)所作 覺時覺境都無
飜思覺時與夢 顚倒二見不殊
改迷取覺求利 何異販賣商徒
動靜兩亡常寂 自然契合眞如
若言衆生異佛 迢迢與佛恒殊
佛與衆生不二 自然究竟無餘
卷下第二五張
法性本來常寂 蕩蕩無有邊畔
安心取捨之間 被他二境回換
歛容入定坐禪 攝境安心覺觀
機關木人修道 何時得達彼岸
諸法本空無2)着 眞似浮雲會散
忽悟本性元空 恰似熱病得汗
無智人前莫說 打你色身星散
報你衆生直道 非有即是非無
非有非無不二 何須對有論虛
有無妄心立號 一破一个不居
兩名由你情作 無情即本眞如
통합뷰어

若欲存淸覓佛 將網山上羅魚
徒費功夫無益 幾許在用功夫
不解即心即佛 眞似騎驢覓驢
一切不僧不愛 3)者个煩惱須除
除之則須除身 除身無佛無因
無佛無因可得 自然無法無人
大道不由行得 說行權爲凡愚
得理返觀於行 始知枉用功夫
未悟圓通大理 要須言行相扶
不得執他知解 廻光返本全無
有誰解會此說 敎君向己推求
自見昔時罪過 除却五欲瘡疣
解脫逍遙自在 隨方賤賣風流
誰是發心買者 亦得似我無憂
內見外見總惡 佛道魔道俱錯
4)彼此二大波旬 便即猒苦求樂
生死悟本體空 佛魔何處安着
只由妄情分別 前身後身孤薄
輪回六道不停 結業不能除却
所以流浪生死 皆由橫生經略
身本虛無不實 返本是誰斟酌
有無我自能爲 不勞妄心卜度
衆生身同大虛 煩惱何處安着
但無一切希求 煩惱自然消落
통합뷰어

卷下第二六張
可笑衆生蠢蠢 各執一般異見
但欲傍鏊求餅 不解返本觀麪
麪是邪正之本 由人造作百變
所須任意5)從橫 不假偏耽愛戀
無*着即是解脫 有求又遭羅罥
慈心一切平等 眞如菩提自現
若懷彼我二心 對面不見佛面
世間幾許癡人 將道復欲求道
廣尋諸義紛紜 自救己身不了
全尋他文亂說 自稱至理妙好
徒勞一生虛過 永劫沉淪生死
濁愛纒心不捨 淸淨智心自惱
眞如法界叢林 返作荊棘荒草
但執黃葉爲金 不悟弃麻求金
所以失念狂走 强力裝持相好
口內誦經誦論 心裏心常枯槁
一朝覺本心空 具足眞如不足
聲聞心心斷惑 能斷之心是賊
賊賊遞相除遣 何時了本語默
口內誦經千卷 體上問經不識
不解佛法圓通 徒勞尋行數墨
所」作「造」{甲}。着」作「著」{甲}。者个」作
「這箇」{甲}。「彼」作「被」{甲}。「從」作「縱」{甲}。
통합뷰어

頭陀阿練苦行 希望後身功德
希望即是隔聖 大道何由可得
比如夢裏渡河 船師度過河北
忽覺床上安眠 失却度船軌則
船師及彼度人 兩箇本不相識
衆生迷倒羈絆 往來三界疲極
覺悟生死如夢 一切求心自息
卷下第二七張
悟解即是菩提 了本無有階梯
堪嘆凡夫傴僂 八十不能跋蹄
徒勞一生虛過 不覺日月遷移
向上看他師口 恰似失妳孩兒
道俗崢嶸聚集 終日聽他死語
不觀己身無常 心行貪如狼虎
堪嗟二乘狹劣 要須摧伏六府
不食酒肉五辛 邪眼看他飮咀
更有邪行猖狂 修氣不食鹽醋
若悟上乘至眞 不假分別男女
誌公和尙十四科頌
菩提煩惱不二
衆生不解修道 便欲斷除煩惱
煩惱本來空寂 將道更欲覓道
一念之心即是 何須別處尋討
통합뷰어

大道皎在目前 迷倒愚人不了
佛性天眞自然 亦無因緣修造
不識三毒虛假 妄執浮沉生老
昔時迷日爲說 今日始覺非早
持犯不二
丈夫運用無碍 不爲戒律所制
持犯本自無生 愚人被他禁繫
智者造作皆空 聲聞觸途爲滯
大士肉眼圓通 二乘天眼有翳
空中妄執有無 不達色心無碍
菩薩與俗同居 淸淨曾無染世
愚人貪着涅槃 智者生死實際
法性空無言說 緣起略爲玆偈
百歲無知小兒 小兒有智百歲
佛與衆生不二卷下第二八張
衆生與佛無殊 大智不異於愚
何須向外求寶 身田自有明珠
正道邪道不二 了知凡聖同途
迷悟本無差別 涅槃生死一如
究竟攀緣空寂 惟求意想淸虛
無有一法可得 翛然自入無爲
理事不二
心王自在翛然 法性本無十纒
一切無非佛事 何須攝念坐禪
통합뷰어

妄想本來空寂 不用斷除攀緣
智者無心可得 自然無諍無喧
不識無爲大道 何時得證幽玄
佛與衆生一種 衆生即是世尊
凡夫妄生分別 無中執有迷奔
了達貪瞋空寂 何處不是眞門
靜亂不二
聲聞猒喧求靜 猶如弃麪求餅
餅即從來是麪 造作隨人百變
煩惱即是菩提 無心即是無境
生死不異涅槃 貪嗔如熖如影
智者無心求佛 愚人向外馳騁
徒勞空過一生 不見如來妙頂
了達婬怒性空 鑊湯鑢炭自冷
善惡不二
我自身心快樂 修然無善無惡
法身自在無方 觸目無非正覺
六塵本來空寂 凡夫妄生執着
涅槃生死平等 四海阿誰厚薄
無爲大道自然 不用將心畫度
菩薩散誕靈通 所作常含妙覺
聲聞執法坐禪 如蠶吐絲自縛
法性本來圓明 病愈何須執藥
了知諸法平等 翛然淸虛快樂
통합뷰어
色空不二卷下第二九張
法性本無靑黃 衆生 ((言+(澷-氵))) 造文章
吾我說他止觀 自意擾擾顚狂
不識圓通妙理 何時得會眞常
自病不能治療 却敎他人藥方
外看將爲是善 心內猶若犲狼
愚人畏其地獄 智者不異天堂
對境心常不起 擧足皆是道場
佛與衆生不二 衆生自作分張
若欲除却三毒 迢迢不離灾殃
智者知心是佛 愚人樂往西方
生死不二
世間諸法如幻 生死猶若雷電
法身自在圓通 出入山河1)元間
顚倒妄想本空 般若無迷無亂
三毒本自解脫 何須攝念禪觀
只爲愚人不了 從他戒律決斷
不識寂滅眞如 何時得登彼岸
智者無惡可斷 運用隨心合散
法性本來空寂 不爲生死所絆
若欲斷除煩惱 此是無明癡漢
煩惱即是菩提 何用別求禪觀
實際無佛無魔 心體無形無斷
斷常不二
통합뷰어
丈夫運用堂堂 逍遙自在無妨
一切不能爲害 堅固猶若金剛
不着二邊中道 翛然非斷非常
五欲貪瞋是佛 地獄不異天堂
愚人妄生分別 流浪生死猖狂
智者達色無㝵 聲聞不了恛惶
法性本無瑕翳 衆生妄執靑黃
如來引接迷愚 或說地獄天堂
彌勒身中自有 何須別處思量
弃却眞如佛像 此人即是顚狂
聲聞心中不了 唯只趂逐言章
言章本非眞道 轉加鬪諍剛强
心裏蚖蛇蝮蠍 螫着便即遭傷
不解文中取義 何時得會眞常
死入無間地獄 神識枉受灾殃
眞俗不二卷下第三○張
法師說法極好 心中不離煩惱
口談文字化他 轉更增他生老
眞妄本來不二 凡夫弃妄覓道
四衆雲集聽講 高座論議浩浩
南座北座相爭 四衆爲言爲好
雖然口談甘露 心裏尋常枯燥
自己元無一錢 日夜數他珎寶
恰似無智愚人 弃却眞金擔草
통합뷰어

心中三毒不捨 未審何時得道
解縛不二
律師持律自縛 自縛亦能縛他
外作威儀恬靜 心內恰似洪波
不駕生死船筏 如何度得愛河
不解眞宗正理 邪見言辭繁多
有二比丘犯律 便却往問優波
優波依律說罪 轉增比丘網羅
方丈室中居士 維摩便即來呵
優波默然無對 淨名說法無過
而彼戒性如空 不在內外娑婆
勸除生滅不肯 忽悟還同釋迦
境照不二卷下第三一張
禪師體離無明 煩惱從何處生
地獄天堂一相 涅槃生死空名
亦無貪2)瞋可斷 亦無佛道可成
衆生與佛平等 自然聖智惺惺
不爲六塵所染 句句獨契無生
正覺一念玄解 三世坦然皆平
非法非律所制 翛然眞入圓成
絶此四句百非 如空無作無爲
運用無㝵
我今滔滔自在 不羨公王卿宰
元」作「無」{甲}。瞋」作「嗔」{甲}。
통합뷰어

四時猶若金剛 苦樂心常不改
法寶喩於須彌 智慧廣於江海
不爲八風所牽 亦無精進懈怠
任性浮沈若顚 散誕1)從橫自在
莫遮刀劒臨頭 我自安然不釆
迷悟不二
迷時以空爲色 悟2)則以色爲空
迷悟本無差別 色空究竟還同
愚人喚南作北 智者達無西東
欲覓如來妙理 常在一念之中
陽熖本非其水 渴鹿狂趂忩忩
自身虛假不實 將空更欲覓空
世人迷倒至甚 如犬吠雷叿叿

未曾有經云 妙吉祥菩薩 因見一人
悲泣發如是言 我造3)煞業 決墮地獄
如何救度 菩薩見其緣熟堪化 即化一
人亦復啼泣 謂曰我造*煞業 決墮地
獄 前人聞已 言我亦然 化人告之 唯
佛能救 相隨共詣 化人白佛 我造*煞
業 怖墮地獄 願佛救度 佛即告言 如
汝所說 造殺業者 汝從何心而起罪相
過去耶未來耶見在耶 若起過去心者
過去已滅 心不可得 若起未來心者
통합뷰어

