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log.daum.net/thddudgh7/16535234?category=1425252

 

<서경>(217)주서(周書)(114)경명편(冏命篇)(3) 그대의 임금을 일정한 법도로 보필하라

             <서경(書經)>(217) 주서(周書)(114)         주서는 주나라의 사관이 기록하여 모아놓은 역사이다. 주나라의 시조는 기(棄)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성   은 희(姬)인데, 제곡(帝嚳

blog.daum.net

 

 

[3] 그대의 임금을 일정한 법도로 보필하라    

    僕臣正(복신정)이면  

   "시중드는 신하가 바르면, 

    厥后克正(궐후극정)하고

   그 임금도 곧아질 것이오.

   僕臣諛(복신유) 

   시중하는 신하가 아첨하면,

   厥后自聖(궐후자성) 

   그의 임금은 스스로 성인이라 높이게 될 것이오.

   后德惟臣(후덕유신) 

   임금의 덕(德)이 후한 것도 신하에게 달려 있고,

   不德惟臣(부덕유신) 

   덕이 없는 것도 신하에게 책임이 있는 것이니,

   爾無昵于憸人(이무닐우섬인) 

   그대는 변변치 못하고 간사한 자와 가까이 하지 말것이며,

   充耳目之官(충이목지관) 

   귀와 눈이 되는 관리에 충당되어,

   迪上以非先王之典(적상이비선왕지전) 

   선왕의 법도가 아닌 것으로 나를 인도하려 하지 마시오.

   非人其吉(비인기길) 惟貨其吉(유화기길) 

   僕臣正(복신정) 厥后克正(궐후극정)

   그 사람 자체가 훌륭하지 못한데, 

   재물로 훌륭하게 되려는 자가 있으면,

   若時癏厥官(야시환궐관) 

   이런 자들은 그의 관직을 병들게 만들 것이오.

   惟爾大弗克祗厥辟(유이대불극지궐벽) 

   그러면 그대가 나를 크게 공경치 않는 것이 될 것이고,

   惟予汝辜(유여여고) 

   나와 그대는 죄를 짓게 될 것이요"

   王曰(왕왈) : 목왕은 또 이렇게 말했다.

   嗚呼(오호) 欽哉(흠재)

   "아아, 공경할지어다!

   永弼乃后于彝憲(영필내후우이헌) 

   그대의 임금을 일정한 법도로 보필하라" 

 

   *신하의 마음이 올바라야 그신하의 도움으로 임금된 자도 바르게 될것이다. 아첨하는 자만이 조정에 가

    득 차서 임금의 잘못을 지적받지 못하면, 임금은 자부심을 일으켜 조금도 반성하는 일이 없어지게 되어

    더욱 더 과실이 많아질 것이다. 그러므로 임금이 덕을길러 가는 것도 신하때문이고, 또한 부덕(不德)하

    여 지위를 지키지 못하는 것도 역시 신하에 달린 것이다. 따라서 신하된 자는, 그의 책임의 중대함을 생

    각하여, 임금에게 잘못이 있으면 간해야 하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그러므로 덕이 없고 아첨하는 신

    하가아니라 임금의 귀와같이 바르게 임금을 대신하여 만물을 듣고 사물을 보는 관리를 두어야 한다. 마

    음까지 이에 이끌리어 가기 쉽다. 만일 그사람이 좋은가 나쁜가를 분별하지않고 뇌물을 가져 온다고 해

    서 인물을 묻지 않고, 천거하는 일이 있으면, 이런 사람은 도에 위반하여 법을 굽혀 그 관직을 더럽히게

    된다. 그러므로 그대가 만일 왕이 준 직책을 삼가 지켜 그 책임을 다하지 못하면 곧 신하된 본분을 다하

    지 못한 것이니, 직무를 면하여 그 죄를 물어서 밝힐 것이다. 이제 그대는 그대의 직분에 충실하여 그대

    의 군주인 왕을 좋은길로 이끌어 선왕들이 남긴 교훈에 어긋나지않게 왕을 돕도록 힘써 주기를 바란다.

 

 

 

m.blog.daum.net/thddudgh7/16535233?category=1425252

 

<서경>(216)주서(周書)(113)경명편(冏命篇)(2) 그대를 태복정(泰僕正)에 임명하노라.

             <서경(書經)>(216) 주서(周書)(113)         주서는 주나라의 사관이 기록하여 모아놓은 역사이다. 주나라의 시조는 기(棄)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성   은 희(姬)인데, 제곡(帝嚳

blog.daum.net

 

 

 [2] 그대를 태복정(泰僕正)에 임명하노라.   

