論語集註卷之三
八佾第三
凡二十六章通前篇末二章皆論禮樂之事
무릇 26장이니 전편의 끝 두 장을 통합하여 다 예악의 일을 논함이라.

출처: https://yeometgol.tistory.com/entry/논어論語-팔일편八佾篇-제01장?category=264986 [Yeometgol (HwaLove)]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D%8C%94%EC%9D%BC%ED%8E%B8%E5%85%AB%E4%BD%BE%E7%AF%87-%EC%A0%9C21%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팔일편(八佾篇) 제21장

팔일편(八佾篇) 제21장 哀公이 問社於宰我하신대 宰我ㅣ 對曰夏后氏는 以松이오 殷人은 以栢이오 周人은 以栗이니 曰使民戰栗이니이다 애공이 사직(신주)을 재아에게 물으신대 재아가 대답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D%8C%94%EC%9D%BC%ED%8E%B8%E5%85%AB%E4%BD%BE%E7%AF%87-%EC%A0%9C22%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팔일편(八佾篇) 제22장

팔일편(八佾篇) 제22장 子ㅣ 曰管仲之器ㅣ 小哉라 공자 가라사대 관중의 그릇이 작도다. 管仲은 齊大夫이니 名은 夷吾요 相桓公覇諸侯라 器小는 言其不知聖賢大學之道라 故로 局量이 褊淺하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D%8C%94%EC%9D%BC%ED%8E%B8%E5%85%AB%E4%BD%BE%E7%AF%87-%EC%A0%9C23%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팔일편(八佾篇) 제23장

팔일편(八佾篇) 제23장 子ㅣ 語魯大師樂曰樂은 其可知也ㅣ니 始作에 翕如也하야 從之에 純如也하며 皦如也하며 繹如也하야 以成이니라 공자 노나라 태사에게 악을 말하여 가라사대 악(풍류,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D%8C%94%EC%9D%BC%ED%8E%B8%E5%85%AB%E4%BD%BE%E7%AF%87-%EC%A0%9C24%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팔일편(八佾篇) 제24장

팔일편(八佾篇) 제24장 儀封人이 請見曰君子至於斯也에 吾未嘗不得見也ㅣ로라 從者ㅣ 見之한대 出曰二三子는 何患於喪乎ㅣ리오 天下之無道也ㅣ 久矣라 天將以夫子로 爲木鐸이시리라 의라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D%8C%94%EC%9D%BC%ED%8E%B8%E5%85%AB%E4%BD%BE%E7%AF%87-%EC%A0%9C25%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팔일편(八佾篇) 제25장

팔일편(八佾篇) 제25장 子ㅣ 謂韶하사대 盡美矣오 又盡善也ㅣ라 하시고 謂武하사대 盡美矣오 未盡善也ㅣ라 하시다 공자가 소(순임금의 음악)를 이르사대 아름다움을 다하고, 또한 선을 다했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D%8C%94%EC%9D%BC%ED%8E%B8%E5%85%AB%E4%BD%BE%E7%AF%87-%EC%A0%9C26%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팔일편(八佾篇) 제26장

팔일편(八佾篇) 제26장 子ㅣ 曰居上不寬하며 爲禮不敬하며 臨喪不哀면 吾何以觀之哉리오 공자 가라사대 위에 거함에 너그럽지 아니하며, 예를 함에 공경하지 아니하며, 상을 임해서 슬퍼하지

yeometgol.tistory.com

 

 

 

論語集註卷之三
八佾第三
凡二十六章通前篇末二章皆論禮樂之事
무릇 26장이니 전편의 끝 두 장을 통합하여 다 예악의 일을 논함이라.

출처: https://yeometgol.tistory.com/entry/논어論語-팔일편八佾篇-제01장?category=264986 [Yeometgol (HwaLove)]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D%8C%94%EC%9D%BC%ED%8E%B8%E5%85%AB%E4%BD%BE%E7%AF%87-%EC%A0%9C21%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팔일편(八佾篇) 제21장

팔일편(八佾篇) 제21장 哀公이 問社於宰我하신대 宰我ㅣ 對曰夏后氏는 以松이오 殷人은 以栢이오 周人은 以栗이니 曰使民戰栗이니이다 애공이 사직(신주)을 재아에게 물으신대 재아가 대답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D%8C%94%EC%9D%BC%ED%8E%B8%E5%85%AB%E4%BD%BE%E7%AF%87-%EC%A0%9C22%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팔일편(八佾篇) 제22장