未來未至 心不可得 若起見在心者
見在不住卷下第三二張 心亦不可得
三世俱不可得故 即無起作 無起作故
於其罪相 何所見邪 善男子 心無所
住 不在內外中間 心無色相 非靑黃
赤白 心無所作 無作者故 心非幻化
本眞實故 心無邊際 非限量故 心無
取捨 非善惡故 心無動轉 非生滅故
心等虛空 無障㝵故 心非染淨 離一
切數故 善男子 諸有智者 應如是觀
作是觀者 即於一切法中 求心不可得
何以故 心之自性 即諸法性 4)空即眞
實性 由是義故 汝今不應妄生怖畏
是時化人聞佛宣說眞實之法 心大歡
喜 即白佛言 希有世尊 善說法界自
性淸淨 我今得悟罪業性空 不生怖畏
我今樂欲於佛法中 出家修道 持於梵
行 願佛攝受 佛言善哉 是時化人
於刹那間 5)須髮自落 袈裟披身 即白
佛言 我今涅槃 承佛威力 踊身虛空
化火自焚 尒時實造業者 見是化人
與我同罪 出家聞法 彼先解脫 我今
亦宜求佛化度 前白佛言 如上因緣
願垂救苦 佛言善哉 汝所造業 於何
통합뷰어

起心 罪業之相 其復云何 是時此人
以善根成熟故 聞佛說已 身諸毛孔
出大火熖 佛出金手 於其頂上 此人
即時 身火得滅 離其苦惱 得大快樂
起淨信心 而白佛言 我先聞佛 廣說
淸淨法界 離相之法 我今得悟罪業性
空 而不復生怖畏之想 投佛出家 復
聞四諦之法 遠離塵垢 證無生忍卷下
第三三張

楞嚴經云 見與見緣 并所想相 如空
中花 本無所有 此見及緣 元是菩提
妙正明體私曰妄體元空全是本覺心體

6)又云若有一人 發眞歸源 十方虛空
悉皆7)消殞 謂迷情所覆 覺處見空 塵
影旣消 空元是覺現 謂空消覺現發
謂妄盡心開也

8)又云內外諸法 盡知不實 從識所變
悉是假名 又云識體本空 所變何實

9)起信論云 一切境界 唯依妄念而有
差別 若離心念 則無一切境界之相
如云 心生種種法生 心滅種種法滅

「從」作「縱」{甲}。則」作「即」{甲}。煞」作
「殺」{甲}次同。「空」上有「諸法性」{甲}。「須」
作「鬚」{甲}。「又」下有「經」{甲}。「消」作「鎖」
{甲}。「又」作「經」{甲}。「起」上有「又」{甲}。통합뷰어

1)又云所言覺義者 謂心體離念 離念
相者 等虛空界 即是如來平等法身
洞山良价和尙辭親書
伏聞諸佛出世 皆托父母而受生 萬類
興生 盡假天地之覆載 故非父母而不
生 無天地而不長 盡2)沾養育之恩 俱
受覆載之德 嗟夫一切 ((尒/口)) 靈 萬相形儀
皆屬無常 未離生滅 稚則乳哺情重
養育恩深 若把若賂供資 終難報答
作血食侍養 安得久長 故孝經云 雖
日用三牲之養 猶爲不孝也 相牽沉沒
永入輪廻 欲報罔極之恩 未若出家功
德 截生死之愛河 越煩惱之苦海 報
千生之父母 答萬劫之慈親 三有四恩
無不報矣 故云一子出家九族生天 良
价捨今生之身命 誓不還家 將永劫之
根塵 頓明般若 伏惟父母 心開喜捨
卷下第三四張 意莫攀緣 學淨飯之國
王 効摩耶之聖后 他時異日 佛會上
相逢 此日今時且相離別 良价非拒違
於甘旨 盖時不待人 故云此身不向今
生度 更待何生度此身 伏冀尊懷 莫
相記憶 頌曰
통합뷰어

未了心源度數春 翻嗟浮世謾逡巡
幾人得道空門裏 獨我淹留在世塵
謹具尺書辭眷愛 願明大法報慈親
不須酒淚頻相憶 比似當初無我身
林下白雲常作伴 門前靑嶂以爲鄰
免于世上名兼利 永別人間愛與3)瞋
祖意直敎言下曉 玄微須透句中眞
合門親戚要相見 直待當來正果因
後書
良价自離甘旨 策杖南遊 星霜已換於
十秋 4)▩▩▩隔於萬里 伏惟慈母 收
心慕道 攝意歸空 休懷離別之情 莫
作倚門之望 家中家事 但且隨緣 轉
有轉多 日增煩惱 阿兄勤行孝順 須
求氷裏之魚 少弟竭力奉承 亦泣霜中
之5)筍 夫人居世上 修己行孝 以合天
心 僧在空門 慕道叅禪 而報慈德 今
則千山萬水 杳隔二途 一紙八行 聊
書寸懷 頌曰
不求名利不求儒 願樂空門捨俗徒
煩惱盡時愁火滅 恩情斷處愛河枯
六根定慧香風引 一念才生慧力扶
爲報北堂休悵望 比如死了比如無
통합뷰어
娘廻書卷下第三五張
吾與汝夙有因緣 始結6)子母 恩愛情
分 自從懷孕 禱神佛天 願生男子 胞
胎月滿 命若懸絲 得遂願心 如珠寶
惜 糞穢不嫌於臭惡 乳哺不倦於辛勤
稍自成人 送令習學 或暫逾時不歸
便作倚門之望 來書堅要出家 父亡母
老 兄薄弟寒 吾何依賴 子有拋母之
意 娘無捨子之心 一自汝往他方 日
夕常酒悲淚 苦哉苦哉 旣誓不還鄕
即得從汝志 我不敢望汝如王祥臥永
丁蘭刻木 但望汝如目連尊者 度我解
脫沉淪 上登佛果 如其未然 幽愆有
在 切須體悉 切須體悉
圭峯密禪師頌
本覺眞心妄念翳 猶如明鏡被塵蒙
今用奢7)▩▩▩▩ 客塵已滅即心空
由是十方諸佛現 由來凡聖本8)▩▩
9)▩▩元在佛心裏 何疑佛現我心中
又」下有「論」{甲}。「沾」作「霑」{甲}。「瞋」作
「親」{甲}。▩▩▩作「歧路俄」{甲}。「筍」作「笋」
{甲}。「子母」作「母子」{甲}。▩▩▩▩作「摩澄
妄念」{甲}。▩▩作「圓融」{甲}。▩▩作「我心」
{甲}。
통합뷰어

寬放身心隨血脉 綿綿出入寂無聲
於此自然心易定 於此佛祖證無生
龍牙遁和尙頌
一得無心便道情 六門休歇不勞形
有緣不是1)予朋友 無用雙眉却弟兄
悟了還同未悟人 無心勝負自安神
從前古德穪貧道 向此門中有幾人
大法眼禪師因僧看經頌
今人看古敎 不免心中閙
欲免心中閙 但知看古敎
古德2)頌卷下第三六張
照3)藴皆空處 深行般若時
不唯超苦厄 決定訂無生
4)若欲見正性 先摧我相亡
形容何處有 六穴本無從
豁爾靈明性 翛然世界通
5)火從木出還燒木 智因情起却除情
正心觀妄名爲智 智能入覺不思議

承古禪師 常勸諸人 莫學佛法 但自
無心去 利根人晝時解脫 鈍根人或三
五年 遠不過十年 若不悟去 老僧替
통합뷰어

你入拔舌

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卷下
[跋]
6)入聖超凡不作威 臥龍長怖碧潭淸
▩▩若欲長如此 大地何曾留一名
念上生住異滅 身上生老病死 國土成住
壞空 此十二種事 甚能奇特
法厸禪人 投誠索語 警助余事 不獲已
((火+尉)) 老眼 而抄錄佛祖直證心躰要節 集爲
二卷 塞其來誠 囑曰未有天生釋迦自然
彌勒 要須快著精彩 見之言外可也 歲
在壬子年九月成佛山居老比丘景閑白雲
手書 時年七十有五矣
古人云 立志發願 必不在淺淺知見之閒
直到古人親證處 方能乃休去歇去 又云
古敎照7)▩
宣光八年戊午六月 日
8)書眞弌菴 禪和 ▩▩
刻字宗 ((卓+人)) 旵如 信明
募緣法厸 自明 惠全
助緣門人比丘尼妙德 妙性 靈照 性空
鈴平郡夫人尹氏 北原郡夫人元氏
駒城郡夫人李氏
正順大夫判通禮門事金繼生
留板刀寧鷲嵓寺

予」作「余」{甲}。「頌」下有「曰」{甲}。「蘊」통합뷰어
作「薀」{甲}。「若」上有「又」{甲}。「火」上有「古
德頌曰」{甲}。此跋文缺於甲本。▩字體異
常{編}。甲本刊記如下「宣光七年丁巳七月 日
淸州牧外興德寺鑄字印施」。
  1. 1)撰者名補入{編}。
  2. 2)「道」作「噵」{甲}。
  3. 3)「髮」作「髲」{甲}。
  4. 1)「嵒」作「巖」{甲}。
  5. 2)「什」作「甚」{甲}。
  6. 3)「雨」作「兩」{甲}。
  7. 4)「於」無有{甲}。
  8. 5)「加」作「伽」{甲}。
  9. 6)「裏」作「褁」{甲}。
  10. 7)「个」作「箇」{甲}次同。
  11. 1)「色聲」作「聲色」{甲}。
  12. 2)「嵓」作「巖」{甲}次同。
  13. 3)「曰」作「云」{甲}。
  14. 4)「云」作「曰」{甲}。
  15. 5)「如」作「前」{甲}。
  16. 6)「遯」通「遁」{編}。
  17. 7)「个」作「箇」{甲}次同。
  18. 8)「吾」作「我」{甲}。
  19. 1)「又云」無有{甲}。
  20. 2)「云」無有{甲}。
  21. 3)「一眞」作「諸貞」{甲}。
  22. 4)「惠」作「慧」{甲}。
  23. 5)「曰」作「云」{甲}次同。
  24. 6)「囑」作「屬」{甲}次同。
  25. 7)「邃」作「遽」{甲}。
  26. 8)「滯」作「帶」{甲}。
  27. 9)「床」作「狀」{甲}。
  28. 1)「某甲」作「甲某」{甲}。
  29. 2)「万」作「方」{甲}。
  30. 3)「恁」作「伊」{甲}。
  31. 4)「磵」作「澗」{甲}。
  32. 5)「个」作「箇」{甲}次同。
  33. 6)「者」作「這」{甲}。
  34. 7)「華」作「花」{甲}。
  35. 8)此來註作本文{甲}。
  36. 9)「麽」作「摩」{甲}。
  37. 10)「了」下有「悟」{甲}。
  38. 1)「示」作「祖」{甲}。
  39. 2)「趂」作「逐」{甲}。
  40. 3)「德山」作「又」{甲}。
  41. 4)「廻」作「回」{甲}。
  42. 5)「嵓」作「巖」{甲}次同。
  43. 6)「邈」作「貌」{甲}。
  44. 7)「个」作「箇」{甲}次同。
  45. 8)「棃」作「梨」{甲}次同。
  46. 1)「則」作「即」{甲}。
  47. 2)「啇」作「商」{甲}。
  48. 3)「作」上有「汝」{甲}。
  49. 4)「惠」作「慧」{甲}。
  50. 1)「太」作「大」{甲}次同。
  51. 2)「華」作「花」{甲}。
  52. 1)「只」作「祗」{甲}。
  53. 2)「少」作「小」{甲}。
  54. 3)「小」作「少」{甲}。
  55. 4)「徧」作「遍」{甲}。
  56. 1)「个」作「箇」{甲}次同。
  57. 2)「古」作「故」{甲}。
  58. 3)「只」無有{甲}。
  59. 4)「伊」作「恁」{甲}。
  60. 5)「山」下有「和尙」{甲}。
  61. 1)「望」下有「和尙」{甲}。
  62. 2)「謌」作「歌」{甲}次同。
  63. 3)「予」作「余」{甲}。
  64. 4)「蘊」作「薀」{甲}。
  65. 5)「逆順」作「順逆」{甲}。
  66. 1)所」作「造」{甲}。
  67. 2)着」作「著」{甲}。
  68. 3)者个」作「這箇」{甲}。
  69. 4)「彼」作「被」{甲}。
  70. 5)「從」作「縱」{甲}。
  71. 1)元」作「無」{甲}。
  72. 2)瞋」作「嗔」{甲}。
  73. 1)「從」作「縱」{甲}。
  74. 2)則」作「即」{甲}。
  75. 3)煞」作「殺」{甲}次同。
  76. 4)「空」上有「諸法性」{甲}。
  77. 5)「須」作「鬚」{甲}。
  78. 6)「又」下有「經」{甲}。
  79. 7)「消」作「鎖」{甲}。
  80. 8)「又」作「經」{甲}。
  81. 9)「起」上有「又」{甲}。
  82. 1)又」下有「論」{甲}。
  83. 2)「沾」作「霑」{甲}。
  84. 3)「瞋」作「親」{甲}。
  85. 4)▩▩▩作「歧路俄」{甲}。
  86. 5)「筍」作「笋」{甲}。
  87. 6)「子母」作「母子」{甲}。
  88. 7)▩▩▩▩作「摩澄妄念」{甲}。
  89. 8)▩▩作「圓融」{甲}。
  90. 9)▩▩作「我心」{甲}。
  91. 1)予」作「余」{甲}。
  92. 2)「頌」下有「曰」{甲}。
  93. 3)「蘊」
  94. 3)作「薀」{甲}。
  95. 4)「若」上有「又」{甲}。
  96. 5)「火」上有「古德頌曰」{甲}。
  97. 6)此跋文缺於甲本。
  98. 7)▩字體異常{編}。
  99. 8)甲本刊記如下「宣光七年丁巳七月 日淸州牧外興德寺鑄字印施」。

