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소총 제571화 - 청개가 사당에 든 꿈 (靑蓋入祠)
옛날에 과거에 급제를 하면,
그 사람을 지붕이 없는
가마에 태워 높이 메고
거리를 돌아다니면서
그 영광스러운 얼굴을
널리 보도록 하였는데,
이를 '유가(遊街)'라고 했다.
한편, 무과에 급제를 하면
나라에서 그를 찬양하는 표시로
'청개(靑蓋)'라는 것을 내려 주어,
유가를 할 때
가마 앞에 들고 다니도록 했다.
이 '청개'는 긴 막대기 위에
약간 펼쳐진 우산을
겹쳐 놓은 듯한 모양을 하고 있었다.
따라서 흔히 '청개'라고 하면
무과 급제를 상징하는 말로 이해했다.
어느 고을에 한 무인이 있었는데,
그는 무과에 급제한 사람이었다.
그런데 그 아들 또한
무과에 급제를 하니
사람들이 모두 축하했고,
무인 역시 큰 자랑으로 여겼다.
하루는 무인이
많은 사람들이 모인 자리에서,
자신에 이어 아들까지
거듭 급제한 것을 자랑하고 싶어
어깨를 으쓱거려가며 이런 이야기를 했다.
"내 어젯밤에
'청개'가 우리 집 가묘(家廟)에
두 번씩이나 들어가는 꿈을 꾸었다오.
그래 너무 좋아서 기뻐하다 잠이 깨었소."
자기 집 가묘의 조상이 도와서,
자신에 이어
아들까지 '청개'를 세우고 다니는
무과 급제의 영광을 안았다는
자랑을 하려고 한 말이었다.
그러자 한 사람이 받아서
이렇게 비꼬며 말했다.
"사당으로 두 번이나
'청 삽살개'가 들어갔으면,
반드시 그 개가
가묘 안에 오줌을 쌌겠구먼."
이에 사람들이 한바탕 웃었다.
'청개'를
'청(靑)개(犬)'로 바꾸어 한 말이었다.
'삽살개'를 한자어로
'청방(靑尨)'이라 하기 때문에
'덮개 개(蓋)'자를
'개 방(尨)'자의 우리 말 '개'와 연관시켜
나타낸 것이었으며,
가묘에서 개가 오줌을 싼다는 것은
큰 모욕에 해당되어,
너무 자랑하는 것이 듣기 싫어
이렇게 비꼰 것이었더라.
'고전문학 > 국역고금소총' 카테고리의 다른 글
573화. 시로써 연정을 호소하다 (以詩通情) (0) | 2019.08.09 |
---|---|
572화. 친구를 따돌려 봉변당하다 (諱食逢變) (0) | 2019.08.09 |
570화. 볼기가 아프다고 문자를 쓰다 (痛臀以文) (0) | 2019.08.09 |
569화. 과장 표현의 두 스님이 서로 만나다 (大風相逢) (0) | 2019.08.09 |
568화. 궁 없는 장기 두기 (博無宮) (0) | 2019.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