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log.daum.net/thddudgh7/16535223?category=1425252

 

<서경>(206)주서(周書)(103)강왕지고편(康王之誥篇)(2) 문왕과 무왕의 공로를 무너뜨리지 마시오.

             <서경(書經)>(206) 주서(周書)(103)         주서는 주나라의 사관이 기록하여 모아놓은 역사이다. 주나라의 시조는 기(棄)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성   은 희(姬)인데, 제곡(帝嚳

blog.daum.net

 

 

 [2] 문왕과 무왕의 공로를 무너뜨리지 마시오.  

 

   太保曁芮伯(태보기예백) 咸進相揖(함진상읍)

   태보(太保)와 예백(芮伯)은, 모두 나와 서로 읍(揖)하고,

   皆再拜稽首(개재배계수) (왈)

   모두 두 번 절을 하고 머리를 조아리며, 아뢰었다.

   敢敬告天子(감경고천자) 

   "감히 천자께 공경히 아뢰옵니다.

   皇天(황천) 改大邦殷之命(개대방은지명) 

   하느님께서, 큰 나라인 은(殷)의 명을 바꾸어,

   惟周文武(유주문무) 誕受羑若(탄수유야)

   주나라 문왕과 무왕이, 크게 그것을 받으시고 따르시어,

   克恤西土(극휼서토) 

   서쪽 땅을 긍휼히 여기셨습니다.

   惟新陟王(유신척왕) 畢協賞罰(필협상벌)

   새로 즉위하신 왕께서는, 상과 벌을 모두 합당하게 하시고,

   戡定厥功(감정궐공) 

   그분들의 공(功)을 안정시키시어,

   用敷遺後人休(용부유후인휴) 

   뒷사람들에게 아름다움을 널리 끼쳐 주십시오.

   今王敬之哉(금왕경지재) 

   이제 왕께서도 그것을 공경하시어,

   張皇六師(장황륙사) 

   천자의 군대인 육사(六師)를 크게 펼치시어,

   無壞我高祖寡命(무괴아고조과명) 

   우리의 고조(高祖)의 얻기 힘든 과명(寡命)을 무너뜨리지 마소서"  

 

   *제후들과의 알현식이 끝나자, 태보(太保)인 소공석(召公奭)과 사도(司徒)인 예백(芮伯)이 군신들을 대

    표하여 나아가 예를 표하고 재배계수하며, 왕에게 이렇게 당부를 하고 있다. 일찌기 은(殷)나라가 천하

    를 다스렸으나 은의 말기에 주왕(紂王)이 덕을 잃게되어 하늘이 내린명을 주(周)나라의 문왕과 무왕이

    이를 크게 받들어서 명을  이어받고 서쪽 사람들을 불쌍히 여겨 인정(仁政)을 베풀었다. 그래서 주(周)

    나라는 천하를 얻기 전에 이미 천하의 3분의 2를 차지 하기에 이르렀다. 천자의 자리에 오르는 일은 매

    우 중대한 임무를 갖게 되는 것이니 동시에 천자 한 사람의 행실에 따라,서 천하가 죄우되는 것임을 항

    상 명심하고, 이제 새로운 왕은 이를 삼가하여, 문왕과 무왕의 힘들여 쌓은 공을 헛되게 무너 뜨려서는

    안 된다고 당부를 하고 있다. 

 

 

m.blog.daum.net/thddudgh7/16535222?category=1425252

 

<서경>(205)주서(周書)(102)강왕지고편(康王之誥篇)(1) 저희들 여러 신하들이 토산품을 바치옵니다.