팔일편(八佾篇) 제22장 子ㅣ 曰管仲之器ㅣ 小哉라 공자 가라사대 관중의 그릇이 작도다. 管仲은 齊大夫이니 名은 夷吾요 相桓公覇諸侯라 器小는 言其不知聖賢大學之道라 故로 局量이 褊淺하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D%8C%94%EC%9D%BC%ED%8E%B8%E5%85%AB%E4%BD%BE%E7%AF%87-%EC%A0%9C23%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팔일편(八佾篇) 제23장

팔일편(八佾篇) 제23장 子ㅣ 語魯大師樂曰樂은 其可知也ㅣ니 始作에 翕如也하야 從之에 純如也하며 皦如也하며 繹如也하야 以成이니라 공자 노나라 태사에게 악을 말하여 가라사대 악(풍류,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D%8C%94%EC%9D%BC%ED%8E%B8%E5%85%AB%E4%BD%BE%E7%AF%87-%EC%A0%9C24%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팔일편(八佾篇) 제24장

팔일편(八佾篇) 제24장 儀封人이 請見曰君子至於斯也에 吾未嘗不得見也ㅣ로라 從者ㅣ 見之한대 出曰二三子는 何患於喪乎ㅣ리오 天下之無道也ㅣ 久矣라 天將以夫子로 爲木鐸이시리라 의라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D%8C%94%EC%9D%BC%ED%8E%B8%E5%85%AB%E4%BD%BE%E7%AF%87-%EC%A0%9C25%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팔일편(八佾篇) 제25장

팔일편(八佾篇) 제25장 子ㅣ 謂韶하사대 盡美矣오 又盡善也ㅣ라 하시고 謂武하사대 盡美矣오 未盡善也ㅣ라 하시다 공자가 소(순임금의 음악)를 이르사대 아름다움을 다하고, 또한 선을 다했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D%8C%94%EC%9D%BC%ED%8E%B8%E5%85%AB%E4%BD%BE%E7%AF%87-%EC%A0%9C26%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팔일편(八佾篇) 제26장

팔일편(八佾篇) 제26장 子ㅣ 曰居上不寬하며 爲禮不敬하며 臨喪不哀면 吾何以觀之哉리오 공자 가라사대 위에 거함에 너그럽지 아니하며, 예를 함에 공경하지 아니하며, 상을 임해서 슬퍼하지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D%8C%94%EC%9D%BC%ED%8E%B8%E5%85%AB%E4%BD%BE%E7%AF%87-%EC%A0%9C01%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팔일편(八佾篇) 제01장

팔일편(八佾篇) 제01장 論語集註卷之三 八佾第三 凡二十六章通前篇末二章皆論禮樂之事 무릇 26장이니 전편의 끝 두 장을 통합하여 다 예악의 일을 논함이라. <제1장> 孔子ㅣ 謂季氏하사대 八

yeometgol.tistory.com

팔일편(八佾篇) 제01장


論語集註卷之三
八佾第三
凡二十六章通前篇末二章皆論禮樂之事
무릇 26장이니 전편의 끝 두 장을 통합하여 다 예악의 일을 논함이라.

<제1장>

孔子ㅣ 謂季氏하사대 八佾로 舞於庭하니 是可忍也ㅣ온 孰不可忍也ㅣ리오
공자 계씨를 이르사대, 여덟 열의 춤으로 뜰에서 춤을 추니 이 가히 차마하곤, 무엇을 가히 차마하지 못하리오.

[본문 해설]
한 나라의 대부가 되는 계씨가 천자 앞에서나 춤을 출 수 있는 팔일무를 자기네 집 뜰 안에서 추게 하니 무엇을 못하겠는가! 천자의 지위에서나 할 수 있는 일을 이렇게 자기 멋대로 한다면 아비 죽이고 인군 죽이는 일 등 못된 짓 또한 능사로 할 것이다.

季氏는 魯大夫季孫氏也ㅣ라 佾은 舞列也ㅣ니 天子는 八이오 諸侯는 六이오 大夫는 四요 士는 二며 每佾人數는 如其佾數니라

계씨는 노나라 대부 계손씨라. 일은 춤추는 대열이니 천자는 여덟이오, 제후는 여섯이오, 대부는 넷이오, 선비는 둘이며, 매양 대열의 사람 수는 그 대열 수와 같으니라. 

