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항상 좋은 말로써 남을 이롭게 하면 이를 법보시라 한다” 하고, 또한 어떤 사람은 말하기를 “부처님들의 말씀을 묘하고 착한 가르침으로써 남에게 연설해 주면 이를 법보시라 한다” 하고, 또한 어떤 사람은 말하기를 “세 가지 법으로써 사람을 교화하는 것이니, 첫째는 수투로(修?路)42)요, 둘째는 비니요, 셋째는 아비담이다. 이것을 법시라 한다” 하고, 또한 어떤 사람은 말하기를 “네 가지 법장(法藏)으로써 사람을 교화하는 것이니, 첫째는 수투로장이요, 둘째는 비니장이요, 셋째는 아비담이요, 넷째는 잡장(雜藏)이다. 이것을 법시라 한다” 하고, 또한 어떤 사람은 말하기를 “간략히 말하자면 두 가지 법으로써 사람을 교화하는 것이니, 첫째는 성문의 법[聲門法]이요, 둘째는 보살의 법[菩薩法]이다. 이것을 법시라 한다” 했다.
問曰。如提婆達呵多等。亦以三藏四藏聲聞法摩訶衍法敎人。而身入地獄是事云何。
[문] 제바달(提婆達)과 가다(呵多)43) 등도 3장(藏)ㆍ4장(藏)ㆍ성문법ㆍ마하연법으로 사람을 교화했거늘 지옥에 들어갔다. 그 일은 어째서인가?
말로써 설명하는 것만을 일러 법보시라 하지는 않는다. 항상 맑은 마음과 착한 생각으로 일체를 교화하는 것을 법보시라 한다. 비유하건대 재물보시는 착한 마음으로 하지 않으면 복덕이라 할 수 없듯이, 법보시도 그와 같아서 맑은 마음과 착한 생각으로 하지 않는다면 법보시가 되지 못한다.
復次說法者。能以淨心善思讚歎三寶。開罪福門示四眞諦。敎化衆生令入佛道。是爲眞淨法施。
또한 법을 설하는 이가 능히 맑은 마음과 착한 생각으로 능히 3보(寶)를 찬탄하고 죄와 복의 문을 열며, 4제를 내보이고 중생을 교화하여 불도에 들어가게 한다면 이것은 참으로 청정한 법보시이다.
간략히 말하건대 법에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중생을 괴롭히지 않고 착한 마음으로 가엾이 여기는 것이니, 이는 불도에 드는 인연이다. 둘은 모든 법이 참으로 공함을 관찰하는 것이니, 이는 열반에 이르는 인연이다. 대중에 대하여 가엾이 여기는 마음을 일으켜 이 두 가지 법을 말하되 명예나 이익이나 공경과 공양을 위하지 않으면 이는 청정한 불도의 법보시가 된다.
如說。阿輸伽王一日作八萬佛圖。雖未見道於佛法中少有信樂。日日請諸比丘入宮供養。日日次第留法師說法。
전하는 말에 의하면, 아수가(阿輸伽)44) 왕은 하루에 8만 개의 탑[佛圖]45)을 세웠으며, 비록 도를 깨닫지는 못했으나 불법에 대하여 조그만치의 신심이 있어 날마다 비구들을 궁중으로 청해 다가 공양하고, 날마다 차례로 법사를 남겨 두어 법을 설하게 했다.
有一三藏年少法師。聰明端正次應說法。在王邊坐。口有異香。王甚疑怪謂爲不端。欲以香氣動王宮人。
이때 3장에 통달한 사람이 하나 있었는데, 젊은 법사로서 총명하고 단정했다. 설법할 차례가 되어 왕의 곁에 앉았는데 입에서 이상한 향취가 나거늘 왕이 매우 이상하게 여겨 생각했다.
“점잖지 못하게도 향기로써 궁녀들의 마음을 흔들려 하는구나.”
語比丘言。口中何等開口看之。卽爲開口了無所有。與水令漱香氣如故。
그는 비구에게 물었다.
“입에 무엇이 들었는가? 입을 열어 보라.”
즉시에 입을 열었으나 아무것도 없었다. 물을 주어 양치질을 하게 하였으나 향취는 여전했다.
[답] 부처님께서 말씀하시기를 “두 가지 보시 가운데서 법보시가 수승하다. 그것은 왜냐하면 재물보시의 과보는 욕계에 있지만, 법보시의 과보는 삼계에 있거나 혹은 삼계를 벗어나기도 하기 때문이다”고 하셨다.
입으로 말함이 청정해서 깊이 도리가 통함을 얻는다면, 마음도 역시 그것을 얻는 까닭에 삼계를 벗어나게 된다.
재물보시는 한량이 있거니와 법보시는 한량이 없으며, 재물보시는 다함이 있거니와 법보시는 다함이 없다.
비유하건대 장작을 불 위에 덮으면 그 광명이 점점 많아지는 것과 같다.
또한 재물보시의 과보는 청정함이 적고 때가 많으며, 법보시의 과보는 때가 적고 청정함이 많다.
또한 만일 큰 보시를 하려면 반드시 대중의 힘을 기다려야 하지만, 법보시는 마음으로 나오니 남을 기다릴 필요가 없다.
또한 재물보시는 능히 4대와 모든 근(根)을 키우며, 법보시는 능히 무루의 근(根)ㆍ역(力)ㆍ각도(覺道)46)를 갖추게 한다.
또한 재물보시의 습관[法]은 부처님이 계시거나 계시지 않거나 세상에 항상 있지만, 법보시는 부처님이 계신 세상에만 있다. 그러므로 법보시가 매우 어려운 것임을 알아야 한다.
어찌하여 어려운가? 형상을 지닌 벽지불에 이르기까지도 설법은 하지 못
하고 다만 다니면서 걸식하고 허공으로 날아오르고 변화하여 사람들을 제도할 뿐이다.
또한 법보시로부터 능히 재물보시가 나오며, 성문ㆍ벽지불ㆍ보살들에 이르고 부처에 이른다.
또한 법보시는 능히 모든 법의 유루와 무루, 물질의 법과 물질이 없는 법, 유위와 무위의 법, 착한 법과 착하지 못한 법과 무기의 법, 항상한 법과 무상한 법, 있음의 법과 없음의 법 등 온갖 법의 진실한 모습과 청정하여 파괴할 수 없음을 잘 분별하나니, 이런 법을 간략히 설명하면 8만 4천이 되거니와 자세히 말하면 한량이 없다.
이러한 갖가지 법이 모두가 법보시에 의하여 분별해서 밝게 알 수 있으니, 그러므로 법보시가 수승하다고 한다.
이 두 가지 보시를 합쳐서 단(檀)이라 한다. 이 두 가지 보시를 행하여 부처가 되기를 원하면 능히 사람들로 하여금 불도에 이르게 하거늘 하물며 그 밖의 것이겠는가.
問曰。四種捨名爲檀。所謂財捨法捨無畏捨煩惱捨。此中何以不說二種捨。
[문] 네 가지 버림[捨]을 단(檀)이라 하나니, 이른바 재물의 버림과 법의 버림과 두려움 없음의 버림[無畏捨]과 번뇌의 버림이다. 여기에서는 어째서 두 가지 버림은 설명하지 않는가?
答曰。無畏捨與尸羅無別故不說。有般若故不說煩惱捨。若不說六波羅蜜。則應具說四捨。
[답] 두려움 없음의 버림은 시라(尸羅)47) 바라밀과 다르지 않으므로 설명하지 않았고, 반야바라밀이 있으므로 번뇌의 버림[煩惱捨]을 설명하지 않았다. 만일 6바라밀을 설명하지 않았다면 의당 네 가지 버림을 다 설명했어야 할 것이다.
大智度論釋初品中檀波羅蜜法施之餘 (卷第十二)
20. 초품 중 단바라밀의 법시(法施)를 풀이함②
【論】問曰。云何名檀波羅蜜滿。
[문] 어떤 것을 단바라밀1)의 원만함이라 하는가?
答曰。檀義如上說。波羅(秦言彼岸)蜜(秦言到)是名渡布施河得到彼岸。
[답] 단(檀)의 뜻은 앞에서 말한 바와 같거니와 바라밀(波羅蜜)이란 ‘보시의 강을 건너 피안에 이름을 말한다.
또한 있다 없다 하는 소견은 이쪽 언덕이요, 있다 없다 하는 소견을 깨뜨린 지혜는 피안이요, 부지런히 보시를 닦는 것은 강 복판에 있는 것을 말한다.
또한 보시에는 두 종류가 있으니, 하나는 마(魔)의 보시요 둘은 부처의 보시이다.
만일 보시하되 번뇌[結使]의 도적에게 끄달려 근심하고 걱정한다면 마의 보시이니, 일컬어 이쪽 언덕[此岸]이라 한다. 만일 청정하게 보시하여 번뇌의 도적이 없고 두려움이 없이 불도에 이른다면 이것은 부처의 보시이니, 일컬어 피안에 이르렀다 한다.
이것이 바라밀이다.
『불설독사유경(佛說毒蛇喩經)』2)에 이런 말씀이 있다.
“어떤 사람이 왕에게 죄를 짓자 왕은 그에게 광주리를 하나 맡기면서 잘 간직하라 분부했다.
그 광주리 안에는 뱀 네 마리가 있었는데 왕이 죄인에게 잘 보살펴 기르라 하니, 이 죄인은 생각했다.
‘네 마리의 뱀은 가까이하기가 어렵다. 가까이하면 사람을 해친다. 한 마리도 기르기 어렵거늘 하물며 네 마리이겠는가.’
그리고는 광주리를 버리고 달아났다.
왕은 다섯 사람을 시켜 칼을 뽑아들고 좇아가게 했다.
도망가던 중 어떤 사람이 입으로는 달콤한 말을 하나 속으로는 해칠 생각을 품고 말했다.
“이치에 맞게 기르면 괴로울 리가 없다.”
하지만 죄인은 그 말의 뜻을 눈치 채고는 서둘러 달아나 목숨을 부지했다.
다시 어느 빈 마을에 이르렀는데, 거기에 착한 사람이 하나 있었다. 그는 그에게 방편을 부려 말했다.
“이 마을은 비록 비었으나 도적들이 머무는 곳이다. 그대가 여기에 머문다면 반드시 도적에게 해를 입을 것이니, 행여나 머물지 말라.”
이에 그대로 달아나서 어느 큰 강가에 이르렀다. 그 강의 저쪽은 다른 나라였는데, 그 나라는 안락하고 평탄하고 청정하여 아무런 근심거리가 없는 곳이었다.
그는 온갖 초목을 모아 묶어서 뗏목을 만들었다. 그리고는 손과 발로 저어 건너서 피안에 이르니, 안락하고 근심이 없어졌다.
여기에서 왕이라 함은 마왕이요, 광주리라 함은 사람의 몸이요, 네 마리의 독사라 함은 4대(大) 요, 칼을 뽑아 든 다섯 사람이라 함은 5중(衆)이요, 입으로는 착하고 마음은 악한 사람이라 함은 물들고 집착됨[染著]이요, 빈 마을이라 함은 6정(情)이요, 도적이라 함은 6진(塵)이요, 가엾이 여겨 말해 준 사람이라 함은 좋은 스승이요, 큰 강이라 함은 애욕이요, 뗏목이라 함은 8정도요, 손과 발로 애써 건넜다 함은 정진이요, 이쪽 언덕이라 함은 세간이요, 피안이라 함은 열반이요, 건넌 자라 함은 누(漏)가 다한 아라한을 말한다.
보살의 법에도 이와 같아서 보시에 세 가지 장애, 즉 주는 나와 베푸는 바를 받는 자와 재물이 있게 되면 이는 마의 경계에 떨어지고, 아직 온갖 환란을 여의지 못한 것이 되고 만다.
보살의 보시는 세 가지가 모두 청정하여 이러한 세 가지 장애가 없어야 피안에 이르며, 부처님들에게 칭찬받는다. 이것을 보시[檀]바라밀이라 한다. 이런 까닭에 ‘피안에 이른다’고 한다.
이 6바라밀은 능히 사람으로 하여금 인색함 등의 번뇌에 물든 바다를 건너 피안에 이르게 한다. 그러므로 바라밀이라 한다.
[답] 아라한과 벽지불이 피안에 이르는 것은 부처님이 피안에 이르는 것과 이름은 같으나 실제는 다르다. 저들은 생사로써 이쪽 언덕을 삼고 열반으로써 피안을 삼거니와 보시바라밀의 피안으로 건너가지는 못한다. 그것은 왜냐하면 온갖 물건과 온갖 때와 온갖 종류로 베풀지 못하며, 설사 베풀더라도 큰 마음이 없거나 무기심(無記心)3)이거나 유루의 선심(善心)이다. 혹은 무루의 마음으로 보시하더라도 크게 불쌍히 여기는 마음이 없어서 온갖 중생을 위하여 베풀지 못하기 때문이다.
