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포스터에는 《僧家禮儀文》이 나오는데

‘茶毗作法文’削髮云’ 이하에 가 보면

<서산대사 해탈시> 포스터에서 흔히 원용되는 구절을 확인할 수 있다.

http://rarebook.cbeta.org/sutra/D64n9031_001.php

그 부분을 청색으로 처리하였는데 이를 적출하여 읽기 편하게 정리하고

그 뜻을 다시 한 번 덧붙이면 다음과 같다.

生從何處來

생종하처래, 출생은 어디서 오고

死向何處去

사향하처거, 죽음은 어디로 가는가?

生也一片浮雲起

생야일편부운기, 태어남이란 한 조각 뜬구름이 일어남이요,

死也一片浮雲滅

사야일편부운멸, 죽음이란 그 뜬구름이 사라짐이네.

浮雲自體本無實

부운자체본무실, 뜬구름 그 자체는 실체(實體)가 없듯이

生死去來亦如然

생사거래역여연, 나고 죽고 가고 옴도 또한 그러하네.

獨有一物常獨露

독유일물상독로, 그러나 그 가운데 오직 한 물건[佛性]이 홀로 드러나 있어서

湛然不隨於生死

담연불수어생사, 맑고도 고요하여 생사(生死)를 따라가지 않네. [생사에서 벗어났네.]

[참고]

湛然(담연)은 ‘佛性真心’을 지칭하니, ‘自性清淨心’을 말한다.

 

[이하는《僧家禮儀文》의 해당 부분 원문 복사]

【經文資訊】國家圖書館善本佛典 第六十四冊 No. 9031《僧家禮儀文》

D64n9031_p0001b01║      僧家禮儀文

D64n9031_p0001b02║  名旌書[矢*見]

D64n9031_p0001b03║   大宗師

[중략]

D64n9031_p0017b01║  茶毗作法文

D64n9031_p0017b02║   削髮云

D64n9031_p0017b03║新圓寂(某靈)生從何豦來死向何豦去生也

D64n9031_p0017b04║一片浮雲起死也一片浮雲滅浮雲自體

D64n9031_p0017b05║本無實生死去來亦如然獨有一物常獨

D64n9031_p0017b06║露湛然不隨於生死(某靈)還會得湛然底一

D64n9031_p0017b07║物麼鑊湯風搖天地壞寥又長在白雲中

D64n9031_p0017b08║今茲削髮斷[書-曰+皿]無明十使煩惱何由復起

D64n9031_p0018a01║一片白雲撗谷口幾多歸鳥[書-曰+皿]迷巢。

D64n9031_p0018a02║   沐浴(云)

D64n9031_p0018a03║若人欲識佛境界當正其意如虛空遠離

D64n9031_p0018a04║妄想及諸趣令心所向皆無礙(某靈)還當正

D64n9031_p0018a05║其意如虛空麼其或未然更[聽-王]註腳此正

D64n9031_p0018a06║覺之性上至諸佛下至六凡一[企-止+、]當[企-止+、]一

D64n9031_p0018a07║一具足塵又上通物又上現不待脩成了

D64n9031_p0018a08║了明明(拈柱杖云)還見麼(打下云)還聞麼既了了

D64n9031_p0018b01║見既[應-倠+林][應-倠+林]闡畢竟是介什麼佛面猶如淨

D64n9031_p0018b02║滿月亦如千日放光明今茲沐浴幻妄塵

D64n9031_p0018b03║垢獲得金剛不壞之身清淨法身無內外

D64n9031_p0018b04║去來生死一真常。

D64n9031_p0018b05║   洗手(云)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2151

 

승가예의문(僧家禮儀文)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허백 명조는 속성이 이씨(李氏)이다. 13세에 출가하여 청허 휴정(淸虛休靜)의 법손인 송월 응상(松月應祥)의 법맥을 이었다. 정묘호란 등에서 의병장으로 활동하였는데, 정묘호란 때 승군 4,000여

encykorea.aks.ac.kr

 

편찬/발간 경위

1670년에 쓴 충현(冲絢)의 발문에 의하면, 허백이 다비법이나 승가의 예규를 모아서 간행하였다고 한다. 또 통도사간본을 간행할 때 의암(義巖)에 의해서 「다비작법문(茶毘作法文)」이 첨가되었다.