 

 

 

한문 vs 국역

https://kydong77.tistory.com/21883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 금속활자본과 목판본/ 한문 vs 국역

목판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71845 직지심체요절권하(直指心體要節下卷)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https://civil58.tistory.com/3285 佛祖直指心體要節 註解 佛祖直指心體要節과거칠

kydong77.tistory.com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71845

 

직지심체요절권하(直指心體要節下卷)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개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본, 정식 서명은 <백우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이나 이 책을 줄여서, ‘직지’ 또는 ‘직지심체요절’이라고도 불린다. 2001년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내용

이 책의 중심주제인 ‘직지심체(直指心體)’는 ‘직지인심 견성성불(直指人心 見性成佛)’이라는 오도(悟道)의 명구에서 따온 것이다. 그 뜻은 사람이 마음을 바르게 깨달을 때 그 심성이 바로 부처의 실체라는 것이다. 사람의 본성은 그 자체가 본시 청정하므로 선지식(善知識)의 도움에 의하여 자기 마음 속에서 그 심성이 자정(自淨)함을 깨닫고 늘 자수(自修)·자행(自行)하면 곧 불성(佛性)을 체득하여 자기 자신이 바로 법신(法身)이 되며, 자기 마음이 바로 불심이 된다는 요지이다. 즉, 사람이 눈을 외계로 돌리지 않고 자기의 마음을 올바로 가지면서 참선하여 도를 깨친다면 마음 밖에 부처가 있는 것이 아니라 자기의 마음이 바로 부처가 됨을 뜻한다. 스승이 주는 공안(公案:참선의 과제로 주어지는 화두)에 의하여 선을 공부하는 간화선(看話禪)보다는, 일체의 사심과 망념에서 떠난 진심(眞心)을 중시하는 무심무념(無心無念)을 궁극의 경지로 삼음이 경한의 특징적인 선풍(禪風)이다. 이와 같은 특색있는 선풍을 펼치기 위하여 경한은 이 책을 편찬한 것으로, 그가 주창한 무심선(無心禪)을 연구하는 데에 긴요한 자료가 된다.

이 책은 1377년(우왕 3) 7월 청주목의 교외에 있었던 흥덕사(興德寺)에서 금속활자인 주자로 찍어낸 것이 그 초인본(初印本)이다. 그 간행에 조연(助緣)한 문인(門人)은 석찬(釋璨)과 달잠(達湛)이고, 시주한 사람은 비구니 묘덕(妙德)이다. 이 때 간행된 상하 2권 가운데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는 것은 하권 1책(첫 장은 결락)뿐이며, 프랑스 국립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프랑스인 쿠랑(Courant,M.)이 엮은 ≪한국서지 Bibliographie Cor0x8045enne≫의 부록에 일찍이 소개되었으나 책의 행방이 묘연하였는데, 1972년 ‘세계도서의 해’를 기념하기 위한 도서의 전시회에서 처음으로 공개되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특징

1372년(공민왕 21) 경한(景閑:1299~1375)이 부처와 조사(祖師)의 게송(偈頌) ·법어(法語) 등에서 선(禪)의 요체를 깨닫는 데 필요한 내용을 뽑아 엮은 책으로, 상 ·하 2권이며 수고본(手稿本)에 직접 초록한, 정식 서명은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白雲和尙褻錄佛祖直指心體要節)》이나, 주로 《불조직지심체요절》, 《직지심경(直指心經)》 등으로 관용되고 있다. 내용은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 《오등회원(五燈會元)》 등의 사전(史傳) 관계 문헌을 섭렵하여 선(禪)의 요체를 깨닫는 데 긴요한 것을 초록하여 편찬하였다. 권상(卷上)에서는 과거칠불(過去七佛)과, 석가모니불로부터 불법을 계승한 천축국의 제1조(祖) 마하가섭(摩訶迦葉) 이하 보리달마(菩提達磨)까지의 28존자, 그리고 중국의 5조사 및 그 법통을 이은 후세의 국사 중 안국대사(安國大師)에 이르기까지의 것이 수록되었다. 권하(卷下)에는 아호대의화상(鵝湖大義和尙)부터 대법안선사(大法眼禪師)까지 다양하게 수록되어 있는데, 그 중에는 대령선사(大嶺禪師)의 것도 초록되어 있다. 중심 주제인 직지심체는 <직지인심 견성성불(直指人心見性成佛)>이라는 오도(悟道)의 명구를 줄여 나타낸 것이다.

 

https://kabc.dongguk.edu/content/view?dataId=ABC_BJ_H0100_T_001 

 

단락/경판 - 불교학술원 아카이브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 / 白雲和尙抄錄 佛祖直指心體要節卷上 ABC_BJ_H0100_T_001 URL복사 통합뷰어 006_0604_c_01L[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 006_0604_c_02L1)

kabc.dongguk.edu

1)白雲和尙抄錄
佛祖直指心體要節卷上

    •  毗婆尸佛過去㽵嚴劫佛偈曰
    •  尸棄佛同前劫偈曰
    •  毗舍浮佛同前劫偈曰
    •  拘留孫佛現在賢劫第一偈曰
    •  抅那含牟尼佛賢劫第二偈曰
    •  迦葉佛賢劫第三偈曰
    •  釋迦牟尼佛賢劫第四偈曰
    •  迦葉頌曰
  •  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卷下

 

2)白雲 景閑抄錄
毗婆尸佛過去㽵嚴劫佛偈曰
身從無相中受生 猶如幻出諸形相
幻人心識本來無 罪福皆空無所住
尸棄佛同前劫偈曰
起諸善法本是幻 造諸惡業亦是幻
身如聚沫心如風 幻出無根無實相如云幻起
無根 即實相是 了妄即眞
毗舍浮佛同前劫偈曰
假借四大以爲身 心本無生因境有
前境若無心亦無 罪福如幻起亦滅如云心本
無形 托境方生 境性亦空 心境一如
拘留孫佛現在賢劫第一偈曰
見身無實是佛見 了心如幻是佛了
了得身心本性空 斯人與佛何殊別如云 身心
一如 身外無餘 山河大地 甚處得來
底宣光八年鷲嵓山留板本(國立圖書舘所藏)
{甲}宣光七年淸州牧外興德鑄字本 卷下(巴里圖
書舘所藏影印本 上卷失 及下卷一張缺落)。
撰者名補入{編}。

抅那含牟尼佛賢劫第二偈曰
佛不見身知是佛 若實有知別無佛
智者能知罪性空 坦然不怖於生死
迦葉佛賢劫第三偈曰
一切衆生性淸淨 從本無生無可滅
即此身心是幻生 幻化之中無罪福
釋迦牟尼佛賢劫第四偈曰
因星見悟 悟罷非星
不逐於物 不是無情
世尊在靈山說法 天雨四花 世尊遂拈
花示衆卷上第一張 迦葉破顔微笑 世
尊云 吾有正法眼藏涅槃妙心 付囑摩
訶迦葉
佛於涅槃會上 以手摩胷 告大衆曰
汝等善觀吾紫磨金色之身 瞻仰取足
勿令後悔 若謂吾滅度 非吾弟子 若
謂吾不滅度 亦非吾弟子 時百萬億大
衆 悉皆契悟如云如來不出世亦無有涅槃也
世尊在尼抅律樹下坐次有二1)啇人問
還見車過不 曰不見 曰還聞不 曰不
聞 曰莫禪定不 曰不禪定 曰莫睡眠
不 曰不睡眠*啇人歎曰 善哉善哉 世
尊覺而不見 遂獻白㲲兩段如云 身心如土木 聞見似盲聾
世尊坐次 跋多婆羅 併其同伴十六開


士 即從座起 頂禮佛足 而白佛言 於
浴僧時 隨例入室 忽悟水因 旣不洗
塵 亦不洗體 中間安然 得無所有 妙
觸宣明 成佛子住
世尊因黑氏梵志 以神通力 左右手擎
合歡梧桐花兩株 來供養佛 佛召仙人
梵志應喏 佛云放下着 梵志放下左手
一株花 佛又召仙人放下着 梵志又放
下右手一株花 佛又云 仙人放下着
梵志云 世尊 我今兩手花 皆已放下
更放下个什麽 佛云吾非令汝放下手
中花 汝今當放下 外六塵內六根中六
識一時放下 到無可捨處 是汝脫生死
處 梵志於言下悟去卷上第二張
迦葉頌曰
法法本來法 無法無非法
何於一法中 有法有不法
譜云 敎海瀉阿難之口 禪燈㸃迦葉之
心 故阿難問迦葉 世尊傳金襴外別傳
何法 迦葉召阿難 阿難應喏迦 葉云倒
却門前刹竿着私曰二尊不並化 喚處分明應處眞 个中具色聲言語也 最初
禪也第三祖*啇那和脩 得優波毱多 以爲
給侍 因問曰 汝年幾耶 答曰我年十七