或ㅣ 曰每佾八人이라 하니 未詳孰是라 季氏ㅣ 以大夫로 而僭用天子之禮樂하니 孔子ㅣ 言其此事를 尙忍爲之면 則何事를 不可忍爲리오 하시니라

혹이 가로대 춤추는 대열마다 여덟 사람이라 하니 누가 옳은지 자세하지 않음이라. 계씨가 대부로써 참람하게 천자의 예악을 썼으니 공자가 이 일을 오히려 차마하면 곧 무슨 일을 가히 차마하지 못하리오 하시니라. 

或ㅣ 曰忍은 容忍也ㅣ니 蓋深疾之之辭니라 ○范氏ㅣ 曰樂舞之數는 自上而下하야 降殺以兩而已라 故로 兩之間에 不可以毫髮僭差也ㅣ라

혹이 가로대 인은 차마함을 용납(용인)함이니 깊이 미워하는 말이니라.

○범씨 가로대 음악과 춤추는 수는 위로부터 내려와서 내리고 더는데 둘로써 할 뿐이라. 그러므로 둘 사이에 가히 써 터럭 끝만큼이라도 어긋나지 않느니라. 

孔子爲政에 先正禮樂하시니 則季氏之罪ㅣ 不容誅矣라

공자가 정치를 하심에 먼저 예악을 바르게 하셨으니 베임을 용서받지 못하니라. 

謝氏 曰君子ㅣ 於其所不當爲에 不敢須臾處는 不忍故也어늘 而季氏ㅣ 忍此矣면 則雖弑父與君이라도 亦何所憚而不爲乎아

사씨 가로대 공자가 그 마땅히 하지 말아야 할 바에 감히 잠깐도 처하지 않는 것은 차마하지 못하는 까닭이거는 계씨가 이것을 차마한다면 비록 아비와 인군을 죽이는 일이라도 또한 어찌 꺼리는 바를 하지 않으리오.

降 : 내릴 강 殺 : 죽일 살, 여기서는 ‘덜 쇄’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D%8C%94%EC%9D%BC%ED%8E%B8%E5%85%AB%E4%BD%BE%E7%AF%87-%EC%A0%9C02%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팔일편(八佾篇) 제02장

팔일편(八佾篇) 제02장 三家者ㅣ 以雍徹이러니 子ㅣ 曰相維辟公이어늘 天子穆穆을 奚取於三家之堂고 세 집이 옹(천자가 撤床할 때 울리는 음악소리)으로써 거두더니 공자 가라사대 돕는 것이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D%8C%94%EC%9D%BC%ED%8E%B8%E5%85%AB%E4%BD%BE%E7%AF%87-%EC%A0%9C03%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팔일편(八佾篇) 제03장

팔일편(八佾篇) 제03장 子ㅣ 曰人而不仁이면 如禮에 何ㅣ며 人而不仁이면 如樂에 何오 공자 가라사대 사람이여 어질지 못하면 예에 어찌하며, 사람이여 어질지 못하면 악에 어찌할꼬. 游氏ㅣ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D%8C%94%EC%9D%BC%ED%8E%B8%E5%85%AB%E4%BD%BE%E7%AF%87-%EC%A0%9C04%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팔일편(八佾篇) 제04장

팔일편(八佾篇) 제04장 林放이 問禮之本한대 임방이 예의 근본을 물은대 林放은 魯人이니 見世之爲禮者ㅣ 專事繁文하고 而疑其本之不在是也ㅣ라 故로 以爲問하니라 임방은 노나라 사람이니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D%8C%94%EC%9D%BC%ED%8E%B8%E5%85%AB%E4%BD%BE%E7%AF%87-%EC%A0%9C05%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팔일편(八佾篇) 제05장

팔일편(八佾篇) 제05장 子ㅣ 曰夷狄之有君이 不如夏之亡也ㅣ니라 공자 가라사대 이적의 인군 있음이 중하의 없는 것과 같지 않느니라. 吳氏 曰亡는 古無字로 通用이라 程子ㅣ 曰夷狄도 且有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D%8C%94%EC%9D%BC%ED%8E%B8%E5%85%AB%E4%BD%BE%E7%AF%87-%EC%A0%9C06%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팔일편(八佾篇) 제06장

팔일편(八佾篇) 제06장 季氏ㅣ 旅於泰山이러니 子ㅣ 謂冉有曰女ㅣ 不能救與아 對曰不能이로소이다 子ㅣ 曰嗚呼라 曾謂泰山이 不如林放乎아 계씨 태산에서 제사를 지내더니, 공자가 염유에게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D%8C%94%EC%9D%BC%ED%8E%B8%E5%85%AB%E4%BD%BE%E7%AF%87-%EC%A0%9C07%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팔일편(八佾篇) 제07장

