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성사 묘적암의 나옹선사 부도

 

 

https://www.youtube.com/watch?v=hNAqBFOpqCg

 

위 노래는 한물간 인기곡의 가사로 나옹회상의 시는 아래와 같습니다.

靑山兮要我以無語 [청산혜요아이무어] 청산은 나를보고 말없이 살라하고

蒼空兮要我以無垢 [창공혜요아이무구] 창공은 나를보고 티없이 살라하네

聊無愛而無憎兮 [료무애이무증혜] 사랑도 벗어놓고 미움도 벗어놓고

如水如風而終我 [여수여풍이종아] 물같이 바람같이 살다가 가라하네.

위 청산시에서 훈민정음 창제 이전에도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無常이라는 불교적 세계관에 의거하여 우리말의 의미전달에 고심한 나옹화상의 불심의 깊이를 헤아릴 수 있습니다.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18370

 

https://www.youtube.com/watch?v=A42f__kfBBA&t=119s 

 

 

https://www.youtube.com/watch?v=e0RxzOXN9VI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EB%AC%B8%EA%B2%BD_%EB%8C%80%EC%8A%B9%EC%82%AC_%EB%AC%98%EC%A0%81%EC%95%94_%EB%82%98%EC%98%B9%ED%99%94%EC%83%81_%EC%98%81%EC%A0%95

 

문경 대승사 묘적암 나옹화상 영정 - Encyves Wiki

v\:* { behavior:url(#default#VML); } 정의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대승사(大乘寺) 묘적암(妙寂庵)에 있는 고려 후기의 승려 나옹화상 혜근(懶翁和尙 慧勤, 1320-1376)의 진영(眞影). 내용 개요 화면에는 장

dh.aks.ac.kr

 

https://kydong77.tistory.com/18119?category=851518

 

나옹화상 행장(行狀), 승원가 (僧元歌)

고려국 왕사 대조계종사 선교도총섭 근수본지 중흥조풍 복국우세 보제존자 시선각 나옹화상 행장 (高麗國王師大曹溪宗師禪敎都±攝勤修本智重興祖風福國祐世普濟尊者諡禪覺懶翁和尙行狀) http://www.seokrim.o..

kydong77.tistory.com

 

https://kydong77.tistory.com/18118?category=851518

 

나옹(懶翁)三歌 - 완주가,고루가, 백납가

靑山兮要我以無語 [청산혜요아이무어] 청산은 나를보고 말없이 살라하고 蒼空兮要我以無垢 [창공혜요아이무구] 창공은 나를보고 티없이 살라하네 聊無愛而無憎兮 [료무애이무증혜] 사랑도 벗어놓고 미움도..

kydong77.tistory.com

 

https://kydong77.tistory.com/18301?category=851518

 

나옹화상, 청산은 나를 보고

https://www.youtube.com/watch?v=lXZAOStsPY0 靑山兮要我以無語 [청산혜요아이무어] 청산은 나를보고 말없이 살라하고 蒼空兮要我以無垢 [창공혜요아이무구] 창공은 나를보고 티없이 살라하네 聊無愛而無憎兮 [..

kydong77.tistory.com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18368

 

https://www.youtube.com/watch?v=QA8MwqT655s 

 

 

https://kydong77.tistory.com/18370

 

이색, 나옹화상 탑명 (塔銘)/ 청산은 나를 보고, 청산별곡

https://www.youtube.com/watch?v=lXZAOStsPY0 https://kydong77.tistory.com/17179 고려가요 총목 및 작품 해설 이참에 무애 양주동 선생님이 향가 다음으로 힘을 기울였던 고려가요 경기체가 등에 대하여 재정..

kydong77.tistory.com

 

탑명 (塔銘)
   
   전조열대부 정동행중서성좌우사랑 중문충보절동덕 찬화공신 중 대광한산군
   예문관대제학지춘추관사 겸 성균대사성 지서연사 신이색 봉교찬
   前朝列大夫 征東行中書省左右司郞 中文忠報節同德 贊化空臣 重 大匡韓山君
   藝文官大提學知春秋官事*成均大司成知書硏事 臣 李穡 奉敎撰

   수충찬화공신 광정대부 정당문학예문관대제학 상호군제점서운관사 신권중화 봉교서병단전액
   輸忠贊化空臣 翠紛大夫 政堂文學藝文官大提學 上護軍提點書雲觀事 臣權仲和 奉敎書幷丹傳額

   현릉(玄陵) 20년(1370) 경술 9월 10일에 왕은 스님을 서울로 불러들이시고, 16일에는 스님이 머무시는 광명사(廣明寺)로 나아가셨다. 양종오교(兩宗五敎)의 제방 납자들을 많이 모아 그들의 공부를 시험하고, 그것을 공부선(功夫選)이라 하여 임금이 친히 나가 보셨다.
  