師曰汝身十七 汝性十七耶 答曰師髮
已白 爲髮白耶心白耶 師答曰但髮白
也 非心白耳 毱多曰 我身十七 非性
十七也 師知是法器 遂爲出家受具
乃告曰 昔如來以無上法藏 付囑迦葉
轉轉相授而至於我 我今付汝 勿令斷
絶 聽吾偈曰
非法亦非心 無心亦無法
說是心法時 是法非心法
第四祖優波毱多者 二十出家證果 隨
方行化 度無量衆 最後有一長者 名
香衆 志求妙道出家 尊者問曰 汝身
出家 汝心出家 答曰我來出家 非爲
身心 尊者曰 不爲身心 復誰出家 曰
夫出家者 無我我故 無我我故 即心
不生滅 不生滅即是常道 諸佛亦常 心
無形相 其體亦然 尊者曰 汝當大悟
心自通達 冝依佛法僧住 即爲剃度受
具 即付法偈曰
心自本來心 本心非有法
有法有本心 非心非本法卷上第三張
第五祖提多迦者 此云通眞量也 尊者
謂彌遮迦曰 昔如來以大法藏 付囑迦
「啇」疑「商」{編}次同。


葉 轉轉相授 而至於我 我今付汝 汝
當護念 偈曰
通達本法心 無法無非法
悟了同未悟 無心亦無法
說偈已 踊身虛空 作十八變 化火三
昧 自焚其身
第六祖彌遮迦 行化北天竺國 見雉堞
上有金色祥雲 嘆曰必有大人 爲吾嗣
法 乃入城有一人 手持酒器 逆而問
曰 師何方而來 欲往何所 師曰從自
心來 欲往無處 曰師知我否 師曰我
即不識 識即非我 又謂曰 汝試自稱名
氏 吾當後示本因 彼人說偈而答 我
從無量劫 至于生此國 本姓頗羅墮
名字波須密 師曰世尊 昔遊北印度
語阿難言 此國中吾滅後三百年 有一
聖 姓頗羅墮 名波須密 而於禪祖 當
得第七 曰今符師說 願加度脫 師即
與披剃授具 乃曰正法眼藏 今付於汝
勿令斷絶 乃說偈曰
無心無可得 說得不名法
若了心非心 始解心心法
師說偈已 化火自焚
第七祖波須密 遇彌遮迦尊者 宣如來


往誌 自省前緣 乃出家授具 復告曰
如來正法眼藏 我今付汝 汝當守持
乃說偈曰卷上第四張
心同虛空界 示等虛空法
證得虛空時 無是無非法
說偈已 即入三昧 示涅槃相
第八祖佛陀難提 初遇波須密 受敎出
家 行化至提加國城毗舍羅家 見舍上
有白光上騰 謂其徒曰 此家當有聖人
口無言說 眞大乘器言 訖長者出致禮
問何所須 尊者曰我求侍者 曰我有一
子 名伏䭾密多 年已五十 口未曾言
足未曾步 尊者曰 如汝所說眞吾弟子
尊者見之 即起禮拜而說偈曰
父母非我親 誰是最親者
諸佛非我道 誰是最道者
尊者以偈答曰
汝言與心親 父母非可比
汝行與道合 諸佛心即是
外求有相佛 與汝不相似
欲知汝本心 非合亦非離
伏䭾聞師妙偈 便行七步 尊者即令
出家授具戒 復告之曰 我今以如來正
法 付囑於汝 勿令斷絶 乃說偈曰
虛空無內外 心法亦如此


若了虛空故 是達眞如理
說偈已 尊者即現神變 了然寂滅
第九祖伏䭾密多 行化 至中印度 有一
長者香蓋 携一子來 禮尊者曰 此子
在胎六十歲 因號難生 今遇尊者 可
令出家 尊者即與落髮授具 羯摩之際
祥光燭座 仍感舍利三七箇 自此精進
忘疲 旣尒師告之曰 如來大法 今付
於汝 汝護念之 乃說偈曰
眞理本無名 因名現眞理
受得眞實法 非眞亦非僞
尊者付法已 即入滅盡三昧
第十祖脇尊者 將誕 父夢一白象 背有
寶座 座上安一明珠 從門而入 光照
四衆 旣覺遂生 後値伏䭾 執侍左右
未甞睡眠 謂其脅不至席 遂號脇尊者
焉卷上第五張 行化花氏國 憇一樹下
有一長者子富那夜奢 合掌前立 尊者
問汝從何來 答曰我心非往 尊者曰汝
何住 曰我心非止 尊者曰汝不定耶
曰諸佛亦然 尊者知其意 即令出家授
具戒品 乃告之曰 如來大法 今付於
汝 汝護念之 乃說偈曰
眞體自然眞 因眞說有理


領得眞眞法 無行亦無止
尊者付法已 即入涅槃 化火自焚
第十一祖富那夜奢 旣得法於脅尊者
尋詣波羅奈國 有馬鳴大士 延而作禮
因問曰 我欲識佛 何者即是 師曰汝欲
識佛 不識者是 曰佛旣不識 焉知是乎
師曰旣不識佛 焉知不是云云 馬鳴豁然
省悟 即求剃度 師謂衆曰 此大士昔
爲毗舍離國王 其國有一類人 如馬裸
露 大士運神力 分身爲蠶 彼乃得衣
後復生中印度馬人 感戀悲鳴 因號馬
鳴 旣遇尊者 出家授具 即告之曰 如
來大法 今付於汝 即說偈曰
迷悟如隱現 明暗不相離
今付隱現法 非一亦非二
付法已 即湛然圓寂
第十二祖馬鳴尊者 一日有外道索論
議 集國王大臣併及四衆 俱會論場
馬鳴云 汝義以何爲宗 外道云 凡有
言說 我皆能破 馬鳴乃指國王云 當
今國土康寧 大王長壽 請汝破之 外
道屈伏卷上第六張
第十三祖迦毗摩羅 於馬鳴尊者得法
行化至西印度彼國出中 北去十里有


大樹 陰覆五百大龍 其樹王名曰龍樹
常爲龍衆說法 尊者遂與徒衆詣彼 龍
樹出迎 尊者曰深出孤寂 龍蟒所居
大德至尊 何枉神足 師云吾非至尊
來訪賢者 龍樹默念曰 此師得決定性
明道眼不 是大聖繼眞乘不 師云汝雖
心語 吾已意知 但辦出家 何慮吾之
不聖 龍樹聞巳悔謝 尊者即與度脫
及五百衆 俱受具戒 復告龍樹曰 今
以如來大法 付囑於汝 即說偈曰
非現非隱法 說是眞實際
悟此隱現法 非愚亦非智
付法已 即現神變 化火自焚
第十四祖龍樹 於毗羅尊者得法 後至
南印度 彼國之人 多信福業 聞尊者
爲說妙法 互相謂曰 人有福業 世間
第一 徒言佛性 誰能見之 尊者曰汝
欲見佛性 先須除我慢 彼人曰佛性大
小 尊者曰非大非小 非廣非狹 無福
無報 不死不生 彼聞勝理 悉廻初心
尊者復於座上 現自在身 如滿月輪
彼衆唯聞法音 不見師相 彼衆中有一
長者子 名迦那提波 謂衆曰 此是尊
者現佛性體相 以示我等 何以知之


盖以無相三昧 形如滿月 佛性之義
廓然虛明 言訖輪相即隱 復居本座
而說偈言
身現月輪相 以表諸佛體
說法無其形 用辨非聲色
彼衆聞偈 頓悟無生 咸願出家 以求
解脫 尊者即爲剃髮授具 皆歸三寶
告迦那提波曰卷上第七張 如來妙法
今當付汝 聽吾偈曰
爲明隱現法 方說解脫理
於法心不證 無瞋亦無喜
付法已 入月輪三昧 凝然禪寂
龍樹大士 見迦那提波來 先令侍者
將一鉢水 置面前 提波乃以一針投之
樹云定水澄淸 此方我德 彼來投針
欲窮其底 尊者得法 後至毗羅國 彼
有長者 名梵摩淨德 一日園中 樹生
大耳如菌 味甚美 唯長者與第二子羅
睺羅多 取而食之 取已隨長 盡而復
生 自餘他人 皆不能見 時尊者知其
宿因 遂至其家 長者問其故 尊者曰
汝家昔曾供養一比丘 然其比丘道眼
未明 虛沾信施故 報爲木菌 唯汝與子
精誠供養 得以享之 餘即否矣 又問


長者年多少 答曰七十有九 乃說偈曰
入道不通理 復身還信施
汝年八十一 其樹不生耳
長者聞偈 彌加歎伏 又曰弟子衰老
不能師事 願捨次子 隨師出家 尊者
曰昔如來記此子 當第二五百年 爲大
敎主 今之相遇 盖符宿因 即與剃髮
授具已 而說偈曰
本對傳法人 爲說解脫理
於法實無證無終亦無始
說偈已而歸寂滅
第十六祖羅睺羅多尊者 命僧伽難提
出家授具已 而付法眼偈曰
於法實無證 不取亦不離
法非有無相 內外云何起
付法已 安坐入寂滅定卷上第八張
第十七祖僧伽難提 因風吹銅鈴鳴 乃
問鈴鳴耶 風鳴耶 童子云 非風鈴鳴
我心鳴耳 祖曰非風鈴鳴心復誰乎 童
子云 俱寂靜故非三昧也 祖曰善哉善
哉 繼吾道者 非子而誰 即付法偈曰
心地本無生 因地從緣起
緣種不相妨 花果亦復尒
尊者付法已 右手攀樹而化


第十八祖伽耶舍多童子 持鑑出遊 遇
難提尊者得度後 行化至大月氏國 見
一波羅門舍有異氣 尊者將入彼舍 舍
主鳩摩羅多 問曰是何徒衆 曰是佛弟
子 彼聞佛名 神心悚然 即時閉戶 尊
者良久 自扣其門 羅多曰此舍無人
尊者曰 答無者誰 羅多聞語異之 即開
門迎接 尊者云 昔世尊記曰 吾滅後
一千年 有大士出現於月氏國 紹隆玄
化 今汝應斯嘉運 於是鳩摩羅多 發
宿命智 投師出家授具 付法偈曰
有種有心地 因緣能發萠
於緣不相㝵 當生生不生
尊者付法已 踊身虛空 化火自焚
第十九祖鳩摩羅多 遇舍多得法 後至
中天竺 有大士名闍夜多 問曰我家父
母 早信三寶 而常縈疾 凡所營作 皆
不如意 而我鄰家 久爲旃多羅行 身
常勇健 所作和合 彼何幸而我何 ((古/羊))
尊者曰何足疑乎 且善惡之報 有三世
焉 凡人但見仁夭暴壽逆吉義凶 便謂
亡因果虛罪福殊 不知影響相隨毫氂
不差 縱經百千萬劫 亦不磨滅 夜多聞
是語已 頓釋其疑卷上第九張尊者曰


