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 나의 누님이 언젠가 ‘시를 지으면 운율에 맞다’고 차칭하면서 소령(小令)짓기를 좋아하기에, 내 속으로 남을 속이는구나 하였는데, 《시여도보(詩餘圖譜)》를 보니 구절마다 옆에 동그라미와 점으로, 어떤 자는 전청(全淸)ㆍ전탁(全濁)이고 어떤 자는 반청(半淸)ㆍ반탁(半濁)이라 하여 글자마다 음을 달았기에 시험삼아 누님이 지은 시를 가지고 맞추어 보니, 어떤 것은 다섯 자 어떤 것은 세 자의 착오가 있을 뿐, 크게 서로 어긋나거나 잘못된 것은 하나도 없었다.

그제야 걸출ㆍ고매한 천재적인 소질로 겸손하게 힘썼기 때문에 많은 노력을 하지 않고서도 이처럼 성취하였음을 알게 되었다.

그의 ‘어가오(漁家傲)’ 한 편은, 모조리 음율에 맞고 다만 한 자가 맞지 않았다. 사(詞)는 다음과 같다.

庭院東風惻惻 정원동풍측측

墻頭一樹梨花白 장두일수이화백

斜倚玉欄思故國 사의옥란사고국

歸不得 귀부득

連天芳草凄凄色 연천방초처처색

羅幙綺窓隔寂寞 라막기창격적막

雙行粉淚霑朱臆 쌍행분루점주억

江北江南煙樹隔 강북강남연수격

情何極 정하극

山長水遠無消息 산장수원무소식

뜰에는 봄바람 스산하고

담머리엔 한 그루 배꽃 희어라

옥난간에 기대어 고향 그리나

갈 수는 없고

하늘과 맞닿은 우거진 꽃다운 풀빛만이

비단방장 비단창도 쓸쓸히 닫겼는데

단장한 얼굴에 두 줄기 눈물 붉은 가슴 적시네

강북과 강남은 무성한 나무가 가리었는데

이 그리움 어이하리

산 높고 물은 아득 님 소식은 없으니

‘주(朱)’ 자는 마땅히 반탁(半濁) 글자를 써야 하는 자리인데 ‘주(朱)’ 자는 전탁(全濁)이다. 하긴 소장공(蘇長公:소식) 같은 재주로도 굳이 운율에 맞추지를 않았거든 하물며 그만 못한 사람일까보냐.

'한문학 > 학산초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허봉 이이 / 학산초담 46  (0) 2010.02.25
허봉 / 학산초담 44-45  (0) 2010.02.25
소세양 / 학산초담 42  (0) 2010.02.23
허봉의 문학 비평 / 학산초담 41  (0) 2010.02.23
노수신 / 학산초담 39-40  (0) 2010.02.23


42. 가사(歌詞)를 지으려면 반드시 글자의 청탁(淸濁)과 율(律)은 고하(高下)를 분간해야 하는데, 우리나라 음률(音律)은 중국과 달라서, 가사를 짓는 이가 없다.

공용경(龔用卿)과 오희맹(吳希孟)이 왔을 때, 호음(湖陰) [정사룡(鄭士龍)의 호]이 차운하지 않자, 세상에서는 체면을 유지했다고들 하였다.

그 후에 소퇴휴(蘇退休:소세양)가 시강(侍講)의 운에 차운한 시에,

傷心人復卷簾看 상심인복권렴간

目斷凄凄芳草色 목단처처방초색

마음이 서글픈 이 발 걷고 다시 보니

꽃다운 풀빛 위에 눈길이 멈추네

라는 구절은 화공(華公)이 여러 차례 칭찬하였으니, 모두 음률에 맞아서인지, 아니면 다만 그 말씨의 아름다움을 취한 것인지?

소퇴휴의 이름은 세양(世讓), 자는 언겸(彦謙), 진주인(晉州人)이며 벼슬은 찬성(贊成)이고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41. 나의 중형[허봉]은 논평하기를, 국초 이래 문은 경렴당(景濂堂:김종직)을 제일로 치고, 지정(止亭:남곤)을 다음으로 치며, 시는 충암(冲庵:김정)의 높음과 용재(容齋:성현)의 난숙함을 모두 미칠 수 없다고 여겼다.

나의 망령된 생각으로는 충암은 세련되지 않은 것 같고 용재는 너무 진부하니, 시 또한 경렴을 으뜸으로 치는 것이 옳을 것 같다.

지정 남곤(南袞)의 자는 사화(士華), 의령인(宜寧人)이며 벼슬은 영의정, 시호는 문경(文景)이다. 기묘사화 때 간인(奸人)의 괴수이다.

'한문학 > 학산초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허초희의 사(詞) /학산초담 43  (0) 2010.02.23
소세양 / 학산초담 42  (0) 2010.02.23
노수신 / 학산초담 39-40  (0) 2010.02.23
황정욱의 문장 / 학산초담 38  (0) 2010.02.23
최립 /학산초담 34  (0) 2010.02.21


39. 경인년(1590, 선조23)에, 병부 주사(兵部主事) 왕사기(王士驥)는 봉주(鳳洲 왕세정(王世貞)의 호)의 아들로 우리나라 사신의 복물(卜物 사신이 가지고 가는 공물(貢物))을 검열하러 왔다가 마침 한집에 있게 되었다. 통역을 통하여 우리나라 문장을 보기 원하자 어떤 이가 소재(蘇齋) [노수신(盧守愼)의 호]가 지은 정암(靜庵) 비문(碑文)을 보였다.

주사가 소매에 넣고 가며,

“우리 아버지께 보여드리고 싶습니다.”

하고, 또

“명(銘)은 추역산송(鄒嶧山頌) 같으면서도 광염(光焰)은 더하고, 서(序)는 법언(法言) 같으면서도 넓고 크기는 그보다 나으니, 당신네 나라에도 이런 인물과 이런 문장이 있단 말입니까?”

하였다고 한다.

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의 자는 효직(孝直), 한양인(漢陽人)이며 벼슬은 대사헌(大司憲), 시호는 문정(文貞)이고 문묘(文廟)에 배향되었다.

40. 소재(蘇齋:노수신)의,

海月蟲音盡 해월충음진

山風露氣收 산풍로기수

바다 달에 벌레 소리는 끊기고

산 바람에 이슬 기운 걷혔네

라는 구절은 소릉(少陵 두보(杜甫)의 호)의 시집 중에서 찾는다 해도 흔히 얻을 수 없는 것이며,

初辭右議政 초사우의정

便就判中樞 편취판중추

애초에 우의정 사임하고

문득 판중추 되었다네

라는 구절은 대우(對偶)가 자연스러워 솜씨를 부리거나 깊이 생각하지 않은 것이다.

그런데 돌아간 자기 아버지 신도비(神道碑)를 지을 때는 밋밋하여 굴기(崛奇)한 곳이 없으니, 아마도 기발하게 하려고 마음 쓰다가 도리어 옹졸해진 것이 아닌가 한다.

'한문학 > 학산초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세양 / 학산초담 42  (0) 2010.02.23
허봉의 문학 비평 / 학산초담 41  (0) 2010.02.23
황정욱의 문장 / 학산초담 38  (0) 2010.02.23
최립 /학산초담 34  (0) 2010.02.21
허봉 & 이달(李達) / 학산초담 36-37  (0) 2010.02.2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