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의 시집이 출간되어 그 시집에 수록된 작품을 시평한 친구와 함께 만났다. 인사동에 나갔다가 음식점 거리의 꽃들과 영주에서 올라온 순흥군초군농악패의 농악놀이를 구경했다. 길에 나온 사람들 수는 옛날의 명동거리였고 외국인들도 상당수 있었는데 길놀이하는 농악패를 향해 카메라 셔터를 눌러댔다.

천상병 시인은 갔지만 그의 부인이 경영하던 귀천다방은 남아 있었다.청계천에 나가니 지각한 이팝나무꽃들이 오월 햇살에자태를 자랑하고냇가엔 찔레꽃 향기가 진동했다.

저녁이 오면 수입 미국소고기의 연령 제한을 무제한으로 푼 정부의 태도에 뿔난 시민들의 촛불집회가 열릴 것이다. 입장 차이는 있겠지만 미국정부와 한국정부의 국민을 위하는 마음이 너무 비교된다. 광우병의 원인이 되는 특정위험물질(SRM)인 변형 프리온 단백질의 99.87%는 소의 뇌, 눈, 혀, 편도, 척수, 두개골, 소장끝부분에 있다고 한다. 소는 버릴 게 없다고 우길 일이 아니다. 1980년대 축산업자들이 우유 생산량을 늘이기 위해 단백질을 공급하느라 소의 부산물을 사료에 섞여 먹인 게 화근이었다 한다.

광우병 논란과 전국으로 확산된 AI(조류인플루엔자)로 인해 축산 농가와 유통업자들은 속이 타들어간다. 일자리를 잃어버릴 판국이니 이를 어이해야 하나? 천상병 시인이 살아계신다면 지금도 "아름다운 이 세상"이라고 노래할까?

아래 창에서 천상병 시인에 대해 이야기한 바 있습니다.

http://blog.paran.com/kydong/24586566

http://blog.paran.com/kydong/24592140

 

귀천(歸天)

―主日-

나 하늘로 돌아가리라.

새벽빛 와 닿으면 스르지는

이슬 더불어 손에 손을 잡고.


나 하늘로 돌아가리라.

노을빛 함께 단둘이서

기슭에서 놀다가 구름 손짓하며는,

나 하늘로 돌아가리라.

아름다운 이 세상 소풍 끝내는 날,

가서, 아름다웠더라고 말하리라……

 


























'생활의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사동 밤풍경  (1) 2008.06.02
한전의 덩굴장미  (0) 2008.05.25
여보와 당신  (2) 2008.02.26
토박이 이름과 한자 이름  (1) 2008.02.21
사주팔자 찾는 법  (2) 2008.02.15




[사진] 파리 샹젤리제 거리의 명물 개선문. 1983년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등재된 인도

무굴제국의 대표적 건축물인 타지마할[펌]

[주]

중학동기 홈피에 아래의 글을 퍼다가 올린 이가 있어 바로잡아 보았습니다. 그 친구는 어제

대통령 취임식에 초대되었기에 안부인사까지 했습니다.

아래에 승진, 영전한 중학동기가 있어 부록으로 첨부했습니다.

여보(如寶)는 같을 如(여)자와 보배 보(寶)이며 보배와 같이 소중하고
귀중한 사람 이라는 의미지요.

당신(當身)이라는 말의 뜻은 마땅할 당(當)자와 몸 신(身)자.

바로 내 몸과 같다는 의미가 '당신'이란 말의 뜻입니다.

어제는 추운 날씨에 장시간 고생 많으셨수.
그러나 소수의 영광된 자리임을 기억하고 계속 영광의 자리를 지켜 나아가길 빕니다.