汝雖已信三業 而未明業從惑生 業因
識有 識依不覺 不覺依心 心本淸淨
無生滅無造作無報應無勝負 寂寂然
靈靈然 汝若入此法門 可與諸佛同矣
一切善惡有爲無爲 皆如夢幻 夜多承
言領旨 即發宿慧 勤求出家 旣授具
戒 乃付法偈曰
性上本無生 爲對求人說
於法旣無得 何懷決不決
汝宣傳後學 言訖入寂滅
第二十祖闍夜多 見波修般頭尊者 常
一食不臥 六時禮佛 淸淨無欲 爲衆
所歸 祖將欲度之 先問徒衆曰 此徧
行頭陀 能修梵行 可得佛道乎 彼衆
曰 我師精進如是 何故不可 祖曰汝師
與道遠矣 設若苦行 歷於塵劫 皆妄
之本也 衆曰尊者蘊何德行 而譏我師
祖曰我不求道 亦不顚倒 我不禮佛
亦不輕慢 我不長坐 亦不懈怠 我不
一食 亦不雜食 我不知足 亦不貪欲
心無所希 名之曰道 波修聞已 發無
漏智 付法偈曰
言下合無生 同於法界性
若能如是解 通達事理竟


祖說偈已 不起于座 奄然歸寂
第二十一祖波須般頭尊者 偈曰
泡幻同無碍 如何不了悟
達法在其中 非今亦非古
第二十二祖摩拏羅尊者 偈曰
心隨萬境轉 轉處實能幽
隨流認得性 無喜亦無憂
第二十三祖鶴勒那 遇摩拏羅尊者得
法後 行化至中印度卷上第一○張 見
師子尊者 尊者而問曰 我欲求道 當
何用心 祖曰汝欲求道 無所用心 曰
旣無用心 誰作佛事 曰汝若有用 即
非功德 汝若無用 即是佛事 經云 我
所作功德而無我所故 師子聞是語已
即入佛慧 乃付法偈云
認得心性時 可說不思議
了了無可得 得時不說知
說偈已而歸寂
第二十四祖師子尊者 因罽賓國王仗
劒問曰 師得薀空不 曰已得 曰旣得
薀空 離生死不 曰已離 王曰乞師頭
得不 曰身非我有 況乃頭耶 王便斬
之 白乳高丈 王臂自落
第二十五祖婆舍斯多 因與外道無我


尊 論議往返五十九番 外道杜口信伏
于時祖忽然面北 合掌長吁曰 我師師
子尊者 今日遇難 斯可傷焉 即達南
天 隱于山谷 彼國有太子 名不如蜜
多 遂求出家 祖問太子曰 汝欲出家
當爲何事 曰當爲佛事 祖曰太子智慧
天至必諸聖降迹 即許出家 六年侍奉
後於王宮 受具羯摩之際 大地震動
頗多靈異 祖命之曰 汝當善護正法眼
藏 普利羣品 聽吾偈曰
聖人說知見 當境無是非
我今悟眞性 無道亦無理
說偈已現神變 化火自焚入寂滅
第二十六祖不如密多 旣受度得法 至
東印度 謂王曰 此國當有聖人 而繼
於我 是時波羅門子年二十 幻失父母
卷上第一一張 不知名氏 或自言纓珞
童子 遊行閭里 乞求度日 若常不輕
之類 人問汝何姓 乃曰與汝同姓 人
莫知其故 後王與尊者 同車而出 見
纓珞童子 稽首於前 尊者曰 汝憶往事
不 答曰我念遠劫中 與師同居 師演
摩訶般若 我轉甚深脩多羅 今日之事
盖契昔因 尊者又謂王曰 此童子非他


即大勢至菩薩是也 此聖之後 復出二
人 一人化南印度 一人緣在震旦 四
五年內 却返此方 遂以昔因 故般若
多羅 付法偈曰
眞性心地藏 無頭亦無尾
應緣而化物 方便呼爲智
尊者付法已曰 吾化緣已終 當歸寂滅
第二十七祖般若多羅 旣得法已 行化
至南印度 彼王香至 請祖宮中 尊重
供養 施無價寶珠 王有三子 其季開
士也 尊者欲試其所得 乃以所施珠
問三王子曰 此珠圓明 有能及此不
二子皆曰 此珠七寶中尊 固無踰也
非尊者道力 孰能受之 第三子菩提多
羅曰 此是世寶 未足爲上 於諸寶中
法寶爲上 此是世光 未足爲上 於諸
光中 智光爲上 此是世明 未足爲上
於諸明中 心明爲上 此珠光明 不能
自照 要假智光 乃辨於此 旣辨此已
即知是珠 即知是珠 即明其寶 然則
師有其道 其寶自現 衆生有道 心寶
自現 尊者歎其辯慧 尊者知是法嗣
以時未至 且默而混之 及香至王猒世
衆皆號哭 唯第三子 於柩前入定 經


七日而出卷上第一二張 乃求出家 旣
授具戒 尊者告曰 如來正法 轉轉乃
至於我 我今付汝 聽吾偈曰
心地生諸種 因事復生理
果滿菩提圓 花開世界起
尊者付法已 即於座上 舒左右手 各
各放光明 二十七道五色光耀 踊身虛
空 高七多羅樹 化火自焚
第二十八祖菩提達摩告祖曰 我旣得
法 當往何國而作佛事 尊者曰 汝雖得
法 未可遠遊 且止南天 待吾滅後六
十七年 當徃震旦 設大法藥 直接上
根 愼勿速行 衰於日下 汝所化之方
得菩提者 不可勝數 祖心念震旦 緣
熟行化時至 乃先辭祖塔 次別同學
然至王所 慰而勉之 曰當勤白業 護
持三寶 吾去非晚 一九即廻 王聞師
言 涕淚交集曰 此國何罪 彼土何祥
叔旣有緣 非吾所止 惟願不忘父母之
國 事畢早廻 王即具大舟 實以衆寶
躬率臣僚 送至海堧 師汎重溟 凡三
周寒暑 達于南海 實梁普通八年丁未
歲九月二十一日也 廣州刺史蕭昻 具
主禮迎接 表聞武帝 帝覽奏遣使齎詔


迎請 十月一日至金陵 帝問曰朕即位
已來 造寺寫經度僧不可勝記 有何功
德 師云片無功德 帝曰何以無功德
師曰此但人天小果有漏之因 如影隨
形 雖有非實 帝曰如何是眞功德 答
曰淨智妙圓 體自空寂 如是功德 不
以世求 帝又問如何是聖諦第一義 師
云廓然無聖 帝曰對朕者誰 師曰不識
卷上第一三張 帝不契 師一葦渡江至
魏 寓止于嵩出小林寺 面壁而坐 終
日默然 人莫知之 謂之壁觀波羅門 時
有僧神光曠達之士 久居伊洛 博覽羣
書 善談玄理 每嘆曰 孔老之敎 禮術
風䂓 莊易之書 未盡妙理 近聞達磨
大士 住止小林 至人不遙 當造玄境
乃往彼晨夕叅承 師常端坐面壁 莫聞
誨勵 光自思惟曰 昔人求道 敲骨取
髓 刺血濟飢 布髮掩泥 投崖飼虎 古
尙如此 我又何人 其年十二月九日夜
天大雨雪 光堅立不動 遲明積雪過膝
師憫而問曰 汝久立雪中 當求何事
光悲泣曰 惟願和尙 慈悲開甘露門
廣度衆生 師曰諸佛無上妙道 廣劫勤
修 難行能行 難忍能忍 豈以小德小智


輕心慢心 欲冀眞乘 徒勞勤苦 光聞
師誨勵 潜取利刀 自斷左臂 置於師前
師知是法器 乃曰諸佛最初求道 爲法
忘形 汝今斷臂吾前 求亦可在 師遂因
與易名曰慧可 光曰諸佛法印 可得聞
乎 師曰諸佛法印 匪從人得 光曰我
心未寧 乞師與安 師曰將心來與汝安
曰覓心了不可得 師曰與汝安心竟
達磨一日爲可大師曰 汝但外息諸緣
內心無喘 心如墻壁 可以入道 可作
種種說心說性 皆不契 一日忽悟乃曰
我已息諸緣 祖曰莫成斷滅不 可曰無
祖曰子作麽生 可曰明明不昧 了了常
知故 言之不可及 祖曰此是諸佛諸祖
所傳心體 更勿疑矣卷上第一四張
達磨迄九年已 欲返西竺 乃命門人曰
時將至矣 汝等盍各言所得乎 時門人
道副對曰 如我所見 不執文字 不離
文字 而爲道用 師曰汝得吾皮 惣持
曰我今所解 如慶喜見阿閦佛國一見
更不復見 師云汝得吾肉 道育曰四大
本空 五陰非有 而我見處 無一法可
得 師曰汝得吾骨 最後慧可大師出
禮三拜依位而立 師曰汝得吾髓 乃顧


慧可而告之曰 昔如來以正法眼藏 付
囑迦葉 轉轉相承 而至於我 我今付汝
汝當護持 并授汝袈裟 以爲法信 各
有所表 宜可知矣 可曰請師指陳 師
曰內傳心印 以契本心 外付袈裟 將
表宗旨 後代澆薄疑慮競生云 吾西天
之人 言汝此方之人 憑何得法 以何證
之 汝今受此衣法 却後難生 但出此衣
并吾法偈 用以表明 其化無㝵 至吾
滅後二百年 衣止不傳 法周沙界 明
道者多 行道者少 說理者多 通理者少
潜符密證 千萬有餘 汝當闡揚 勿輕
未悟 一念廻機 便同本得 聽吾偈 曰
吾本來此土 傳法救迷情
一花開五葉 結果自然成
波羅提因異見王問何者是佛 答曰見
性是佛 王曰師見性不 答曰我見佛性
王曰性在何處 答曰性在作用 王曰是
何作用 我今不見 答曰今見作用 王
自不見 王曰於我有不 答曰王若作用
無有不是 王若不用 體亦難見 王曰
若當用時 幾處出現 曰若出現時 當
有其八 王曰其八出現 當爲我說 波
羅提曰 在胎爲身 處世名人 在眼曰見


