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A%B3%B5%EC%95%BC%EC%9E%A5%ED%8E%B8%E5%85%AC%E5%86%B6%E9%95%B7%E7%AF%87-%EC%A0%9C21%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공야장편(公冶長篇) 제21장

공야장편(公冶長篇) 제21장 子ㅣ 在陳하사 曰歸與歸與인저 吾黨之小子ㅣ 狂簡하야 斐然成章이오 不知所以裁之로다 공자께서 진나라에 계시사 가라사대 돌아갈진저, 돌아갈진저! 나를 따르는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A%B3%B5%EC%95%BC%EC%9E%A5%ED%8E%B8%E5%85%AC%E5%86%B6%E9%95%B7%E7%AF%87-%EC%A0%9C22%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공야장편(公冶長篇) 제22장

공야장편(公冶長篇) 제22장 子ㅣ 曰伯夷叔齊는 不念舊惡이라 怨是用希니라 공자 가라사대 백이와 숙제는 옛 악함을 생각지 않느니라. 원망이 이로써 드무니라. 伯夷, 叔齊는 孤竹君之二子라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A%B3%B5%EC%95%BC%EC%9E%A5%ED%8E%B8%E5%85%AC%E5%86%B6%E9%95%B7%E7%AF%87-%EC%A0%9C23%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공야장편(公冶長篇) 제23장

공야장편(公冶長篇) 제23장 子ㅣ 曰孰謂微生高直고 或이 乞醯焉이어늘 乞諸其鄰而與之온여 공자 가라사대 누가 미생고를 곧다 이르는고? 혹이 초를 빌리거늘 저 그 이웃에 얻어다가 주는곤여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A%B3%B5%EC%95%BC%EC%9E%A5%ED%8E%B8%E5%85%AC%E5%86%B6%E9%95%B7%E7%AF%87-%EC%A0%9C24%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공야장편(公冶長篇) 제24장

공야장편(公冶長篇) 제24장 子ㅣ 曰巧言令色足恭을 左丘明이 恥之러니 丘亦恥之하노라 匿怨而友其人을 左丘明이 恥之러니 丘亦恥之하노라 공자 가라사대 교언영색(그럴듯한 말과 겉으로 착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A%B3%B5%EC%95%BC%EC%9E%A5%ED%8E%B8%E5%85%AC%E5%86%B6%E9%95%B7%E7%AF%87-%EC%A0%9C25%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공야장편(公冶長篇) 제25장

공야장편(公冶長篇) 제25장 顔淵季路ㅣ 侍러니 子ㅣ 曰盍各言爾志리오 안연과 계로가 모시더니 공자 가라사대 어찌 각각 너희들의 뜻을 말하지 아니하리오. 盍은 何不也ㅣ라 합은 ‘어찌 아니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A%B3%B5%EC%95%BC%EC%9E%A5%ED%8E%B8%E5%85%AC%E5%86%B6%E9%95%B7%E7%AF%87-%EC%A0%9C11%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공야장편(公冶長篇) 제11장

공야장편(公冶長篇) 제11장 子貢이 曰我不欲人之加諸我也를 吾亦欲無加諸人하노이다 子ㅣ 曰賜也아 非爾所及也ㅣ니라 자공이 가로대 내가 남이 나에게 더하고자 아니한 것을 내가 또한 남에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A%B3%B5%EC%95%BC%EC%9E%A5%ED%8E%B8%E5%85%AC%E5%86%B6%E9%95%B7%E7%AF%87-%EC%A0%9C12%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공야장편(公冶長篇) 제12장

공야장편(公冶長篇) 제12장 子貢이 曰夫子之文章은 可得而聞也ㅣ어니와 夫子之言性與天道는 不可得而聞也ㅣ니라 자공이 가로대 부자의 문장은 가히 얻어 들었거니와 부자의 성과 다못 천도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A%B3%B5%EC%95%BC%EC%9E%A5%ED%8E%B8%E5%85%AC%E5%86%B6%E9%95%B7%E7%AF%87-%EC%A0%9C13%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공야장편(公冶長篇) 제13장

공야장편(公冶長篇) 제13장 子路는 有聞이오 未之能行하야서 唯恐有聞하더라 자로는 들림(소문)이 있고, 능히 행하지 못하여서 오직 들림(소문)이 있을까 두려워하더라. [본문 해설] 자로는 공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A%B3%B5%EC%95%BC%EC%9E%A5%ED%8E%B8%E5%85%AC%E5%86%B6%E9%95%B7%E7%AF%87-%EC%A0%9C14%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공야장편(公冶長篇) 제14장