   스님은 향을 사른 뒤에 법좌에 올라 말씀하셨다.
   "고금의 격식[臼] 을 모두 부수고 범성(凡聖)의 자취를 다 쓸어버리며, 납자의 목숨을 끊어버리고 중생의 의심을 떨어버린다. 잡았다 놨다 함이 손안에 있고 신통 변화는 작용[機] 에 있으니, 3세 부처님이나 역대 조사님네나 그 규범은 같도다. 이 법회에 있는 여러 스님네는 사실 그대로 대답하시오."
  
   그리하여 차례로 들어와 대답하게 하였는데, 모두 몸을 구부리고 땀을 흘리면서 모른다고 하였다. 어떤 이는 이치는 알았으나 일에 걸리기도 하고, 혹은 너무 경솔하여 실언하기도 하며, 한마디 하고는 물러가기도 하였으므로 임금은 매우 불쾌한 빛을 보이는 것 같았다. 끝으로 환암 혼수(幻庵混修) 스님이 오자 스님은 3구(三句) 와 3관(三關)을 차례로 묻고, 법회를 마치고는 회암사(檜岩寺)로 돌아가셨다.
  
   신해년(1371) 8월 26일에 임금은 공부상서 장자온(工部尙書 張子溫)을 보내 편지와 도장과 법복과 바루를 내리시고는 `왕사 대조계종사 선교도총섭 근수본지 중흥조풍 복국우세 보제존자'로 봉(封)하시고, 동방 제일 도량인 송광사(松廣寺)에 계시라고 명하셨다.
  
   임자년(1372) 가을에 스님은 우연히 지공스님이 예언하신 삼산양수(三山兩水)를 생각하고 회암사로 옮기려 하였는데, 마침 임금의 부름을 받고 회암사 법회에 나아갔다가 임금께 청하여 거기 있게 되었다. 스님은 "돌아가신 스승 지공스님이 일찍이 이 절을 중수하셨는데, 전란에 탔으니 어찌 그 뜻을 이어받지 않으랴" 하고는 대중과 의논하여 전각과 집들을 더 넓혔다. 공사를 마치고 병진년(1376) 4월에 낙성식을 크게 열었다.
   대평(臺評)의 생각에 회암사는 서울과 가깝기 때문에 사람들의 왕래가 밤낮으로 끊이지 않으므로 혹 생업에 폐가 될까 염려되어 왕래를 금하였다. 그리하여 영원사(瑩源寺:경남 밀양에 있음)로 옮기라는 임금의 명령이 있었고, 빨리 출발하라는 재촉이 있었다. 스님은 마침 병중에 있었으므로 가마를 타고 절 입구의 남쪽에 있는 못가로 나갔다가 스스로 가마꾼을 시켜 열반문으로 나왔다. 대중이 모두 의아하게 여겨 소리내어 우니 스님은 대중을 돌아보고 말씀하셨다.
  
   "부디 힘쓰고 힘쓰시오. 나 때문에 공부를 중도에 그만두지 마시오. 내 걸음은 여흥(瘻興)에 가서 멈출 것이오."
   한강에 이르러 호송관 탁첨에게 말씀하셨다.
   "내 병이 심하오. 배를 빌려 타고 갑시다."
   그리하여 물길을 따라간 지 7일 만에 여흥에 이르렀다. 거기서 또 탁첨에게 말씀하셨다.
   "조금 쉬었다가 병세가 좀 나아지면 가고 싶소."
   탁첨은 기꺼이 그 말을 따라 신륵사(神勒寺) 에 머물렀다. 5월 15일에 탁첨은 또 빨리 가자고 독촉하였다.
   스승은 입을 열었다.
   "그것은 어렵지 않소. 나는 아주 갈 것이오."
   그리고는 그날 진시(辰時)에 고요히 돌아가셨다.
  