서지사항

1권 1책. 1670년 통도사(通度寺)본, 1694년(숙종 20) 옥천사(玉泉寺)본, 1730년(영조 6) 갑사(岬寺)본 등이 있다. 『한국불교전서』 제8책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허백 명조는 속성이 이씨(李氏)이다. 13세에 출가하여 청허 휴정(淸虛休靜)의 법손인 송월 응상(松月應祥)의 법맥을 이었다. 정묘호란 등에서 의병장으로 활동하였는데, 정묘호란 때 승군 4,000여 명을 거느리고 안주성(安州城)을 지켰으며, 병자호란 때는 군량미를 모아서 제공하였다고 한다.

『승가예의문(僧家禮儀文)』은 「명정서규(名旌書䂓)」·「상례전제절차(喪禮奠祭節次)」·「승상복도(僧喪服圖)」·「송장시금단규(送葬時禁斷䂓)」의 4항으로 구성된다. ‘명정(名旌)’이란 죽은 사람의 품계·관직·성씨를 기록한 깃발로서, 「명정서규」는 명정을 쓰는 규칙을 설명한 것이다. 명정을 쓰는 방식은 대종사(大宗師)·염불인(念佛人)·판사인(判事人)·학도인(學道人)·평상인(平常人)에 따라 달리 하고 있다.

「상례전제절차」에서는 상례를 모시는 절차를 설명하고 있는데, 발인(發靷)에서부터 쇄골법(碎骨法)까지를 자세하게 서술하였다. 이 가운데 「오방불청서규(五方佛請書規)」에서는 동·서·남·북·중앙 세계의 불(佛)을 청하여 각각 청색·백색·적색·흑색·황색의 번(幡)을 쓰는 서식을 규정하고 있다.

「승상복도」에서는 승려가 상복을 입는 기간에 대해 서술하였으며, 「송장시금단규」에서는 상례에 참여하여 밥을 먹거나 돈을 받는 등 불제자답지 않은 행위를 지적하고 있다. 그리고 상가에는 『금강경(金剛經)』과 「보현행원품(普賢行願品)」, 다과와 떡을 가지고 가서 영혼을 위로하고 독경하여 망자를 좋은 곳으로 천도할 것을 강조하였다.

부록으로 실린 「다비작법문」에서는 다비의 절차를 규정하고 있는데, 그것은 삭발(削髮)→목욕(沐浴)→세수(洗手)→세족(洗足)→착군(着裙)→착의(着衣)→착관(着冠)→정좌(正坐)→시식(施食)→십념(十念)→송심경(誦心經)→기감(起龕)→거화(擧火)→하화(下火)→대중동송행원품(大衆同誦行願品)→습골(拾骨)→기골(起骨)→쇄골(碎骨)→산골(散骨)→진언개계(眞言開啓)→중화향화청(衆和香花請)의 순서이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승가예의문(僧家禮儀文))]

 

<예문1>

서산대사 휴정(休靜)은

"삶은 한 조각 구름이 일어남이요

죽음은 한 조각 구름이 스러짐이라

구름은 본래 실체가 없으니

죽고 살고 오고 감이 모두 그러하다.

(生也一片浮雲起 死也一片浮雲滅

浮雲自體本無實 生死去來亦如然)"

는 임종게를 남겼다.

 

<예문2>

나옹화상 누이의 시라고 소개한 글도 있다.

 

空手來空手去是人生

生從何處來 死向何處去

빈 손으로 왔다가 빈 손으로 가는 것이 인생이다

출생은 어디서 오고

죽음은 어디로 가는가

[위의 싯구는석문의범釋文儀範이 그 출전임]

 

生也一片浮雲起 (생야일편부운기)

死也一片浮雲滅 (사야일편부운멸)

출생은 한 조각 구름이 일어남이오

죽음은 한 조각 구름이 사라짐이다.