공야장편(公冶長篇) 제14장 子貢이 問曰孔文子를 何以謂之文也ㅣ잇고 子ㅣ 曰敏而好學하며 不恥下問이라 是以謂之文也ㅣ니라 자공이 물어 가로대 공문자를 어찌 써 문이라 이르니잇고? 공자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A%B3%B5%EC%95%BC%EC%9E%A5%ED%8E%B8%E5%85%AC%E5%86%B6%E9%95%B7%E7%AF%87-%EC%A0%9C15%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공야장편(公冶長篇) 제15장

공야장편(公冶長篇) 제15장 子ㅣ 謂子産하사대 有君子之道ㅣ 四焉이니 其行己也ㅣ 恭하며 其事上也ㅣ 敬하며 其養民也ㅣ 惠하며 其使民也ㅣ 義니라 공자, 자산을 이르사대 군자의 도가 넷이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A%B3%B5%EC%95%BC%EC%9E%A5%ED%8E%B8%E5%85%AC%E5%86%B6%E9%95%B7%E7%AF%87-%EC%A0%9C16%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공야장편(公冶長篇) 제16장

공야장편(公冶長篇) 제16장 子ㅣ 曰晏平仲은 善與人交ㅣ로다 久而敬之온여 공자 가라사대 안평중은 사람과 더불어 사귐을 잘 하도다. 오랠수록 공경하온저! 晏平仲은 齊大夫니 名은 嬰이라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A%B3%B5%EC%95%BC%EC%9E%A5%ED%8E%B8%E5%85%AC%E5%86%B6%E9%95%B7%E7%AF%87-%EC%A0%9C17%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공야장편(公冶長篇) 제17장

공야장편(公冶長篇) 제17장 子ㅣ 曰臧文仲이 居蔡호대 山節藻棁하니 何如其知也ㅣ리오 공자 가라사대 장문중이 거북이를 보관호대 두공(枓栱, 栱包)에 산을 그리고, 대공(臺工, 동자대공)에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A%B3%B5%EC%95%BC%EC%9E%A5%ED%8E%B8%E5%85%AC%E5%86%B6%E9%95%B7%E7%AF%87-%EC%A0%9C19%EC%9E%A5-1?category=264986

 

논어[論語] 공야장편(公冶長篇) 제18장

공야장편(公冶長篇) 제18장 子張이 問曰令尹子文이 三仕爲令尹호대 無喜色하며 三已之호대 無慍色하야 舊令尹之政을 必以告新令尹하니 何如하니잇고 子ㅣ 曰忠矣니라 曰仁矣乎ㅣ잇가 曰未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A%B3%B5%EC%95%BC%EC%9E%A5%ED%8E%B8%E5%85%AC%E5%86%B6%E9%95%B7%E7%AF%87-%EC%A0%9C19%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공야장편(公冶長篇) 제19장

공야장편(公冶長篇) 제19장 季文子ㅣ 三思而後에 行하더니 子ㅣ 聞之하시고 曰再ㅣ 斯可矣ㅣ니라 계문자가 세 번 생각한 후에 행하더니 공자 들으시고 가라사대 두 번이 이 가하니라. 季文子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A%B3%B5%EC%95%BC%EC%9E%A5%ED%8E%B8%E5%85%AC%E5%86%B6%E9%95%B7%E7%AF%87-%EC%A0%9C20%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공야장편(公冶長篇) 제20장

공야장편(公冶長篇) 제20장 子ㅣ 曰寗武子ㅣ 邦有道則知하고 邦無道則愚하니 其知는 可及也ㅣ어니와 其愚는 不可及也ㅣ니라 공자 가라사대 영무자가 나라가 도가 있으면 지혜롭고 나라가 도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A%B3%B5%EC%95%BC%EC%9E%A5%ED%8E%B8%E5%85%AC%E5%86%B6%E9%95%B7%E7%AF%87-%EC%A0%9C01%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공야장편(公冶長篇) 제01장

공야장편(公冶長篇) 제01장 공야장편 제1장 ~ 제5장 해설 論語集註卷之五 公冶長第五 此篇은 皆論古今人物賢否得失이니 蓋格物窮理之一端也ㅣ라 凡二十七章이니 胡氏以爲疑多子貢之徒ㅣ 所記

yeometgol.tistory.com

공야장편(公冶長篇) 제01장

공야장편 제1장 ~ 제5장 해설
 

論語集註卷之五
公冶長第五

此篇은 皆論古今人物賢否得失이니 蓋格物窮理之一端也ㅣ라 凡二十七章이니 胡氏以爲疑多子貢之徒ㅣ 所記云이라
이 편은 다 고금의 인물의 어질고 어질지 못함과 얻고 잃음을 논한 것이니 대개 격물과 궁리의 한 단서라. 무릇 27장이니 호씨 써 아마도 자공의 무리들이 기록한 바가 많은 듯하다.