팔일편(八佾篇) 제07장 子ㅣ 曰君子ㅣ 無所爭이나 必也射乎인저 揖讓而升하야 下而飮하나니 其爭也ㅣ 君子ㅣ니라 공자 가라사대 군자가 다투는 바가 없으나 반드시 활 쏨인저! 읍하고 사양하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D%8C%94%EC%9D%BC%ED%8E%B8%E5%85%AB%E4%BD%BE%E7%AF%87-%EC%A0%9C08%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팔일편(八佾篇) 제08장

팔일편(八佾篇) 제08장 子夏ㅣ 問曰巧笑倩兮며 美目盼兮여 素以爲絢兮라 하니 何謂也ㅣ잇고 자하가 묻자와 가로대 공교로운 웃음에 입가가 예쁘며 아름다운 눈매에 눈동자가 선명함이여! (하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D%8C%94%EC%9D%BC%ED%8E%B8%E5%85%AB%E4%BD%BE%E7%AF%87-%EC%A0%9C09%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팔일편(八佾篇) 제09장

팔일편(八佾篇) 제09장 子ㅣ 曰夏禮를 吾能言之나 杞不足徵也ㅣ며 殷禮를 吾能言之나 宋不足徵也는 文獻이 不足故也ㅣ니 足則吾能徵之矣로리라 공자 가라사대 하나라 예를 내 능히 말하나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D%8C%94%EC%9D%BC%ED%8E%B8%E5%85%AB%E4%BD%BE%E7%AF%87-%EC%A0%9C10%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팔일편(八佾篇) 제10장

팔일편(八佾篇) 제10장 子ㅣ 曰禘ㅣ 自旣灌而往者는 吾不欲觀之矣로라 공자 가라사대 제사를 지내는데 이미 강신을 하면서부터 가는 이는 내 보고자 하지 아니하노라. 褅 : 큰 제사 체 灌 : 물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C%9C%84%EC%A0%95%ED%8E%B8%E7%88%B2%E6%94%BF%E7%AF%87-%EC%A0%9C11%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위정편(爲政篇) 제11장

위정편(爲政篇) 제11장 子ㅣ 曰溫故而知新이면 可以爲師矣니라 공자 가라사대 옛 것을 익히고 새 것을 알면 가히 써 스승이 되느니라. 溫은 尋繹也ㅣ라 故者는 舊所聞이오 新者는 今所得이라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C%9C%84%EC%A0%95%ED%8E%B8%E7%88%B2%E6%94%BF%E7%AF%87-%EC%A0%9C12%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위정편(爲政篇) 제12장

위정편(爲政篇) 제12장 子ㅣ 曰君子는 不器니라 공자 가라사대 군자는 그릇이 아니니라. [본문 해설] 그릇이란 음식을 담기 위한 용기로 곧 한 가지 목적과 용도로만 쓰인다는 의미의 상징이다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C%9C%84%EC%A0%95%ED%8E%B8%E7%88%B2%E6%94%BF%E7%AF%87-%EC%A0%9C13%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위정편(爲政篇) 제13장

위정편(爲政篇) 제13장 子貢이 問君子한대 子曰先行其言이오 而後從之니라 자공이 군자를 물으신대 공자 가라사대 먼저 그 말을 행하고 뒤에 따르니라. [본문 해설] 자공이 군자에 대해서 물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C%9C%84%EC%A0%95%ED%8E%B8%E7%88%B2%E6%94%BF%E7%AF%87-%EC%A0%9C14%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위정편(爲政篇) 제14장

위정편(爲政篇) 제14장 子ㅣ 曰君子는 周而不比하고 小人은 非而不周ㅣ니라 공자 가라사대 군자는 두루하되 비교하지(편벽되지) 아니하고 소인은 편벽되면서 두루하지 아니하니라. 周는 普徧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C%9C%84%EC%A0%95%ED%8E%B8%E7%88%B2%E6%94%BF%E7%AF%87-%EC%A0%9C15%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위정편(爲政篇) 제15장

위정편(爲政篇) 제15장 子ㅣ 曰學而不思則罔하고 思而不學則殆니라 공자 가라사대 배우고 생각하지 아니하면 없어지고, 생각하고 배우지 아니하면 위태하니라. 不求諸心이라 故로 昏而無得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C%9C%84%EC%A0%95%ED%8E%B8%E7%88%B2%E6%94%BF%E7%AF%87-%EC%A0%9C16%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위정편(爲政篇) 제16장