포항 모여고 앞 노점상으로 인생을 시작한 가난한 소년은 운동권출신으로 분류되어
취업이 불가능한 블랙리스트에 올랐으나 청와대 민원실에 넣은 탄원서가 처리되어
대기업에 취업, 그 회사의 회장을 거쳐, 서울시장, 드디어 청와대 사랑방을 차지했습니다.
그는 어제도 신화는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다만 땀과 피와 눈물의 결정체를 사람들은
신화라고 말한다는 거죠.
---죽도시장 떡볶이 아줌마 박종분 씨(59세)는 시당국의 노점상 철거 문제로 화제의 주인공이
되어, 네티즌들의 뜨거운 지원사격에 힘입어 어제 취임식에도 초대받았대잖아요.
유세 기간에도 대통령 후보를 붙잡고 20분간 어려움을 하소연했다는군요. 박씨 아줌마께도
박수를 보냅니다. 신화 주인공 옆에 찬조 출연하면 그분도 신화적 인물이 되는 거라예---

신화 주인공의 화두는 개인과 기업과 국가의 글로벌화를 통한 선진화, 실용, 경쟁 등을
많이 얘기했는데, 대통령 취임사에 나타난 네 가지 키워드는 '실용· 선진화·변화·화합'
이라 정리했더군요.

호칭 문제인데, 퍼온 글이라도 운영자가 그렇게 얘기하면 진짜인 줄 알아여.
운영자는 홈피에서는 무소부재(無所不在), 무소불위(無所不爲)하신 분이니까.

여보, 당신,
부부간의 호칭으로 정겨운 말이군요.
두 단어 모두 어느 쪽에서 사용해도 상관없습니다.
품사는 감탄사와 대명사의 차이가 있군요.

女寶는 제흥에 겨워 제멋대로 만든 한자이고. '여기 보오', 또는 '여기 보시오'의
어원이 정설입니다.
당신은 대명사로 “여보”와 마찬가지로 부부간에 어느 쪽에서나 사용이 가능하며,
쌈박질할 때는 낮잡아 부르는 말이 됩니다.
사전의 풀이를 옮깁니다.


여보 [감탄사]
1 어른이, 가까이 있는 자기와 비슷한 나이 또래의 사람을 부를 때 쓰는 말.
*여보, 주인장 술상 좀 봐 주시오.
*여보, 어디를 그렇게 바삐 가시나?
2 부부 사이에 서로 상대편을 부르는 말.
*여보, 오늘은 큰애 생일이니 일찍 들어오세요.
(어원)여보 : 부부간에 서로를 부루는 호칭. '여기 보시오'가 줄어서 된 말이다.
처음에는 그다지 친하지 않거나 서먹한 사이에 있는 사람을 부를 때 사용하였으며,
지금도 흔히 '여보'. '여보쇼'와 같이 쓰이고 있다.

당신 [當身] [대명사]
1 듣는 이를 가리키는 이인칭 대명사. 하오할 자리에 쓴다.
• 당신은 누구십니까?
2 부부 사이에서, 상대편을 높여 이르는 이인칭 대명사.
• 당신의 아내 보냄.
• 당신, 요즘 직장에서 피곤하시죠?
• 당신에게 좋은 남편이 되도록 노력하겠소.
3 맞서 싸울 때 상대편을 낮잡아 이르는 이인칭 대명사.
• 뭐? 당신? 누구한테 당신이야.
• 당신이 뭔데 참견이야.
4 ‘자기’를 아주 높여 이르는 말.
• 할아버지께서는 생전에 당신의 장서(藏書)를 소중히 다루셨다.
• 아버지는 당신과는 아무 상관없는 사람이라도 강자가 약자를 능멸하는 것을
보면 참지 못하신다.



[부1]승진인사

채종대 교장님, 승진을 축하합니다

교장 승진을 축하합니다.
입심도 탁월하시고 술실력도 대단하시니
지도력은 일러 무삼하리오.

채교장님은 술을 좋아하시니 술 덕담 하나 하리이다.
<명심보감>에도 실린 사마천 <사기>의 글입니다.

史記에曰 郊天禮廟는 非酒不享이요 君臣朋友는 非酒不義요
사기 왈 교천예묘 비주불향 군신붕우 비주불의
鬪爭相和는 非酒不勸라 故로 酒有成敗而 不可泛飮之니라.
투쟁상화 비주불권 고 주유성패이 불가범음지

사기에 말하기를
하늘에 제사를 지내고 사당에 제례 올릴 때에는
술이 아니면 신령이 제물을 받지 않을 것이요.
임금과 신하 벗과 벗 사이에는 술이 아니면
의리가 두터워지지 않을 것이요,
싸움을 하고 서로 화해함에는 술이 아니면 권하지 못하느니라.
그러므로 술은 성공과 실패를 얻는 것으로
가히 함부로 마시지 못하느니라.