在耳曰聞卷上第一五張 在鼻辨香 在
舌談論 在手執捉 在足運奔 徧現則俱
該沙界 收攝則在一微塵 識者知是佛
性 不識者喚作精魂 王聞偈 心即開悟
東印度國王 請二十七祖般若多羅尊
者入內齋 王問曰諸人盡轉經 師何不
看經 師曰貧道入息不居陰界 出息不
涉衆緣 常轉如是經百千萬億卷
三祖璨大師 問二祖曰 弟子身纒風恙
請師爲我懺罪 祖曰將罪來與汝懺 云
覓罪了不可得 祖曰與汝懺罪竟 宜依
佛法僧住 曰某甲今見和尙 已知是僧
未審何名佛法 祖曰是心是佛 是心是
法 佛法無二 僧寶亦然 曰今日始知
罪性不在內外中間 如其心然 佛法無
二 祖深器之
三祖偈云 至道無難 唯嫌揀擇 但莫
憎愛 洞然明白 又云圓同大虛 無欠
無餘 良由取捨 所以不如
四祖 因栽松道者相見 語言相契
祖曰汝年已老 改形而來可也 道者珎
重 便行下山至濁港 見一處女浣衣
遂云我欲借汝家一宿 女云有父母在
道者曰你肯麽 女云去問我父母宿 道


者去不遠 於一樹下坐化 去其女 從此
有孕 生一男子 被父母訶嘖 及是非
不能洗 便將兒子 拋於江水中去 復
廻次日見兒 逆流而去 不忍復收養之
乞食度日至七歲 携在黃梅 路上見四
祖 祖問曰童子何姓 子答曰姓即有 不
是常姓卷上第一六張 祖曰是什麽姓
子曰佛性 祖曰雖有佛性 汝且不會
子曰非但我不會 三世諸佛亦不會 祖
曰爲什麽不會 子曰性空 故祖默識
其法器 即便出家 乃傳衣付法
六祖能大師 採樵以給偏母 一日負薪
至店中 聞客誦金剛經應無所住而生
其心 心即悚然 問其客曰 此何法也
得於何人 客曰此名金剛經 得於黃梅
忍大師 師直造黃梅東禪寺 忍大師一
見默而識之 師負石舂米 遂傳衣法 南
行隱于懷 集四會之間 至曹溪 雨大法
雨 學者不下千數 中宗神龍元年降詔
云 朕請安秀二師 宮中供養 萬機之暇
每究一乘 二師並推云 南方有能禪師
密受忍大師衣法 可就彼問 今遣內侍
薛簡馳詔迎請 願師慈念 速赴上京 師
上表辭疾 願終林下 薛簡曰京城禪德


皆云 欲得會道 必須坐禪習定 若不
因禪定 而得解脫者未之有也 未審師
所說法如何 師曰道由心悟 豈在坐也
經云若見如來 若坐若臥 是行邪道
何故無所從來 亦無所去 若無生滅
是如來淸淨禪 諸法空寂 是如來淸淨
坐 究竟無證 豈況坐也 簡曰弟子之廻
主 上必問 願和尙慈悲 指示心要 師
曰道無明暗 明暗是代謝之義 明明無
盡 亦是有盡 簡曰明喩智慧 暗況煩
惱 修道之人 倘不以智惠照破煩惱
無始生死 憑何出離 師云若以智惠照
破煩惱者 此是二乘小兒羊鹿車等機
上根大智 悉不如是 簡曰如何是大乘
見解卷上第一七張 師云明與無明 其
性無二 無二之性 即是實相 實相者
處凡愚而不減 在賢聖而不增 住煩惱
而不亂 居禪定而不寂 不斷不常 不
來不去 不在中間及其內外 不生不滅
性相如如 常住不遷 名之曰道 簡曰
師所說不生不滅 何異外道 師曰外道
所說不生不滅者 將滅止生 以生現滅
滅猶不滅 生說無生 我說不生不滅者
本自無生 今亦無滅 所以不同外道


汝若欲知心要 但一切善惡 都莫思量
自然得入淸淨心體 湛然常寂 妙用恒
沙 簡蒙師指敎 豁然大悟
六祖謂衆曰 有一物 上拄天下拄地 明
如日黑似漆 常在動用中 動用中收不
得 汝等諸人 喚作甚麽 沙彌神會出
衆曰 諸佛之本源 神會之佛性 祖曰
我喚作一物 尙自不中 那堪喚作本源
佛性
又偈云 菩提本非樹 明鏡亦非臺 本
來無一物 何處惹塵埃
又云兀兀不修善 騰騰不造惡 寂寂絶
見聞 蕩蕩心無着
又云惠能沒伎倆 不斷百思想 對鏡心
數起 菩提作麽長
又云有念念成邪 無念念即正
淸源行思禪師 問六祖 當何所務 即
不落階級 祖曰汝曾作甚麽來 師云聖
諦亦不爲 祖曰落何階級 師曰聖諦尙
不爲 何階級之有 祖深器之
讓和尙初叅六祖 祖問什麽處來 曰嵩
山來卷上第一八張 祖曰甚麽物伊麽
來 曰說似一物即不中 祖曰還假修
證不 曰修證即不無 汚染即不得 祖


曰只這不汚染底 是諸佛之所護念 汝
旣如是 吾亦如是
師因馬祖多習坐禪 一日將甎 於菴前
磨 祖問磨甎作甚麽 師曰磨作鏡 祖
曰磨甎豈得作鏡 師曰磨甎旣不成鏡
坐禪豈得成佛 祖曰如何即是 師曰比
牛駕車 車若不行 打牛即是 打車即是
永嘉玄覺大師 到曺溪 振錫而立 祖云
夫沙門者 具三千威儀八萬細行 大德
自何方而來 生大我慢 師云生死事大
無常迅速 何暇具禮儀在 祖曰何不體
取無生 了無速乎 師云體則無生 了
本無速 祖曰如是如是 師方具威儀
叅禮 須臾告辭 祖曰返大速乎 師云本
自非動 豈有速耶 祖曰誰知非動 曰
仁者自生分別 祖曰汝甚得無生之意
曰無生豈有意也 祖曰無意誰當分別
曰分別亦非意也 祖歎曰善哉善哉
師云心是根法是塵 兩種猶如鏡上痕
痕垢盡除光始現 心法雙忘性即眞
又 了了見無一物 亦無人亦無佛 大
千沙界海中漚 一切聖賢如電拂
又 不求眞不斷妄 了知二法空無相
無相無空無不空 即是如來眞實相


卷上第一九張
又 諸行無常一切空 即是如來大圓覺
又 不可毁不可讃 體若虛空勿涯岸
不離當處常湛然 覓則知君不可見
又 證實相無人法 刹那滅却阿鼻業
若將妄語誑衆生 自招㧞舌塵沙劫
又 有二比丘犯婬殺 波離螢光增罪
決 維摩大士頓除疑 猶如赫日消霜雪
如云但從顚倒生 無有住處 又如念體本空 所變何實
師云知身虛幻 無有自性 色即是空
誰是我者 一切諸法 但有假名 無一
定實 是我身者 四大五陰 一一非我
和合亦無 內外推求 如水聚沫 浮泡
陽熖 畢竟無人 無明不了 妄執爲我
於非實中 橫生貪着 煞生偸盜 婬穢
荒迷 竟夜終朝 矻矻造業 雖非眞實
善惡報應 如影隨形 應自觀身 實相
觀佛亦然 故云道在目前 心佛衆生
三無差別
忠國師一日喚侍者 侍者應喏 如是三
喚 侍者三應 師曰將謂吾辜負汝 却
是汝辜負吾
忠國師因僧問 如何是本身盧舍那 師
云與我過淨瓶來 僧將淨瓶到 師云却


安舊處着 僧復問如何是本身盧舍那
師云古佛過去久矣
忠國師因僧問 如何是一念相應 師曰
憶智俱忘 即是相應 僧曰憶智俱忘
誰見諸佛 師曰忘即無 無即佛 僧曰
無即言無 何得喚作佛 師曰無亦空 佛
亦空卷上第二○張 故曰無即佛 佛即

忠國師因肅宗 帝請看戱 師云有甚麽
身心看戱 帝再請 師云幸自好戱
忠國師問僧 近離甚處 云南方 師云
南方知識 以何法示人 云南方知識
只道一朝風火散後 如虵退皮 如龍換
骨 本爾眞性 宛然不壞 師云苦哉苦
哉 南方知識說法 半生半滅 半不生
滅 僧云南方知識即如是 未審和尙
此間說何法 師云我此間身心一如 身
外無餘 云和尙何得將泡幻之身 同於
法體 師云你爲什麽 大於邪道 云甚
麽處是某甲入於邪道處 師云不見敎
中道 若以色見我 以音聲求我 是人
行邪道 不能見如來
忠國師因僧問 敎中但見有情作佛 不
見無情受記 且賢劫千佛 孰是無情佛


耶 師云如皇太子 未受位時 唯一身
耳 受位之後 國土盡屬於王 寧有國
土 別受位乎 今但有情受記作佛之時
十方國土 悉是遮那佛身 那得更有無
情受記耶
忠國師因靈覺僧問 發心出家 本爲求
佛 未審如何用心即得 師云無心可用
即得成佛 曰無心可用 阿誰成佛 師
云無心自成 佛亦無心 曰佛有大不可
思議 爲能度衆生 若也無心 阿誰度
衆生 師曰無心是眞度衆生 若見有生
可度者 即是有心 宛然生然卷上第二
一張
忠國師因僧問 作麽生相應去 師云善
惡不思 自見佛性 又佛與衆生 一時
放下 當處解脫
荷澤神會禪師示衆云 不思一物 即是
自心 非智所知 更無別行 悟入此者
眞三麽提 法無去來而前後際斷 故知
無念爲最上乘 告諸學衆 無外馳求
若最上乘禪 應當無作
又云無念爲宗 無作爲本 夫眞如無念
非想念而能知 實相無生 豈色心而能
見 無念念者 即念眞如 無生生者 即


生實相 無住而住 常住涅槃 無行而
行 即超彼岸 念念無求 求本無念
師因光寶問 眼耳緣聲色時 爲復抗行
爲有廻互 師曰抗互且置 汝指何法
爲聲色之體 寶云如和尙所說 即無有
聲色可得 師云若了聲色體空 亦信眼
耳諸根 及與凡聖 平等如幻 抗行回
互 其理昭然 光寶於是領旨
障蔽魔王 領諸眷屬 一千年隨金剛
齊菩薩 覓起處不得 忽因一日得見
乃問汝當依何住 我一千年 覔汝起處
不得 菩薩云 我不依有住而住 不依
無住而住 如是而住
馬祖因僧問 如何是佛 答曰即心是佛
又問如何是道 答曰無心是道 又問佛
與道 相去多少 答曰道如展手 佛似
握拳卷上第二二張
馬祖曰道不屬修 若言修成 修成還壞
即同聲聞 若言不修 即同凡夫 問作
何見解 即得達道 師曰自性本來具足
但於善惡上不滯 喚作修道
祖曰人取善捨惡 觀空入定 即屬造作
更若向外馳求 轉踈轉遠 但盡三界心
量一念妄想 即是三界生死根本 但無


