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련]

원차종성 변법계 (願此鐘聲遍法界)   원컨대 이 종소리 법계에 두루하여

철위유암 실개명 (鐵圍幽暗悉皆明)   철위산의 깊고 어두운 무간지옥 밝아지며

삼도이고 파도산 (三途離苦破刀山)   지옥, 아귀, 축생의 고통을 모두 여의옵고 칼산지옥 무너지며

일체중생 성정각 (一切衆生成正覺)   모든 중생 바른 깨달음 이루어지이다

출처: https://buddha-mind.tistory.com/47 [부처님 마음 卍 불교의 향기:티스토리]

 

 

 

 

https://v.daum.net/v/20211220103617621?f=o 

 

'양양 휴휴암' 소장 전적 4점 강원도 문화재 지정

[KBS 강릉]양양 현남면 사찰인 휴휴암이 소장하고 있는 관동빈흥록 등 전적 4점이 강원도 문화재로 지정됐습니다. 양양군은 조선시대 강원도 유생의 현황과 과거시험의 전말 등이 기록된 관동빈

v.daum.net

 

https://m.blog.naver.com/hahwajs/221375574803

 

휴휴암(休休庵,강원도 양양군/조계종) 푸른바다를 바라보며 팔만사천 무진번뇌 망상을 모두 놓

휴휴암(休休庵)은 한자그대로 쉬고 또 쉰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 이름에 걸맞게 쉬엄쉬엄 가다보면 ...

blog.naver.com

 

 

https://www.youtube.com/watch?v=iS9IHh9qyBw 

 

 

 

http://www.esdmnews.com/board_view_info.php?idx=72407 

 

느린시간 속 여행 7 · 강원도 양양 휴휴암

너른 바다를 마주보고 서 있는 양양군 현남면의 「휴휴암」은 1997년 홍법스님이 창건한 작지만 아름다운 사찰이다.묘적전 법당하나로 창건한 휴휴암은 바닷가에서 누운 부처님 형상의 바위가

www.esdmnews.com

너른 바다를 마주보고 서 있는 양양군 현남면의 「휴휴암」은 1997년 홍법스님이 창건한 작지만 아름다운 사찰이다.
묘적전 법당하나로 창건한 휴휴암은 바닷가에서 누운 부처님 형상의 바위가 발견되면서 불자들 사이에 명소로 입소문이 났다. 묘적전 안에는 황금색을 두른 천수관음상이 아름다운 자태로 바다를 바라본다.

바다 위 바위로 이뤄진 「연화법당」 앞의 왼쪽 바위는 해수관음상이 감로수병을 들고 연꽃 위에 누워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그 맞은 편에는 거북이가 관음상을 바라보고 있는데, 연화대 주변으로 황어떼가 몰려들어 휴휴암의 신비로움을 더한다.
황어떼는 때가 되면 휴휴암을 찾는다고 알려지면서 많은 관광객들이 황어를 보기 위해 휴휴암을 들르기도 한다.

다라니굴법당은 일반 법당처럼 보이지만 안쪽으로 들어가면 굴 안에 고려불화를 벽화에 그려넣어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신곳임을 알수 있다. 10년동안 신묘장구대다라니에 나오는 부처와 보살, 천왕을 고려불화로 그려 완공한 굴법당의 중앙 수미단에는 순금으로 만들어진 관세음보살상이 자리 잡고 있다. 휴휴암에는 다라니를 모르고 기도하는 불자를 위해 다라니 해설집을 편찬하기도 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Ncn7ZwK5d5A 

 

 

 

https://www.youtube.com/watch?v=pdzdi9fkd6A 

 

 

여러 사찰을 찾다보면 가끔 만나게 되는 포대화상 조각이다.

포대(布袋)는 탁발승들이 곡식을 담아 어깨에 메고 다니기도 하는 자루이다.

서울 도선사에는 서 있는 표대화상상도 있는데  배꼽 주위를 만지며 기도하여 손때로 절어 있다. 그래야 기도발이 받는다나 어쩐다나. 아래 사진 속의 신도는 두 손 엄지를 배꼽에 박고 제대로 복을 빌고 있다.