보살의 보시란, 베푸는 일이 나지도 않고 멸하지도 않으며, 무루이고 무위이어서 열반의 모습과 같음을 알아 온갖 중생을 위하여 보시하나니, 이를 단바라밀이라 한다.
또한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모든 물건을 종류를 막론하고 안팎으로 모두 보시하고도 과보를 구하지 않는다면 이와 같은 것이 단바라밀이다” 한다.
또한 다함이 없으므로 단바라밀이라 한다. 그것은 왜냐하면 보시한 물건은 끝내 공하여 열반의 모습과 같음을 알고, 그러한 마음으로 중생에게 베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보시의 과보 역시 다할 수 없으니, 이것을 단바라밀이라 한다.
5신통력을 갖춘 선인이 있었는데, 그는 훌륭한 보물을 돌 속에 감추어 두고는 이 보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금강을 갈아 발라서 깨뜨릴 수 없게 만들었다. 보살의 보시도 그와 같아서 열반의 실상을 아는 지혜로써 갈아 발라서 그 보시가 다함이 없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보살은 모든 중생을 위하여 베푸는데, 중생의 수효가 다할 수 없으므로 보시 역시 다할 수가 없다.
또한 보살은 불법을 위하여 베푸는데, 불법이 한량없고 끝이 없으므로 보시 역시 한량없고 끝이 없다.
[답]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보살은 능히 온갖 것으로써 베푼다. 곧 안팎의 것, 크고 작은 것, 많고 적은 것, 거칠고 고운 것, 애착되고 애착되지 않는 것, 쓰는 것과 쓰지 않는 것 등 이런 것 모두를 보시하여 아까워하는 마음이 없으며, 균등하게 일체 중생에게 주되 어른에게는 주지만 애들에게는 주지 않는다거나 출가한 사람에게는 주지만 출가치 않은 사람에게는 주지 않겠다거나 인간에게는 주지만 새?짐승에게는 주지 않겠다 하지는 않는다. 곧 모든 중생에게 평등한 마음으로 베풀며, 베풀고는 보답을 구하지도 않는다.
또한 보시의 실상을 얻는 것을 ‘갖추고 원만히 한다’고 한다. 또한 낮과 밤, 겨울과 여름, 길한 때와 쇠퇴한 때를 가리지 않고 언제나 항상 평등하게 베풀되 마음으로 후회하거나 아까워하는 일이 없으며, 나아가서는 머리?눈?골수까지도 베풀되 인색하지 않으니, 이것을 ‘갖추고 원만히 한다’고 한다.
또한 어떤 이는 이렇게 말한다.
“보살이 초발심으로부터 보리수 하의 서른네 가지 마음[三十四心]에 이르기까지 그 중간의 것을 일컬어 ‘보시를 구족하고 원만히 했다’고 한다.”
또한 7주(住)의 보살은 온갖 법의 실상을 아는 지혜를 얻는데, 이때에 불국토를 장엄하고 중생을 교화하며, 부처님들께 공양하여 큰 신통을 얻는다. 곧 능히 한 몸을 나누어 무수한 몸을 짓고 낱낱 몸에서 모두 7보의 꽃과 향과 번기와 일산을 비 내리며, 수미산같이 큰 등을 변화해 만들어 시방의 부처님과 보살에게 공양한다. 또한 묘한 음성을 내어 부처님의 공덕을 찬송하고 예배하고 공양하고 공경하여 맞이한다.
또한 이 보살이 시방의 한량없는 아귀 국토에 갖가지 음식과 의복을 비 내려 충만하게 하여 그들로 하여금 모두 만족하게 한 뒤 모두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내게 한다.
또한 축생의 갈래에 들어가서 그들로 하여금 스스로 착해져서 서로 해치려는 의도를 없애 그들을 두려움에서 벗어나게 하며, 그들이 제각기 구하는 바를 만족하게 하고, 그러한 뒤에는 모두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내게 한다.
지옥의 한량없는 고통을 받는 무리 가운데서는 지옥의 불은 꺼지게 하고 끓는 물은 차게 하며, 죄는 그치게 하고 마음은 착하게 하여 그들의 기갈을 제거해주며, 하늘이나 인간에 태어나게 한다. 이런 인연으로 모두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내게 된다.
가령 시방의 인간 가운데 빈궁한 이에게는 재물을 주고, 부귀한 이에게는 특이한 맛과 모양[色]을 주어 그들로 하여금 기쁘게 하나니, 이런 인연으로 모두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내게 된다.
가령 욕계의 하늘에 이르러서는 그들로 하여금 하늘의 욕락을 버리게 하고 묘한 보배인 법락(法樂)을 베풀어 그들을 기쁘게 만드나니, 이런 인연으로 모두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내게 된다.
가령 색계의 하늘에 이르러서는 그들의 쾌락에의 집착을 제거해 주고 보살의 선법(禪法)을 즐기게 하나니, 이런 인연으로 모두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내게 된다.
이렇게 하여 10주(住)까지 이르니, 이를 ‘보시바라밀을 갖추고 원만히 했다’고 한다.
또한 보살에게는 두 가지 몸이 있으니, 하나는 업에 매여 나는 몸이요, 둘은 법의 몸[法身]이다. 이 두 가지 몸으로 단바라밀을 채우는 것을 일컬어 ‘단바라밀을 구족한다’고 한다.
[답] 아직 법신을 얻지 못하고, 번뇌가 아직 다하지 않았지만 능히 온갖 보물과 머리?눈?골수?뇌?나라?재산?처자 등 안팎의 모든 것을 베풀고도 마음에 흔들림이 없는 것이다.
예컨대 수제나(須提拏)4)란 태자는 그의 두 아들을 바라문에게 보시하고, 다음은 아내를 보시하고도 그 마음이 흔들리지 않았다. 또한 살바달(薩婆達)5) 왕은 적국에 나라를 빼앗기자 깊은 숲 속에 숨어 있는데 먼 나라의 바라문이 와서 구걸을 했다. 그러나 자신은 나라도 패망한채 몸 하나 숨어 살건만 그가 얼마나 아쉽기에 멀리에서 왔거늘 아무것도 얻지 못함을 보고는 가엾이 여겨 바라문에게 말했다.
이와 같이 갖가지로 몸과 처자를 베풀되 인색함이 없었으니, 마치 초목을 버리는 것과 같이 했다. 보시한 물건은 인연 따라 있었던 것임을 알고, 그 실체를 구하여도 도무지 얻을 수 없고 일체가 청정해서 모두가 열반의 모습과 같음을 알았으며, 마침내는 무생법인을 얻기에 이르렀다. 이것이 업에 매여 나는 몸으로 보시바라밀을 행하여 원만하게 하는 것이다.
예컨대 석가모니부처님께서 일찍이 여섯 어금니의 흰 코끼리이셨을 때, 사냥꾼이 틈을 엿보아 독약을 바른 화살을 쏘니 코끼리들이 화가 나서 달려와 그 사냥꾼을 밟아 죽이려 했다. 이에 흰 코끼리는 몸으로써 그들을 막아 사냥꾼을 보호하여 자식같이 가엾이 여기면서 코끼리들을 타일러 돌려보냈다. 그리고는 사냥꾼에게 천천히 물었다.
이때 사람들은 새와 짐승들이 모두 피해를 주지 않는 것을 궁금히 여겼다. 그런데 어느 사냥꾼이 숲에 들어왔다가 코끼리가 원숭이를 지고, 다시 원숭이는 새를 이고 다니면서 공경을 행해 동물들을 감화시키니, 이로 인해 동물들이 모두 선을 닦게 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 사실을 나라 사람들에게 알리니, 사람들은 모두가 경사스럽게 여기면서 말했다. “시절이 크게 태평해지려고 한다. 새와 짐승들조차 어질어지고 있다.”
사람들 역시 그것을 본받아서 예의와 공경을 다하게 되었다. 이때부터 지금까지 교화의 힘이 흘러 만 세대에 이르니, 이것이 법신 보살이다.
또한 보살의 법신은 잠깐 사이에 한량없는 몸으로 변화하여 시방의 부처님께 공양하고, 일시에 능히 한량없는 재물과 보배를 변화해 내어 중생들에게 공급하며, 능히 일체의 상?중?하의 음성에 따라 잠깐 사이에 모두에게 두루 법을 설하며, 나아가서는 보리수 밑에 앉는다. 이러한 갖가지를 일컬어 법신 보살이 단바라밀을 행하여 원만히 한다고 하는 것이다.
또한 단에는 세 종류가 있으니, 첫째는 재물보시요, 둘째는 공양과 공경의 보시요, 셋째는 법보시이다. 어떤 것이 재물보시인가? 곧 진귀한 보배나 의복?음식?머리?눈?골수 등 이러한 온갖 안팎의 것을 모두 베푸는 것이니, 이를 재물보시라 한다. 공경의 보시라 함은 신심이 청정하여 공경하고 예배하며, 맞이하고 전송하고 찬탄하고 주위를 돌며(繞?) 공양하는 등 이러한 갖가지를 공경의 보시라 한다. 법보시란, 도덕을 위하여 이야기하고 토론하고 외우고 읽고 강설하고 의혹을 제하기 위하여 문답하며, 남에게 5계를 일러주는 등 이렇듯 갖가지를 불도를 위하는 까닭에 베푸는 것을 법보시라 한다. 이 세 가지 보시가 원만해지는 것을 단바라밀의 원만함이라 한다.
복밭에 두 종류가 있으니, 첫째는 가엾이 여기는 복밭이요, 둘째는 공경하는 복밭이다. 가엾이 여기는 복밭이라 함은 가엾이 여기는 마음을 내는 것이요, 공경하는 복밭이라 함은 공경하는 마음을 내는 것이니, 마치 아수가(阿輸伽)11)[진나라 말로는 무우(無憂)이다.] 왕이 국토를 부처님에 바친 것과 같다.
또한 재물보시에 대하여 말하자면, 어떤 여자가 술에 취하여 7보의 영락으로 가섭불의 탑에 보시했는데 그 복덕으로 삼십삼천에 태어난 일이 있다. 이러한 갖가지 일을 재물보시라 한다.
問曰。檀名捨財。何以言具足無所捨法。
[문] 단이란 재물을 버리는 일이라 하거늘 어찌하여 말하기를 “버릴 바 없는 법을 구족한다” 말하는가?
또한 보시하는 자에는 두 종류가 있으니, 하나는 세간 사람이요, 또한 하나는 세간을 벗어난 사람이다. 세간 사람은 재물은 버리나 보시는 버리지 못한다. 세간을 벗어난 사람은 능히 재물을 버리고 능히 보시를 버린다. 왜냐 하면, 재물도 보시하는 마음도 모두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버릴 바 없는 법을 구족한다’고 한다.
또한 보시바라밀에 대해 말하기를 “재물과 베푸는 자와 받는 자, 이 세 가지는 얻을 수 없다” 했다.
[문] 세 가지 일이 화합함으로써 보시라 말한다. 그런데 이제 말하기를 ‘세 가지를 모두 얻을 수 없다’고 한다면, 어찌 보시바라밀을 갖추고 원만히 한다 하겠는가? 이제 재물도 있고, 보시하는 이도 있고, 받는 이도 있거늘 어떻게 세 가지를 얻을 수 없는가?
마치 보시한 방석은 실제로 존재하는 것과도 같다. 그것은 왜냐하면 방석이란 이름이 있으면 방석이란 법도 있기 때문이다.
만일 방석이란 법이 없으면 방석이란 이름도 없겠지만 이름이 있으므로 실제로 방석이 있어야 하는 것이다.
또한 방석에는 길고 짧음, 거칠고 고움, 희고 검고 누렇고 붉음 등이 있으며, 인과 연, 지음과 깨짐, 결과와 과보가 있어서 그 특성[法]을 좇아 마음이 생겨난다. 곧 열 자는 길고 다섯 자는 짧으며, 올이 크면 거칠고 올이 가늘면 고우며, 물들임에 따라 빛깔이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올이 있음은 인(因)이요 짜는 기계가 있음은 연(緣)이 되나니, 이런 인연이 화합하기에 방석이 된다. 사람이 공을 들이면 지음이 있고, 사람이 훼손하면 깨뜨림이 있으며, 추위와 더위를 막거나 몸을 가리면 과보라 한다.
사람들은 얻으면 기뻐하고 잃으면 몹시 근심함이 있으니, 그러한 것으로써 보시한다면 복을 받고 도(道)에 도움이 된다. 하지만 훔치거나 혹은 겁탈해서 그것을 저자거리에서 깐다고 해도 죽어서 지옥에 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갖가지 인연이 있는 까닭에 이 방석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을 방석의 법이라 하거늘 어찌 보시할 물건을 얻을 수 없다 하는가?
또한 있음[有]에는 세 종류가 있으니, 첫째는 상대해서 있음[相待有]이요, 둘째는 거짓 이름으로 있음[假名有]이요, 셋째는 법답게 있음[法有]이다.
