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二八)為婦貿鼻喻

28. 부인의 코를 자른 남편

昔有一人,其婦端正唯其鼻醜,

옛날 어떤 사람이 있었다.

그 부인은 매우 아름다웠으나 코가 흉하였다.

其人出外見他婦女面貌端正其鼻甚好,

便作念言:

「我今寧可截取其鼻著我婦面上,

不亦好乎?」

그는 밖에 나가 남의 부인의 얼굴이 아름답고

그 코도 매우 예쁜 것을 보고 생각하였다.

‘지금 저 코를 베어다 내 아내의 얼굴에 붙이면 좋지 않겠는가’고.

即截他婦鼻持來歸家,急喚其婦:

「汝速出來與汝好鼻。」

그리하여 그는 곧 남의 부인의 코를 베어 가지고

집으로 돌아와 급히 부인을 불렀다.

“당신 빨리 나오시오. 당신한테 좋은 코를 주리다.”

其婦出來即割其鼻,

尋以他鼻著婦面上,

부인이 나오자 그는 곧 부인의 코를 베어 내고

남의 코를 그 자리에 붙였다.

既不相著復失其鼻,

唐使其婦受大苦痛。

그러나 코는 붙지 않고 부인의 코만 잃어버리고

그 부인에게 큰 고통을 주게 되었다.

世間愚人亦復如是,

聞他宿舊沙門婆羅門有大名德,

而為世人之所恭敬得大利養,便作是念言:

「我今與彼便為不異。」

세상의 어리석은 사람들도 그와 같다.

늙은 바라문이 세상 사람의 공경과 큰 이익을 받는 것을 보고서

문득 이런 생각을 한다.

“나도 저들과 다르지 않다.”

虛自假稱,妄言有德,

既失其利,復傷其行。

스스로 거짓으로 일컫고는

망령되이 거짓을 덕이 있다고 말하여

이익도 잃고 다시 그 행을 해치는 것이다.

如截他鼻徒自傷損,

世間愚人亦復如是。

그것은 마치 남의 코를 베어 스스로 해치는 것과 같다.

세상의 어리석은 사람도 또한 이와 같다.


  (二七)治鞭瘡喻

27. 말똥을 상처에 바른 사람

昔有一人為王所鞭,既被鞭已,

以馬屎拊之欲令速差。有愚人見之心生歡喜,

便作是言:「我決得是治瘡方法。」

옛날 어떤 사람이 왕에게 매를 맞았다.

그는 매를 맞고는 그 상처를 빨리 고치려고 말똥을 발랐다.

어떤 어리석은 사람이 그것을 보고 매우 기뻐하면서 말하였다.

“나는 확실히 치료하는 방법을 배웠다.”

即便歸家語其兒言:

「汝鞭我背,我得好法今欲試之。」

그리고는 곧 집으로 돌아가 아들에게 말하였다.

“너는 내 등을 쳐라. 좋은 치료법을 얻었는데 지금 시험해 보리라.”

兒為鞭背,以馬屎拊之以為善巧。

아들은 아버지의 등을 쳤다.

그러자 그는 거기에 말똥을 바르고 의기양양하였다.

世人亦爾,聞有人言修不淨觀,

即得除去五陰身瘡,便作是言:

「我欲觀於女色及以五欲。」

세상 사람들도 그와 같다.

사람이 ‘부정관(不淨觀)을 닦으면

곧 오온(五蘊)의 몸의 부스럼을 고칠 수 있다’고 하는 말을 듣고

말하기를,

“나는 여색(女色)과 다섯 가지 탐욕을 관하리라”고 한다.

未見不淨,返為女色之所惑亂,

流轉生死墮於地獄,世間愚人亦復如是。

그러나 그 더러운 것은 보지 못하고

도리어 여색에 홀리어

생사에 흘러 다니다 지옥에 떨어진다.

세상의 어리석은 사람도 실로 이와 같다.


(二六)人效王眼瞬喻

26. 실룩거리는 왕의 눈

昔有一人,欲得王意,

問餘人言:

「云何得之?」

옛날 어떤 사람이 왕의 환심을 사려고

다른 사람에게 물었다.

“어떻게 하면 왕의 환심을 살 수 있겠는가?”

有人語言:

「若欲得王意者,

王之形相汝當效之。」

그 사람이 말하였다.

“네가 왕의 환심을 사려거든 왕의 형상을 본받아라.”

此人即便後至王所,

見王眼瞬便效王瞬。

그는 왕궁에 가서 왕의 눈이 실룩거리는 것을 보고

그것을 본받아 똑같이 눈을 실룩거렸다.

王問之言:

「汝為病耶?為著風耶?

何以眼瞬?」

왕이 물었다.

“너는 무슨 눈병에 걸렸는가.

혹은 바람을 맞았는가.

왜 눈을 실룩거리는가?”

其人答王:

「我不病眼,亦不著風,

欲得王意,見王眼瞬故效王也。」

그는 대답하였다.

“저는 눈을 앓지도 않고 또 바람도 맞지 않았습니다만

왕의 환심을 사려고 그것을 본받은 것입니다.”

王聞是語即大瞋恚,

即便使人種種加害擯令出國。

왕은 이 말을 듣고 곧 크게 화를 내어 사람을 시켜

갖가지로 벌을 준 뒤에 나라에서 쫓아내 버렸다.

世人亦爾,

於佛法王欲得親近,

求其善法以自增長。

세상 사람들도 그러하여

불법의 왕에 대하여 친근히 하고

그 훌륭한 법에 대하여 스스로 자라나기를 구하다가

既得親近,

不解如來法王為眾生故,

種種方便現其闕短,

이미 친근해진 다음에는

여래법왕이 중생을 위한 고로

갖가지 방편으로 결함이나 단점을 드러내는 것을 이해하지 못하고

或聞其法見有字句不正,

便生譏毀,效其不是。

법을 듣거나 혹은 글귀에 조금이라도 이상한 문구가 있으면

곧 그것을 비방하거나 헐뜯고 잘못된 것을 본받는다.

由是之故,於佛法中永失其善

墮於三惡,如彼效王,亦復如是。

그 때문에 부처님 법안에서도 선(善)한 것을 잃어버리고

세 갈래 나쁜 길[삼악도]에 떨어지는 것이니

저 왕의 실룩거리는 눈을 본받은 사람과 같은 것이다.


  (二五)水火喻

25. 불과 물을 한꺼번에 잃어버린 사람

昔有一人事須火用及以冷水,

即便宿火以澡灌盛水置於火上,

옛날 어떤 사람이 불과 찬물이 필요하여

곧 세숫대야에 물을 담아 불 위에 두었다.

後欲取火而火都滅,

欲取冷水而水復熱,

火及冷水二事俱失。

한참 뒤에 가보니 불은 전부 꺼졌고 찬물은 더워졌다.

그리하여 불과 찬물, 두 가지를 모두 잃어버렸다.

世間之人亦復如是,

入佛法中出家求道,

既得出家還復念其妻子眷屬、

世間之事五欲之樂。

由是之故,失其功德之火、持戒之水,

念欲之人亦復如是。

세상 사람들도 그와 같다.

부처님 법안에 들어가 도를 구하다가

다시 그 처자와 권속들을 생각하고,

세상일과 다섯 가지 탐욕 때문에,

그 공덕의 불과 지계의 물을 잃어버린다.

오욕에 사로잡힌 사람들도 또한 이와 같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