최상의 복은 4성제. 8정도에 대한 깨달음이다.

 

https://ko.wikipedia.org/wiki/%ED%8F%AC%EB%8C%80%ED%99%94%EC%83%81

 

포대화상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베트남 미토시 빈짱사의 포대화상 포대(布袋, 생년 미상-917년(?))는 당나라 말기부터 오대 십국 시대까지 명주(현재의 중국 저장성 닝보시)에 실재했다는 전설

ko.wikipedia.org

 

포대(布袋, 생년 미상-917년(?))는 당나라 말기부터 오대 십국 시대까지 명주(현재의 중국 저장성 닝보시)에 실재했다는 전설적인 불승이다.[1][2] 흔히 수묵화의 좋은 소재로 여겨지며 큰 포대를 멘 배불뚝이 승려의 모습으로 그려진다. 일본에서도 칠복신 중 하나로서 추앙받고 있다.[1]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

 

夜夜胞佛眠
(야야포불면) 밤마다 부처를 보듬고 자다가

朝朝還共起
(조조환공기) 아침마다 같이 일어난다.

起坐鎭相隨
(기좌진상수) 일어나건 앉건 서로 붙어다니며

語默同居止
(어묵동거지) 말을 하건 않건 같이 머물고 눕는다

纖豪不相離
(섬호부상리) 털끝만큼도 서로 떨어지지 않으니

如身影相似
(여신영상사) 몸의 그림자 같구나

欲識佛居處
(욕식불거처 ) 부처가 어디에 있는지 알고자 할진대

只這語聲是
(지저어성시) 다만 말하는 이놈이니라

一鉢千家飯
(일발천가반) 바루대 하나로 천 집의 밥을 얻어먹으며

孤身萬里遊
(고신만리유) 외로운 이 몸 만리 길을 떠다니네

靑日觀人少
(청일관인소) 맑은 날에도 사람 만나기가 어렵고

問路白雲頭
(문로백운두) 길을 묻는 사이 머리에는 백발이 내렸네

騰騰自在無所爲
(등등자재무소위) 늠름하고 자재하여 하는일 없으니

閔閑究竟出家兒
(민한구경출가아) 한가롭고 한가로와 출가한 장부일세.

若覩目前眞大道
(약도목전진대도) 눈 앞에 참된 도를 본다 하여도

不見纖毫也大奇
(부견섬호야대기) 티끌만큼도 기이하게 여기지 않으리.

我有一布袋
(아유일포대) 나에게 포대가 하나 있으니

虛空無가碍
(허공무가애) 허공처럼 걸림이 없어라.

展開邊宇宙
(전개변우주) 열어 펴면 우주에 두루하고

入時觀自在
(입시관자재) 오므릴때도 자재하도다.

彌勒眞彌勒
(미륵진미륵) 미륵불 중에도 진짜 미륵불

分身百千億
(분신백천억) 백천억 가지로 몸을 나누어

時時示時人
(시시시시인) 항상 사람들 앞에 나타나도

時人自不識
(시인자불식) 사람들이 스스로 알지 못하네

— 포대화상, 경덕전등록)

 

https://www.youtube.com/watch?v=3Lmml1KizFc 

 

 

https://ko.wikipedia.org/wiki/%EC%98%88%EC%B2%9C_%EB%AC%B8%ED%9A%A8%EC%84%B8%EC%9E%90_%ED%83%9C%EC%8B%A4

 

예천 문효세자 태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o.wikipedia.org

이 태실은 1783년(정조 7)에 조성된 문효세자의 태실이다. 문효세자는 조선 22대 왕인 정조의 맏아들로서 1784년 세자로 책봉되었으나 1786년 5세의 나이로 죽었다.[1]