             <서경(書經)>(205) 주서(周書)(102)         주서는 주나라의 사관이 기록하여 모아놓은 역사이다. 주나라의 시조는 기(棄)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성   은 희(姬)인데, 제곡(帝嚳

blog.daum.net

 

 

   제25편 강왕지고편(康王之誥篇)(1)

   이글은 강왕(康王)이 즉위하여 천자가된 다음 제후들에게 내린 조서(詔書)이다. 이 조서에서 강왕은 제

   후들에게 빛나는 선왕, 곧 문왕과 무왕의 업적을 이어받아 국정을 살피고 백성들을 돌보아 어진 임금이

   될것을 다짐하는 동시에, 제후들의 충심으로부터의 협력을 요구하고 있다.<금문상서>에는 이편이 <고

   명>에 합쳐 있으며, 금문가들에 의하면, 이 편은 앞장의 고명편에 합하여 한편으로 하는 것이 마땅하다

   고들 하였다.

 

 [1] 저희들 여러 신하들이 토산품을 바치옵니다. 

 

   王出在應門之內(왕출재응문지내) 

   왕은 밖으로 나와 응문 안에 있으니, 

   太保率西方諸侯(태보률서방제후)

   태보(太保)는 서쪽의 제후들을 거느리고,

   入應門左(입응문좌) 

   응문의 왼쪽으로 들어오고,

   畢公率東方諸侯(필공솔동방제후) 

   필공(畢公)은 동쪽의 제후를을 거느리고,

   入應門右(입응문우) 

   응문의 오른쪽으로 들어왔다.

   皆布乘黃朱(개포승황주) 

   모두 황색 말에 갈기가 붉은 네 마리의 말을 나란히 세웠다. 

   賓稱奉圭兼幣(빈칭봉규겸폐) (왈)

   빈객들은 홀과 폐백을 받치며, 아뢰었다.

   一二臣衛(일이신위) 

   "저희들 여러 호위하는 신하들이,

   敢執壤奠(감집양전) 

   감히 토산물을 바치옵니다"

   皆再拜稽首(개재배계수) 

   그리고는 모두 두 번 절하고 머리를 조아리였다.

   王義嗣德(왕의사덕) 

   왕은 마땅히 덕을 이어 왕위를 이었으므로,

   答拜(답배) 

   답하여 절하였다.

 

   *강왕(康王)은 궁중(宮中)에서 물러 나와 응문(應門)에사 제후들에게 즉위 인사를 하게 되었다. 이것은

    앞장 <고명>에서 선조에게 왕위에 오르게 됨을 영묘에 잔을 부어 고하고 난 후에 그 다음의 순서로 행

    하여진 것이다. 태보인 소공석(召公奭)이 서방의 제후들을 이끌고 응문으로 들어와서 왼편에 서고, 필

    공(畢公)은 동방의 제후들을 이끌고 응문으로 들어 와서 오른편에 섰다. 제후들은 갈기가 붉은 황색의

    말 네필 씩을 각기 조정위에 열을 지어 공물(貢物)로 바치며 자신들이 천자를 도와서 천하를 지키겠다

    는 뜻을 알린 것이다. 이어 빈객인 제후가 왕에게 귀복하는 증거로서 홀(笏)과 폐(幣)를 아울러 왕에게

    바쳤다. 각지의 제후가 자신의 토지에서 나오는 것을  바친다고 하였으니, 이는 각지의 제후가 모두 새

    로운 왕에게 귀복하여 각자의 직무에 힘쓰게다는 마음의 각오를 표현한 것이다. 

 

 

 

m.blog.daum.net/thddudgh7/16535221?category=1425252

 

<서경>(204)주서(周書)(101)고명편(顧命篇)(7) 주(周)나라 군주의 즉위식(2)

             <서경(書經)>(204) 주서(周書)(101)         주서는 주나라의 사관이 기록하여 모아놓은 역사이다. 주나라의 시조는 기(棄)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성   은 희(姬)인데, 제곡(帝嚳

blog.daum.net

 

 

 [7] 주(周)나라 군주의 즉위식(2) 

  

   王再拜興(왕재배흥) 答曰(답왈)

   왕이 두 번 절하고 일어나서, 대답하기를,

   眇眇予末小子(묘묘여말소자) 其能而亂四方(기능이난사방) 

   "작디 작은 이 보잘것 없는 어린 사람이, 어찌 세상을 다스리어,

   以敬忌天威(이경기천위) 

   하늘의 위엄을 받들고 왕위를 잘 보전할 수 있을 지를

   두려워하는 경기(敬忌)를 하지 않겠습니까?"