<제1장>

子ㅣ 謂公冶長하사대 可妻也ㅣ로다 雖在縲絏之中이나 非其罪也ㅣ라 하시고 以其子로 妻之하시다
공자가 공야장에게 이르사대 가히 사위삼을 만하도다. 비록 옥에 갇혀 있으나 그 죄가 하니라 하시고 그 자식(딸)으로써 시집을 보내시다.

縲 : 검은 끈 루(류) 絏 : 맬 설 縲絏 : 옛날에는 포승줄은 검은 줄로 썼기에 포승줄의 의미로 쓰인다. 縲絏之中이라고 하면 곧 옥에 갇혀 있음을 뜻한다.

公冶長은 孔子弟子라 妻는 爲之妻也ㅣ라 縲는 黑索也ㅣ라 絏은 攣也ㅣ라 古者獄中에 以黑索으로 拘攣罪人이라 長之爲人은 無所考而夫子稱其可妻하시니 其必有以取之矣라 又言其人이 雖嘗陷於縲絏之中이나 而非其罪니 則固無害於可妻也ㅣ라 하시니 夫有罪無罪는 在我而已니 豈以自外至者로 爲榮辱哉리오

공야장은 공자 제자라. 처는 위하여 시집을 보냄이라. 루는 검은 노끈(흑색)이라. 설은 묶음이라. 옛적에 옥중에 검은 끈으로써 죄인을 구연(구속)함이라. 공야장의 사람됨은 상고할 바가 없으나 부자가 그 가히 사위삼을 만하다고 칭찬하셨으니 그 반드시 취할 데가 있느니라. 또 말씀하시길 그 사람이 비록 일찍이 누설의 가운데 있으나 그 죄가 아니 진실로 가히 사위를 삼는데 해가 없다고 하시니, 무릇 죄가 있고 죄가 없음은 내게 있을 뿐이니 어찌 밖으로부터 이르는 것으로써 영욕이 되리오.

子ㅣ 謂南容하사대 邦有道에 不廢하며 邦無道에 免於刑戮이라 하시고 以其兄之子로 妻之하시다
공자가 남용을 이르사대, 나라에 도가 있음에 폐하지 아니하며 나라에 도가 없음에 형벌을 면할 것이다 하시고, 그 형의 딸로써 시집을 보내시다.

南容은 孔子弟子니 居南宮하고 名은 縚요 又名은 适이오 字는 子容이오 諡는 敬叔이니 孟懿子之兄也ㅣ라 不廢는 言必見用也ㅣ라 以其謹於言行이라 故로 能見用於治朝하고 免禍於亂世也ㅣ라 事又見第十一篇이라 ○或이 曰公冶長之賢이 不及南容이라 故로 聖人이 以其子로 妻長而以兄子로 妻容하시니 蓋厚於兄而薄於己也ㅣ라 한대 程子ㅣ 曰此는 以己之私心으로 窺聖人也ㅣ라 凡人避嫌者는 皆內不足也ㅣ니 聖人이 自至公이어시늘 何避嫌之有시리오 況嫁女는 必量其才而求配니 尤不當有所避也ㅣ라 若孔子之事는 則其年之長幼와 時之先後는 皆不可知어니와 惟以爲避嫌이면 則大不可니 避嫌之事는 賢者도 且不爲어든 況聖人乎아

남용은 공자 제자니 남궁에 살고 이름은 도요, 또 이름은 괄이오, 자는 자용이오, 시호는 경숙이니 맹의자의 형이라. 불폐는 반드시 쓰임 당함(등용)을 말함이라. 써 그 언행을 삼감이라. 그러므로 능히 치조에서는 쓰일 것이고 난세에는 화를 면할 것이라. 일이 또 제11편에 나타나니라(시경 백규장을 날마다 세 번씩 읽었다는 내용).