一念妄想 即無生死根本
祖云道不用修 但莫染汚 何爲染汚
但有生死心 造作趣向 皆是染汚 若
欲直會其道 平常心是道 何謂平常
心 無造作無是非無取捨無斷常無凡
聖 故經云 非凡夫行 非聖賢行 是菩
薩行
祖曰不盡有爲 不住無爲 有爲是無爲
之用 無爲是有爲之依 不住於依 故
經云 虛空無所依 心生滅義 心眞如
義 心眞如者 喩如明鏡照像 鏡喩於
心 像喩於法 若心取法 即涉外緣 即
是生滅義 不取於法 即是眞如義
百丈海禪師上堂云 靈光獨耀 逈脫根
塵 體露眞常 不拘文字 心性無染 本
自圓成 但離妄緣 即如如佛 百丈因
僧問 如何是大乘入道 頓悟法要 師
云你先歇諸緣 休息萬事 善與不善
世出世間 一切諸法 並皆放却 莫記
莫憶 莫緣莫念 放捨身心 全令自在
心如木石 口無所辨 心無所行 心地
如空 惠日自現 如雲開日出卷上第二
三張
百丈示衆云 學似浣垢衣 衣是本有


垢是外來 聞說一切有無聲色 如似垢
膩 都莫將心湊泊
百丈云 從人至佛 是聖情執 從人至
地獄 是凡情執 只如今但於凡聖二境
有染愛心 是名有情無佛性 只如今但
於凡聖二境 及一切有無諸法 都無取
捨心 亦無無取捨心知解 是名無情有
佛性 只是無其情繫 故名無情 不同
木石大虛黃花翠竹之無情 將爲有佛
性 若言有者 經中不見受記而得成佛
只如今鑑覺 但不被有情改變 喩如翠
竹 無不知時 無不應機 喩如黃花 又
云若踏佛階梯 無情有佛性 未踏佛階
梯 有情無佛性
百丈三種惡欲 一欲得四衆圍繞 二欲
得一切人爲我門徒 三欲得一切人知
我是聖人及阿羅漢
黃蘗運禪師 曾散衆 在洪州開元寺
裴休相國 一日入寺 見壁間畫相 問
院主云 壁間是什麽 主云高僧 休云
形儀可見 高僧向甚麽處去 主無語
休云這裏莫有禪和麽 主云有希運上
座頗似禪和 休遂召師 擧前話似之
師曰但請問來 休云形儀可見 高僧向
통합뷰어

甚麽處去 師召相公 公應喏 師曰高
僧在者裏 公於言下領旨
師又曰 此本源淸淨心體 常自圓明遍
照 世人不悟 只認見聞覺知爲心 爲
見聞覺知所覆卷上第二四張 所以不
覩精明本體 但直下無心 本體自現
如大日輪 昇於虛空 徧照十方 更無
障碍
師又云 凡夫取境 道人取心 心境雙
忘 乃是眞法 忘境猶易 忘心至難 人
不敢忘心 恐落空無撈摸處 殊不知空
本無空 唯一眞法界耳
師又云 世人聞道諸佛皆傳心法 將謂
心上別有一法 可證可取 遂將心覔法
不知心即是法 法即是心 不可將心更
求於心 歷千萬劫修 終無得日 不如
當下無心便是本法
師又云 學道人 若欲得成佛 一切佛
法 總不用學 唯學無求無着 無求即
心不生 無着即心不滅 不生不滅即是
佛 學道人 只怕一念有 即與道遠矣
念念無相 念念無爲 即是佛
師云 無心即便是行 此道 更說什麽得
與不得 且如瞥起一念 便是境 若無


一念 便是境 忘心自滅 無復可追尋
師云法本不有 莫作無見 法本不無
莫作有見 有之與無 皆是情見
又云妄本無體 即是汝心所起 汝若識
心是佛 心本無妄 那得起心 更認
於妄
又云問從何來 覺從何起 語默動靜一
切聲色 盡是佛事 何處覓佛 不可更
頭上安頭也 但莫生異見 三千世界都
來 是个自己 何處有許多般
又云善惡都莫思量卷上第二五張 當
處便出三界 如來出世 爲破三有 若
無一切心 三界亦非有
又云凡夫皆逐境生心 心遂忻厭 若欲
無境 當忘其心 心忘即境空 境空即
心滅 若不忘心 但除其境 境不可除
只益紛擾故 萬法唯心 心亦不可得
復何求哉
又云凡人臨欲 ((歹/冬)) 時 但觀五蘊皆空 四
大無我 眞心無相 不去不來 生時性
不曾來 死時性亦不曾去 湛然圓寂
心境一如 但能如是 直下頓了 不爲
三界所拘繫 便是出世人也 切不得有
分毫趣向 若見善相諸佛來迎及種種


現前 亦無心隨去 若見惡相種種現前
亦無心怖畏 但自忘心 同於法界 便
得自在 此是要節也
又云學道人 多於敎法上悟 不於心法
上悟 雖歷劫修行 終不是本佛 若不
於心悟 乃至於敎法上悟 即輕心重敎
遂成逐塊 忘於本心故 但契本心 不
用求法 心即法也
又云凡人 多爲境㝵心事㝵理 常欲逃
境 以安心併事 以存理不知 乃是心
㝵境理㝵事 但令心空境自空 理寂事
自寂 勿倒用也
又云學道人 若不直下無心 縱經塵劫
不成聖道 若能直下無心 便是究竟
南泉喚院主 主應喏 師云佛九十日
在忉利天卷上第二六張 爲母說法 時
優闐王思佛 請目連以神通 三度攝諸
匠人 往彼彫佛形相 只彫得三十 一相
唯有梵音相彫不得 院主乃問如何是
梵音相 師云賺殺人
南泉因至莊偶莊主 預備迎奉 師云老
僧居常出入 不與人知 何夙排辦 至
於如此 主云昨夜土地神來報 師云王
老師修行無力 被鬼神覷見 侍者便問


旣是大善知識 爲什麽却被鬼神覷見
師曰土地前更添一分飯着
南泉因僧問 和尙以何法示人 師曰不
是心不是佛不是物
南泉將順世 第一座問 和尙百年後
向甚麽處去 師曰山下作一頭水牯牛
去 僧云某甲隨和尙去得麽 師曰汝若
隨我 須含一莖草 始得
盤山普積禪師 因見人買肉 語屠者曰
精底割一片來 屠者放下屠刀 叉手云
長史那个不精底 師於此有省
師一日出門 見挽歌 即振鈴云 紅輪
決定沉西去 未委魂靈往那方 幕下孝
子哭云 哀哀師 身心踊悅歸來 馬大
師印可
師示衆云 心月孤圓 光吞萬相 光非
照境 境亦非存 光境俱忘 復是何物
洞山云 光境未亡 復是何物
師示衆云 似地擎山 不知山之高峻
如石含玉卷上第一七張 不知玉之無
瑕 若能如是 是眞出家
師垂語云 三界無法 何處求心 四大
本空 佛依何住 法眞一頌云
三界本因心所現 無心三界自平沉


歸宗因僧問 初心如何得个入處 師以
火筯敲鼎盖三下 問還聞麽 僧云聞
師云我何不聞 又敲鼎盖三下 問還聞
麽 僧云不聞 師云我何以聞 僧無語
師云觀音妙智力 能救世間苦
大梅臨遷化示徒云 來莫可抑 往莫可
追 從容聞鼯鼠聲 乃云即此物非他物
汝善護持 吾當逝矣
大珠惠海禪師 初叅馬祖 祖問曰從何
處來 曰越州大雲寺來 祖曰來此擬須
何事 曰來求佛法 祖曰自家寶藏 不
頋拋家散走 作什麽我這裏一物也無
求甚麽佛法 師遂禮拜問曰 阿那个是
惠海自家寶藏 祖曰即今問我者是 汝
寶藏一切具足 更無欠少 使用自在
何假向外求覓 師於言下 自識本心
不由知覺 踊躍禮謝
大珠云 身口意淸淨 是名佛出世 身
口意不淸淨 是名佛滅度
汾州云 若一毫頭凡聖情念未盡 未兔
入驢胎馬腹裏去 白雲端曰 設使一毫
頭凡聖情念淨盡 亦未免入驢胎馬腹
裏去卷上第二八張
歸宗因僧問 如何是佛 師云我今不辭


向汝道 恐汝不信 僧云和尙誠言 焉
敢不信 師云即汝是 僧云如何保任
師曰一翳在眼 空花亂墜 僧於此大悟
西山亮座主 講得二十四本經論 一日
去訪馬祖 祖問曰聞說大德甚講得經
論是否 主云不敢 祖曰將甚麽講 主
云將心講 祖曰心如工伎兒 意如和伎
者 爭解講他經論 主云心旣講不得
莫是虛空講得麽 祖曰却是虛空講得
主拂袖而出 祖召座主 主回首 祖曰
是什麽 主於是大悟 便伸禮謝 祖曰者
鈍根阿師禮拜作甚麽 主直得遍體通
身汗流 歸寺謂衆曰 我一生功夫 將
謂無人過得 今日被馬祖一問 平生功
夫冰釋而已 後乃罷講 直入西山 杳
無消息
靈默禪師 到石頭云 一言相契即住
一言不相契即行 頭據坐 師拂袖出去
頭呼云上座 師廻首 頭云從生至死
只是者漢 回頭轉腦 作甚麽 師於言
下大悟
石鞏和尙 昔爲獵人趂鹿 從馬祖菴前
過 問祖曰還見鹿過不 祖曰汝是何人
曰射獵人 祖曰汝一箭射幾箇 曰一箭


射一箇 祖曰汝不善射 云和尙解射不
祖曰解射 曰和尙一箭射幾箇 祖云我
一箭射一羣 曰彼此生命 何得射一羣
祖曰汝知如此 何不自射 曰若敎某甲
自射 直是無下手處 祖曰這漢廣劫無
明 今日頓息 石鞏當時擲下弓箭 投
祖出家 後在嵒頭會下 一日頭問曰
如在者裏作甚麽卷上第二九張 答云
我在者裏牧牛 頭曰汝作麽生牧 曰一
廻落草去 驀鼻曳將回 頭曰善牧1)▩

藥山一日坐次 石頭見之 問曰汝在者
裏作甚麽 師曰一切不爲 頭曰伊麽則
閑坐也 師曰若閑坐則爲也 頭曰汝道
不爲 且不爲个甚麽 師曰千聖亦不識
頭以偈讃曰
從來共住不知名 任運相將只麽行
自古聖賢猶不識 造次凡流豈易明
潙山在百丈爲典坐 百丈將選大潙主
人 乃請首座對衆下語 出格者當與住
持 即指淨瓶云 不得喚作淨瓶 汝喚
作什麽 首座曰不可喚作本 ((木/‘突)) 也 丈不
肯 乃問師 師踢倒淨瓶 丈笑曰第一
座輸却山子了也