   乃受同瑁(내수동모) 

   이에 구슬과 구슬덮개를 받고,

   王三宿三祭三咤(왕삼숙삼제삼타) 

   왕은 세 번 앞으로 나아가는 삼숙(三宿)을 하고 

   세 번 술잔을 올리는 삼제(三祭)를 올리고 

   잔을 세 번 올리고 물러나는 삼타(三咤)를 하였다.

   上宗曰(상종왈) 

   상종(上宗)인 태종(太宗)이 아뢰었다. 

   饗(향)

   "음복을 하십시오"

   太保受同(태보수동) 

   태보(太保)는 시중드는 사람인 종인(宗人)에게서 동(同)의 술잔을 받아 들고,

   降盥(강관) 以異同(이리동) 

   당(堂)에서 내려와 손을 씻고, 다른 술잔인 동(同)을 들고,

   秉璋以酢(병장이초) 

   작은 홀인 장(璋)을 잡고 반배(返杯)를 하고서, 

   授宗人同拜(수종인동배) 

   종인(宗人)에게 술잔인 동(同)을 주고 절하였다.

   王答拜(왕답배) 

   이에 왕도 답례하여 절하였다.

   太保受同(태보수동) 

   태보는 다시 술잔인 동(同)을 받아,

   祭嚌宅授宗人同(제제댁수종인동) 

   술을 올리고 술잔을 입에 적시고 동(同) 잔을 종인에게 주고 절하였다.

   拜王答拜(배왕답배) 

   임금도 답하여 절하였다.

   太保降收(태보강수) 

   태보가 당(堂)에서 내려오니 일보는 사람들이 모두 거두었다. 

   諸侯出廟門俟(제후출묘문사) 

   식이 끝난 후 제후는 묘문(廟門)을 나와 왕명을 기다렸다.  

 

   *태사(太史)가 읽기를 마치자 강왕(康王)이 재배하고 답례 하였다. 그리고 태종(太宗)에게서 술잔을 받

    아 세번 그 잔을 들어서 선조의 혼령과 부왕의 영전에 올렸다. 그리고 의식을 관장하는 이의 말을 따라

    서 제(祭)에 올렸던 술을 음복(飮福)하였다. 이로써 성왕의 뒤를 이어서 왕위에 오르게 된 것을 조상들

    에게 고하는 의식을 마치게 된다. 모든 의식을 이로써 마치자 태보(太保)가 당(堂)에서 내려와 그 의식

    에 차려진 기물들과 사람들이 물러나자 제후들이 묘문(廟門)을 나와서 새로운 군주에게 알현하는 차례

    만 남게 된 것이다.

 

 

 

m.blog.daum.net/thddudgh7/16535220?category=1425252

 

<서경>(203)주서(周書)(100)고명편(顧命篇)(6) 주(周)나라 군주의 즉위식(1)

             <서경(書經)>(203) 주서(周書)(100)         주서는 주나라의 사관이 기록하여 모아놓은 역사이다. 주나라의 시조는 기(棄)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성   은 희(姬)인데, 제곡(帝嚳

blog.daum.net

 

 

[6] 주(周)나라 군주의 즉위식(1) 

  

   王麻冕黼裳(왕마면보상) 

   왕은 삼베로 만든 마면(麻冕)을 쓰고 보불 무늬의 바지를 입고,

   由賓階隮(유빈계제) 

   아직 정식 즉위를 하지 못한 강왕(康王)은

   서쪽 손님 전용인 섬돌인 빈계(賓階)로 올라 갔다.