 

 

浮雲自體本無實 (부운자체본무실)

生死去來亦如然 (생사거래역여연)

뜬 구름 자체는 본디 실체가 없으니

생과 사의 오고 감도 또한 그러한가?

 

獨有一物常獨露 (독유일물상독로)

湛然不隨於生死 (담연불수어생사)

오직 한 물건이 홀로 항시 번뇌를 벗어나

맑고도 고요한 경지에 이르러 생사(生死)에서 벗어났네.

[위의 싯구는 중국의 불교의례집인 《승가례의문僧家禮儀文》이 그 출전임]

 

<예문3>

임종 게송 (臨終 偈頌) ---- 서산대사

千計*萬思量(천계만사량)  計*는 思가 맞다고 함.

紅爐一點雪(홍로일점설)

泥牛水上行(니우수상행)

大地虛空裂(대지허공열)

천 가지 계산과 만 가지 헤아리는 생각이란

붉은 화롯불에 한 점 눈꽃이니

진흙으로 빚어진 소가 물 위를 지나가니

대지와 허공이 갈라지는구나

 

[운영자 주1]

<예문3>의 이 시는 <청허당집> 에도 들어 있는 걸 보면 대사의 작품이 맞다.

임종게는 그 승려를 논의할 때 그가 살아온 인생을 집약한 것이므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런데 <동사열전> '30.청허존자'에서  臨終偈 를 빠뜨린 것은 두구두고 의문으로 남는다.

<청허당집>의 번역만 옮긴다.

 

휴정, 청허당집 淸虛堂集,배규범역 ,지만지고금천음 ,2011,p.190.

 

임종게 臨終偈

천 가지 만 가지 생각들이

붉은 화로의 한 점 눈과 같네

진흙소가 물 위를 걸어가니

대지와 허공이 다 찢어진다

 

휴정, 청허당집 淸虛堂集, 박경훈역,동국대역경원,1987,p.121.

임종게 臨終偈

천 생각, 만 가지 헤아림이

붉은 화로의 한 점 눈이로다

진흙으로 만든 소가 물 위를 가나니

대지는 허공을 찢누나.

 

운영자가 이 시를 재해석해 본다.

千思萬思量(천사만사량) 

紅爐一點雪(홍로일점설)

泥牛水上行(니우수상행)

大地虛空裂(대지허공열)

천만 가지 생각이란

붉은 화롯불 위에서 잠깐 사이에 녹아 사라지는 한 점 눈꽃이로다

진흙으로 빚은 소가 물 위를 지나가듯하는 한 생을 살고보면

진흙소가 물 속에 녹아 사라지듯이 대지와 허공도 나의 의식에서 사라진다.

천지도 사라지는데 개체의 존재야 일러 무삼하리오? 

영원한 것은 내 마음 속의 佛性, 부처님의 깨달음밖에 없다.

 

참고로  제4구는 처음으로 시도해 보는 해석이지만

주어를 대지(大地)로 보면

"우리가 몸담고 있는 대지조차 허공중에 흩어진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그러면 제3,4구의 번역은

진흙소가 물 속에 녹아 사라지듯이

우리가 몸담고 있는 대지조차 허공중에 흩어진다.

가 된다.

 

[운영자 주2]

대사께서 자화상에 쓴 마지막 게송은 아래 두 마디였다.

八十年前 渠是我   八十年後 我是渠

팔십 년 전에는 자화상이 나이더니

팔십 년 후에는 내가 자화상이로다

*죽음에 임하고 보니 나라는 존재는 그림자처럼 사라지고 자화상만 남는구나.

[참고]

'서산대사의 해탈시'는 오류 01- 04를 바로잡은 글은 아래 두 편의 글이다.

 

 

휴정 - 임종게 臨終偈  


'生從何豦來 死向何豦去' 이하의 출전과 원문  

 

https://kydong77.tistory.com/10858

 

휴정 - 임종게 臨終偈

임종게 (臨終偈)가 에도 들어 있는 걸 보면 대사의 작품이 맞다. 임종게는 그 승려를 논의할 때 그가 살아온 인생을 집약한 것이므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런데 '30.청허존자'에서 臨終

kydong77.tistory.com

 

 

 

 

<포스터> 3

서산대사의 詩碑에 있는 글

 

여보게 친구!