   그 고을 사람들은 오색 구름이 산꼭대기를 덮는 것을 보았고, 화장하고 뼈를 씻을 때에는 구름도 없이 사방 수백 보에 비가 내렸다. 사리 150개가 나오니 거기에 기도하고 558개로 나누었다. 사부대중이 재 속에서 그것을 찾아 감추어 둔 것만도 부지며, 신령한 광채가 나다가 3일 만에야 그쳤다.
   석달여(繹達如)는 꿈에 화장하는 자리 밑에 용이 서려 있는 것을 보았는데, 그 모습은 말과 같았다. 초상 배가 회암사로 돌아올 때에는 비도 오지 않았는데, 물이 넘쳐흘렀다. 사람들은 그것이 여룡(瘻龍) 의 도움이라 하였다.
   8월 15일에 회암사 북쪽 언덕에 부도를 세우고 정골사리(頂骨舍利)는 신륵사에 두었다. 화장을 하고 석종(石鍾)으로 덮은 것은 감히 잘못되는 일이 있을까 하여 경계한 것이다.
  
   이 일이 조정에 알려지자 조정에서는 선각(禪覺)이라 시호를 내리고, 신 색에게는 글을 지으라 명하고, 신 중화에게는 단전액을 쓰게 하였다.
   신이 삼가 생각을 더듬어보니, 스님의 휘(諱)는 혜근(惠勤)이요, 호는 나옹(懶翁)이며, 본래 이름은 원혜(元惠)이다. 향년(享年) 57세, 법랍(法瀘)은 38세이며, 영해부(寧海府) 사람으로 속성은 아(牙) 씨다. 아버지의 휘는 서구(瑞具)로서 선관령(膳官令)을 지냈고, 어머니 정(鄭) 씨는 영산군(靈山郡) 사람이다.
   정씨는 꿈에 황금빛 새매가 날아와 머리를 쪼으며 갑자기 오색빛이 찬란한 알을 떨어뜨려 품안에 들어오는 것을 보고 아기를 가져 연우(延祐)  경신년(1320) 1월 15일에 스님을 낳았다. 스님은 스무 살에 이웃 동무가 죽는 것을 보고 여러 어른들에게 죽으면 어디로 가느냐고 물었는데 모두들 모른다 하였다. 매우 슬픈 심정으로 공덕산(功德山)에 들어가 요연(了然)스님께 귀의하여 머리를 깎았다. 요연스님은 물었다.
  
   "그대는 무엇하러 출가했는가?"
   "삼계를 벗어나 중생을 이롭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부디 가르쳐 주십시오."
   "지금 여기 온 그대는 어떤 물건인가?"
   "말할 줄 알고 들을 줄 아는 이것이 이렇게 왔으나 다만 수행하는 법을 모릅니다."
   "나도 그대와 같아서 아직 모른다. 다른 스승을 찾아가서 물어 보라."
  
   지정(至正)  갑신년(1344)에 회암사로 가서 밤낮으로 혼자 앉았다가 갑자기 깨치고는, 중국으로 가서 스승을 찾으리라 결심하였다.
   무자년(1348) 3월에 연도(燕都)에 들어가 지공스님을 뵙고 문답하여 계합한 바 있었다. 10년(1350) 경인 1월에 지공스님은 대중을 모으고 법어를 내렸으나 대답하는 사람이 없었는데, 스님이 대중 속에서 나와 몇 마디하고 세 번 절하고는 밖으로 나갔다. 지공스님은 서천(西天)의 108대 조사다.
  
   그 해 봄에 남쪽 강제 지방을 돌아다니다가 가을 8월에는 평산(平山) 스님을 찾아뵈었다. 평산스님은 물었다.
  
   "일찍이 어떤 사람을 보았는가?"
   "서천의 지공스님을 보았는데, 그 분은 날마다 천검(千劍)을 썼습니다."
   "지공의 천검은 그만두고 그대의 일검(一劍)을 가져 오라."
   스님은 좌복으로 평산스님을 밀쳤다. 평산스님은 선상에 쓰러지면서 "이 도둑놈이 나를 죽인다!" 하고 크게 외쳤다.
   스님은 "내 검(劍)은 사람을 죽이기도 하지만 사람을 살리기도 합니다" 하고 붙들어 일으켰다. 평산스님은 설암(雪艤)스님이 전한 급암(及艤)스님의 가사와 불자를 전해 신표를 삼았다.
  