술이야 음식의 엑기스이지요. 그러나 지나치면 간을 망칩니다.
어려운 일이지만 적당히 마셔 화해 무드만 조성하고 건강을 돌보시기 바랍니다.

Congraturation!!

[부2]영전인사

고명원 교육장님, 영전을 축하합니다

고 교육장님,
먼저 영전을 축하합니다.
그동안 여러 학교 맡으셔서 고생 많으셨습니다.
영주가 그 지역에서는 교통의 요충지여서
상당히 큰 지역으로 알고 있습니다.
관할구역이 넓어 계속 수고 많으시겠습니다.

고교육장님은 언제 봐도 타지마할처럼 정돈된 인상입니다.
중학교 졸업 후 대면한 적은 없지만 지난 번 교육상 시상식 사진 등을 통해 몇 번 접했습니다.
나는 동국대학교(경주) 국문학과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기회가 닿으면 한 번 뵙도록 하겠습니다.

덕담 한 마디 올릴께요. 사마천의 <사기>열전 제70 ‘태사공 자서’에 나오는 말인데,
사실은 내가 좋아하는 말입니다. 인생을 해석하거나 가르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凡人所生者神也 所託者形也. 神大用則竭하고 形大勞則敝 .
범인소생자신야 소탁자형야 신대용즉갈 형대로즉폐
形神離則死. 死者不可復生하고 離者不可復反 故聖人重之.
형신리즉사 사자불가부생 리자불가불반 고성인중지

由是觀之컨대 神者生之本也요 形者生之具也. 不先定其神[形]하고서
유시관지 신자생지본야 형자생지구야 불선정기신[형]
而曰「我有以治天下.」라 하면 何由哉?
이왈 아유이치천하 하유재

무릇 사람이란 살아 있는 것은 정신이고, 정신이 의탁하는 것은 육신이다.
정신은 크게 쓰면 고갈되고, 육신은 크게 쓰면 무너진다.
육신과 정신이 분리되면 죽는다. 죽은 자는 다시 살아날 수 없고
분리된 것은 다시 돌이킬 수 없다. 그러므로 성인은 이것을 중히 여긴다.
이로써 보건대, 정신은 생명의 근본이고 육신은 생명의 도구이다.
먼저 그 정신[육신]을 정하지 않고서 「내가 천하를 다스릴 것이다.」
라고 말한다면 무엇을 말미암을 것인가?

사마천은 전한 시대 사람인데 어떻게 정신과 육체를 이처럼 간단명료하게 정리했을까요?
과연 춘추시대를 지나 백가쟁명(百家爭鳴)의 제자백가 시대인 전국시대를 거친지라
인생에 대한 지혜가 많이 축적되었나 봅니다. 사마천은 눈에 보이는 것만을 믿는 현실론자
였던가 봅니다.

교육장님 영전을 다시 한 번 축하합니다.

[주]
사마천 (BC145~BC86)
BC 108년 태사령 임명
BC 104년 태초력(太初曆)의 제정에 참여
BC 99년 이릉의 패전을 합리화하는 발언하다가 궁형(宮刑) 당함.
BC 95년 중서령(中書令) 임명
BC 90년 사기(史記) 완성. 부명(父命)에 따른 수성(守成)의 업적임.