상대해서 있다고 함은 마치 길고 짧음이나 너와 나[彼此]같이 실제로는 길고 짧음이 없고 너와 나가 없건만 서로 상대하기 때문에 이름이 있게 된다. 길다 함은 짧은 것에 인하여 존재하고, 짧다 함은 또한 긴 것으로 인하여 존재한다. 너라는 것은 나를 인하고, 나라는 것 역시 너를 인하는 것이다.
만일 어떤 물건의 동쪽에 있으면 그로써 이쪽은 서쪽이 되지만, 서쪽에 있다면 동쪽이 된다. 한 물건은 다름이 없는데 동쪽?서쪽의 차별이 생기는 것 이다.
이들은 모두가 이름만 있고 실제로는 없다. 이러한 것들을 ‘상대해서 있다’고 한다. 여기에는 실재하는 법은 없으니, 빛?냄새?맛?닿임 등과는 같지 않다.
거짓 이름으로 있다고 함은 마치 소락[酪]이 빛?냄새?맛?닿임 등 네 가지 일이 있어 인연이 합하는 까닭에 거짓으로 소락이라고 불리는 것과 같다.
비록 있다고 하나 인연의 법으로 있는 것과는 같지 않고, 없다고 하나 토끼의 뿔이나 거북의 털이 없는 것과도 같지 않다. 다만 인연이 합하는 까닭에 거짓으로 ‘있다’ 할 뿐이다. 소락이나 방석의 경우도 그러하다.
또한 극미(極微)12)의 빛?냄새?맛?닿임이 있으므로 털의 요소[毛分]가 있고, 털의 요소의 인연으로 털이 있고, 털의 인연으로 털솜[?]이 있고, 털솜의 인연으로 털실이 있고, 털실의 인연으로 비단이 있고, 비단의 인연으로 옷이 있다.
만일 극미의 빛?냄새?맛?닿임의 인연이 없으면 또한 털의 요소도 없고, 털의 요소가 없는 까닭에 털솜도 없고, 털솜이 없는 까닭에 털실도 없고, 털실이 없는 까닭에 비단도 없고, 비단이 없는 까닭에 옷도 없다.
[답] 지극히 미세해서 실체가 없거늘 억지로 이름붙인 것이다. 그것은 왜냐하면, 거칠음과 미세함은 상대적인 것으로 거칠음을 인하기 때문에 미세함이 있거니와 이 미세함에는 다시 미세함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극미의 물질[色]이 있다면 시방의 요소가 있을 것이다. 시방의 요소가 있다면 이것을 극미라 부를 수 없고, 시방의 요소가 없다면 물질이라 부를 수 없다.
또한 극미가 있다면 허공과의 경계가 있어야 하는데, 그 경계[分]가 있다면 극미라 할 수 없다.
또한 극미가 있다면 거기에는 빛?냄새?맛?닿임의 경계가 있어야 하는데, 빛?냄새?맛?닿임의 경계가 있다면 이를 극미라 할 수 없다.
이와 같이 따지면 극미의 실체를 얻을 수 없게 되니, 경에 말씀하시기를 “물질은 거칠거나 곱거나 안이거나 밖이거나 통틀어 관찰하건대 무상(無常)이고 무아(無我)이니 미진이 있다고 말하지 않는다” 하셨다. 이를 나누어 깨뜨리는 공[空破空]이라 한다.
또한 공을 관하는 경우[空觀]가 있다. 곧 이 방석이 마음을 따라 생긴 것이로되 어떤 좌선하는 사람은 방석을 땅, 혹은 물, 혹은 불, 혹은 바람으로 관하고, 혹은 청색ㆍ황색ㆍ백색ㆍ적색이나 혹은 온통 빈 것으로 관한다. 열 가지 일체의 입(入)에 대한 관찰과 같다.
예컨대 부처님께서 기사굴산에서 비구무리와 함께 계실 적에 왕사성에 들어가시다가 길가에서 큰물을 보셨다. 부처님께서는 물 위에다 니사단(尼師壇)13)을 펴시고 앉으셔서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만일 비구가 선정에 들어 자재(自在)를 얻으면 큰물로 하여금 땅이 되게 하기도 하는데 그때에는 곧 실제의 땅이 된다. 그것은 왜냐하면 이 물속에는 땅의 요소가 있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물?불?바람?금?은 등 갖가지 보물들도 모두 즉시에 실제로 이루어진다. 그것은 왜냐하면 이 물속에는 모두 그들의 요 소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아름다운 여인이 있는데, 음인(淫人)이 보면 맑고 묘하다 하여 마음으로 염착을 일으킨다. 관(觀)을 닦는 사람이 보면 갖가지 악(惡)이 드러나서 한 곳도 깨끗한 데가 없다 한다. 비슷한 여자가 보면 질투와 미움으로 증오하고 눈을 흘기며 보려고도 하지 않으면서 더럽다 한다.
음란한 사람이 보면 즐거워지고, 질투하는 사람이 보면 괴로워지고, 수행하는 사람이 보면 도를 얻고, 관심 없는 사람이 보면 아무런 느낌도 없어서 마치 초목같이 여긴다.
이 예쁜 모습이 실로 깨끗하다면 네 종류의 사람이 다 깨끗하게 보아야 할 것이요, 실제로 더러운 것이면 네 종류의 사람이 다 더럽게 보아야 한다.
그러므로 좋고 나쁨은 마음에 있고 밖에서 정해진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공을 관함도 역시 이와 같다.
또한 이 방석에는 열여덟 가지 공한 모습이 있는 까닭에 그것을 관하면 공해지니, 공한 까닭에 얻을 수 없는 것이다.
이러한 갖가지 인연으로 재물은 공하여 결정코 얻을 수 없다.
어찌하여 보시하는 사람을 얻을 수 없다 하는가? 마치 방석이 인연이 화합하므로써 있거니와 부분부분 분석하면 방석을 얻을 수 없는 것과 같이 보시하는 사람도 그리하여서 4대(大)가 허공을 둘러싸고 있는 것을 몸이라 하는데, 이 몸의 의식이 동작하고 왕래하고 앉았다 일어났다 하는 것을 거짓으로 사람이라 하거니와 부분으로 그것을 구하면 역시 얻을 수 없다.
또한 일체의 온[衆]?처(處)?계(界)에서 나를 얻을 수 없나니, 나를 얻을 수 없으므로 보시하는 사람도 얻을 수 없다. 그것은 왜냐하면 나에게는 갖가지 이름이 있기 때문이다. 곧 인간?하늘?남자?여자?베푸는 사람?받는 사람?괴로운 사람?즐거운 사람?축생 등인데, 이들은 단지 이름만 있을 뿐이요 실다운 법은 얻을 수 없다.
問曰。若施者不可得。云何有菩薩行檀波羅蜜。
[문] 만일 보시하는 이를 얻을 수 없다면 어떻게 보살이 단바라밀을 행하겠는가?
答曰。因緣和合故有名字。如屋如車實法不可得。
[답] 인연이 화합하기 때문에 이름이 있으니, 집이나 수레 등과 같이 실다운 법을 얻을 수는 없다.
[답] 앞에서 ‘어느 때 내가 들었다’를 풀이하면서 이미 설명했거니와 이제 다시 설명하리라.
부처님께서는 다음과 같이 6식(識)을 설명하셨다.
“눈의 의식과 눈의 의식에 서로 응하는 법은 함께 색을 반연하고, 집이나 성곽 등 갖가지 이름을 반연하지 않나니, 귀?코?혀?몸의 의식도 이와 같다. 뜻의 의식과 뜻의 의식에 서로 응하는 법으로는 눈과 색과 눈의 의식을 알며, 나아가서는 뜻과 법과 뜻의 의식까지를 안다.”
이 의식이 반연하는 법은 모두가 공하여 나가 없나니, 그것은 생멸하기 때문이며, 자재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무위의 법에서는 나가 있다고 계교할 수 없나니, 괴로움과 즐거움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여기에 구태여 나라 할 법이 있다면 응당 제7식(識)이 있어서 나를 식별해야 할 터인데 지금은 그렇지 않다.
[답] 여기에는 양쪽 모두에 모순이 있다. 만일 남의 몸에 대하여 나라는 계교를 낸다면 마땅히 “어찌하여 자기의 몸에 대하여는 나라는 계교를 내지 않는가”라고 말해야 한다.
또한 5중(衆)의 인연으로 생겼기 때문에 공하여 나가 없거니와 무명의 인연으로 스무 가지 신견(身見)이 생기는데 이 나라는 견해는 원래 5음(陰)에 대해서 상속되어 생겨나는 것이다.
이렇게 5음의 인연에서 생겼기 때문에 이 5음을 나라고 계교한다. 남의 몸에 있지 않으니 그것은 습관 때문이다.
또한 신(神)14)이 있다면 너와 나가 있다 하겠지만 그대는 아직 신이 있고 없음을 명료히 하지 못하면서 나를 묻는다. 이것은 마치 토끼의 뿔을 묻는데 말의 뿔 같다고 대답하는 것과 같다. 말의 뿔이 실제로 있는 것이라면 그로써 토끼의 뿔을 증명할 수 있겠지만 말의 뿔조차 아직 명료히 하지 못하면서 토끼의 뿔을 증명하려 하는 것이다.
또한 자기의 몸에 대하여 나라는 소견을 내는 까닭에 신이 있다고 말하는데 그대가 말하기를 “신이 두루하다”고 한다면 남의 몸도 내몸이라고 계교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자기의 몸에 대하여는 나라고 계교하는 생각이 나거니와 남의 몸에서는 생기지 않으므로 신이 있는 줄 알겠다”고 말해서는 안 된다.
또한 어떤 사람은 남의 물건에 대하여 나의 것이란 생각을 내는데, 마치 어떤 외도가 좌선을 하면서 일체를 땅으로 보는 관법에 들어갔을 때 땅이 나요, 내가 땅이 되는 것과 같다. 물?불?바람에 대해서도 그러하니, 전도된 까닭에 남의 몸에 대해서 내 것이라는 생각을 내는 것이다.
또한 어떤 때는 남의 몸에 대하여 내 것이라는 생각을 내기도 한다. 어떤 사람이 남의 심부름으로 멀리 가서 빈방에 혼자 머무는데 밤중에 귀신이 송장 하나를 메고 와서 그의 앞에 던졌다. 이내 뒤를 이어 다를 귀신 하나가 따라와서 앞의 귀신을 꾸짖되 “이 시체는 나의 것인데 어찌하여 네가 메고 왔느냐” 하니, 앞의 귀신은 대꾸하기를 “이것은 나의 것이므로 내가 가져 왔다” 했다.
그러니 나중의 귀신이 말하기를 “이 시체는 실로 내가 메고 왔다” 하여, 마침내 두 귀신은 제각기 시체의 팔 하나씩을 잡고 다투다가 먼저 귀신이 이렇게 제의했다.
“여기 인간이 하나 있으니, 그에게 물어보자.”
그러자 즉시 나중의 귀신이 물었다.
“이 시체는 누가 메고 왔는가?”
그 사람은 생각했다.
‘이 두 귀신은 힘이 센데 사실대로 말하면 내가 죽음을 당할 것이요, 거짓으로 말해도 죽음을 당할 것이다. 그렇다면 어차피 죽음을 면하지 못할 텐데 거짓말을 해서 무엇하랴.’
그리고는 이렇게 말했다.
“앞의 귀신이 메고 왔다.”
이 말에 나중의 귀신은 화가 나서 그 사람의 팔을 뽑아 땅에 던져버리니, 먼저 귀신은 시체의 팔 하나를 뽑아다가 그에게 붙여 주었다.
이와 같이, 두 팔?두 다리?머리?허리 등 온몸이 모두 바뀌어버렸다. 여기에서 두 귀신은 함께 바뀌어버린 사람의 몸을 다 먹고는 입을 닦으면서 어디론가 가버렸다.
이때 그 사람은 생각했다.
“나는 부모가 낳아 주신 몸을 눈앞에서 몽땅 두 귀신에게 먹히고, 나의 이 몸은 남의 몸이다. 그렇다면 나는 지금 몸이 있는 것인가, 몸이 없는 것인가? 몸이 있다고 하자니 이것은 모두 남의 몸이고, 없다고 하자니 지금 이렇게 몸이 있지 않는가?”
이렇게 걱정하기를 마치 미친 사람 같았다. 이튿날 아침에 길을 떠나 가다가 목적한 국토에 이르니, 그곳 불탑에 승려들이 모여 있는 것을 보자 다른 말은 하지 않고 오직 ‘자신의 몸이 있는가, 없는가’만을 물었다.
비구들이 “그대는 누구인가?”고 물으니, 그는 “나 역시 스스로 사람인지 사람이 아닌지 모르겠소”라고 대답하고는 승려들에게 지난 일을 자세히 얘기해 주었다.