살아있는 게 무언가

숨 한 번 들여 마시고

마신 숨 다시 뱉어내고

가졌다 버렸다, 버렸다 가졌다

그게 바로 살아 있다는

증표 아니던가?

 

그러다 어느 한 순간

들여 마신 숨 내뱉지 못하면

그게 바로 죽는 것이지

 

어느 누가

그 값을 내라고도 하지 않는

공기 한 모금도

가졌던 것 버릴 줄 모르면

그게 곧 저승 가는 것인 줄

뻔히 알면서 어찌 그렇게

이것도 내 것 저것도 내 것

모두 다 내 것인 양

움켜쥐려고만 하시는가?

 

아무리 많이 가졌어도

저승길 가는 데는

티끌 하나도 못 가지고 가는 법이리니

쓸 만큼 쓰고 남은 것은

버릴 줄도 아시게나.

자네가 움켜쥔 게 웬만큼 되거들랑

자네보다 더 아쉬운 사람에게

자네 것 좀 나눠주고

그들의 마음 밭에 자네 추억 씨앗 뿌려

사람 마음속에 향기로운 꽃피우면

천국이 따로 없네, 극락이 따로 없다네.

 

 

生也一片浮雲起

死也一片浮雲滅

浮雲自體本無實

生死去來亦如然

삶이란 한 조각 뜬 구름 일어남이요

죽음이란 한 조각 뜬 구름 스러짐이라

뜬구름 자체가 본래 실체가 없는 것이니

나고 죽고 오고 감이 역시 그와 같다네.

 

 

千思萬思量

紅爐一點雪

泥牛水上行

大地虛空裂

천 가지 만 가지 생각이

불타는 화로 위의 한 점 눈(雪)이로다.

논갈이 소가 물 위로 걸어가니

대지와 허공이 갈라지는구나.

 

https://kydong77.tistory.com/10858

 

휴정 - 임종게 臨終偈

임종게 (臨終偈)가 에도 들어 있는 걸 보면 대사의 작품이 맞다. 임종게는 그 승려를 논의할 때 그가 살아온 인생을 집약한 것이므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런데 '30.청허존자'에서 臨終

kydong77.tistory.com

 

 

'한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휴정 - 임종게(臨終偈)  (0) 2013.12.15
'서산대사의 해탈시'는 오류 04  (2) 2013.12.12
'서산대사의 해탈시'는 오류 02  (2) 2013.12.12
'서산대사의 해탈시'는 오류 01  (1) 2013.12.12
애절양 哀絶陽  (0) 2012.12.16

 

 

 

<포스터> 2

 

삶이란 한 조각 구름이 일어남이요

죽음이란 한 조각 구름이 스러짐이라

구름은 본시 실체가 없는 것

죽고 살고 오고감이 모두 그와 같도다

 

 

生也一片浮雲起 (생야일편부운기)

死也一片浮雲滅 (사야일편부운멸)

浮雲自體本無實 (부운자체본무실)

生死去來亦如然 (생사거래역여연)

--서산대사 ( 입적하시기 전 읊은 해탈시)

 

https://kydong77.tistory.com/10858

 

휴정 - 임종게 臨終偈

임종게 (臨終偈)가 에도 들어 있는 걸 보면 대사의 작품이 맞다. 임종게는 그 승려를 논의할 때 그가 살아온 인생을 집약한 것이므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런데 '30.청허존자'에서 臨終

kydong77.tistory.com

 

'한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산대사의 해탈시'는 오류 04  (2) 2013.12.12
'서산대사의 해탈시'는 오류 03  (0) 2013.12.12
'서산대사의 해탈시'는 오류 01  (1) 2013.12.12
애절양 哀絶陽  (0) 2012.12.16
도연명, 桃花源記(도화원기)  (0) 2011.02.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