   신묘년(1351) 봄에 보타락가산(寶陀洛迦山)으로 가서 관음보살께 예배하고 임진년(1352)에 복룡산(伏龍山)으로 가서 천암(千巖)스님을 뵈었다. 천암스님은 마침 스님네들을 천여 명 모아놓고 입실(入室) 할 사람을 뽑고 있었다. 천암스님이 물었다.
   "어디서 오는가?"
   스님이 대답하자 천암스님이 다시 물었다.
   "부모가 낳아주기 전에는 어디서 왔는가?"
   "오늘은 4월 2일입니다."
   그러자 천암스님은 입실을 허락하였다.
  
   그 해에 북방으로 돌아와 다시 지공스님을 뵈오니 지공스님은 법의와 불자와 범서(梵書)를 주었다. 그리하여 스님은 연대(燕代)의 산천을 돌아다니는 말쑥하고 한가한 도인이 되었다.
   스님의 명성이 궁중에 들어가 을미년(1355) 가을에 황제의 명을 받들어 대도(大都)의 광제사(廣濟寺) 에 머물렀고, 丙申년(1356) 10월 15일에는 개당법회를 열었다. 황제는 원사 야선첩목아(院使 也先帖木兒)를 보내 금란가사와 비단을 내리시고, 황태자는 금란가사와 상아불자(象牙拂子)를 가지고 참석하였다. 스님은 가사를 받아 들고 대중에게 물었다.
  
   "맑고 텅 비고 고요하여 본래 한 물건도 없는데, 찬란한 이것은 어디서 나왔는가?"
   대중이 대답이 없자 스님은 천천히 말씀하셨다.
   "구중 궁궐의 금구(金口)에서 나왔다."
   그리고는 가사를 입고 향을 사뤄 황제를 위해 축원하고 나서 법좌에 올라 주장자를 가로 잡고 두어 마디 한 뒤에 자리에서 내려오셨다.
  
   무술년(1358) 봄에 지공스님에게 수기(授記)를 얻고 귀국해서는 다니거나 머무르거나 인연 따라 설법하다가, 경자년(1360)에는 오대산에 들어가 살으셨다.
   신축년(1361) 겨울에 임금님은 내첨사 방절(方節)을 보내 서울에 맞아들여 마음의 요체에 대한 법문을 청하고 만수가사(滿繡袈裟) 와 수정불자(水精拂子)를 내리셨다. 공주(公主)는 마노불자를 올리고, 태후는 친히 보시를 베풀고 신광사(神光寺)에 계시기를 청하였으나 사양하자 임금이 "나도 불법에서 물러가겠다" 하시므로 부득이 부임하셨다.
   11월에 홍건적이 서울 근방(京幾)을 짓밟았으므로 도성 사람들이 모두 남쪽으로 옮겼다. 스님네들이 두려워하여 스님에게 피란하기를 청하자 스님은, "명(命)이 있으면 살겠거늘 도적인들 어찌하겠는가" 하셨다. 그러나 며칠을 두고 더욱 졸라대었다. 그날 밤 꿈에, 얼굴에 검은 글이 쓰여진 신인(神人) 하나가 의관을 갖추고 절하며, "대중이 흩어지면 도적은 반드시 이 절을 없앨 것이니, 스님은 뜻을 굳게 가지십시오" 하였다. 이튿날 토지신(土地神)을 모신 곳에 가서 그 용모를 보았더니 꿈에 본 그 얼굴이었다. 도적은 과연 오지 않았다.
  
   계묘년(1363) 에 구월산(九月山)에 들어갔더니 임금은 내시 김중손(金仲孫) 을 보내 돌아오기를 청하였다.
   을사년(1365)  3월에 대궐에 들어가 물러가기를 청하여 비로소 숙원(宿願)을 이룬 뒤에는, 용문(龍門) ·원적(元寂) 등 여러 산에서 노닐다가 병오년(1366)에는 금강산에 들어갔고, 정미년(1367) 가을에는 청평사(淸平寺)에 머물렀다. 그 해 겨울에는 예보암(猊¿岩)이 지공스님의 가사와 친필을 스님에게 주면서 치명(治命:죽을 무렵에 맑은 정신으로 하는 유언) 이라 하였다.
   기유년(1369)에 다시 오대산에 들어갔다. 경술년(1370) 봄에는 사도 달예(司徒 達睿)가 지공스님의 영골(靈骨)을 받들고 와서 회암사에 두니 스님은 그 영골에 예배하였다. 그리고 곧 임금의 부름을 받고 나아가 광명사(廣明寺)에서 여름을 지내고 가을에 회암사로 돌아왔으니, 그것은 9월에 공부선(工夫選)이 있었기 때문이다.
   스님이 거처하는 방을 강월헌(江月軒)이라 하였다. 평생에 세속의 문자를 익히지는 않았으나, 제영(題詠)을 청하는 이가 있으면 붓을 들어 그 자리에서 써주었는데 혹 경전의 뜻이 아니더라도 이치가 심원하였다.
   만년에는 장난삼아 산수화 그리기를 좋아하여 권도(權道)의 시달림을 받았으니, 아아, 도를 통하면 으레 재능도 많아지는가 보다.

