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 나의 중형이 언젠가 이손곡(李蓀谷{이달)의 유송경시(遊松京詩) 가운데

宮前輦路生秋草 궁전련로생추초

臺下毬庭放夕牛 대하구정방석우

대궐 앞 거둥하던 길엔 가을풀 스산하고

누대 아래 격구하던 뜰엔 저녁 소를 먹이누나

라는 구절을 칭찬하였으나 사인(舍人) 홍적(洪迪)의,

臺空猶半月 대공유반월

閣廢舊瞻星 각폐구첨성

누대는 비었어도 반월대요

각은 황폐하나 옛 첨성각이네

하는 시만큼 절실하지는 못하다.

홍적(洪迪)의 자는 태고(太古), 호는 하의(荷衣)이며, 남양인(南陽人)이다.

27. 나의 중형이 일찍이,

“홍덕공(洪德公:홍경신)ㆍ이명보(李明甫)의 시는 모두 일가라 이를 만한데, 홍덕공은 장편을, 이명보는 칠언율시를 특히 잘 짓는다.”고 칭찬하였다.

그리고 또,

“명보(明甫:이덕형)는 반드시 대제학(大提學)이 될 것이다.”하더니,

후에 명보는 나이 겨우 서른이 넘자 대제학에 임명되고, 벼슬로는 예조 판서(禮曹判書)의 반열에 오르게 되니, 대제학이 되리라던 말이 비로소 증명되었다.

홍(洪)은 여러 차례 과거에 응시는 하였건만 불행히도 뜻을 얻지 못하여 벼슬이 변변치 못하였으니, 재주와 팔자는 이처럼 같지가 않다.

덕공(德公)의 이름은 경신(慶臣), 호는 녹문(鹿門)이며 남양인(南陽人)이다. 만정당(晩全堂) 가신(可臣)의 아우로 벼슬은 부제학(副提學)을 지냈다.

명보(明甫)의 이름은 덕형(德馨), 호는 한음(漢陰), 광주인(廣州人)이며, 벼슬은 영의정이고 시호는 문익(文翼)이다.

28. 홍덕공(洪德公:홍경신)의 봉래풍악가(蓬萊楓嶽歌)를 나의 중씨가 아침 저녁으로 한번 죽 읊으면서 장단을 맞추며 감탄하였다.

그 시는 이태백(李太白)의 천로음(天姥吟)에 영향을 받은 것인데, 종횡(縱橫)ㆍ억양(抑揚)에 한 자도 세속에 찌든 태가 없다.

반통투수사(飯筒投水詞)ㆍ기택요(沂澤謠) 등 작품은 모두 호방하며 기력이 있으나, 율시(律詩)나 절구(絶句)는 장편만은 조금 못하고, 산문 또한 간결하고 엄정하다.

운부(雲賦)ㆍ격구부(擊毬賦) 같은 작품은 양봉래(楊蓬萊:양사언)가 몹시 부러워하며,

“사마 장경(司馬長卿)과 천년 뒤에 고하(高下)를 다툴 만하다.” 하였다.

'한문학 > 학산초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노 / 학산초담 30  (0) 2010.02.20
이달(李達) / 학산초담 29  (0) 2010.02.20
김정 & 이행 /학산초담 25  (0) 2010.02.17
이달(李達) / 학산초담 24  (0) 2010.02.17
나식 / 학산초담 23  (0) 2010.02.17

25. 김충암(金冲庵) [충암은 김정(金淨)의 호] 시집 속에 ‘청산금야월(靑山今夜月)’이라는 시는 바로 용재(容齋) 이 문민공(李文愍公)의 작품으로 시법(詩法)이 같지 않다. 편찬한 자가 잘못 엮은 것이다. 내가 승축(僧軸)을 보니 충암(冲庵)의 시가 있었는데 다음과 같다.

嶺外寒山寺 령외한산사

逢師眼忽靑 봉사안홀청

石泉同病客 석천동병객

天地一浮萍 천지일부평

疏雨殘燈冷 소우잔등랭

持杯遠海聲 지배원해성

開窓重話別 개창중화별

雲薄曉星明 운박효성명

고개 너머 한산사에

스님 만나니 문득 반가워라

돌샘 가의 같은 병든 나그네

천지간에 하나의 부평초

성긴 빗속 가물거리는 등불은 싸늘한데

잔 들자 들려오는 먼 바닷소리

창 열고 거듭 두런거리다 헤어지니

구름 설핏 샛별만 밝구나

이 시가 본집에는 없으니, 당시 편자가 혹 미처 못본 것인가?

문민(文愍)의 이름은 행(荇), 자는 택지(擇之), 덕수인(德水人)이며 벼슬은 좌의정이다. 시호는 문민(文愍)이었는데 문정(文定)이라 고쳤다가 다시 문헌(文獻)이라 고쳤다.

용재(容齋: 이행)의 제화시(題畫詩)는 다음과 같다.

淅瀝湘江水 석력상강수

依俙斑竹林 의희반죽림

此間難寫得 차간난사득

當日二妃心 당일이비심

후둑후둑 소상강에 비가 내리고

아스라이 보이네 반죽의 숲

그러나 거기서 묘사키 어렵기는

아황ㆍ여영의 심정

서직사벽시(書直舍壁詩)는 다음과 같다.

衰年奔走病如期 쇠년분주병여기

春興無多不到詩 춘흥무다부도시

睡起忽驚花事晩 수기홀경화사만

一番微雨濕薔薇 일번미우습장미

늙마에 분주타 보니 병은 약속이나 한 듯 찾아오고

봄 흥취라야 많지 않으니 시까지 지을 건 없다

졸다 깜짝 놀라 깨니 꽃철이 늦었구나

한 차례 보슬비가 장미를 적시누나

‘합천서 자규 소리를 듣다[陜川聞子規]’ 한 시는 다음과 같다.