그러자 비구들은 “이 사람은 나 없음의 도리를 잘 알아서 제도하기 쉬울 것이오”라고 서로 얘기한 뒤 그에게 말했다.
“그대의 몸은 본래부터 항상 나가 없었다. 새로운 사실이 아니다. 다만 4대가 화합하기 때문에 ‘내 몸’이라는 계교를 내었을 뿐이다. 그러니 그대 본래의 몸은 지금의 것과 다름이 없다.”
비구들이 그를 제도해 주니, 그는 도를 닦아 번뇌를 끊고 곧 아라한을 이루었다.
이 몸을 존재[有]로 삼는 때는 남의 몸에 대하여서도 나라고 계교하지만,
너와 나가 있다 하여 나가 있다고 말할 수는 없다.
또한 이 나의 실다운 성품은 결정코 얻을 수 없다. 항상한 모습?항상치 않은 모습?자재한 모습?자재치 않은 모습?짓는 모습?짓지 않는 모습?빛의 모습?빛 아닌 모습 등 이러한 갖가지 모습은 모두 얻을 수 없다.
만일 형상이 있다면 법(法)이 있고 형상이 없으면 법도 없다. 나는 이제 형상이 없으니 곧 나가 없음을 아는 것이다.
만일 나가 항상한 것이라면 살생의 죄가 없어야 한다. 그것은 왜냐하면 몸은 죽일 수 있고 항상치 않기 때문이며, 나는 죽일 수 없고 곧 항상하기 때문이다.
問曰。我雖常故不可殺。但殺身則有殺罪。
[문] 나가 항상한 까닭에 비록 죽일 수 없지만 단지 몸을 죽이기만 해도 곧 살생의 죄가 있게 된다.
[답] 가령 몸을 죽이면 살생의 죄가 있다는 것에 대하여 비니(毘尼)에서는 말하기를 “자살에는 살생의 죄가 없다. 죄와 복은 남을 괴롭히고 이익되게 하는 데서 생긴다”고 하며, 다시 비니에서 말하기를 “자신을 죽이면 살생의 죄는 없고, 어리석음?성냄의 허물이 있다”고 했다.
만일 영혼[神]이 항상하다면 죽지도 않고 나지도 않아야 한다. 그것은 왜냐하면 그대들의 법에 의한다면 영혼은 항상하여 일체의 5도(道)에 두루 차 있다. 그러니 어찌 생사가 있겠는가. 죽음이란 여기에서 없어진다는 말이요, 남이란 저기에 나온다는 말이다. 그러므로 ‘영혼은 항상하다’고 말할 수 없다.
만일 영혼이 항상하다면 고락을 받아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괴로움이 오면 근심하고 즐거움이 오면 기뻐하는데 근심과 즐거움에 따라 변한다면 항상함이 아니기 때문이다.
만일 항상하다면 허공과 같아서 비도 적시지 못하고, 열기로도 말리지 못하며, 또한 금생과 내생도 없을 것이다.
만일 영혼이 항상하다면 후생에 태어나거나 금생에 죽는 일이 없어야 할 것이다. 다시 영혼이 항상하다면 항상 아견(我見)이 있어서 열반을 얻지 못할 것이며, 영혼이 항상하다면 일어남도 멸함도 없으며, 잊거나 잃는 일이 없어야 한다. 하지만 이 영혼은 없고 식(識)은 무상하기에 잊는 일이 있고 잃어버리는 일이 있다.
그러므로 신식은 항상치 않다. 이러한 갖가지 인연에 의해 영혼은 항상한 모습이 아님을 알아야 한다.
[답] 어떤 사람은 말하기를 “영혼은 마음속에 있어서 미세하기가 겨자씨 같고 청정한 것을 일컬어 맑은 색신(色身)이라 한다”고 했다. 또한 어떤 사람은 말하기를 “보리쌀과 같다” 하고, 어떤 사람은 말하기를 “콩알과 같다” 하고, 어떤 사람은 말하기를 “크기가 반 치[半寸]이다” 하고, 어떤 이는 말하기를 “크기가 한 치인데, 처음 몸을 받을 때 가장 먼저 받는다. 마치 등상[像]의 골격 같다가 몸을 이루면 등상과 같이 이미 가지런히 이루어진다” 한다. 다시 어떤 이는 말하기를 “크고 작음이 사람의 몸에 따라 다르나, 죽어 무너질 때엔 이것이 또한 앞서 나간다” 한다. 하지만 이런 말들은 모두가 옳지 못하다.
그것은 왜냐하면 일체의 물질은 4대로 이루어지고 인연 따라 생겨난 것이기에 무상하기 때문이다. 만일 영혼이 물질이라면 물질이 무상하므로 영혼 역시 무상할 것이다. 만일 무상하다면 앞에서 말한 바와 같다.
問曰。身有二種。麤身及細身。麤身無常細身是神。世世常去入五道中。
[문] 몸에는 두 가지가 있으니, 거친 몸과 미세한 몸이다. 거친 몸은 무상하지만, 미세한 몸은 영혼[神]이어서 세세에 항상하여 5도에 든다.
答曰。此細身不可得。若有細身應有處所可得。如五藏四體。一一處中求皆不可得。
[답] 이 미세한 몸이란 얻을 수 없다. 미세한 몸이 있다면 처소가 있어야 하는데 5장(藏)과 4체(體) 등 낱낱 처소에서 구하여도 모두 얻을 수 없다.
[답] 만일 그렇다면 없는 것과 다름이 없다. 마치 사람이 죽을 때 이 몸[生陰]을 버리고 중음(中陰)으로 들어가는데 이때 이 세상의 몸이 멸하고 중음의 몸을 받는다. 여기에는 앞뒤가 없어서 멸할 때에 곧 생겨난다.
비유하건대 밀랍도장[蠟印]을 진흙에 찍으면 진흙에 도장이 찍히면서 밀랍도장은 이내 망가져 버리는 것과 같다. 곧 이루어짐과 무너짐이 동시여서 앞뒤가 없는 것이다.
이때 중음 가운데 몸을 받았다가 그 중음의 몸을 버리면 다시 이 몸[生陰]의 존재를 받는데, 그대가 말하는 미세한 몸이란 곧 이 중음을 말한다.
중음의 몸은 출입이 없다. 비유하건대 등불을 켜면 나고 멸함이 상속하여 항상함도 아니고 없어짐도 아닌 것과 같다.
부처님께서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일체의 물질은 과거ㆍ미래ㆍ현재이거나 안팎이거나 거칠거나 곱거나 모두 무상하다. 그대의 영혼이 미세한 물질이라면, 이 역시 무상하여 단절되고 없어지리라.”
이러한 갖가지 인연에 의하여 물질의 모습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영혼은 물질의 특성이 없는 것[無色相]도 아니라고 했는데, 무색이란 4중(衆) 및 무위(無爲)를 말한다. 4중은 무상하고 자재롭지 못하고 인연에 속하기 때문에 영혼이 될 수 없다. 세 가지 무위15)[택멸ㆍ비택멸ㆍ허공]에는 신이 있다고 계교할 수 없으니, 받아들일 바가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갖가지 인연 때문에 영혼은 물질의 특성이 없는 것도 아님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천지 사이의 안팎과 3세(世)와 시방에서 나를 구하여도 얻을 수 없나니, 오직 12입(入)이 화합해서 6식(識)을 낳는다. 3사(事)16)[근ㆍ경ㆍ식의 세 가지]가 화합한 것을 촉(觸)이라 하고, 촉은 수(受)?상(想)?사(思) 등의 마음에 속하는 법[心數法]을 내며, 이 법 가운데 무명의 힘 때문에 신견(身見)이 생겨나고, 신견이 생기므로 영혼이 있다고 여기는 것이다.
이러한 신견은 고제(苦諦)의 고법제(苦法諦)와 고비지(苦比知)를 본다면 곧 끊어지나니, 끊어진다면 곧 영혼이 있음을 보지 않게 된다. 그대가 먼저 말하기를 “만일 안에 영혼의 물질[色]이 없다면 식은 생각마다 생멸하거늘 어떻게 빛의 청?황?적?백을 분별해 알겠는가” 했으며, 또한 그대는 말하기를 “만약에 영혼이 있더라도 혼자서 아는 것이 아니고 반드시 눈의 의식에 의지해서야 안다”고 했다. 만일 그렇다면 영혼은 쓸모가 없는 것이다.
눈의 의식으로 색을 아니, 색의 생멸은 생을 닮기도 하고 멸을 닮기도 한 것이다. 그런 연후에 마음속에 어떤 법이 생겨남을 일컬어 생각[念]이라 한다. 이 생각의 모습은 유위의 법이어서 비록 멸하여 과거가 되나 이 생각으로 능히 아는 것이다. 마치 성인이 지혜의 힘으로 미래의 일을 아는 것과 같
다. 생각[念念]도 그와 같아서 능히 과거의 법을 안다.
만일 앞의 눈의식이 멸하고 뒤의 눈의식이 생긴다면 뒤의 눈의식은 더욱 예리하고 힘이 있게 된다. 색은 비록 잠시 있을 뿐 머물지 않으나 생각의 힘이 예리한 까닭에 능히 아는 것이다.
이런 사실로 미루어 비록 생각마다 생멸하여 무상하나 능히 색을 분별하여 아는 것이다.
또한 그대가 말하기를 “현존하는 사람의 의식이 새록새록 생멸하고, 몸의 목숨이 끊어질 때 역시 다한다면, 모든 행의 죄와 복은 누구를 따르고 누가 받으며, 누가 고락을 받고 누가 해탈하리오” 했는데, 이제 대답하리라.
그대는 아직 진실한 도를 얻지 못했다. 이런 사람은 모든 번뇌가 마음을 덮고, 인연의 업을 지어 태어난다. 죽을 때엔 이로부터 5음이 상속되어 5음을 낳는다.
비유하건대 한 등잔으로 다시 한 등잔을 켜는 것과 같으며, 또한 곡식이 나는데 땅?물?종자 등 세 인연이 있어야 되는 것과 같다. 뒷세상의 몸이 나는 것도 그와 같아서 몸과 유루의 업과 번뇌[結使]의 이 세 가지가 있어야 뒷몸이 생긴다.
여기에서 몸과 업의 인연은 끊을 수도 없고 깨뜨릴 수도 없거니와 단지 모든 번뇌만은 끊을 수 있다. 번뇌가 끊어질 때엔 비록 남은 몸, 남은 업이 있으나 해탈 할 수가 있다. 마치 곡식이 땅은 있어도 물이 없으면 나지 못하는 것과 같다.
이와 같이 비록 몸과 업만 있고 애욕 번뇌의 물이 축여주지 않는다면 나지 못하나니, 이를 일러 ‘비록 영혼은 없으나 역시 해탈을 얻는다’고 한다.
[답] 범부들은 베푸는 이와 받는 이와 베푸는 물건을 보나니, 이는 뒤바뀌고 허망한 소견이다. 세간에 태어나서 즐거움을 받다가 복이 다하면 다시 윤회의 길로 굴러간다. 그러므로 부처님께서 보살들로 하여금 진실한 도를 행하여 진실한 과보를 얻게 하시려 하였으니, 진실한 과보란 곧 불도이다.
부처님은 허망한 소견을 깨뜨리고자 세 가지 일을 얻을 수 없으며 실로 깨뜨릴 바 없다고 말씀하셨다. 왜냐하면 모든 법은 본래부터 끝내 공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갖가지 한량없는 인연은 얻을 수 없으니, 그러므로 일컬어 ‘단바라밀을 구족해 원만히 한다’고 하는 것이다.
또한 보살이 단바라밀을 행하여 능히 6바라밀을 내면 이때를 일러서 ‘단바라밀을 구족해 원만히 했다’고 한다.
어찌하여 보시가 단바라밀을 낳는가? 단에는 상?중?하가 있는데, 하품에서 중품이 생기고, 중품에서 상품이 생긴다.
만일 음식 등 거친 물건을 가지고 연한 마음으로 보시하면 이를 하품이라 한다. 보시를 익히고 더욱 늘려서 능히 의복이나 보물을 가지고 보시하면 이것은 하품에서 중품을 낳은 것이 된다.
보시할 마음이 더욱 늘어나서 아낌없이 머리?눈?피?살?나라?재물?처자를 모두 보시한다면 이것은 중품에서 상품을 낳은 것이 된다.
전생에 석가모니부처님께서 처음 발심하셨을 때 광명이라 불리는 국왕이셨는데, 불법을 구하기 위하여 적건 많건 모두 보시하였더니 윤회해서 뒷몸을 받자 옹기장이가 되었다. 그는 목욕하는 도구와 꿀물로써 지금과는 다른 석가모니부처님과 비구들에게 공양하였더니, 다시 몸을 바꾼 뒤에 큰 장자의 딸이 되었다. 다시 등불로써 교진야불(?陳若佛)에게 공양하였으니, 이러한 갖가지를 보살의 하품의 보시라 한다.