 

 이색은 삼가 절하고 머리를 조아려 비명을 짓는다.

* 이색[  ] 호는 목은(). 포은()정몽주(鄭夢周), 야은()길재(吉再)와 함께 삼은()의 한 사람이다. 아버지는 찬성사이곡()이며 이제현(李齊賢)의 문인이다. 

    展也禪覺  惟麟之角

    王者之師  人天眼目
    萬衲宗之  如水赴壑
    而鮮克知  所立之卓
    隼夢赫靈  在厥初生
    龍神護喪  終然允藏
    矧曰舍利  表其靈異
    江之闊矣  皎皎明月
    空耶色耶  上下洞徹
    哉高風終  終古不滅

展也禪覺  惟麟之角

전야선각 유린지각

王者之師  人天眼目

왕자지사 인천안목


      진실로 선을 깨친 이시며〔禪覺]
    기린의 뿔이로다  * '코뿔소의 외뿔'의 표현인 듯. 기린은 두 뿔이니까.
    임금의 스승이요
    인천(人天)의 눈이로다. *人天 - 인간세계와 천상세계 

   

萬衲宗之  如水赴壑

만납종지 여수부학
   

而鮮克知  所立之卓

이선극지 소립지탁

    뭇 승려들 우러러보기를
    물이 골짜기로 달리는 듯하나
    선 바가 우뚝하여
    아는 이가 드물다
   

隼夢赫靈  在厥初生

준몽혁령 재궐초생
   

龍神護喪  終然允藏

룡신호상 종연윤장

    신령한 새매 꿈이
    처음 태어날 때 있었고
    용신 (龍神) 이 초상을 호위함하여
    마지막 죽음을 빛냈도다
   

矧曰舍利  表其靈異

신왈사리 표기령이
   

江之闊矣  皎皎明月

강지활의 교교명월

    하물며 사리라는 것이
    스님의 신령함을 나타냈나니 
    강은 넓게 트였는데
    달은 밝고 밟았도다
   

空耶色耶  上下洞徹

공야색야 상하동철   

哉高風終  終古不滅

고풍종 종고불멸

    공(空)인가 색(色)인가
    위아래가 훤히 트였나니
    아득하여라, 높은 모습이여
    깊이 멸하지 않으리라.   7년 6월 어느 날 비를 세우다

 

 [참고] 만해 한룡운 선생의 제자이신 춘성[] 스님은 사리 같은 나의 자취를 남기지 말라고 했습니다. 만상은 소멸하는 것이 자연의 순리이니까요. 부처님의 다비식에서 여러 나라의 왕들이 나눠 가져간 것은 덜 태운 부처님의 뼈조각이엇다고도 합니다. 그래서 사리탑이 생겼고, 불상이 조성된 것은 서력 기원 이후입니다.

於是世尊即說偈言。

그리고는 세존께서 곧 게송을 말씀하셨다.


常者皆盡  高者必墮   合會有離  生者有死

상자개진 고자필타 합회유리 생자유사

  항상할 것 같아도 모두 다 없어지고  

   높은 데 있는 것도 반드시 떨어지며

   만나면 반드시 헤어짐이 있고  

   태어난 것은 언젠가는 죽느니라.

      <법구비유경> 제1 무상품 中에서

    공(空)인가 색(色)인가
    위아래가 훤히 트였나니
    아득하여라, 높은 모습이여
    깊이 멸하지 않으리라.   7년 6월 어느 날 비를 세우다

   경기도 양주군 회천면 회암리 회암사(京畿道 楊州郡 檜泉面 檜岩里 檜岩寺)에 있다. 고려의 폐왕(廢王)인 우왕  정사년 (1377)에 세우다. 비의 높이는 5척, 너비는 3척 2촌, 글자의 지름은 7푼, 예서제액자(隷書題額字)의 지름은 3촌 3푼. 전서로 음기(陰記)한 것이 닳아 없어져 읽을 수 없다.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18118 [김영동교수의 고전 & Life]

1주흘관 - 2조곡관 - 3조령관

교귀정의 멋진 경관이 눈앞에 어른거렸지만 여행코스가 아니어서 숙소에서 짬을 내어 식사전에 저녁과 아침에 잠시 들렀다. 관문의 이름도 명료하다. 주흘산과 조령산, 조령산의 계곡에 위치하여 조곡관이 되었다.