 

   惟予一人(유여일인) 無良(무량)

   "오직 나 한 사람은, 어질지 못하니,

   實賴左右前後有位之士(실뢰좌우전후유위지사) 

   실로 좌우와 앞뒤 벼슬하는 이들에 힙입어,

   匡其不及(광기불급) 

   그 미치지 못함을 바로잡고자 하니,

   繩愆糾謬(승건규류) 

   허물을 바로잡고 잘못을 고치어,

   格其非心(격기비심) 

   옳지 않은 마음을 바로잡아 줌으로써,

   俾克紹先烈(비극소선렬) 

   옛분들의 공을 이을 수 있게 하려는 것이오.

   今予命汝(금여명여) 作大正(작대정)

   이제 나는 그대를, 태복정(泰僕正)에 임명하노니,

   正于群僕侍御之臣(정우군복시어지신) 

   여러 심부름하고 시중드는 신하들의 우두머리가 되어,

   懋乃后德(무내후덕) 

   그대 임금의 덕을 위하여 힘쓰며,

   交修不逮(교수불체) 

   미치지 못함을 번갈아 닦아 주오.

   愼簡乃僚(신간내료) 

   그대의 속료들을 신중히 뽑아,

   無以巧言令色便辟側媚(무이교언령색편벽측미) 

   교묘한 말로 비위를 맞추는 얼굴을 하거나

   남의 눈치만 보며 아첨하는 자는 쓰지 말고,

   其惟吉士(기유길사) 

   오직 올바른 사람들만을 등용해야 할 것이오"     

 

   *이제 그대 태복정에게 명하여, 군대를 통솔하는 중요한 직무인, 태복정(泰僕正)을 맡길 것이다. 그대는

    나라를 지키고 일체의 군대를 거느리는 그 직무에 충실해 주기를 바란다. 그리고 많은 사람이 합심하여

    왕의 덕을 장려하고왕을 도와서 왕으로서의 직무를 다할 수 있도록 보좌해 주기를 바란다. 그대는 사람

    을 쓸때 가려서 뽑아 말을 교묘하게 하거나 웃사람의 비위를 맞추기 위해 얼굴빛을 꾸미는 자들을 직책

    에 두지 말라. 행실이 바른 사람을 둘 것이며 잘못된 자가 있으면, 제거하여 부하의 기풍을 바로 잡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m.blog.daum.net/thddudgh7/16535232?category=1425252

 

<서경>(215)주서(周書)(112)경명편(冏命篇)(1) 나는 왕의 자리에 올라 근심하며 두려워 하오.

             <서경(書經)>(215) 주서(周書)(112)         주서는 주나라의 사관이 기록하여 모아놓은 역사이다. 주나라의 시조는 기(棄)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성   은 희(姬)인데, 제곡(帝嚳

blog.daum.net

 

 

      제28편 경명편(冏命篇)(1)

   이 글은 백경(伯冏)이란 사람을 태복정(太僕正)에 임명하면서 목왕(穆王)이 훈계한 내용을 기록한 것이

   다. 이 편 역시 <금문상서>에는 들어있지 않다.  백경(伯冏)이 받은 태복정(太僕正)의 벼슬은 <주례(周

   禮)>에 나오는 태어중대부(太御中大夫)인데,왕의 옥로(玉輅)를 관장하는 직책이다.목왕은 여기서 선왕

   들의 성덕에 비교하여 자신의 부덕(不德)을 한탄하면서, 백경에게 충실한 보필을 부탁하는 내용이다. 

 

 [1] 나는 왕의 자리에 올라 근심하며 두려워 하오.   

 

   王若曰(왕약왈) 

   목왕(穆王)이 이렇게 말하였다.

   伯冏(백경) 惟予弗克于德(유여불극우덕)

   "백경(伯冏)이여! 나는 덕을 닦지도 못했으면서도,

   嗣先人宅丕后(사선인댁비후) 

   아버님 뒤를 이어 왕의 자리에 오르니,

   怵惕惟厲(출척유려) 

   두려워 조심하며 위태롭게 여겨져,

   中夜以興(중야이흥) 思免厥愆(사면궐건)

   한밤 중에도 일어나, 그 허물을 면하려 생각하오.