潙山因仰山問 如何是眞佛住處 師云
以思無思之妙 返思靈焰之無窮 思盡
還源 性相常住 理事不二 眞佛如如
仰山言下頓悟
潙山問仰山 妙淨明心汝作麽生會 仰
山云 山河大地日月星辰 師云汝只得
其事 仰云和尙適來問甚麽 師云妙淨
明心 仰云喚作事得麽 師云如是如是
趙州問南泉 如何是道 泉云平常心是
道 師云還假趣向不 泉云擬向即乖
師云不擬如何知是道 泉云道不屬知
不知 知是妄覺 不知是無記 若是眞達
不擬之道 猶如大虛 廓然虛豁 豈可
强是非耶 師於言下大悟卷上第三○張
趙州因僧問 如何是祖師西來意 師云
庭前栢樹子 僧云和尙莫將境示人 師
云我不將境示人 僧云如何是祖師西
來意 師云庭前栢樹子
趙州因僧問 學人乍入叢林 乞師指示
師曰喫粥了也未 僧云喫粥了 師云洗
鉢 ((亐/皿)) 去 其僧大悟
趙州因嚴陽尊者 問一物不將來時如
何 師云放下着 尊者曰一物不將來
放下个什麽 師云伊麽則擔取 去 尊者


大悟
趙州因有一婆子施財請轉大藏經 師
下禪床 繞一帀云 轉藏已了人 回擧
似婆子 婆云比來請轉大藏 如何和尙
只轉半藏
趙州聞俗行者勘僧云 我有十貫錢 若
有人下得一轉語 即捨此錢 師戴笠子
便行 拈云武帝求仙不得仙 王喬端坐
却升天
師到茱萸和尙處 執杖子 於法堂上
從東邊過西邊 萸便問作甚麽 州云探
水 萸云我者裏一滴也無 探个甚麽
州靠却杖子便出
忠國師因西天大耳三藏到京云 我得
他心通 肅宗帝請國師試驗 師問汝得
他心通耶 曰不敢 師云汝道 老僧即今
在甚麽處 曰和尙是一國之師 何得去
西川 看競渡船 師良久 又問汝道 老
僧即今在甚麽處 曰和尙是一國之師
何得向天津橋上 看弄猢猻 師第三問
卷上第三一張 三藏罔知去處 師叱之
云 這野狐精 他心通在什麽處 三藏
無對如云自處之際不露心跡 諸天捧花無路 魔外潜覷不見 乃至佛眼也覷不見 又世尊三昧
▩疑「善」{編}。


迦葉不知 迦葉三昧 世尊不知 世尊三昧 世尊亦不知也
忠國師因僧問 如何是古佛心 師曰墻
壁瓦礫如云墻壁瓦礫皆有佛性
道明和尙 自黃梅趂逐盧行者 至大庾
嶺 及行者擲衣鉢於石上曰 此衣表信
可力爭耶 任公將去 明擧之不動 乃
曰我爲法來 非爲衣鉢 願行者開示
行者乃令坐石上冥心 因語之曰 汝不
思善不思惡 正當伊麽時 那个是明
上座本來面目 明於言下大悟 通身汗
流 泣禮而去
惟寛和尙 因白居易問 旣無分別 何以
修心 師云心本無損傷 云何要修理 無
論垢與淨 一切勿起念 又問垢則不可
念淨無念可乎 師曰如人眠睛上 一物
不可住 金屑雖珎寶 在眼亦爲病 又
問無修無念 又何異凡夫 師曰凡夫無
明 二乘執着 離此二病 是爲眞修 眞
修者 不得勤不得忘 勤則近執着 忘
則落於無明 此爲心要
鹽官和尙會下 有一主事僧將死 鬼使
來取 僧告云 某甲身爲主事 未暇修
行 乞容七日得不 鬼使曰 待爲白王
王若許之 則七日後來 不許則須臾便


來 言訖去至七日後 方來覓其僧 不得
見如云牛頭見四祖後 百鳥含花覔不得一般 卷上第三二張
衡岳惠思禪師 常習坐 日唯一食 誦
法華等經 遂發道心 乃往惠聞禪師處
受法 晝夜攝心 坐夏經三七日 獲宿
智通 倍加精進 尋有障起 四支緩弱
不能行步 自念曰病從業生 業由心起
心源無起 外境何狀 病業與身 都如
雲影 如是觀已 顚倒想滅 輕安如古
夏滿猶無所得 深心慚媿 放身倚壁
背未至間 豁爾大悟法華三昧 最上乘
禪 一念明達
鳥窠和尙因侍者會通 一日辭去 師
乃問汝今何往 曰某甲爲法出家 不蒙
和尙垂慈示誨 今往諸方 學佛法去
師云若是佛法 吾此間亦有小許 云如
何是和尙此間佛法 師於身上拈起布
毛吹之 侍者因此大悟
大潙云 可惜 者僧認他口頭聲色 以
當平生 不知自己光明 盖天盖地 觸
處現成
懶安和尙示衆云 汝等諸人 總來者裏
就安求覓个什麽 若欲作佛 汝自是佛
而却傍家門走怱怱 如渴鹿趂陽焰 何


時得相應去 阿你欲作佛 但無如許顚
倒攀緣 妄想惡覺 垢欲不淨 衆生之
心 即汝便是初心正覺佛 更向何處別
討 汝等諸人 各自有無價大寶 從眼門
放光 照山河大地 耳門放光 領釆一
切善惡音聲 六門晝夜常放光明 亦名
放光三昧 汝自不識 取影在四大身中
內外扶持 不敎傾側 如人負重擔 從
獨木橋上過卷上第三三張 亦不敎失
脚 且道是什麽物 恁麽扶持 便得如
是不傾不側 汝若覓見 毫髮即不見
故志公云 境上施爲渾大有 內外中間
覓總無
梁山緣觀禪師 因大陽延問 如何是無
相道場 師指觀音像云 此是吳處士畫
延擬進語 師急索云 這个是有相底
如何是無相底 延於言下有省禮拜 乃
歸本位立 師云何不道取一句子 延云
道則不辭 恐上紙墨 師呵呵云 此語
上石去 在後果上碑
無業國師謂弟子惠愔等曰 汝等見聞
覺知之性 與大虛同壽 不生不滅 一
切境界本自空寂 無一法可得 迷者不
了 即爲境惑 一爲境惑 流轉無窮 汝


等當知 心性本自有之 非因造作 猶如
金剛 不可沮壞 一切諸法 如影如夢
無有貞實 故經云 唯有一事實 餘二
即非眞常 了一切空 無一法當情 是
諸佛用心處 汝等勤而行之 言訖歸寂
大原孚上座 在楊州光孝寺 講涅槃經
有一禪客 阻雪在寺 因往聽講 至廣
談法身妙理 禪客不覺失笑 孚講罷
請禪客喫茶次白曰 某甲素志狹劣 但
依文解義 適蒙見笑 且望見敎 禪客
曰實笑座主不識法身 孚曰何處不是
禪客曰不道座主說不是 只是个說得
法身量邊事 實未證法身在 孚曰旣然
如是 禪客當爲我說 禪客曰我不辭說
還信不卷上第三四張 孚曰焉敢不信
曰若如是 座主暫輟講 旬日於室中 端
坐靜慮 收心攝念 善惡諸緣 一時放下
孚一依所敎 從初夜至五更 聞鼓角聲
忽然大悟私曰此與圓悟勤和尙 見雞飛上欄干鼓翼而鳴 忽然大悟一般
葉縣省和尙 一日念和尙問曰 喚作竹
箆子則觸 不喚作竹箆子則背 且道合
喚作甚麽物即得 省於此大悟 遂於手
中製得竹箆子 拗折擲于階下 却云是
甚麽


省和尙因僧請益 擧趙州庭前栢樹子
話 省云我不辭與汝說 汝還信不 僧
云和尙重言爭敢不信 省曰汝還聞簷
頭雨滴聲麽 其僧豁然大悟 禮拜 省曰
汝見个甚麽道理禮拜 其僧便以頌對
曰 簷頭雨滴分明歷歷 打破乾坤當下
心息 省大忻然曰 汝會得祖師禪也
良遂座主 初叅麻谷 谷見來 便將鉏
頭去鉏草 良遂到鉏草處 谷殊不顧
便歸方丈閉却門 遂次日復去谷 又閉
却門 遂乃敲門 谷問阿誰 云良遂 才
稱名 忽然大悟云 和尙莫 ((言+(澷-氵))) 良遂 良
遂若不來禮拜和尙 何有今日事 洎被
經論 賺過一生
慈明和尙 見泉大道來 乃曰片雲橫谷
口 遊人何處來 泉顧示左右云 夜來
何處火 燒出古人墳 師曰未在更道
泉作虎聲 師打一坐具 泉推師就座
師却作虎聲 泉曰我歷叅七十餘員善
知識 今日始遇作家
蜆子和尙 居無定所 自印心於洞山
混俗閩川卷上第三五張 常日㳂江岸
採掇蝦蜆 以充朝夕 暮則臥東山白馬
廟紙錢中 居民目爲蜆子和尙 華嚴休


靜禪師聞之 欲決眞僞 一日先潜大紙
錢叢中 深夜蜆子歸來 休靜忽出把住
問曰 如何是祖師西來意 蜆子即答曰
神前酒臺盤 靜奇之懺謝而退私曰此與庭前栢樹
子麻三斤乾屎橛一般 本分宗師答話 具色聲言語 正是祖師禪
無住和尙 因杜相公問 弟子聞和尙說
無憶無念莫妄想三句法門是不 曰然
公曰此三句是一是三 曰無憶名戒 無
念名定 莫妄想名慧 一心不生 具戒
定慧 非一非三也 公曰有據不 曰法
句經云 若起精進心 是妄非精進 若能
心不妄 精進無有涯 公聞之疑情頓釋
越山和尙 初叅雪峰 未染玄旨 後因
閩王 請於淸風樓上赴齋 坐久擧目
忽覩日光 豁然大悟而有頌曰 淸風樓
上赴官齋 此日平生眼豁開 方信普通
年遠事 不從葱嶺付將來如玄沙 1)禾上云彼處虛空 此處虛
空 我身無有 痛自何來 休休 達 2)麻不來東土 二祖不往西天
長沙岑禪師 因見竺尙書 師喚尙書
書應喏 沙云不是尙書本命 書云不可
離却 即今祗對 別有个第二主人公也
沙云喚尙書作至尊得麽 書云恁麽則
總不祗對 和尙莫是弟子主人公不 師
「禾」疑「和」{編}。「麻」疑「磨」{編}。


云非但支對與不支對時 從無始劫來
是个生死根本 乃示偈曰
學道之人不識眞 只爲從來認識神
無量刧來生死本 癡人喚作本來人
惠安國師 與北宗神秀 被武后召入禁
中供養卷上第三六張 因澡浴以宮姬
給侍 唯師怡然無他 后歎曰入水始知
有長人 頌云
(((秦-禾)+示)) 苑仙娃白玉腮 薔薇行水洒寒灰
柴門草戶無關鑰 磊落金鎚擊不開
安國師 因武后問師甲子 師對曰不記
后曰何不記耶 師云生死之身 其若循
環 環無起盡 焉用記爲 況此心流注
中間無間 見漚起滅者 乃妄想耳 從
初識至動相滅時 亦只如此 何年月而
可記乎 於是武后稽首信受
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節要卷上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 白雲和尙抄錄 佛祖直指心體要節卷上(ABC, H0100 v6, p.604c02-620a1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