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log.daum.net/junos111/8052862?category=286363

 

離婁章句下 第三十章 : 匡章

公都子曰 (공도자왈) [匡章, 通國皆稱不孝焉。 夫子與之遊, (광장,통국개칭불효언,부자여지유,) 又從而禮貌之,敢問何也? ] (우종이례모지,감문하야) 孟子曰 (맹자왈) [世俗所謂不孝者五(세속소위

blog.daum.net

 

公都子曰 (공도자왈) : 공도자가 말하였다。

[匡章通國皆稱不孝焉。 夫子與之遊(광장,통국개칭불효언,부자여지유,)

"광장은 온 나라가 다 不孝라 하는데 夫子께서 더불어 교유하시고

又從而禮貌之,敢問何也? ] (우종이례모지,감문하야)

 또 따르고 예우하시니 감히 묻자옵건대, 어떤 까닭입니까?"

孟子曰 (맹자왈)

孟子께서 말씀하셨다。

[世俗所謂不孝者五(세속소위불효오자)

"世俗에 이른바 不孝가 다섯이니,

 惰其四肢不顧父母之養一不孝也。 (타기사지,불고부보지양,일불효야)

 그 사지를 게을리하여 父母 봉양을 돌아보지 아니함이 한 不孝요,

 博奕好飮酒不顧父母之養二不孝也。 (박혁호음주,불고부모지양,이불효야)

 장기와 바둑을 두며 술 마시기를 좋아하여 父母 봉양을 돌아보지 아니함이 둘째 不孝요,

 好貨財私妻子不顧父母之養三不孝也。 (호화재,사처자불고부모지양,삼불효야)

 재물을 좋아하며 처자와의 애정에만 빠져 父母 봉양을 돌아보지 아니함이 세째 不孝요,

 從耳目之欲以爲父母戮四不孝也。 (종이목지욕,이위부모륙,사불효야)

 耳目이 하고자 하는 바를 방종해서 父母를 욕되게 함이 네째 不孝요,

 好勇鬪悍以危父母五不孝也。 (호용투한,이위부모,오불효야)

 용맹을 좋게 여겨 싸우고 화내어서 父母를 위태롭게 함이 다섯째 不孝이다。

 章子有一於是乎(장자유일어시호?)

 광장이 여기에 하나라도 저지른 것이 있느냐?

 

夫章子, 子父責善而不相遇也。 (부장자,자부책선이불상우야)

장자는 子와 父가 善을 責하다(責善)가 서로 뜻이 合하지 못하였다。

責善, 朋友之道也。 父子責善, 賊恩之大者。 (책선,붕우지도야,부지책선,적은지대자)

善을 責함은 벗들 사이의 道理이니, 父子가 善을 責함은 은의을 해롭게 하는 큰 일이다。

夫章子, 豈不欲有夫妻子母之屬哉? (부장자,기불욕유부처자모지속재?)

광장이 어찌 아내와 어머니ㆍ자식같은 붙이(眷屬)를 두고자 않았으리오마는,

爲得罪於父, 不得近。 出妻屛子, (위득죄어부,부득근,출처병자)

父에게 죄를 얻어서 그를 가까이 할 수 없었기에 아내를 내치며 자식들을 물리쳐서

終身不養焉。 (종신불양언)

평생토록 봉양을 받지 않았다。

其設心以爲不若是, 是則罪之大者, 是則章子已矣。 (기설심이위불여시,시즉죄지대자,시즉장자이의)

그 마음 먹기를 '이와 같지 아니하면 이는 罪가 큰 것이다'고 했으니, 이가 곧 광장이다。"

 

m.blog.naver.com/sohoja/220433947278

 

맹자 114 - 이루하 30​

맹자 114 - 이루하 30離婁下: 30公都子曰:「匡章,通國皆稱不孝焉。夫子與之遊,又從而禮貌之,敢問何也?...

blog.naver.com

 

 

[참고]

*責善, 朋友之道也。 父子責善, 賊恩之大者。 (책선,붕우지도야,부지책선,적은지대자)

善을 責함은 벗들 사이의 道理이니, 父子가 善을 責함은 은의을 해롭게 하는 큰 일이다。

 

붕우는 대등관계이나 부자는 은혜를 주고 받은 관계이다.

'責'의 뜻 : 요구하다. 꾸지람하다. 궈낭하다. 규명하다. 권장하다.