   昔在文武(석재문무) 聰明齊聖(총명제성)

   옛날 문왕과 무왕께서는, 총명하시고 성스러우시니,

   小大之臣(소대지신) 咸懷忠良(함회충량)

   높고 낮은 신하들도, 모두 충성된 어짐을 품고서,

   其侍御僕從(기시어복종) 

   그분들을 시중한 심부름하고 따라다니는 사람들까지도,

   罔匪正人(망비정인) 

   바른 사람이 아닌 자가 없었으니,

   以旦夕(이단석) 承弼厥辟(승필궐벽)

   이로써 아침 저녁으로, 그 임금을 받들고 도왔으며,

   出入起居(출입기거) 罔有不欽(망유불흠)

   나가고 들어가고 하는 일상생활에서, 공경하지 않음이 없었고,

   發號施令(발호시령) 罔有不臧(망유부장)

   명령을 내리고 법령을 베풀음이, 훌륭하지 않은 것이 없었으니,

   下民祗若(하민지야) 萬邦咸休(만방함휴)

   낮은 백성들은 공경하고 따랐고, 온나라가 모두 아름답게 여겼소"   

 

   *목왕은 말한다. 자신은 천하의 왕으로 임하는 중대한 지위에 있으나,덕(德)이 모자라는 사람이다. 그래

    서 항상 과실이 있을까 두려워 하여 한밤중에도 일어나 자신의 허물을 생각하고 고치려 노력 한다고 하

    였다.문왕이나 무왕은 지혜가밝고 또한 성인으로 우러러 받들만한 이들이라서 덕(德)이 저절로 백성들

    에게 이르러 조정에 종사하는 모든 신하들이 충직한뜻을 품고서 그 관속과 종자들까지도 상하가 한 마

    음으로 왕에게 봉사하고 또 나라를 위하여 전력(全力) 하였다. 호령으로 명하는 것도 도에 어긋나지 않

    아 백성들이 이를 본받아 명을 따르고 직무에 힘쓰게 하니, 천하가 진실로 태평해 졌다. 이는 결국 왕자

    (王者)로서의 덕(德)이 저절로 아래의 백성들에게 미친것이다. 이렇게 왕의 책임은 대단히 무거운 데도

    목왕자신은 항상 자기의 책임이 중대한 것을 생각하여 과실이 없도록 주의를 하고 있다고 하였다. 그러

    므로 목왕 자신은 모자라는 것을 신하들의 도움으로 보충 하고자 하는 것이다. 측근의 관리들이 자신이

    미처 살피지 못한 것을 도와서 경계하게 하여 허물이 잇으면 바로 잡아 주고, 또 바르지 못한 말을 하면

    조금도 기탄없이 충고하여 자신의 잘못을 바로잡아 준다면 자신은 전대(前代)의 훌륭한 왕위를 이어 조

    상들을 욕되게 하지 않게 할 것이라고 하였다.

 

 

 

m.blog.daum.net/thddudgh7/16535231?category=1425252

 

<서경>(214)주서(周書)(111)군아편(君牙篇)(3) 그대 임금의 다스림을 밝혀 주시오.

             <서경(書經)>(214) 주서(周書)(111)         주서는 주나라의 사관이 기록하여 모아놓은 역사이다. 주나라의 시조는 기(棄)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성   은 희(姬)인데, 제곡(帝嚳

blog.daum.net

 

 

 [3] 그대 임금의 다스림을 밝혀 주시오.

   

   王若曰(왕약왈)

   목왕은 또 이와 같이 말하였다.

   君牙(군아) 

   "군아(君牙)여!

   乃惟由先正舊典(내유유선정구전) 時式(시식)

   그대는 오직 옛 관장들과 옛 법만을 말미암아, 이를 본받으시오.

   民之治亂(민지치란) 在茲(재자)

   백성들의 다스려지고 어지러워짐은, 이에 달려 있는 것이오.

   率乃祖考之攸行(솔내조고지유행) 

   그대의 조부와 부친의 행한 바를 쫓아서,

   昭乃辟之有乂(소내벽지유예) 

   그대 임금의 다스림을 밝혀 주시오"

 

   *군아(君牙) 그대여, 오직 앞선 올바른 법인 옛 법전을 말미암아서, 이에 법식으로 하라. 민중의 다스림

    과 어지러움이 여기에 있는 것이니, 그대의 조부와 부친이 시행했던바를 쫓아서 그대도 그대의 왕에게

    아름다움이 있음을 밝게 알려 주기를 부탁하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