'생활의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전의 덩굴장미  (0) 2008.05.25
인사동 풍물 & 청계천 찔레꽃  (0) 2008.05.10
토박이 이름과 한자 이름  (1) 2008.02.21
사주팔자 찾는 법  (2) 2008.02.15
태음력에 관하여  (4) 2008.02.14

[사진] 현지가이드가 중학교 유니온 영어교과서 표지에 나왔던 다리라고 총기를 자랑한

런던의 템즈강 다리를 배경으로 한 방 박았습니다. 큰배가 통과하면 부산 영도다리처럼

다리 한가운데가 갈라져 위로 들린다는군요. 한 관광객이 제일 높은 곳이 들리냐고 물어

한바탕 웃었습니다. 가운데다리 말고요. 맨아래쪽 다리가 들리겠지요. 저 다리에 가운데

다리는 본시없었군요. 해거름에 찍어 너무 어두워 다른 사진 한 장 펌했습니다.

강 반대편에서 찍었군요.

[주]운영자님이 자기 아명이 '실갱이'라고 소개한 데 힘입어 관심있는 다른 독자를 위해,

그리고 꼬리글이 너무 무거워 답글로 이사했습니다.

아하, 그렇군요. 명문 호서남 출신들은 '시렁'을 '실강'이라 하는군요.
함창에서는 '살강, 실강, 설강 "을 두루 다 씁니다. 그 왜 있잖아요.

동요 "살강 밑에 다람쥐"라구요.
아니, "살강 밑에 새양쥐"군요.

달강달강 달강달강우리애기 잘도 잔다
서울 가서 산 밤 한되 살강 밑에 묻었더니
머리 감은 새양쥐가들락날락 다까먹고
껍데기만 남았구나.

이런 자장가 들었거나 불렀던 기억 안 나나요?
'살강'의 표준말은 '시렁'입니다.

사전의 풀이를 옮깁니다.

설강 (정지에서 설거지를 한후) [그릇을 엎어 두는곳]을 이르는 경상도 사투리.

시렁 [명사]물건을 얹어 놓기 위하여 방이나 마루 벽에 두 개의 긴 나무를 가로질러

선반처럼 만든 것.


사전에서, '토박이 이름과 한자 이름' 에 대한 설명을 옮긴다.


http://100.naver.com/100.nhn?docid=728896


처음에는 토박이말로 지었던 이름이 한자의 유입과 함께 한자 이름으로 지어지면서

오늘에 이른다. 이름에도 여러 가지 형태가 있다. 아명(兒名) ·관명(冠名) ·자(字) ·

호(號) ·시호(諡號) 등이 그것이다.

아명은 어린아이 때의 이름이다.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경우 이(珥)는 관명이지만,

아명은 그의 어머니 신사임당(申師任堂)이 꿈에 용을 보았다 하여 현룡(見龍)이라

하였다. 자는 숙헌(叔獻)이고 호는 율곡 외에도 석담(石潭) ·우재(愚齋) 등이 있다.

관명은 장성해서 그 집안의 항렬에 따라 짓는 이름이고, 자는 대체로 혼인한 후에

본이름 대신 부르는 이름으로 일상생활에서는 어른 아닌 사람들이 이 자를 불렀다.

--[편자주]字는 혼인과 상관없이 관례 시에 부여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꼬리글에서 처리한다.
그러나 자는 남자에게만 주어지고 역(役)도 관명도 없는 여자에게는 자가 없다.

편자는 과문하여 여성의 자를 본적이 없다.--

호는 자 이외에 쓰는 아명(雅名)으로 학자 ·문인 ·서화가들이 가지는 또 하나의

이름이었고, 시호는 경상(卿相)이나 유현(儒賢) 등이 죽은 뒤 임금이 그 행적을

칭송하면서 추증하는 이름이었다.

오늘날에는 그 중에서 아명 등은 거의 없어지고 관명 ·호 정도가 남아 있을 뿐이다.

특히, 아명은 대체로 무병장수를 염원하면서 천하게 짓는 경향이 있어 개똥이 ·

쇠똥이 ·말똥이 등의 이름도 흔했다. 관명이 ‘熙’였던 고종 황제의 아명이

개똥이였고, 황희(黃喜)의 아명은 도야지(都耶只)였음이 그 사례이다.

아명이 그대로 관명으로 되어 한자로 ‘介東 ·啓東 ·召東 ·蘇同 ·馬銅 ·馬東’으로

되기도 하였다.