○혹이 가로대 공야장의 어짊이 남용에게 미치지 못함이라. 그러므로 성인이 그 자식으로써 공야장에게 시집보내고 형의 자식으로써 시집을 보내셨으니 대개 형에게 후하고 자기에게 박하게 하셨다한대 정자 가라사대 이는 자기의 사사로운 마음으로써 성인을 엿봄이라(지공무사한 성인이 후박을 생각해서 한 것이 아님에서 소인이 제멋대로 해석한 말이다).

무릇 사람이 혐의를 피하려는 것은 다 안이 부족해서이니 성인이 스스로 지극히 공변되시거늘 어찌 혐의를 피함이 있으시리오. 하물며 딸을 시집보냄은 반드시 그 재주를 헤아려 배필을 구하니 더욱 마땅히 피할 바가 아니니라. 공자 같은 일은 곧 그 나이의 장유와 때의 선후는 다 가히 알지 못하거니와 오직 써 혐의를 피한다는 것은 곧 크게 옳지 못하니, 혐의를 피하는 일은 현자도 또한 하지 않거든 하물며 성인이야!

縚 : 실끈 도 适 : 빠를 괄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A%B3%B5%EC%95%BC%EC%9E%A5%ED%8E%B8%E5%85%AC%E5%86%B6%E9%95%B7%E7%AF%87-%EC%A0%9C02%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공야장편(公冶長篇) 제02장

공야장편(公冶長篇) 제02장 子ㅣ 謂子賤하사대 君子哉라 若人이여 魯無君子者ㅣ면 斯焉取斯ㅣ리오 공자가 자천에게 이르사대, 군자인지라! 이 같은 사람이여! 노나라가 군자가 없으면 이런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A%B3%B5%EC%95%BC%EC%9E%A5%ED%8E%B8%E5%85%AC%E5%86%B6%E9%95%B7%E7%AF%87-%EC%A0%9C03%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공야장편(公冶長篇) 제03장

공야장편(公冶長篇) 제03장 子貢이 問曰賜也는 何如하니잇고 子ㅣ 曰女는 器也ㅣ니라 曰何器也ㅣ잇고 曰瑚璉也ㅣ니라 자공이 묻자와 가로대 사는 어떠하니잇고? 공자 가라사대 너는 그릇이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A%B3%B5%EC%95%BC%EC%9E%A5%ED%8E%B8%E5%85%AC%E5%86%B6%E9%95%B7%E7%AF%87-%EC%A0%9C04%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공야장편(公冶長篇) 제04장

공야장편(公冶長篇) 제04장 或이 曰雍也는 仁而不佞이로다 혹이 가로대 옹은 어질고 말재주가 없도다. 雍은 孔子弟子니 姓은 冉이오 字는 仲弓이라 佞은 口才也ㅣ라 仲弓爲人이 重厚簡黙하야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A%B3%B5%EC%95%BC%EC%9E%A5%ED%8E%B8%E5%85%AC%E5%86%B6%E9%95%B7%E7%AF%87-%EC%A0%9C05%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공야장편(公冶長篇) 제05장

공야장편(公冶長篇) 제05장 子ㅣ 使漆雕開로 仕하신대 對曰吾斯之未能信이로이다 子ㅣ 說하시다 공자가 칠조개로 하여금 벼슬하게 하신대 대답하여 가로대 제가 이것을 능히 믿지 못하겠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A%B3%B5%EC%95%BC%EC%9E%A5%ED%8E%B8%E5%85%AC%E5%86%B6%E9%95%B7%E7%AF%87-%EC%A0%9C06%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공야장편(公冶長篇) 제06장

공야장편(公冶長篇) 제06장 子ㅣ 曰道不行이라 乘桴하야 浮于海호리니 從我者는 其由與인저 子路ㅣ 聞之하고 喜한대 子ㅣ 曰由也는 好勇이 過我ㅣ나 無所取材로다 공자 가라사대 도가 행하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A%B3%B5%EC%95%BC%EC%9E%A5%ED%8E%B8%E5%85%AC%E5%86%B6%E9%95%B7%E7%AF%87-%EC%A0%9C07%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공야장편(公冶長篇) 제07장

공야장편(公冶長篇) 제07장 孟武伯이 問子路는 仁乎ㅣ잇가 子ㅣ 曰不知也ㅣ로라 맹무백이 묻기를 자로는 어지니잇가? 공자 가라사대 아지 못하노라. 子路之於仁에 蓋日月至焉者ㅣ니 或在或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A%B3%B5%EC%95%BC%EC%9E%A5%ED%8E%B8%E5%85%AC%E5%86%B6%E9%95%B7%E7%AF%87-%EC%A0%9C08%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공야장편(公冶長篇) 제08장