문희경서 聞喜慶瑞, 문희는 고려시대 문경의 옛 이름으로 기쁜소식을 듣게 된다는 뜻이고, 慶瑞는 경사스러운 일의 조짐을 뜻하므로 '문경'이란 항상 경사스러운 조짐을 지닌 지역의 의미이다. 聞慶이란 과거길에 오르는 선비들에겐 과거시험의 합격 소식이 아니겠는가? 산악지역으로만 느껴지던 문경에 이렇게 깊은 뜻이? 聞喜 의미 전달상의 문제로 聞慶으로 바꾼 것으로 추정된다. 

 

https://ko.wikipedia.org/wiki/%EB%AC%B8%EA%B2%BD%EC%83%88%EC%9E%AC

 

문경새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문경새재오픈세트장 매표소 앞 출입문

ko.wikipedia.org

새재 또는 한자어로 조령(鳥嶺)이라고도 하는데, 이 말은 새도 날아 넘기 힘든 고개라는 데에서 유래되었다

예로부터 한강과 낙동강 유역을 잇는 영남대로 상의 가장 높고 험한 고개로 사회 문화 경제의 유통과 국방상의 요충지였다. 임진왜란 뒤에 제1관문 주흘관, 제2관문 조곡관, 제3관문 조령관의 3관문(사적 제 147호)을 설치하여 국방의 요새로 삼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BJ27XAP0m7Q 

 

 

https://www.youtube.com/watch?v=pOkd6tq4tsY 

 

 

 

 

 

https://www.youtube.com/watch?v=yn0oN8LPD4g 

 

 

 

 

https://www.youtube.com/watch?v=xOwdWF6lGfQ 

 

 

 

 

 

 

https://kydong77.tistory.com/19607

 

문경새재 조령원 조곡관

www.youtube.com/watch?v=bdIfI2TTXhg www.youtube.com/watch?v=FJWe6F5CcXU www.youtube.com/watch?v=i_5z5O9M3ls www.youtube.com/watch?v=7Of-_ZMVONk www.youtube.com/watch?v=r7xnOT8IZvg www.youtu..

kydong77.tistory.com

 

 

https://kydong77.tistory.com/18905

 

문경새재를 잊지 못하는 선비들/ 이이, 류성룡, 신경림

https://www.youtube.com/watch?v=wR4xUz_ls10 시각 진행바 5:00 이후의 문경 사람들의 멋진 유머가 돋보이네요. "낙동강 칠백리에 홍수가 다 났네." 라는 이처럼 재담의 스케일이 큰 것은 아마도 주흘산과 새

kydong77.tistory.com

 

 

https://kydong77.tistory.com/19605?category=485791 

 

문경새재 단풍길

문경새재아리랑 (1915) https://www.youtube.com/watch?v=wR4xUz_ls10 문경새재아리랑 (1915) https://www.youtube.com/watch?v=wR4xUz_ls10 시각 진행바 5:00 이후의 문경 사람들의 멋진 유머가 돋보이네요. 낙..

kydong77.tistory.com

 

https://kydong77.tistory.com/19643

 

상주 함창 공갈못에& 문경새재 물박달나무

문경새재 하면 떠오른 건 과거길이다. 그 이유는 죽령으로 한양 갔다간 죽죽 미끄러지고 추풍경으로 갔다간 추풍낙엽 신세될까 해서란다. 그런데 상주 함창하면 공갈못이 먼저 떠오는 건 왜일

kydong77.tistory.com

 

https://www.youtube.com/watch?v=wR4xUz_ls10

 

https://kydong77.tistory.com/18556

 

문경새재 물박달나무/ 문경새재아리랑, 길쌈

http://blog.daum.net/kieury/11302851 문경새재 주막(酒幕) 문경새재 주막(酒幕) 새재(鳥嶺)는 조선시대에 영남에서 한양으로 오가던 가장 큰 길로서, 이 주막은 청운의 꿈을 품고 한양 길로 오르던 선비들

kydong77.tistory.com

 

https://kydong77.tistory.com/18125

 