또한 석가모니부처님은 전생에 장자의 아들이었는데, 옷으로써 대음성불(大音聲佛)17)에게 공양하였으며, 그 부처님이 열반에 드신 뒤에는 90개의 탑을 일으켰다. 뒤에 다시 몸을 바꾸어서는 큰 국왕이 되었는데, 7보의 일산으로 사자불(師子佛)18)에게 공양했다. 나중에 다시 몸을 바꾸어서는 큰 장자가 되어 묘목불(妙木佛)19)에게 가장 좋은 방사(房舍)와 7보의 묘한 꽃으로 공양했다.
또한 석가모니부처님은 전생에 선인(仙人)이셨다. 교진야불의 상호가 단정하시고 수묘(殊妙)하심을 뵙고는 문득 높은 산 봉우리에 올라가서 부처님 앞으로 몸을 던졌는데 그 몸이 무사하게 한쪽에 서 있었다.
또한 중생희견보살(衆生喜見菩薩)20)이 몸으로 등불을 만들어 일월광덕불(日月光德佛)께 공양했다.
이렇게 갖가지로 몸과 목숨을 아끼지 않고 부처님들께 공양했으니, 이것은 보살의 상품의 보시이다.
이것을 보살의 세 종류의 보시라 한다.
어떤 이가 처음으로 불심(佛心)을 내어 중생에게 보시하는 것도 이와 같으니, 처음에는 음식으로 보시하다가 보시할 마음이 차츰 늘어나서 몸이나 살로써 베풀게 된다. 먼저는 갖가지 좋은 음료수를 보시하다가 나중에 그 마음이 차츰 늘어나서 몸의 피를 베풀며, 먼저는 종이나 먹으로 된 경서를 보시하거나 의복?음식 등 네 가지 공양구로 법사에게 공양하다가 나중에는 법신을 얻어 한량없는 중생에게 갖가지 법을 말해 주는 법시를 하게 된다.
어떤 것이 보살의 보시에서 시라바라밀(尸羅波羅蜜)이 생겨나는 것인가? 보살은 다음과 같이 생각한다.
“중생들은 베풀지 않는 까닭에 후세에 빈궁해진다. 빈궁하기 때문에 훔치려는 생각을 내고, 훔치기 때문에 죽이고 해하게 된다. 또한 빈궁하기 때문에 색(色)에 있어서 충족하지 못하고, 색이 충족하지 못하기 때문에 삿된 음행을 한다. 또한 빈궁하기 때문에 남보다 하천하게 되고, 하천해지면 두려워하고 거짓말을 하게 된다.”
“내가 지금 안팎의 재물을 모두 보시하여 버리기 어려운 것을 능히 버렸다. 그러니 하물며 빈 소리를 참지 못하겠는가. 만일 내가 참지 못한다면 보시한 것은 더러워지고 만다. 마치 흰 코끼리가 못에 들어가서 깨끗이 목욕을 하고 나와서는 다시 흙을 몸에 묻히는 것과 같다. 베풀고서 참지 못함도 또한 이와 같으리라.”
“내가 지금 안팎의 재물을 모두 보시하여 버리기 어려운 것을 능히 버렸다. 그러니 하물며 빈 소리를 참지 못하겠는가. 만일 내가 참지 못한다면 보시한 것은 더러워지고 만다. 마치 흰 코끼리가 못에 들어가서 깨끗이 목욕을 하고 나와서는 다시 흙을 몸에 묻히는 것과 같다. 베풀고서 참지 못함도 또한 이와 같으리라.”
이렇게 생각하고는 인욕을 행하나니, 이러한 갖가지 보시의 인연에서 찬제바라밀이 생겨난다.
어떤 것이 보시에서 비리야바라밀(毘梨耶波羅蜜)이 생기는 것인가? 보살은 보시할 때 항상 정진을 행한다. 그것은 왜냐하면 보살이 처음 발심할 때엔 공덕이 크지 못하니, 이때는 두 가지 보시를 행하여 모든 중생의 소원을 채워 주고자 하건만 재물이 부족하기 때문에 재물과 법을 간절히 구하여 그로써 베푸는 것이다.
마치 석가모니부처님께서 전생에 큰 의원이셨는데, 일체의 병을 고쳐 주되 명예나 이익을 구하지 않았으니, 중생을 가엾이 여기기 때문이었다. 병자는 매우 많은데 두루 다 구제하지 못해서 모두를 위해 근심하다가 마음대로 되지 않자 깊이 근심했다. 죽어서 곧 바로 도리천(?利天)22)에 태어나서 스스로 생각하기를 ‘내가 지금 하늘에 태어났으나 복의 갚음을 누릴 뿐 길이 이익되는 바가 없도다’라고 하고는 곧 방편을 써서 몸을 마쳤다.
이 하늘의 수명을 버리고는 사가타(娑伽陀)용왕23)의 궁에 태어나 용의 태자가 되니, 그 몸이 훤칠함에 부모의 사랑을 받았다.
다시 죽음을 당하기 위하여 금시조 왕에게 갔더니, 새는 곧 이 용의 태자를 집어서는 사마리(舍摩利)나무 위에 올라가 먹어버렸다. 부모는 애통해하면서 깊이 근심했다.
용의 태자는 죽어서 염부제에 태어났는데 큰 나라의 태자가 되어 능시(能施)라 불렸다. 태어나자마자 말을 하였는데 좌우의 사람들에게 묻기를 “지금 이 나라에 어떤 물건이 있는가? 모두 가지고 오라. 보시에 쓰리라” 하니, 사람들이 듣고 모두가 괴이하게 여기고 두려워하면서 그를 버리고 달아났다.
그러나 어머니만은 가엾이 여겨 혼자 지키고 있노라니, 그는 어머니에게 말했다.
“나는 나찰도 아닌데 사람들이 왜 나를 버리고 달아납니까? 나는 본래부터 보시하기를 좋아했으니, 나는 모든 사람의 단월(壇越)24)이 되겠습니다.”
어머니가 이 말을 사람들에게 이야기하니 사람들은 다시 돌아왔다. 어머니는 그를 잘 양육해 차츰 장성해지자 자기가 가지고 있던 것을 모두 보시해 버리고는 다시 부왕에게 가서 재물을 요구해 보시했다. 아버지가 자기의 몫을 주었는데 역시 모두 보시에 써 버렸다.
다시 염부제 사람들이 빈궁하고 고달파하는 것을 보고는 보시해 주고 싶었으나 재물이 부족했다. 문득 울면서 사람들에게 묻기를 “어떤 방편을 써야 모두를 만족하게 할 재물을 얻을 수 있겠습니까?” 하니, 여러 노숙[宿人]들이 대답했다.
“우리들이 이전에 듣건대 여의주라는 것이 있어서 그것을 얻기만 하면 마음속에 구하는 것 모두를 반드시 얻는다 합니다.”
보살이 이 말을 듣자 부모에게 말하기를 “바다에 들어가서 용왕의 머리 위에 있는 여의주를 구해오겠습니다” 하니, 부모는 만류했다.
“우리에게 자식이라고는 너 하나뿐이다. 바다에 들어가면 온갖 환난을 건너기가 어렵거늘 자칫 너를 잃는다면 우리는 어찌 살아가겠느냐. 갈 필요가 없느니라. 지금 우리 창고에는 아직 재물이 남았으니 그것을 너에게 주겠다.”
아들이 말했다.
“창고에 있는 것은 한정이 있지만 저의 뜻은 끝이 없습니다. 저는 재물로써 일체를 충족시켜주어 모자람이 없게 하려는 것입니다. 바라옵건대 허락해 주십시오. 그리하여 본래의 뜻을 이루어 염부제의 사람들 모두가 풍족하게 되도록 하여주옵소서.”
부모는 그의 뜻이 원대함을 알고는 더 이상 말리지 못한 채 결국 그를 떠나게 했다.
그때 5백 명의 상인이 있었는데 그의 복덕이 위대했기에 그들은 모두 그를 따라가기를 희망했다. 그들은 그가 떠나는 날을 알고는 포구[海道]로 모여 들었다.
보살은 먼저부터 사가타(娑伽陀)용왕의 머리 위에 여의보주25)가 있다는 말을 들었던 터이므로 사람들에게 물었다.
“누가 그 용궁으로 가는 물길을 아는가?”
타사(陀舍)라는 맹인이 있었는데, 그는 일찍이 일곱 번이나 바다에 들어갔던 터라 바닷길을 잘 알고 있었다. 보살은 그에게 함께 가기를 청하니 그가 대답했다.
“나는 이미 나이가 늙었고, 두 눈마저 멀었습니다. 비록 전에는 자주 드나들었으나 지금은 갈 수 없습니다.”
“나의 이 길은 나 자신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두루 일체의 중생을 위한 것입니다. 여의주를 얻어서 중생들에게 베풀어 그 몸에 궁핍함이 없게 하려는 것이며, 그리고는 도법의 인연으로써 그들을 교화하려는 것입니다. 그대는 지혜로운 사람이거늘 어찌 사양할 수 있겠습니까. 나의 소원이 이루어진다면 그 어찌 그대의 힘이 아니겠습니까.”
타사는 그의 간곡한 말을 듣자 흔연히 생각이 같아져서 보살에게 말했다.
“그렇다면 내가 지금 그대와 함께 바다에 들어가겠는데 나는 분명 온전치 못할 것이오. 그대는 나의 시체를 바다 안의 금모래 섬에 묻어 주시기 바라오.”
준비가 모두 끝나고 일곱째 닻줄을 끊으니, 배는 달리듯 뭇 보배가 있는 갯벌에 이르렀다. 장사꾼들은 앞 다투어 보배를 주워 제각기 만족한 뒤에 보살에게 말했다.
“어째서 보물을 캐지 않으십니까?”
보살이 대답했다.
“내가 구하는 것은 여의보주이다. 이 다함이 있는 물건은 내게 필요치 않다. 그대들은 각각 만족함을 알고 분량을 알아서 배가 무거워 견디기 어렵게 하지 말라.”
이때 장사꾼들이 보살에게 말했다.
“대덕(大德)께서는 우리들이 평안히 돌아가도록 축원을 해 주십시오.”
그리고는 하직하고 물러갔다.
이때 타사가 보살에게 말했다.
“따로 배 한 척을 남겨 이 별도(別道)를 따라 가도록 하십시오. 바람이 7일 동안 분 뒤에 바다 남쪽 기슭으로 밀리어 어느 험한 곳에 이르면, 절벽이 있고 대추숲[棗林]이 있는데 가지가 온통 물을 덮고 있을 것입니다. 그때 큰 바람이 불어 배를 뒤집을 것이니, 그대는 대추나무 가지에 매달리면 구제될 것이나 나는 눈이 없으니 거기에서 죽게 될 것입니다.
이 기슭을 지나면 황금 모래섬이 있을 터이니, 내 몸을 이 모래 가운데 묻어주시오. 금모래는 청정할 것입니다. 이것이 나의 소원입니다.”
그의 말대로 바람이 이르렀다 가니 이미 절벽에 닿아 있었다. 사타의 말대로 보살은 대추나무 가지를 휘어잡아 환난을 면할 수 있었다. 사타의 시체는 금모래에 묻어 주었다.
그리고는 혼자 찾아가서 그가 미리 일러 준대로 7일간을 깊은 물에 떠있고, 7일간 목까지 차는 물에 다니고, 7일간 허리까지 차는 물에 다니고, 7일간 무릎까지 차는 물에 다니고, 7일간 진흙밭을 다녔다. 드디어 예쁜 연꽃이 곱고 부드럽게 피어 있는 것을 보고는 스스로 생각했다.
“이 꽃이 부드럽고 약하니, 허공삼매(虛空三昧)에 들어야 되겠구나.”
스스로 몸을 가볍게 하여 연꽃 위를 다니기를 7일, 독사들을 보고 생각했다.
‘독을 품은 벌레는 참으로 무섭도다.’
곧 자심삼매(慈心三昧)에 들어 독사의 머리 위로 다니기를 7일, 독사들을 모두 머리를 들어 보살로 하여금 밟고 지나가게 했다.
이런 난관을 지나자 일곱 겹의 보배성이 나왔는데, 주변에는 일곱 겹의 구덩이[塹]가 있고, 구덩이 가운데에는 독사가 가득했으며, 세 마리의 큰 용이 문을 지키고 있었다.
용들은 보살의 용모가 단정하고 상호에 위엄이 있으며, 그 어려운 난관들을 지나서 거기까지 온 것을 보고 생각했다.
“이는 범부가 아니다. 반드시 보살의 대공덕을 지닌 사람일 것이다.”
그리고는 지름길로 나아가 용왕의 궁전에 들어가도록 허용했다.
이때 용왕 부부는 아들을 잃은 지 오래지 않았다. 때문에 아직도 눈물을 흘리며 울다가 보살이 오는 것을 보았다. 용왕 부인은 신통으로 자기의 아들이었음을 알자 두 젖에서는 젖이 흘러내리는 것이었다. 곧 앉으라고 분부하면서 물었다.