태실은 용문사 경내에서 약 100m 정도 떨어진 뒷산 중턱에 마련되어 있다. 1930년대에 발굴조사 되어 태항아리는 경기도 서삼릉으로 이장되었으며 현재는 국립고궁박물관으로 옮겨져 보관되고 있다. 태실지에는 비신(碑身) 높이 100cm, 너비 52cm 크기의 태실비가 뒤로 약간 기운 상태로 방치되어 있는 상황이다.[1]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5122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이 부처님은 보통 사람의 육안으로는 볼 수 없는 광명(光明)의 부처이다. 범어 바이로차나(vairocana)를 음역하여 비로자나라고 한다. 법신은 빛깔이나 형상이 없는 우주의 본체인 진여실상(眞如實

encykorea.aks.ac.kr

.법신불(法身佛) - 보통 사람의 육안으로 볼 수 없는 광명의 부처를 의미하는 신앙대상

 

용문사는 경북 예천군 용문면 내지리 391번지(용문사길 285-30) 소백산(小白山) 줄기인 용문산 남단 기슭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 직지사(直指寺)의 말사입니다.

   용문사는 신라 경문왕(景文王) 10년인 870년 두운(杜雲) 선사에 의해 창건되었다고 합니다. 두운 선사는 풍기 희방사(喜方寺)를 창건한 신라 말기의 스님입니다.

 주련

佛身普遍十方中            

불신보변시방중, 부처님 몸 두루하여 시방세계 충만한데

三世如來一切同            

삼세여래일체동,  삼세의 여래 또한 모두가 한 몸일세.

廣大願雲恒不盡,             

광대원운항부진, 넓고 크신 자비원력   항상하여  다함없고

汪洋覺海渺難窮            

왕양각해묘난궁,  넓고 넓은 깨우침의 바다 헤아리기 어렵워라.

 

삼세여래(三世如來)는 보통 연등불(燃燈佛),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 미륵불(彌勒佛)을 이르지만, 또 삼천불(三千佛)을 이르기도 합니다.  즉, 과거 장엄겁(莊嚴劫)의 천불(千佛), 현재 현겁(賢劫)의 천불, 미래세 성수겁(星宿劫)의 천불을 말합니다.  그래서 불경을 보면 수많은 부처님의 명호가 나옵니다.  연등불ㆍ아미타불ㆍ약사여래불ㆍ보광불ㆍ보명불ㆍ보정불ㆍ석가모니불ㆍ미륵불....등등.

그런데 이런 모든 부처님이 명호(名號)만 다를 뿐 그 본체(本體)는 법신(法身)이므로 모두 같은 한 몸이라는 말씀입니다.

칠언절구 시가 네 기둥에 딱 들어맞네요.

 

https://m.blog.naver.com/wave88/122033853

 

예천 소백산 용문사 보광명전 주련

< 용문사의 큰법당 보광명전 (普光明殿) > (사진촬영 : 慧林 曺永守 居士/2010년 11월 28일) 佛身普...

blog.naver.com

 

 

 

 

 

https://m.blog.naver.com/wave88/122037158

 

예천 소백산 용문사 대장전 주련

< 용문사 대장전 (龍門寺 大藏殿) - 보물 제145호 > (사진촬영 : 慧林 曺永守 居士) (삼락자 석정) ...

blog.naver.com

 

 

 送誾上人還龍門寺(송은상인환용문사)    

(용문사로 돌아가는 은 상인을 전송하다)

ㅡ 서거정(徐居正, 1420년~1488년)

 

回首龍門揷碧天      

회수용문삽벽천        머리를 돌리니 용문산이 하늘에 꽃힌 듯

招提一路細於絃      

초제일로세어현        거문고 줄처럼  좁은 절집으로 가는 길

携筇又入烟蘿去      

휴공우입연라거        지팡이 끌고 무성한 숲으로 들어가니

四月山深屬杜鵑      

사월산심속두견        초여름 깊은 산에 두견새 소리만 이어지네.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jsessionid=cTFXwvtjFDaxYL56ek9RIWISf9bqb2ZD1xNM6Xl1gTJU4oj8bU4PTOO6YYGXqJiG.cpawas2_servlet_engine1?pageNo=1_1_2_0&ccbaCpno=1123709890000

 

보물 예천 용문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醴泉 龍門寺 木造阿彌陀如來三尊坐像) : 국가문화유