문경새재아리랑

문경새재아리랑(2018) https://www.youtube.com/watch?v=6lBqbit8sPc 문경새재 덕무푸레 / 말채 쇠채로 다 나간다. 문경새재 박달나무 / 북바듸 집으로 다나간다. [ 문경새재 물박달나무 / 홍두깨 ..

kydong77.tistory.com

 

https://kydong77.tistory.com/8595

 

문경새재 물박달나무 홍두깨 방망이로 다나간다

[사진]홍두깨 & 다듬이돌과 다듬이방망이 & 베틀[펌] [설명]상단 사진의 가로 놓인 것이 홍두깨, 세로 놓인 두 개는 다듬이방망이다. 홍두깨 http://100.naver.com/100.nhn?docid=172077 옷감을 감아서 다듬이.

kydong77.tistory.com

 

 

문경새재아리랑(2018)

https://www.youtube.com/watch?v=6lBqbit8sPc

문경새재 덕무푸레 / 말채 쇠채로 다 나간다.

문경새재 박달나무 / 북바듸 집으로 다나간다.

[ 문경새재 물박달나무  / 홍두깨 자루로 다 나간다.] -(누락됨)

 *"물박달나무"이나 음절수를 맞추기 위해 첫음절인 '물'을 생략하기도 함

홍두깨 방망이로 다 나가면 / 큰 애기 손질에 다 녹는다.

 뒷동산에 박달나무 / 길마까지로 다 나간다. *길마까지는 '길마'길마가지'의 잘못 .

길맛가지  길마는 소의 등에 짐을 실을 때 사용하는, 사투리로는 "질매"

화개연곡(구례군) 큰애기는 / 알밤 주시로 다나가고

동구(함양)마천 큰 애기는 / 꼬감 접으로 다나간다.

대장부 쓸만한 건 / 징용징병으로 다나간다.

문경새재는 웬 고갠가 / 구부야 구부구부가 눈물이로고나

[가사출처] http://mgarirang.or.kr/doc/mgsj03.html

 

 

 

https://www.youtube.com/watch?v=KDeidVmdHE8 

 

 

https://www.youtube.com/watch?v=wR4xUz_ls10

 

 

 

푸른 오월

노천명

청자빛 하늘이
육모정 탑 위에 그린 듯이 곱고
연못 창포잎에―
여인네 맵시 위에―
감미로운 첫여름이 흐른다.

라일락 숲에
내 젊은 꿈이 나비같이 앉는 정오
계절의 여왕 오월의 푸른 여신 앞에
내가 웬 일로 무색하고 외롭구나

밀물처럼 가슴속으로 몰려드는 향수를
어찌하는 수 없어
눈은 먼 데 하늘을 본다.

긴 담을 끼고 외진 길을 걸으며 걸으며
생각이 무지개처럼 핀다.

풀냄새가 물큰
향수보다 좋게 내 코를 스치고
청머루 순이 뻗어나오던 길섶
어디메선가 한나절 꿩이 울고
나는
활나물 훗잎나물 젓갈나물 참나물을 찾던―
잃어버린 날이 그립지 아니한가 나의 사람아
아름다운 노래라도 부르자
서러운 노래를 부르자

보리밭 푸른 물결을 헤치며
종달새 모양 내 마음은
하늘 높이 솟는다.

오월의 창공이여
나의 태양이여

 

https://www.youtube.com/watch?v=njLWeHu5cnI&t=97s 

 

 

푸르른 날

서정주

눈이 부시게 푸르른 날은
그리운 사람을 그리워하자

저기 저기 저, 가을 꽃 자리
초록이 지쳐 단풍 드는데

눈이 나리면 어이 하리야
봄이 또 오면 어이 하리야

내가 죽고서 네가 산다면!
네가 죽고서 내가 산다면?