“너는 내 아들이었는데 나를 버리고 죽어서 어디에 태어났느냐?”
보살 또한 숙명통[宿命識]으로 부모임을 알고는 어머니에게 말했다.
“나는 염부제에 태어나 큰 나라의 태자가 되었습니다. 가난한 이들이 춥고 배고프고 고달파서 자유롭지 못함을 보고 여의보주를 구하기 위하여 여기까지 왔습니다.”
어머니가 말했다.
“네 아버지 머리 위에 그 여의보주가 있기는 하나 머리장식이므로 얻기가 매우 어려울 것이다. 아마도 너를 데리고 보물창고에 들어가서 네가 원하는 대로 마음대로 가져가라 하시리니, 너는 대답하기를 ‘그런 잡된 보물은 제가 원하지 않습니다. 오직 대왕의 머리 위의 보주만을 원합니다. 저를 불쌍히 여기신다면 그것을 저에게 주옵소서’ 하라. 그러면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곧 아버지에게로 가니, 아버지는 슬픔과 기쁨이 한없이 복받쳤다. 그 아들이 험난한 길을 거쳐 멀리 온 것을 가엾이 여겨 묘한 보물이 있는 곳을 가리키면서 말했다.
“그대가 원하는 대로 주리라. 필요한 것이 있다면 가지거라.”
이에 보살이 말했다.
“제가 멀리 온 뜻은 대왕을 뵙고 대왕의 머리 위에 놓인 여의보주를 구하기 위함입니다. 저를 불쌍히 여기시거든 마땅히 그것을 주시옵소서. 만일 주지 않으신다면 다른 것은 필요치 않습니다.”
용왕이 대답했다.
“나는 오직 이 보주 하나만으로 머리장식을 삼고 있다. 염부제 사람들은 복이 얇고 천박해서 여의주를 볼 수 없느니라.”
보살이 다시 말했다.
“저는 그 때문에 멀리서 험난한 길을 지나서 죽음을 무릅쓰고 온 것입니다. 염부제 사람들이 복이 얇고 빈천하기 때문에 여의보주를 가지고 그들의 소원을 만족시켜 주기 위해서입니다. 그런 뒤에 불도의 인연으로 교화하려 합니다.”
마침내 용왕은 보주를 주면서 이렇게 말했다.
“내가 이 보주를 너에게 주노니, 네가 세상을 뜨게 되거든 나에게 돌려주어야 하느니라.”
보살이 대답했다.
“공경히 대왕의 말씀대로 하겠습니다.”
보살은 보주를 받아들고는 허공으로 날아올라 팔을 한번 굽혔다 펴는 사이에 염부제에 이르렀다.
인간 왕의 부모는 아들이 무사히 돌아온 것을 보고는 기뻐 어쩔 줄 모르며 껴안고 물었다.
“너는 무엇을 얻었느냐?”
보살이 대답했다.
“여의보주를 얻어왔습니다.”
“어디에 있느냐?”
“이 옷자락 속에 있습니다.”
“어찌 그리 작으냐?”
“신비한 공덕은 커야만 되는 것이 아닙니다.”
그리고는 부모에게 말했다.
“마땅히 성에 명을 내려 성의 안팎을 깨끗이 청소하고, 향을 사루고, 비단 번과 일산을 달고, 가지런히 계를 지녀야 합니다.”
다음날 아침 긴 장대를 세우고 보주를 끝에 달아 표시를 하고는 보살은 스스로 서원을 세웠다.
“제가 불도를 이루어 일체 중생을 제도할 수 있다면, 마땅히 제가 원하는 대로 여의보주에서 일체의 보물이 나와서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바를 좇아 모두가 충족되게 하소서.”
이때 구름이 온 하늘을 두루 덮으면서 갖가지 보물과 의복?음식?와구?탕약 등을 비처럼 내렸다.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것이 모두 구족되니, 그들의 수명이 다하기까지에 항상 갖추어져 끊어지는 일이 없었다.
이와 같은 것을 일컬어 ‘보살의 보시가 정진바라밀26)을 낸다’ 한다.
어떻게 해서 보살의 보시가 선정바라밀을 내는가? 보살이 보시할 때 능히 인색함과 탐냄을 제거한다. 인색함과 탐냄을 제한 뒤에는 이 보시에 의하여 일심으로 행한다면, 점차 5개(蓋)27)를 제하게 된다. 능히 5개를 제한다면, 이것을 일컬어 선(禪)이라 한다.
나아가 마음은 보시에 의해 초선(初禪) 내지는 멸정선(滅定禪)28)에 든다. 어떻게 보시에 의지하는가? 만일 선을 닦는 사람에게 베풀 때에는 스스로 생각하기를 ‘나는 지금 이 사람이 선정을 닦는다 하여 맑은 마음으로 공양한다. 그런데 어찌 내가 지금 선에서 물러서려 하는가’ 하고는 생각을 거두어 모우고 사유해 선정을 닦는다.
만일 가난한 사람에게 보시할 때에는 이 사람의 숙명을 생각하기를 ‘전생에 온갖 착하지 못한 짓을 하였고, 마음을 한결 되게 구하지 않았고, 복스러운 업을 닦지 않아서 금생에 빈궁하다’ 하고는 이 까닭에 스스로 힘써 선(善)을 닦아 마음을 한결같이 해서 선정에 든다.
설해지는 바에 의하면, 희견전륜성왕(喜見轉輪聖王)29)에게는 8만 4천의 작은 왕이 조공하러 오되 모두가 7보의 묘한 물건을 가지고 와서 바쳤다. 그러자 왕이 말하기를 “나는 필요치 않으니, 그대들 각자 가지고 가서 제각기 복을 닦으라” 했다.
여러 작은 왕들은 생각하기를 ‘대왕께서 받지 않으신다 하여도 우리들 또한 사사로이 쓸 수는 없다’ 하고는 다 같이 7보의 궁전을 세우고, 7보의 정자나무[行樹]를 심고, 7보의 못을 만들었다. 궁전 안에는 8만 4천 개의 7보 누각을 세우고, 누각 안에는 모두 7보의 평상을 마련하였으며, 갖가지 색깔의 이부자리와 목침을 평상의 양쪽에 두고, 비단 번기와 일산을 달고, 향훈을 땅에 바르는 등 모든 일을 갖춘 뒤에 대왕에게 말했다.
“바라옵건대 법전(法殿)?보배 나무?목욕터를 받아주시옵소서.”
왕은 잠자코 받아들이고는 생각했다.
“나는 지금 이 새 궁전에 먼저 들어가서 스스로 즐길 것이 아니라 먼저 착한 사람들, 즉 사문이나 바라문들을 찾아 먼저 들어가게 하여 공양한 뒤에야 머물러야 하리라.”
그리고는 곧 착한 사람들을 모아 먼저 보배 궁전에 들게 하여 갖가지로 공양하고 미묘하게 구족하게 했다.
여러 사람들이 나온 뒤에 왕은 보배 궁전에 들어가서는 금 누각에 올랐다.
그리고 은 평상에 앉아 보시를 억념해 5개(蓋)를 제하고, 6정(情)을 거두고, 6진(塵)을 물리쳐 기쁨과 즐거움을 감수하는 초선(初禪)에 들었다.
다음은 은 누각에 올라 금 평상에 앉아 2선에 들었다.
다음은 비유리 누각에 올라 파리 보배 평상에 앉아 3선에 들었다.
다음은 파리 보배 누각에 올라 비유리 평상에 앉아 4선에 들었다.
홀로 앉아 사유하기 석 달에 이르니, 옥녀(玉女) 보후(寶后)가 8만 4천의 시녀들과 함께 모두 흰 구슬과 이름난 보배로 그 몸을 장식하고는 대왕에게 와서 말했다.
“오랫동안 뵙지 못해서 감히 문안드리기 위해 왔습니다.”
왕이 시녀들에게 말했다.
“그대들은 제각기 마음을 단정히 하여 선지식이 될지언정 나의 원수가 되지는 말라.”
옥녀 보후가 눈물을 흘리면서 말했다.
“대왕이시여, 어찌하여 저를 누이라 하시는지요. 반드시 딴 생각이 있으실 터이니, 그 뜻을 듣기를 소원합니다. 어찌하여 ‘선지식이 될지언정 원수가 되지 말라’ 하시옵니까?”
왕이 말했다.
“너희들이 나를 세상의 인연으로 여기어 음욕의 일을 함께 행하면서 즐긴다면 이는 나의 원수가 되는 것이요, 만일 덧없음을 깨닫고, 몸이 환(幻) 같음을 알고, 복을 닦고 선을 행하며 욕정을 끊어버린다면 이는 선지식이 되느니라.”
옥녀들이 대답했다.
“삼가 왕의 말씀대로 하겠나이다.”
그리고는 이 같은 말이 끝나자 각자 여자들을 돌려보냈다.
여자들이 떠난 뒤에 왕은 금 누각에 올라 은 평상에 앉아 자삼매(慈三昧)를 행했다. 다시 은 누각에 올라 금 평상에 앉아 비삼매(悲三昧)를 행하고, 비유리 누각에 올라 파리 평상에 앉아 희삼매(喜三昧)를 행하고, 파리 보배 누각에 올라 비유리 평상에 앉아 사삼매(捨三昧)를 행했다. 이것이 곧 보살의 보시가 선바라밀을 낳는 것이다.
어떻게 해서 보살의 보시가 반야바라밀을 낳는가? 보살이 보시할 때, 이 보시에는 반드시 과보가 있음을 알아 의심치 않으며 능히 삿된 소견과 무명을 깨뜨린다. 이것이 곧 보시가 반야바라밀을 낳는 것이다.
또한 보살이 보시할 때는 능히 이런 일을 분별해 안다. 곧 계를 지니지 않는 사람이 채찍으로 때리거나 고문하거나 가두고, 법을 어기고 재물을 얻었지만 보시를 짓는다면 코끼리ㆍ말ㆍ소로 태어나나니, 비록 축생의 모습을 받아 무거운 짐을 지고 채찍을 맞고 굴레에 얽매이고 사람을 태우지만 항상 좋은 우리와 좋은 먹이를 받으며, 사람들이 소중히 여기고 사람들의 시중을 받는다는 것을 안다.
또한 악인으로서 성냄을 품는 일이 많고 마음은 굽어 단정치 못하지만 보시를 행한다면 용의 무리에 태어나서 7보의 궁전과 좋은 음식과 좋은 모양을 얻는다는 것을 안다.
또한 교만한 사람이 교만한 생각과 성내는 마음이 많더라도 보시를 한다면 금시조 가운데 태어나 항상 자재하고 여의보주로 몸치장거리를 삼으며, 구하는 것 모두가 얻어지고 하고자 하는 일은 뜻대로 되며, 변화가 만 가지이어서 이루지 못할 일이 없다는 것을 안다.
또한 높은 벼슬에 있는 사람이 백성들을 함부로 침해하여 치법(治法)을 따르지 않는다 해도 재물을 거두어 보시에 쓴다면 귀신 가운데 태어나 구반다귀(鳩槃茶鬼)30)가 되어 갖가지로 5진(塵)을 변화해 스스로 즐기게 될 것을 안다.
또한 심술이 많고 술과 고기를 즐기는 사람일라도 보시를 행한다면 땅에서 사는 야차귀 가운데 태어나서 항상 갖가지 환락과 음악과 음식을 얻게 될 것을 안다.
또한 성질이 강하고 포악한 사람일지라도 수레나 말을 보시하여 걸음을 덜어 준다면 날아다니는 야차 가운데 태어나며, 큰 힘이 있어 가는 곳마다 바람과 같음을 안다.
또한 질투하는 마음으로 다투기를 좋아하면서도 좋은 방이나 침구나 의복
이나 음식으로 보시하는 까닭에 궁전이나 누각을 날아다니는 야차 가운데 태어나서 갖가지 노리개와 장식품을 갖게 될 것을 안다.
이와 같이 갖가지 보시할 때에 대해 잘 분별해 아나니, 이것이 곧 보살의 보시가 반야를 낳는다는 것이다.
또한 음식을 보시하면 힘과 목숨과 혈색이 보기 좋은 과보를 얻으며, 의복을 보시하면 태어날 적마다 부끄러움을 알고, 위덕 있고 단정하며 몸과 마음이 편안하게 된다.
방과 집을 보시하면 갖가지 7보를 얻고 궁전이 저절로 나타나 5욕을 마음껏 즐기게 된다.
우물이나 샘이나 갖가지 좋은 음료수를 보시하면 태어나는 곳마다 주림과 목마름이 없고 5욕이 구족하게 된다.
다리나 배나 신발을 보시하면 태어날 적마다 갖가지 거마(車馬)가 구족하게 된다.