   卿士邦君(경사방군) 

   경사(卿士)와 대부와 제후들은,

   麻冕蟻裳(마면의상) 

   삼베로 만든 마면(麻冕)과 개미 빛처럼 검은 바지를 입고,

   入卽位(입즉위) 

   제 자리로 들어와 자리에 섰다.

   太保太史太宗(태보태사태종) 

   태보(太保)와 태사(太史)와 태종(太宗)은,

   皆麻冕彤裳(개마면동상) 

   모두 삼베로 만든 마면(麻冕)에

   길복(吉服)으로 붉은 바지인 동상(彤裳)을 입었다.

   太保承介圭(태보승개규) 

   태보(太保)가 구슬로 만든 큰 홀을 받들고 조계(阼階)로 올라 갔다.

   上宗奉同瑁(상종봉동모) 

   태종(太宗)인 상종(上宗)은 구슬로 만든 술잔인 동(同)과

   구슬덮개인 모(瑁)를 받들고,

   由阼階(유조계) 

   동쪽 섬돌인 조계(阼階)로 올라 갔다. 

   太史秉書(태사병서) 

   태사(太史)는 명령이 씌어진 서책(書冊)을 받들고,

   由賓階隮(유빈계제) 

   서쪽 섬돌인 빈계(賓階)로 올라와서,

   御王冊命(어왕책명) (왈)

   책명(冊命)을 적은 책을 왕에게 바치며, 이렇게 말했다. 

   皇后憑玉几(황후빙옥궤) 道揚末命(도양말명)

   "임금께서 구슬로 된 안석에 의지하여, 마지막 명을 일러 펴시어서,

   命汝嗣訓(명여사훈) 臨君周邦(임군주방)

   ‘너에게 명하노니 교훈을 이어, 주의 임금으로 임하라.

   率循大卞(솔순대변) 燮和天下(섭화천하)

   큰 법도를 지키고 따라서, 천하의 변화를 조화시키며,

   用答揚文武之光訓(용답양문무지광훈) 

   문왕과 무왕의 빛나는 가르침에 보답하여 드날리라’고 하셨습니다"     

 

   *이 장면에서는 강왕(康王)이 위의(威儀)를 갖추고, 많은 사람들에게 정식으로 인사를 하게 되었다. 왕

    은 마면(麻冕)을 쓰고 대단히 검소한 복장을 하고 나타났다. 부모가 죽은후에 3년은 상중(喪中)이므로

    화려한 복장을 하지 않고 매우 검소한 복장을 했던 것이다. 왕은 궁전에 오르면서 동쪽 계단이 아닌 빈

    객들이 오르내리는 서쪽계단으로 올랐는데,이는 왕(王)의 겸손한 마음의 표현으로 자신은 아직 왕(王)

    이 된 덕(德)이 모자라며, 객(客)과 같은 자격으로 왕위에 오른다는 의미이다. 왕이 궁전으로 들어가자

    모든 백관들이 따라 들어가서, 가장 상석(上席)이 소공석이 큰 홀(笏)을 왕에게 받들어 올린다. 의식을

    관장하는 상관(上官)인 상종(上宗)이 제사에 사용되며, 천자가 제후를 공식적으로 접견할때에 손에 드

    는 옥(玉)으로 만든 잔을 받들고 왕이 올랐던 계단과 마주하고 있는 동쪽 계단으로 올랐다. 그 때 기록

    은 맡은 상관이 서(書)를 잡아 왕이 오른 빈계(賓階)로 올라 왕위(王位)를 전하는 기록을 왕 앞에서 읽

    는다. 이것은 죽은 성왕의 안석(案席)에 의지하여 내리는 최후의 명(命)을 기록한 것이다. 거기에 쓰인

    말은  선왕의 가르침을 따르고  대법(大法)에 따라서 천하를 다스려 문왕과 무왕의 이름을 선양하라고

    한 것이 그 내용이다. 그리고 나서 왕은 직분을 다하겠다는 서약(誓約)을 하게 되는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