눈이 부시게 푸르른 날은
그리운 사람을 그리워하자

출처 : 법보신문(http://www.beopbo.com)

 

 

https://www.youtube.com/watch?v=oGvvcP3V_A4 

 

 

https://www.youtube.com/watch?v=RiVhMZjgQ4c 

 

 

 

 

 

https://www.youtube.com/watch?v=aRmW52yBRwc 

 

 

https://www.youtube.com/watch?v=3J-Bm6kavQU 

 

https://www.youtube.com/watch?v=KDiKzj8iHgc 

 

https://www.youtube.com/watch?v=-fOhrRXWXno 

 

 

https://www.youtube.com/watch?v=wyOSyhJX4gY 

 

 

 

 

 

 

 

https://kydong77.tistory.com/20742

 

노천명, 푸른 오월 ·사슴 ·이름 없는 여인이 되어 外/ 도봉산 둘레길

https://www.youtube.com/watch?v=EpFQAi64xqI https://www.youtube.com/watch?v=ysrgW0kyW18 https://ko.wikipedia.org/wiki/%EB%85%B8%EC%B2%9C%EB%AA%85 노천명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kydong77.tistory.com

 

 

https://kydong77.tistory.com/20753

 

서정주 - 화사(花蛇),자화상, 귀촉도, 푸르른 날,국화 옆에서,冬天, 新婦

www.youtube.com/watch?v=X1osOJcJ6uI 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4631 화사집(花蛇集)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제1부 ‘자화상(自畫像)’에는 같은 제목의 시 1편, 제2부 ‘화사’에는 「화사」·..

kydong77.tistory.com

 

 

https://www.youtube.com/watch?v=fownNvULodE 

 

 

https://www.youtube.com/watch?v=E7HGKWdbB-s 

 

 

The road not taken

TWO roads diverged in a yellow wood,
And sorry I could not travel both
And be one traveler, long I stood
And looked down one as far as I could
To where it bent in the undergrowth;
 
Then took the other, as just as fair,
And having perhaps the better claim,
Because it was grassy and wanted wear;
Though as for that the passing there
Had worn them really about the same,
 
And both that morning equally lay
In leaves no step had trodden black.
Oh, I kept the first for another day!
Yet knowing how way leads on to way,
I doubted if I should ever come back.
 
I shall be telling this with a sigh
Somewhere ages and ages hence:
Two roads diverged in a wood, and I—
I took the one less traveled by,
And that has made all the difference

 

단풍 든 숲 속에 두 갈래 길이 있더군요.
몸이 하나니 두 길을 다 가 볼 수는 없어
나는 서운한 마음으로 한참 서서
잣나무 숲 속으로 접어든 한쪽 길을
끝 간 데까지 바라보았습니다.
 
그러다가 또 하나의 길을 택했습니다. 먼저 길과 똑같이 아름답고,
아마 더 나은 듯도 했지요.
풀이 더 무성하고 사람을 부르는 듯했으니까요.
사람이 밟은 흔적은
먼저 길과 비슷하기는 했지만,
 
서리 내린 낙엽 위에는 아무 발자국도 없고
두 길은 그날 아침 똑같이 놓여 있었습니다.
아, 먼저 길은 다른 날 걸어보리라! 생각했지요.
인생 길이 한번 가면 어떤지 알고 있으니
다시 보기 어려우리라 여기면서도.
 
오랜 세월이 흐른 다음
나는 한숨 지으며 이야기하겠지요.
"두 갈래 길이 숲 속으로 나 있었다, 그래서 나는 -
사람이 덜 밟은 길을 택했고,
그것이 내 운명을 바꾸어 놓았다"라고
 
- 정현종 교수 번역본

 

미국의 시인 로버트 프로스트(Robert Frost, 1874~1963)가 쓴 시.

한 사람이 가을날 숲 속을 걷다 두 갈래 길을 마주했다가 고민 끝에 사람이 적게 지나간 길을 선택했고,

이 때문에 그 이후의 모든 것이 달라졌다고 시인은 말합니다. 

곧 인생은 선택의 연속으로 인하여 직업이든 성격이든 남과 다른 자신만의 모든 것이 결정된다는 말씀.

 

https://www.chosun.com/politics/politics_general/2021/05/19/W4NJXUFNFNCJHI2LNH74KIUO2Q/

 

윤석열 조부 묘소에 식칼과 부적, 인분을… ‘풍수테러' 내사

윤석열 전 검찰총장 조부(祖父) 묘역에서 무덤을 파헤치고 인분과 식칼, 부적 등을 놓아두는 저주(詛呪)성 테러가 최근 한달여 사이 두 차례나 벌어져 경찰이 내사를 벌이고 있다. 19일 세종경찰

www.chosun.com

 

두 다리가 의사다 

https://www.youtube.com/watch?v=oAt1Vjqc2Ws 

* 위 동영상은 43분 이후는 앞 부분의 요약임.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