책임: 해야 할 임무

 

namu.wiki/w/%EC%B1%85%EC%9E%84

 

책임 - 나무위키

모든 책임은 내가 진다!(The buck stops here!)[1] 책임은 내게 있다(責乃在予). 만인(萬人)을 몰아서 사지(死地)에 나가게 한 것이 아닌가? 닷샛날은 음양(陰陽)에 수사일(受死日)이고, 또 바람 기운이

namu.wiki

 

 

m.blog.daum.net/junos111/8052861?category=286363

 

離婁章句下 第二十九章 : 禹稷顔回同道

禹稷當平世, 三過其門而不入, (우직당평세,삼과기문이불입) 孔子賢之。 (공자현지) 顔子當亂世, 居於陋巷。 一簞食, 一瓢飮。 (안자당난세,거어누항,일단사,일표음) 人不堪其憂, 顔子不改其樂,

blog.daum.net

 

29.禹稷顔回同道(우직안회동도)

 

禹稷當平世三過其門而不入(우직당평세,삼과기문이불입)

孔子賢之。 (공자현지)

우와 직이 平世를 만났으면서도 세 차례씩이나 자기집 문앞을 지나면서 들어가지 아니 하셨는데,

孔子께서 賢하게 여기셨다。

顔子當亂世居於陋巷。 一簞食一瓢飮。 (안자당난세,거어누항,일단사,일표음) :

안자가 난세를 만나 더러운 골목에 살면서 한 대그릇 밥과 한 표주박 마실 것으로

人不堪其憂顔子不改其樂(인불감기우,안자불개기낙)

孔子賢之。 (공자현지)

구차한 생활을 하면서도,

남들이라면 그 시름을 견디지 못하거늘 안자가 그 즐거움을 고치지 아니하니

孔子께서 賢하게 여기셨다。

孟子曰 (맹자왈)

孟子께서 말씀하셨다。

[禹稷顔回同道。 (우직안회동도)

"우ㆍ직ㆍ안회의 道가 한가지이다。

 

禹思天下有溺者, 由己溺之也。 (우사쳔하유익자,유기익지야) :

우임금은 天下에 물에 빠진 자가 있으면 생각하기를 자신이 빠지게 한 것같이 여기시며,

稷思天下有飢者, 由己飢之也, (직사천하유기자,유기기지야) ㅣ

직은 천하에 굶주린 자가 있으면 생각하기를 자신이 굶주리게 한 것같이 여기니,

是以如是其急也。 (시이여시기급야) 

이러므로 이처럼 급하게 하셨다。

禹稷顔子易地則皆然。 (우직안자역지즉개연)

우,직과 안자가 처지를 바꾸면 다 그렇게 했을 것이다。"

 

今有同室之人鬪者, 救之, (금유동실지인투자,구지) :

이제 한 집안에 있는 사람이 싸우면 그를 구하는데,

雖被髮纓冠而救之, 可也。 (수피발영관이구지,가야)

비록 머리가 흩어진 채 갓끈만을 매고 가서 구하더라도 옳은 일이다。

鄕隣有鬪者, 被髮纓冠而往救之, (향린유투자,피발영관이왕구지) :

그러나 동네 사람들끼리 싸우는데 머리가 흩어진 채 갓끈만 매고 나아가서 구하면

則惑也, 雖閉戶可也。 ] (즉혹야,수폐호가야)

이것은 잘못 생각한 것(惑)이다。

이런 경우는 비록 문을 닫아 걸고 상관을 아니하여도 괜찮으니라。"

 

m.blog.naver.com/sohoja/220432986626

 

맹자 113 - 이루하 29

맹자 113 - 이루하 29 離婁下: 29 禹、稷當平世,三過其門而不入,孔子賢之。顏子當亂世,居於陋巷。...

blog.naver.com

 

 

君子有終身之憂, 無一朝之患也。(군자유종신지우,무일조지환야)

君子는 평생토록 할 시름이 있으나, 일시적인 근심걱정은 없다。

 

m.blog.daum.net/junos111/8052860?category=286363

 

離婁章句下 第二十八章 : 無一朝之患

孟子曰 (맹자왈) [君子所以異於人者, 以其存心也。 (군자소이이어인자,이기존심야)  君子以仁存心, 以禮存心。 (군자이인존심,이례존심)  仁者愛人, 有禮者敬人。 (인자애인,유례자경인)  愛

blog.daum.net

 

孟子曰 (맹자왈)

[君子所以異於人者, 以其存心也。 (군자소이이어인자,이기존심야)

 君子以仁存心, 以禮存心。 (군자이인존심,이례존심)

 仁者愛人, 有禮者敬人。 (인자애인,유례자경인)

 愛人者人恒愛之, 敬人者人恒敬之。 (애인자이항애지,경인자인항경지)

孟子께서 말씀하셨다。

"君子가 보통사람과 다른 점은 그를 마음에 지니고 있으므로 해서이니,

 君子는 仁을 마음에 지니고, 禮를 마음에 지닌다。

 仁한 者는 사람들을 사랑하고, 禮를 차리는 者는 사람들을 공경한다。

 남을 사랑하는 者는 남들도 그를 항상 사랑하고, 남을 공경하는 者는 남들도 그를 항상 공경한다。

 

有人於此, 其待我以橫逆, (유인어차,기대아이횡역)

則君子必自反也 (즉군자필자반야)

我必不仁也, 必無禮也, (아필불인야,필무례야)

此物奚宜至哉? (차물해의지재?)