위정편(爲政篇) 제16장 子ㅣ 曰攻乎異端이면 斯害也已니라 공자 가라사대 이단에 전공하면 이 해로우니라. 范氏 曰攻은 專治也ㅣ라 故로 治木石金玉之工曰攻이라 異端은 非聖人之道而別爲一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C%9C%84%EC%A0%95%ED%8E%B8%E7%88%B2%E6%94%BF%E7%AF%87-%EC%A0%9C17%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위정편(爲政篇) 제17장

위정편(爲政篇) 제17장 子ㅣ 曰由아 誨女知之乎인저 知之爲知之오 不知爲不知ㅣ 是知也ㅣ니라 공자 가라사대 유야, 너에게 앎을 가르친저, 아는 것은 안다하고 알지 못하는 것은 알지 못한다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C%9C%84%EC%A0%95%ED%8E%B8%E7%88%B2%E6%94%BF%E7%AF%87-%EC%A0%9C18%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위정편(爲政篇) 제18장

위정편(爲政篇) 제18장 子張이 學干祿한대 자장이 녹 구함을 배우려 한대, 子張은 孔子弟子니 姓은 顓孫이오 名은 師라 干은 求也ㅣ라 祿은 仕者之奉也ㅣ라 자장은 공자 제자니 성은 전손이오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C%9C%84%EC%A0%95%ED%8E%B8%E7%88%B2%E6%94%BF%E7%AF%87-%EC%A0%9C19%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위정편(爲政篇) 제19장

위정편(爲政篇) 제19장 哀公이 問曰何爲則民服이니잇고 孔子ㅣ 對曰擧直錯諸枉則民服하고 擧枉錯諸直則民不服이니이다 애공이 묻자와 가로대 어찌하면 백성이 복종하니잇고? 공자 가라사대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C%9C%84%EC%A0%95%ED%8E%B8%E7%88%B2%E6%94%BF%E7%AF%87-%EC%A0%9C20%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위정편(爲政篇) 제20장

위정편(爲政篇) 제20장 季康子ㅣ 問使民敬忠以勸호대 如之何ㅣ리잇고 子ㅣ 曰臨之以莊則敬하고 孝慈則忠하고 擧善而敎不能則勸이니라 계강자가 묻기를 백성으로 하여금 공경과 충성으로써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C%9C%84%EC%A0%95%ED%8E%B8%E7%88%B2%E6%94%BF%E7%AF%87-%EC%A0%9C21%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위정편(爲政篇) 제21장

위정편(爲政篇) 제21장 或이 謂孔子曰子는 奚不爲政이시니잇고 혹자가 공자에게 일러 가로대 선생은 어찌 정치를 하지 아니하시나니잇고? 定公初年에 孔子ㅣ 不仕라 故로 或人이 疑其不爲政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C%9C%84%EC%A0%95%ED%8E%B8%E7%88%B2%E6%94%BF%E7%AF%87-%EC%A0%9C22%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위정편(爲政篇) 제22장

위정편(爲政篇) 제22장 子ㅣ 曰人而無信이면 不知其可也케라 大車ㅣ 無輗하며 小車ㅣ 無軏이면 其何以行之哉리오 공자 가라사대 사람이 되어 믿음이 없으면 그 옳음을 아지 못케라. 큰 수레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C%9C%84%EC%A0%95%ED%8E%B8%E7%88%B2%E6%94%BF%E7%AF%87-%EC%A0%9C23%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위정편(爲政篇) 제23장

위정편(爲政篇) 제23장 子張이 問十世를 可知也ㅣ잇가 자장이 묻기를 십세를 가히 아니잇가? [본문 해설] 1세는 30년이므로 10세는 3백년을 말한다. 자장이 공자에게 ‘삼백년 앞의 일을 가히 알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C%9C%84%EC%A0%95%ED%8E%B8%E7%88%B2%E6%94%BF%E7%AF%87-%EC%A0%9C24%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위정편(爲政篇) 제24장

위정편(爲政篇) 제24장 子ㅣ 曰非其鬼而祭之ㅣ 謟也ㅣ오 공자 가라사대 그 귀신이 아닌데 제사지내는 것이 아첨함이오, 非其鬼는 謂非其所當祭之鬼라 諂은 求媚也ㅣ라 그 귀신이 아니라는 것

yeometgol.tistory.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