예천 용문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www.heritage.go.kr

삼존목불좌상이 놓여져 있는데 이는 그 기법상 목불탱의 불보살과 똑같은 수법으로 만들어진 원각상(圓刻像)이라 하겠다. 본존상의 경우 육계가 생략되었고, 반달형의 중앙계주가 표현되었으며, 신체는 중후한 모습이지만 각 부분은 둥글게 처리되었다. 또한 통견의 불의는 그 두께가 두꺼워 신체 윤곽이 선명히 드러나지 않고 있으며 옷주름 또한 지극히 단순화되어 도식적인 느낌을 준다. 따라서 이 본존상이 목각탱과 동일한 작가에 의해 동시에 조성된 작품임이 확실하지만 목각탱에 비해 신체의 굴곡이 보다 유기적이고, 표현력도 뛰어나다.

이 작품들의 조성기(造成記)가 하단에 「康熙二十三年甲子季」라고 묵서(墨書)되어 있어 숙종(肅宗) 10년(1684)에 조성된 것이 분명하며 따라서 이들 조각은 17세기 후기의 조각양식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되므로 그 역사적 의의는 매우 높은 것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KaT0Opuhu4k 

 

 

https://ko.wikipedia.org/wiki/%EC%98%88%EC%B2%9C_%EC%9A%A9%EB%AC%B8%EC%82%AC_%EB%8C%80%EC%9E%A5%EC%A0%84%EA%B3%BC_%EC%9C%A4%EC%9E%A5%EB%8C%80

 

예천 용문사 대장전과 윤장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예천 용문사 대장전과 윤장대(醴泉龍門寺大藏殿과 輪藏臺)는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사에 있다. 보물 제145호 '예천 용문사 대장전(醴泉 龍門寺 大藏殿)과 보물 제684호 윤장대(輪藏臺)'를 통합해 20

ko.wikipedia.org

예천 용문사 대장전과 윤장대(醴泉龍門寺大藏殿과 輪藏臺)는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사에 있다. 보물 제145호 '예천 용문사 대장전(醴泉 龍門寺 大藏殿)과 보물 제684호 윤장대(輪藏臺)'를 통합해 2019년 12월 2일 한 건의 국가지정문화재 국보 제328호로 승격 지정되었다.[1]

 

 

 

 

https://ko.wikipedia.org/wiki/%EC%9A%A9%EB%AC%B8%EC%82%AC_(%EC%98%88%EC%B2%9C%EA%B5%B0) 

 

용문사 (예천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o.wikipedia.org

 

용문사 문화재

종목                                           명칭                                                                           시대                       지정일비고

국보 제328호   예천 용문사 대장전과 윤장대
(醴泉 龍門寺 大藏殿과 輪藏臺)
고려,조선 2019.12.02  
보물 제729호   예천 용문사 감역교지
(醴泉龍門寺 減役敎旨)
조선 1981.07.15  
보물 제989-1호   예천 용문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醴泉 龍門寺 木造阿彌陀如來三尊坐像)
조선 1989.04.10  
보물 제989-2호   예천 용문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醴泉 龍門寺 木刻阿彌陀如來說法像)
조선 1989.04.10  
보물 제1330호   예천용문사팔상탱
(醴泉龍門寺八相幀)
조선 2001.10.25  
보물 제1445호   예천용문사영산회괘불탱
(醴泉龍門寺靈山會掛佛幀)
조선 2005.09.06  
보물 제1637호   예천 용문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醴泉 龍門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
조선 2010.02.24  
보물 제1644호   예천 용문사 천불도
(醴泉 龍門寺 千佛圖)
조선 2010.02.24  
경북 유형문화재
제349호
  예천용문사천불탱
(醴泉龍門寺千佛幀)
  2003.04.14  
경북 유형문화재
제476호
  예천 용문사 자운루
(醴泉 龍門寺 慈雲樓)
조선 2013.04.08  

 

https://www.youtube.com/watch?v=m1rRoaHdH3Q 

 

 

https://www.youtube.com/watch?v=3Lmml1KizFc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