--위의 이름은 모두 개똥, 쇠똥, 말똥을 한자로 음사한 것임다--

이상은 사대부 집안 남자의 경우이고, 서민들은 아명으로 평생을 살다 가기도 하였다.

여성의 경우, 특별한 사례 외에는 출가와 함께 아명은 없어지고 대신 택호(宅號)가

따랐다. 이름을 한자로 지을 경우의 성명 3자 가운데에서 선택권은 1자밖에 없다

(외자이름도 있지만).

성과 항렬은 정해져 있기 때문이다. 남은 1자도 같은 항렬의 동명이인을 피해야 하고

가까운 조상의 이름에 나오는 글자도 피했다.

한자가 들어오기 이전의 이름은 토박이말이었으나, 한자의 유입과 성(姓)의 보급에

따라 한자식 이름으로 차츰 바뀌어 내려오는 현상은 땅이름의 경우와도 상통한다.

사람의 이름이 한자로 바뀌는 것은 땅이름이 한자화했던 신라 경덕왕(景德王)

이후부터 심화한 것으로 여겨진다.

《삼국사기(三國史記)》나 《삼국유사(三國遺事)》에 한자로 표기되어 있는 이름에서도

그것이 토박이 이름이라는 사실은 금방 알 수 있다.

가령 신라의 시조왕 ‘赫居世’부터가 그렇다. ‘불거뉘’의 한자 표기이기 때문이다.

또 3대왕 ‘儒理’와 14대왕 ‘儒禮’는 똑같은 ‘누리’의 음사(音寫)인 것으로 해석되고

있고, 백제의 3대왕 ‘己婁’나 20대왕 ‘蓋鹵’도 같은 토박이말의 다른 표기인 것으로

보인다. 그 당시의 상류계급에도 토박이 이름이 있으면서 권위를 나타내기 위하여

한자식 이름을 썼던 듯하다.

박제상(朴堤上)의 경우, 또다른 이름인 ‘毛末’이 그 토박이 이름이었다고 하고,

김유신(金庾信)의 두 누이동생인 보희(寶姬) ·문희(文姬)에게도 ‘阿海’ ‘阿之’와 같은

토박이 이름이 있었음이 이를 말해 준다.

백제왕의 경우도 시조왕 ‘溫祚’로부터 23대 ‘三斤’까지는 토박이 이름의 한자

표기이고, 24대 ‘東城’부터가 한자식 이름이라고 알려져 있다.

토박이 이름과 한자 이름의 혼재(混在)는 고려시대로 이어지고, 다시 조선시대까지

이어진다. 조선시대에 와서 성이 더 많이 보급되고, 한자식 이름 또한 그에 따라

많아진 것이 사실이지만, 1910년 5월 10일에 완성된 사상 최초의 민적부(民籍簿)에

의할 때, 그때까지 성이 없는 사람의 수가 있는 사람에 비하여 1.3배였으니,

토박이 이름인 사람도 그만큼 많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때까지의 토박이 이름은 주로 하층계급 사람들의 것이었다.

그 토박이 이름의 기준은

① 출산 장소에 따른 것(부엌손 ·마당쇠),

② 간지(干支)나 달 이름에 따른 것(갑돌이 ·정월이),

③ 성격에 따른 것(억척이 ·납작이),

④ 기원을 곁들인 것(딸고만이 ·붙드리),

⑤ 순서에 따른 것(삼돌이 ·막내),

⑥ 복을 비는 천한 것(개똥이 ·돼지),

⑦ 동식물 ·어류 이름에 따른 것(강아지·도미)

등으로 크게 나눌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은 것이 동물 이름이다.

아래의 글에서 옮겼습니다.

http://www.munjung13.com/board/read.php?table=m13sarang&no=23627

'생활의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전의 덩굴장미  (0) 2008.05.25
인사동 풍물 & 청계천 찔레꽃  (0) 2008.05.10
여보와 당신  (2) 2008.02.26
사주팔자 찾는 법  (2) 2008.02.15
태음력에 관하여  (4) 2008.02.14

[사진] 그리스 신전. 신전은 망가져도 기둥은 남는군요. 숭례문도 석조로 앉힐까 봐요.