공원이나 숲을 보시하면 호귀하고 존귀함을 얻어 일체의 의지처가 되며, 몸이 단정하고 마음은 즐거워 근심이 없게 된다.
이러한 갖가지들은 인간의 인연으로 보시에 의해 얻는 바이거니와 어떤 사람이 보시하면서 복덕의 업을 짓고, 유위의 업을 짓는 일과 생활하기를 좋아하지 않으면 사천왕처(四天王處)에 태어난다.
어떤 사람이 보시하면서 부모나 삼촌이나 형제?자매에게 공양하며, 성내거나 원망하지 않으며, 다투기를 좋아하지 않고 다투는 일을 보기도 좋아하지 않는다면 이 사람은 도리천?야마천?도솔천?화자재천?타화자재천에 태어난다.
이와 같이 갖가지로 분별해서 보시하니, 이것이 곧 보살의 보시가 반야를 낳는 것이다.
어떤 사람이 보시를 행하되 마음이 물들지 않고 세간을 싫어하여 열반의 즐거움을 구한다면 이는 벽지불과 아라한의 보시가 된다. 어떤 사람이 보시를 행하되 불도를 위하거나 중생을 위해서라면 이는 보살의 보시가 된다.
이렇게 갖가지 보시 가운데 분별해 아니, 이것이 곧 보시가 반야바라밀을 낳는 것이다.
또한 보살이 보시할 때에는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세 가지 참모습을 깊이 생각하는데, 이처럼 안다면 이것이 곧 보시가 반야바라밀을 낳는 것이다.
또한 일체의 지혜와 공덕의 인연은 모두가 보시를 말미암는다. 천(千) 부처님이 처음 발심하실 때에도 갖가지 재물로 여러 부처님께 보시하나니, 혹은 꽃이나 향 혹은 의복 혹은 이쑤시개[楊枝]를 보시해 그로써 뜻을 일으킨다.
어떤 사람은 말하기를 “착한 생각으로부터 몸과 입의 업을 일으키면 역시 단이 된다”고 하며, 또한 어떤 사람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믿음과 복밭과 재물, 이 세 가지 일이 화합할 때 마음에서 희사할 생각이 우러나 능히 인색함을 깨뜨리면 이를 단이라 한다. 비유하건대 자의 관법[慈法]으로 중생들이 즐거워함을 관찰하면 마음에서 인자한 생각이 우러나는 것과 같다. 보시의 마음에 속하는 법[心數法]33)도 이와 같아서 세 가지 일이 화합하여 마음속에 희사할 생각을 내고 능히 인색함을 깨뜨린다.”
더러운 보시라 함은 다만 베풀기만 하고 이룸이 없는 것이다. 설사 이루려는 일[爲]이 있더라도 재물을 구하기 위하여 보시하거나, 남이 창피해서 보시하거나, 책망 듣기 싫어서 보시하거나, 두려워서 보시하거나, 남의 기쁨을 사기 위해 보시하거나, 죽음을 두려워하여 보시하거나, 사람을 홀리어 기쁘게 하기 위하여 보시하거나, 자신이 부귀하기 때문에 보시하거나, 경쟁 삼아 이기려고 보시하거나, 질투하고 미워하기 때문에 보시하거나, 교만하여 높은 체하기 때문에 보시하거나, 명예 때문에 보시하거나, 주술적인 바람[呪願]을 위해서 보시하거나, 쇠운을 벗어나 길운을 구하기 때문에 보시하거나, 대중을 모으기 위하여 보시하거나, 가난한 이를 업신여겨 공경치 않으면서 보시하는 등 이와 같은 갖가지 보시를 더러운 보시라 한다.
淨施者。與上相違名爲淨施。復次爲道故施。淸淨心生無諸結使。不求今世後世報。恭敬憐愍故。是爲淨施。
깨끗한 보시란, 위의 여러 가지와 서로 반대되는 것들이니, 이를 깨끗한 보시라 한다.
또한 도를 위하는 까닭에 보시하며, 청정한 마음이 생겨나 모든 번뇌가 없고, 금생과 후생의 과보를 구하지 않고, 공경하고 가엾이 여기기 때문이니, 이를 깨끗한 보시라 한다.
淨施是趣涅槃道之資糧。是故言爲道故施。若未得涅槃時施。是人天報樂之因。
깨끗한 보시는 열반의 길로 나아가는 자량이다. 그러므로 ‘도를 위하는 까닭에 보시한다’고 한다. 만일 아직 열반을 얻기 못했을 때 보시하면 이는 인간이나 하늘의 과보인 즐거움 받을 원인(原因)이 된다.
淨施者如華瓔珞初成未壞香潔鮮明。爲涅槃淨施得果報香亦復如是。
깨끗한 보시라 함은 마치 꽃으로 영락을 새로 만들어서 흩어지지 않아 향기롭고 정결하며 선명한 것과 같다. 열반을 위해 깨끗한 보시를 베풀어 과보의 향기를 얻음도 이와 같다.
如佛說。世有二人爲難得。一者出家中非時解脫比丘。二者在家白衣能淸淨布施。
부처님께서 말씀하시기를
“세상에는 두 종류의 사람을 만나기 어려우니,
첫째는 출가한 이로서 비시해탈(非時解脫)한 비구요,
둘째는 집에 있는 속인으로서 능히 맑게 베푸는 사람이다.
是淨施相乃至無量世。世世不失。譬如券要終無失時。
是布施果因緣和合時便有。譬如樹得時節會。便有華葉果實若時節未至有因而無果。
이 깨끗한 보시의 모습은 한량없는 세대에까지 전달되어 세세에 잃지 않는다. 마치 중요한 문서가 끝까지 소실되지 않는 것과 같다.
이 보시의 과보는 인연이 화합할 때 문득 이루어지나니, 마치 나무가 시절을 만나면 문득 꽃과 잎과 열매가 생기고, 만일 아직 시절이 이르지 않으면 인만 있고 과가 없는 것과 같다.
是布施法。若以求道能與人道。何以故結使滅名涅槃。
이 보시의 법은 만약에 그로써 도를 구한다면 능히 구하는 이에게는 도를 가져다준다. 그것은 왜냐하면 모든 번뇌가 사라진 것을 열반이라 하기 때문이다.
보시한 물건에 대하여 아까워하지 않기 때문에 인색함을 제하고, 받는 이를 공경하고 생각하기 때문에 질투를 제하고, 곧은 마음으로 보시하기 때문에 아첨과 굽음을 제하고, 한결같은 마음으로 보시하기 때문에 들뜸을 제하고, 깊이 생각해서 보시하기 때문에 후회를 제하고, 받는 이의 공덕을 생각하기 때문에 공손치 못함을 제하고, 스스로 마음을 거두기 때문에 염치없음[不悔]을 제하고, 남의 좋은 공덕을 알기 때문에 남부끄러움[不悔]을 제하고, 재물에 집착되지 않기 때문에 애착을 제하고, 받는 이를 가엾이 여기기 때문에 성냄을 제하고, 받는 이를 공경하기 때문에 교만을 제하고, 착한 법을 행할 줄 알기 때문에 무명(無明)을 제하고, 과보가 있음을 믿기 때문에 삿된 소견을 제하고, 결정코 과보가 있는 줄 알기 때문에 의심을 제한다.
이와 같은 갖가지 착하지 못한 번뇌들이 보시할 때에 모두 얇아지고 갖가지 착한 법을 모두 얻게 된다.
보시할 때에는 6근(根)이 청정해지고 착한 욕심이 생겨난다. 착한 욕심이 생기나는 까닭에 속마음이 청정해지고, 과보의 공덕을 관하는 까닭에 믿는 마음이 생기고, 몸과 마음이 부드러워지는 까닭에 기쁨과 즐거움이 생기고, 기쁨과 즐거움이 생기는 까닭에 마음이 하나의 상태가 되고, 마음이 하나가 되는 까닭에 진실한 지혜가 생겨난다. 이러한 갖가지 착한 법을 모두 얻는다.
또한 보시를 할 때에 마음속에 비슷한 8정도(正道)가 생겨난다. 곧 보시의 과보를 믿고 희망하기 때문에 바른 견해[正見]를 얻고, 바른 견해에서 생각이 어지러워지지 않기 때문에 바른 생각[正思惟]을 얻고, 청정한 말을 하기 때문에 바른 말[正語]을 얻고, 몸의 행동을 바르게 하기 때문에 바른 행위[正業]를 얻고, 갚음을 구하지 않기 때문에 바른 생활[正命]을 얻고, 부지런한 마음으로 보시하기 때문엔 바른 노력[正方便]을 얻고, 보시할 생각을 쉬지 않기 때문에 바른 기억[正億]을 얻고, 마음이 안정되어 흐트러지지 않기 때문에 바른 집중[正定]을 얻게 된다.
또한 어떤 사람은 말하기를 “베푸는 일은 32상(相)을 얻는 인연이 된다”고 한다. 그것은 왜냐하면 베풀 때에 마음이 더욱 견고해지므로 발밑이 평평하고 편안한 모습[足下安立相]을 얻으며, 보시할 때에 다섯 가지 일이 둘러싸고 받는 이는 권속이 되는 인연이 되므로 발바닥의 바퀴 모습[足下輪相]을 얻으며, 대단히 용맹한 힘으로 보시하기 때문에 발꿈치가 넓고 평평한 모습[足跟廣平相]을 얻고, 보시는 사람을 거두기 때문에 손발가락 사이에 물갈퀴가 있는 모습[手足縵網相]을 얻으며, 맛있는 음식을 베풀기 때문에 손발이 보드랍고 일곱 곳이 풍만한 모습[手足柔軟七處滿相]을 얻고, 보시로써 생명을 이롭게 하므로 손가락이 길고 몸이 굽지 않아 크고 곧은 모습[長指身不曲大直相]을 얻고, 보시할 때에 ‘내가 마땅히 보시해 주리라’고 말함에 보시할 마음이 더욱 늘어나기 때문에 발등이 높고 몸의 털이 위로 향한 모습[足趺高毛上向相]을 얻고, 보시를 할 때에 받을 이가 구하는 말을 일심으로 잘 듣고 정중히 약속하되 반드시 빨리 얻게 하려는 까닭에 이니연(伊泥延) 사슴 같은 다리 모습을 얻고, 구하는 이에게 성을 내거나 업신여기지 않기 때문에 손이 무릎을 지나는 모습[臂長過膝相]을 얻고, 구하는 이의 뜻을 알아 말하기 전에 보시하므로 성기가 드러나지 않는 모습[陰藏相]을 얻고, 좋은 의복과 침구와 금?은 등의 진귀한 보배로 보시하므로 황금빛 몸매[金色身相]와 얇은 피부모습[薄皮相]을 얻는다. 또한 보시할 때 받은 이가 혼자서 마음대로 쓰게 하므로 낱낱 털구멍에 털 하나만이 나고[一一孔一毛生], 눈썹 사이에 흰 털이 나고[眉間白毫相], 구하는 이가 달라고 하면 즉석에서 ‘주리라’ 하였으므로 그 업 때문에 윗몸이 사자의 어깨같이 원만한 모습[上身如師子肩圓相]을 얻고, 병들은 자에겐 약을 주고 시장한 자에겐 음식을 주므로 양쪽 겨드랑 밑이 풍만한 모습[兩腋下滿]을 얻고, 최상의 맛난 음식을 얻는 모습[最上味相]을 얻고, 보시할 때에 남에게 보시하기를 권하고 위로해서 보시의 길을 열었으므로 머리에 상투를 지닌 모양[肉?相]과 니구로다나무같이 몸이 원만한 모습[身圓如尼拘盧相]을 얻고, 구걸하러 온 이에게 주고자 할 때에 부드럽고 진실한 말로 허락하고 반드시 주어 헛되지 않으므로 넓고 긴 혀의 모습[廣長舌相]과 범의 음성과 같고[梵音相] 가릉비가 새의 소리 같은 모습[迦陵毘伽鳥聲相]을 얻고, 보시할 때에 실다운 말과 이로운 말을 하므로 사자의 뺨 같은 모습[師子頰相]을 얻고, 보시할 때에 받을 이를 공경하여 마음이 청정하므로 치아가 희고 고른 모습[牙白齒齊相]을 얻고, 보시할 때에 진실한 말과 화합하는 말을 하므로 치아가 빽빽한 모습[齒密相]과 마흔 대의 치아모습[四十齒相]을 얻고, 보시할 때에 성내지 않고 집착하지 않아 평등한 마음으로 상대방을 보므로 푸른 눈[靑眼相]과 눈가가 황소 같은 모습[牛王相]을 얻는다.
이것이 32상의 인연을 심는 것이다.
復次以七寶人民車乘金銀燈燭房舍香華布施故。得作轉輪王七寶具足。
또한 일곱 가지 보배, 즉 사람?수레?금?은?등촉(燈燭)?집?향ㆍ꽃으로 보시하므로 전륜성왕이 되어 일곱 가지 보배가 갖추어진다.