江陽春色夜凄凄 강양춘색야처처

睡罷無端客意迷 수파무단객의미

萬事不如歸去好 만사불여귀거호

隔林頻聽子規啼 격림빈청자규제

강북 봄경치 밤이라 더 서글퍼서

잠깨자 까닭없이 나그네 맘 설레이네

세상 만사 고향에 돌아감만 못하니라고

건너 숲에 울어대는 자규 소리 잦아라

주운영(朱雲詠)은 다음과 같다.

腰間有劍何須請 요간유검하수청

地下無人亦足游 지하무인역족유

可惜漢廷槐里令 가석한정괴리령

一生唯識佞臣頭 일생유식녕신두

허리에 칼이 있으니 청할 게 무어 있소

땅밑에 사람 없어도 또한 노닐 만하네

가석하다 한 나라 조정의 괴리령은

일생에 영신 머리 베기만을 알았구려

'한문학 > 학산초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달(李達) / 학산초담 29  (0) 2010.02.20
홍경신 & 이덕형 / 학산초담 26-28  (0) 2010.02.20
이달(李達) / 학산초담 24  (0) 2010.02.17
나식 / 학산초담 23  (0) 2010.02.17
최수성 / 학산초담 22  (0) 2010.02.12

 

24. 손곡(蓀谷) 이익지(李益之)의 한식시(寒食詩)에

 

梨花風雨百五日

이화풍우백오일, 배꽃에 비바람 치는 한식철인데

病客江湖三十年

병객강호삼십년,  병객으로 떠돈 지 삼십년일세 라든지,

 

임귀성(林龜城)에게 보낸 시에

 

頻年作客衣還弊

빈년작객의환폐, 해마다 떠돌이라 옷은 벌써 해어지고 

數月離家帶有餘

수월리가대유여, 몇 달을 집 떠나니 허리품 줄었구나 

誰憐范叔寒如此

수련범숙한여차, 범숙(范叔)의 이 가난 뉘 가엾이 여길 건가 

自笑蘇秦困不歸

자소소진곤불귀, 소진(蘇秦)처럼 곤궁하여 못감을 스스로 비웃노라 라든지,

 

노산묘시(魯山墓詩)에

 

東風蜀魄苦

동풍촉백고, 봄바람에 귀촉새 울음 애닯고 

西日魯山寒

서일노산한, 해 저물녘 노릉은 스산도 해라

 

등의 시구는 대우(對偶)가 자연스럽고 침착하고 돈좌(頓挫)하다.

세상 사람들은 더러 바람 앞의 꽃이라 하여 결점으로 여기나, 글쎄 미처 생각을 못해서 하는 말이 아닌지?

 

'한문학 > 학산초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경신 & 이덕형 / 학산초담 26-28  (0) 2010.02.20
김정 & 이행 /학산초담 25  (0) 2010.02.17
나식 / 학산초담 23  (0) 2010.02.17
최수성 / 학산초담 22  (0) 2010.02.12
기준-자기 죽음의 시 / 학산초담 21  (0) 2010.02.12

23. 장음정(長吟亭) 나공 식(羅公湜)은 웅장한 글과 곧은 절개가 천세에 빛난다.

孤舟宜早泊 고주의조박

風浪夜應多 풍랑야응다

외로운 배는 일찍 매어야만 하니

풍랑은 으레 밤 깊으면 더하다네

라는 구절은 선배들이 이미 칭찬하였던 것이고, 원숭이 그림 제한 절구 두 편을 손곡(蓀谷 이달(李達)의 호)은 그림 속에 시가 있다고 칭찬하였으니 그 시는 다음과 같다.

山猿擁馬乳 산원옹마유

脚踏長長枝 각답장장지

收拾落來顆 수습락래과

誰分雄與雌 수분웅여자

산원숭이 포도를 안고는

다리로 긴긴 가지를 밟는구나

떨어진 열매 주울 때

뉘 능히 암수를 구별하리오

또 이런 시도 있다.

老猿失其群 노원실기군

落日枯査上 낙일고사상

兀坐首不回 올좌수불회

想聽千峯響 상청천봉향

늙은 원숭이 그 무리를 잃고

마른 나무 등걸 위에 해는 지네

동그마니 앉아 고개조차 까딱 않으니

아마도 일천 봉의 메아리 듣나 보네

아랫시가 더욱 기발하다.

나식(羅湜)의 자는 장원(長源), 안정인(安定人)이며, 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의 호)의 문인. 을사사화에 형인 부제학(副提學) 숙(淑)과 함께 참화를 당했다.

그의 여강시(驪江詩) 상구(上句)는 다음과 같다.

日暮滄江上 일모창강상

天寒水自波 천한수자파

푸른 강가에 해는 저물고

하늘이 차니 물결은 절로 이네

다른 야사(野史)를 참고해 보면 최원정(崔猿亭)의 시로 되어 있다. 그의 숙부인 세절(世節)이 이 시를 가지고 그를 참소했다고도 하나, 어떤 것이 옳은지 모르겠다. 화원시(畫猿詩)의 아랫수를 《기아(箕雅)》에서는 원정(猿亭)의 시라고 하였는데, 혹 잘못이 아닌가 한다.

'한문학 > 학산초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정 & 이행 /학산초담 25  (0) 2010.02.17
이달(李達) / 학산초담 24  (0) 2010.02.17
최수성 / 학산초담 22  (0) 2010.02.12
기준-자기 죽음의 시 / 학산초담 21  (0) 2010.02.12
강혼 /학산초담 20  (0) 2010.02.1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