공야장편(公冶長篇) 제08장 子ㅣ 謂子貢曰女與回也로 孰愈오 공자가 자공에게 일러 가라사대 네가 회와 더불어 누가 나은고? [본문 해설] 자공이 잘 나서고 잘난 체를 하니까 공자가 먼저 자공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A%B3%B5%EC%95%BC%EC%9E%A5%ED%8E%B8%E5%85%AC%E5%86%B6%E9%95%B7%E7%AF%87-%EC%A0%9C09%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공야장편(公冶長篇) 제09장

공야장편(公冶長篇) 제09장 子ㅣ 曰吾未見剛者케라 或이 對曰申棖이니이다 子ㅣ 曰棖也는 慾이어니 焉得剛이리오 공자 가라사대 내 강한 자를 보지 못케라(못했노라). 혹이 대답하여 가로대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A%B3%B5%EC%95%BC%EC%9E%A5%ED%8E%B8%E5%85%AC%E5%86%B6%E9%95%B7%E7%AF%87-%EC%A0%9C10%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공야장편(公冶長篇) 제10장

공야장편(公冶長篇) 제10장 子ㅣ 曰吾未見剛者케라 或이 對曰申棖이니이다 子ㅣ 曰棖也는 慾이어니 焉得剛이리오 공자 가라사대 내 강한 자를 보지 못케라(못했노라). 혹이 대답하여 가로대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C%9D%B4%EC%9D%B8%ED%8E%B8%EF%A7%A9%E4%BB%81%E7%AF%87-%EC%A0%9C01%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이인편(里仁篇) 제01장

이인편(里仁篇) 제01장 이인편 제1장 ~ 제5장 해설 論語集註卷之四 里仁第四 凡二十六章 <제1장> 子ㅣ 曰里仁이 爲美하니 擇不處仁이면 焉得知리오 공자 가라사대 마을의 어짊이 아름다우니, (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C%9D%B4%EC%9D%B8%ED%8E%B8%EF%A7%A9%E4%BB%81%E7%AF%87-%EC%A0%9C02%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이인편(里仁篇) 제02장

이인편(里仁篇) 제02장 子ㅣ 曰不仁者는 不可以久處約이며 不可以長處樂이니 仁者는 安仁하고 知者는 利仁이니라 공자 가라사대 어질지 못한 자는 가히 써 궁한데 오래 처하지 못하며, 가히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C%9D%B4%EC%9D%B8%ED%8E%B8%EF%A7%A9%E4%BB%81%E7%AF%87-%EC%A0%9C03%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이인편(里仁篇) 제03장

이인편(里仁篇) 제03장 子ㅣ 曰惟仁者ㅣ아 能好人하며 能惡人이니라 공자 가라사대 오직 어진 자라야 능히 사람을 좋아하며 능히 사람을 미워하느니라. [본문 해설] 대학착간고정 전문 제10장-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C%9D%B4%EC%9D%B8%ED%8E%B8%EF%A7%A9%E4%BB%81%E7%AF%87-%EC%A0%9C04%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이인편(里仁篇) 제04장

이인편(里仁篇) 제04장 子ㅣ 曰苟志於仁矣면 無惡也ㅣ니라 공자 가라사대 진실로 인에 뜻을 둔다면 악함이 없느니라. 苟는 誠也ㅣ라 志者는 心之所之也ㅣ라 其心이 誠在於仁이면 則必無爲惡之

yeometgol.tistory.com

 

yeometgol.tistory.com/entry/%EB%85%BC%EC%96%B4%EF%A5%81%E8%AA%9E-%EC%9D%B4%EC%9D%B8%ED%8E%B8%EF%A7%A9%E4%BB%81%E7%AF%87-%EC%A0%9C05%EC%9E%A5?category=264986

 

논어[論語] 이인편(里仁篇) 제05장

이인편(里仁篇) 제05장 子ㅣ 曰富與貴ㅣ 是人之所欲也ㅣ나 不以其道로 得之어든 不處也하며 貧與賤이 是人之所惡也ㅣ나 不以其道로 得之라도 不去也ㅣ니라 공자 가라사대 부와 다못 귀가

yeometgol.tistory.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