復次施得時故。報亦增多。如佛說。施遠行人遠來人。病人看病人。風寒衆難時施。是爲時施。
또한 보시하되 때를 맞추므로 과보도 더욱 많아진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시기를 “멀리 가는 사람과 멀리서 온 사람과 병들은 사람과 병간호 하는 사람에게 베풀고, 바람?추위 등 온갖 어려운 때에 베푸는 것이 때에 맞는 보시[時施]이다” 하셨다.
復次布施時隨土地所須施故。得報增多。
또한 보시를 하되 지방의 필요에 따라 보시하므로 과보를 얻음이 더욱 많다.
復次曠路中施故。得福增多。常施不廢故。得報增多。如求者所欲施故。得福增多。施物重故。得福增多。
먼 길에서 보시하므로 복 얻음이 더욱 많고, 항상 보시하여 폐하지 않으므로 갚음을 받음이 더욱 많고, 구하는 이의 소망같이 보시하므로 복 얻음이 더욱 많고, 보시한 물건이 소중하므로 복 얻음이 더욱 많다.
如以精舍園林浴池等若施善人故。得報增多。若施僧故。得報增多。若施者受者俱有德故。
(丹注云如菩薩及佛慈心布施是爲施者若施佛及菩薩阿羅漢辟支佛是爲受者故)
得報增多。種種將迎恭敬受者故。得福增多。難得物施故。得福增多。
사원이나 동산이나 목욕터 등을 가지고 착한 사람에게 베푸니 갚음을 받음이 더욱 많고, 승가[僧]에 보시하므로 갚음을 받음이 더욱 많다. 베푸는 이와 받는 이가 모두 덕망이 있으므로
[단주에 이르기를 보살과 부처님께 자비로운 마음으로 보시하는 것이 곧 베푸는 것이요, 부처님 · 보살 · 아라한 · 벽지불에게 보시하면 그들이 곧 받는 사람이 된다.]
갚음을 받음이 더욱 많고, 갖가지 방법으로 받는 이를 공경하므로 복 얻음이 더욱 많고, 얻기 어려운 물건을 보시하므로 복 받음이 더욱 많다.
그 아내는 당장 남편을 결박하여 관청에 보내 죄를 다스리고 일을 밝히고자 했다. 대관(大官)이 물었다.
“무슨 사연인가?”
아내가 대답했다.
“제 남편이 미치고 어리석어서 12년 동안 객지에서 번 30냥의 금을 처자는 생각하지도 않고 몽땅 남에게 주었습니다. 그래서 관제(官制)대로 묶어서 끌고 왔습니다.”
대관이 다시 남편에게 물었다.
“그대는 어찌하여 처자식에게는 주지 않고 남에게 주었는가?”
남편이 대답했다.
“저는 전생에 공덕을 닦지 못하여 금생에 가난하고 온갖 고통을 받습니다. 그런데 금생에 복밭을 만났으니, 복의 씨앗을 심지 않으면 내생에도 가난하여 가난함이 끊이지 않고 벗어날 시기가 없을 것입니다. 저는 지금 당장에 가난함을 버리고자 하여 돈을 전부 승가에 베풀었습니다.”
그 대관은 우바새로서 부처님에 대한 믿음이 청정했다. 이 말을 듣자 칭찬해 말했다.
“이는 매우 어려운 일이다. 애써서 많지 않은 것을 얻었는데 이제 모두 승가에게 보시하니, 그대는 착한 사람이다.”
보시하는 재물은 인연화합을 좇아 있는 것으로 어떤 법도 혼자서는 존재할 수 없다. 마치 비단이나 베가 뭇 인연이 화합해 이루어지는 것과 같다. 올을 제하고 실을 제하면 비단이나 베는 존재하지 않는다. 모든 법도 이와 같아서 한 모습[一相]이고 모습 없으며, 모습은 항상 스스로 공한 것이다. 사람들이 생각을 일으켜 있다고 계교할 뿐이다. 뒤바뀌어 진실치 않으니, 이것이 세간의 단이다.
만일 마음에 세 가지 걸림이 없고, 실답게 법의 모습을 알아 마음이 뒤바뀌지 않으면 이것이 세간을 벗어난 단이다.
세간을 벗어난 단은 성인의 칭찬을 받으나, 세간의 단은 성인이 칭찬하는 바가 아니다.
復次淸淨檀。不雜結垢如諸法實相。是聖人所稱譽。不淸淨雜結使顚倒心著。是聖人所不稱譽。
復次實相智慧和合布施。是聖人所稱譽。若不爾者聖人所不稱譽。
또한 청정한 단은 번뇌의 때와 섞이지 않으며, 모든 법의 실상과 같이 이는 성인에게 칭찬받는다. 청정하지 못한 단은 번뇌와 뒤바뀐 마음과 집착으로 뒤섞여 있으니, 이는 성인에게 칭찬받지 못한다.
또한 실상의 지혜와 화합하는 보시는 성인이 칭찬하나, 그렇지 못하면 성인에게 칭찬받지 못한다.
“옛날 염부제에 바살바(婆薩婆)라는 왕이 있었다. 이때 위라마(韋羅摩)38)라는 바라문 보살이 있었는데, 그는 나라의 왕사(王師)로서 왕에게 전륜성왕이 되는 법을 가르쳤다.
위라마는 재물이 한량없고 값진 보물을 갖추고 있었는데, 이런 생각을 했다.
‘사람들은 나를 일컬어 부귀한 사람이고 재물이 한량이 없어 중생들을 이롭게 한다고 한다. 지금이 바로 알맞은 때이니, 크게 보시를 하리라. 부귀가 비록 즐거우나 일체가 무상하며, 5가(家)39)가 공유하니 마음대로 하지도 못하고 사람의 마음만 산란케 하고, 가벼이 치달려 안정치 못함이 마치 원숭이가 잠시도 멈추어 있지 못함과 같다. 사람이 목숨을 마침은 번갯불이 사라지는 것보다 빠르다. 사람의 몸은 덧없어 뭇 고통의 늪이다. 이런 까닭에 베풀어야 하는 것이다.’
또한 석가모니부처님은 본래 한 마리의 비둘기가 되어 설산에 있었는데, 때마침 큰 눈이 내렸다. 어떤 사람이 길을 잃고는 곤궁에 빠져 괴로워했다. 굶주림과 추위에 시달린 나머지 목숨이 얼마 남지 않았는데, 비둘기가 이 사람을 보자 즉시 날아가서 불을 구해다가 그를 위해 나무를 모아 불을 붙였다. 그리고는 자신의 몸을 불 속에 던져 이 굶주린 사람에게 베풀었다.
이와 같이 머리?눈?몸?골수 등으로 중생에게 보시한 갖가지 본생인연경을 여기에서 자세히 말해야 할 것이다.
[답] 단(檀)에는 갖가지 이익이 있다. 단은 보배 곳간[寶藏]31)이니, 항상 사람의 요구에 따른다. 단은 괴로움을 깨뜨리니 능히 사람에게 즐거움을 준다. 단은 능숙한 마부이니, 하늘에 태어나는 길을 열어 보인다. 단은 선부(善府)이니, 모든 선한 사람을 거둔다.[보시는 모든 선한 사람을 거두어 인연이 되어 주기 때문에 거둔다고 말한다.] 단은 안온함이니, 목숨을 마칠 때 마음에 두려움이 없다. 단은 자비의 모습이니, 모든 무리를 건진다. 단은 즐거움을 모음이니, 능히 괴로움을 깨뜨린다.
단은 큰 장수이니, 능히 인색함이라는 적군을 무찌른다. 단은 묘한 과보이니, 하늘과 인간이 사랑하는 바이다. 단은 깨끗한 길이니, 현인과 성인이 지나는 곳이다. 단은 선을 쌓음이니, 복과 덕의 문이다. 단은 일을 일으키니, 갖가지 인연을 모은다. 단은 착한 행이니, 사랑스런 결과를 낳는 씨앗이다. 단은 복된 업이니, 선한 사람의 모습이다. 단은 빈궁을 깨뜨리니, 3악도를 끊는다.
단은 복락의 과보를 완전하게 보호한다. 단은 열반의 첫 인연이며, 선한 사람들에게는 요긴한 법이며, 칭찬과 명예를 받는 중심이며, 대중에 들어가도 곤란함이 없게 되는 공덕이며, 마음에 후회 없게 하는 굴택(窟宅)이며, 착한 법의 도를 행하는 근본이며, 갖가지 즐거움의 숲이며, 부귀와 편안함의 복밭이며, 도를 얻어 열반에 이르는 나루터이며, 성인?대사?지혜로운 이들이 행할 바이며, 그 밖의 덕이 모자라고 지식이 얕은 무리들이 본받을 바이다.
또한 비유하건대 불 난 집에서 총명한 사람은 형세를 분명히 알아 불이 미치기 전에 급히 서둘러 재물을 끌어내는 것과 같으니, 비록 집은 탔지만 재물은 모두 남았으므로 다시 집을 지을 수 있는 것이다. 보시하기를 좋아하는 사람도 이와 같아서 몸은 위태한 것이고 재물은 무상한 것임을 잘 알아 복 닦기를 때에 맞추되 마치 불 속에서 재물을 끌어내는 것같이 한다. 뒷세상에서 복을 받음이 마치 저 불난 집의 사람이 다시 집을 고치고 복과 경사로 스스로가 만족하는 것과 같다.
어리석은 사람은 다만 집이 아까운 줄만을 알아 부랴부랴 집을 구하려 한다. 미친 듯이 지혜를 잃은 채 불의 형세도 헤아리지 못한다. 사나운 바람과 치솟는 불꽃에 흙과 돌 등은 잠깐 사이에 쓸어버려 없어져버리니, 집도 구하지 못하고 재물도 다하여 주림과 추위에 시달려 근심과 고통 속에 한 평생을 마친다.
인색한 사람 역시 이와 같으니, 몸과 목숨이 무상하여 잠시도 보전할 수 없는 것임을 알지 못하여 더더욱 거두어 모으고 지키며 아깝게 수호하지만, 죽음이 오는 일 기약 없다가 갑자기 한 목숨 끊어지면 몸은 흙이나 나무처럼 흘러 다니고, 재물은 쓰레기와 함께 버려진다. 마치 어리석은 사람이 근심과 고통 때문에 계책을 그르치는 것과 같다.
復次大慧之人有心之士。乃能覺悟知身如幻財不可保。萬物無常唯福可恃。將人出苦津通大道。
또한 크게 지혜로운 사람이나 뜻 있는 이라야 능히 깨달아서 몸은 허깨비 같고, 재물은 보전할 수 없고, 만물은 무상하고, 복만이 믿을만한 것이어서 사람들을 고통에서 건져내고 큰 길로 통하는 것임을 분명히 안다.
復次大人大心能大布施。能自利己。小人小心不能益他。亦不自厚。
또한 큰 사람은 큰 마음으로 능히 크게 보시하고, 능히 스스로를 이롭게 하거니와 작은 사람은 작은 마음으로 남을 이롭게 하지도 못하고, 자신을 보호하지도 못한다.
또한 비유하건대 용맹한 장수는 적을 보면 반드시 소탕해 없애기를 기약하듯이, 지혜로운 사람은 마음이 밝아서 진리를 깊이 깨달았으므로 인색함의 적이 아무리 강하더라도 꺾어버리어 반드시 뜻대로 이루어지게 한다. 좋은 복밭을 만나고 좋은 시절[시절이라 함은 보시할 시기이니, 만나고서도 보시하지 않으면 때를 잃었다 한다.]을 만나면 일을 깨닫고 마음이 응해 능히 크게 보시를 한다.
復次好施之人爲人所敬。如月初出無不愛者。好名善譽周聞天下人所歸仰一切皆信。
또한 보시하기를 좋아하는 사람은 남에게 공경을 받는다. 마치 달이 처음 떠오르면 사랑하지 않는 이가 없는 것과 같으니, 좋은 명칭과 좋은 명예가 천하에 퍼져서 사람들의 존경을 받는다.
好施之人貴人所念賤人所敬。命欲終時其心不怖。
보시하기를 좋아하는 사람은 귀한 사람에게 아낌을 받고 천한 사람에게 공경을 받으며, 목숨이 마치려 할 때에 그 마음에 두려움이 없다.
如是果報今世所得。譬如樹華大果無量。後世福也。
이러한 과보는 금생에 얻어지는 것이다. 비유하건대 나무가 무성하면 큰 열매를 맺는 것과 같으니, 뒷세상이 복되다.
마치 어떤 사람이 그늘을 구하기 때문에 나무를 심으며, 혹은 꽃을 구하고 열매를 구하기 위하여 나무를 심는 것과 같다. 보시의 과보를 구함도 이와 같으니, 이 세상과 뒷세상의 즐거움은 마치 그늘을 구함과 같고, 성문이나 벽지불의 도는 꽃을 구함과 같으며, 성불은 열매를 구함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