국보1호요? 복원한다면 그건 복제품이죠. 진품은 박물관에다 옮겨놓았다 할깝쇼?

사주팔자 찾는 법사주팔자(四柱八字)의사주란 태어난 년월일시(生年月日時)를 운명을 결정하는 네 개의 기둥으로 본 것이고,팔자란 태어난 년월일시(生年月日時)를 간지(干支)로 나타낸 여덟 글자, 곧 8자(八字)를 말합니다. 그래서 팔자라 합니다. 사주를 간지로 나타내면 팔자가 되니까사주와 팔자는 동의어로 봐도 됩니다.사주를 팔자로 나타내니까요.팔자타령이란 것도 무용지물이긴 하지만오죽 답답하면 그러겠어요?스트레스 해소책으로는 유용할 걸로 생각됩니다.자기의 사주팔자를 알려면 만세력을 참고해야 합니다.생년의 간지는 누구나 알지만, 月日時의 간지는 대부분 모르죠.사주단자 보낼 때, 단 한 번밖에 쓴 적이 없으니까요.나도 만세력을 보지 않으면 내 팔자를 잘 모릅니다.나는 정해년 5월19일, 저녁 보리쌀 씻을 때 태어났으이께만세력을 찾아보면, 년대표에서丁亥年 丙午月 丁亥日 까지는 쉽게 찾았네요.그런데, 酉時만 알았지 時의 간지는 잘 모르겠군요.출생시간의 간지를 몰라 결국 여섯 글자, 六字밖에 못 찾았습니다.에이쿠, 이놈의 팔자!아니, 에이쿠 이놈의 육자!---못 찾겠다, 꾀고리!----시간의 간지 찾는 법을 아는 이가 있어 물어 보았더니,“시간지조견표”를 참고하라네요.만세력 책을 넘기다 보니 뒤쪽에간단한 “時干支早見表” 하나가 나오는군요.일간과 시각으로 크게 분류하였는데일간난은 십간을 오행으로 나누어 5가지로 나누고,시간은 12지의 시간 순서로 시각 표시가 되어 있군요.丁亥日, 하오5시-동7시를 맞추니己酉라는 시의 간지가 나오는군요.나의 사주팔자는 아래와 같습니다.丁亥年 丙午月 丁亥日 己酉時이놈의 팔자 워저코롬 전개되려노?금년엔, 좀 펴질랑가?더 꼬부라질랑가?사주팔자가 운명을 결정하는 건 아니지만심심풀이로 가족들의 사주팔자를 정리해 두는 것도필요할 것 같군요.점보러 갔을 때는그분들이 알아서 짚어주지만 자녀들 혼사시킬 때는사돈될 사람에게 전해야 할 때도 있잖아요.그렇다고 팔자 펼려고 너무 애쓰지 마세요.팔자(8字) 펴지면 1字 됩니다.죽도 밥도 안 되는 거라예.부잣집 아들로 태어나거나크게 비빌 언덕을 조우하지 않은 이상,그저 우리네 고달픈 인생길은주어진 여건에 순응하여열심히 노력하며 사는 수밖에 없는 기라예.이제 자리에서 일어나,힘차게 새해 새출발을허야 쓰겄네요.다 함께 서로를 격려하며힘차게 전진하입시다.
이게 발레리 [Paul Valery] 의 시구인가요?

바람이 책장을 넘긴다

나도 한 번 살아 봐야겠다.

[주의할 점]태음력에서는, 양력 2월4일 입춘을 기준으로 해가 바뀌는 걸로 보기 때문에,2월4일 이전, 곧 입춘 이전의 양력 1월생과 2월3일까지출생한 사람들은 한 해를 앞당겨 새해가 아닌 지난 해로 처리해야 합니다.

'생활의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전의 덩굴장미  (0) 2008.05.25
인사동 풍물 & 청계천 찔레꽃  (0) 2008.05.10
여보와 당신  (2) 2008.02.26
토박이 이름과 한자 이름  (1) 2008.02.21
태음력에 관하여  (4) 2008.02.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