여기에 한 사람이 있다고 하자。 그가 나를 대접함이 횡역으로 한다면,

君子가 반드시 스스로 반성하여

'내가 틀림없이 不仁하며, 틀림없이 無禮하였나 보다。

 그렇지 않으면 이런 일이 어찌하여 마땅히 나에게 닥칠 수 있겠는가' 한다。

 

其自反而仁矣, 自反而有禮矣, (기자반이인의,자반이유례의)

其橫逆由是也, (기횡역유시야)

君子必自反也 (군자필자반야)

我必不忠。 (아필불충)

自反而忠矣, 其橫逆由是也, (자반이충의,기횡역유시야)

君子曰 {此亦妄人也已矣。 (군지왈 차역망인야이의)

如此則與禽獸奚擇哉? (여차즉여금수애택재?)

於禽獸又何難焉? } (어금수우하난언?)

스스로 반성하여도 仁하였으며, 스스로 반성하여도 禮를 차렸는데도,

그가 나에게 횡역함이 이 같으면,

君子는 반드시 스스로 반성하여

'내 틀림없이 忠하지 못하도다' 한다。

그러나 스스로 반성해 보아도 忠하였는데 그가 나에게 횡역함이 이 같으면,

君子가 말하기를 '이 사람은 망령된 사람일 따름이다。

이런 사람은 금수와 무엇이 다르랴。

금수에게 또 무엇을 힐난하랴' 한다。

 

是故君子有終身之憂, 無一朝之患也。(시고군자유종신지우,무일조지환야)

乃若所憂則有之 (내야소우즉유지)

舜人也, 我亦人也。 舜爲法於天下, 可傳於後世, (순인야,아역인야,순위법어천하,가전어후세)

我由未免爲鄕人也, (아유미면어향인야)

是則可憂也。 憂之如何? 如舜而已矣。 (시즉가우야,우지여하? 여순이이의)

若夫君子所患則亡矣。 (야부군자소환즉망의)

非仁無爲也, 非禮無行也。 (비인무위야,비례무행야)

如有一朝之患, 則君子不患矣。 ] (여유일조지환,즉군자불환의)

이런 때문에 君子는 평생토록 할 시름이 있으나, 일시적인 근심걱정은 없다。

시름하는 것이 있다면 이런 것이 있다。

'순임금도 사람이며 나도 또한 사람인데, 순임금은 天下의 法이 되셔서 후세에 전하셨거늘,

나는 오히려 하나의 평범한 시골사람노릇을 면하지 못하고 있다。

'이것은 시름할 만하니, 시름한다면 어찌 할 것인가? 순임금 같을 따름이다。

君子가 근심,걱정하는 것은 없다。

仁이 아니면 하지 아니하며, 禮가 아니면 행하지 않는지라,

만일 일시적인 근심걱정거리가 있을지라도 곧 君子는 근심,걱정하지 않는다。"

 

是故君子有終身之憂, 無一朝之患也。(시고군자유종신지우,무일조지환야)

乃若所憂則有之 (내야소우즉유지)

舜人也, 我亦人也。 舜爲法於天下, 可傳於後世, (순인야,아역인야,순위법어천하,가전어후세)

我由未免爲鄕人也, (아유미면어향인야)

是則可憂也。 憂之如何? 如舜而已矣。 (시즉가우야,우지여하? 여순이이의)

若夫君子所患則亡矣。 (야부군자소환즉망의)

非仁無爲也, 非禮無行也。 (비인무위야,비례무행야)

如有一朝之患, 則君子不患矣。 ] (여유일조지환,즉군자불환의)

이런 때문에 君子는 평생토록 할 시름이 있으나, 일시적인 근심걱정은 없다。

시름하는 것이 있다면 이런 것이 있다。

'순임금도 사람이며 나도 또한 사람인데, 순임금은 天下의 法이 되셔서 후세에 전하셨거늘,

나는 오히려 하나의 평범한 시골사람노릇을 면하지 못하고 있다。

'이것은 시름할 만하니, 시름한다면 어찌 할 것인가? 순임금 같을 따름이다。

君子가 근심,걱정하는 것은 없다。

仁이 아니면 하지 아니하며, 禮가 아니면 행하지 않는지라,

만일 일시적인 근심걱정거리가 있을지라도 곧 君子는 근심,걱정하지 않는다。"

 

 

m.blog.naver.com/sohoja/220425397959

 

맹자 112 - 이루 하 28

맹자 112 - 이루 하 28離婁下: 28孟子曰:「君子所以異於人者,以其存心也。君子以仁存心,以禮存心。仁者...

blog.naver.com

 

 

m.blog.daum.net/junos111/8052859?category=286363

 

離婁章句下 第二十七章 : 孟子不與右師言

公行子有子之喪, 右師往弔, (공행자유자지상,우사왕조) 入門, 有進而與右師言者, (입문,유진이여우사언자) 有就右師之位而與右師言者。(유취우사지위이여우사언자) 孟子不與右師言, (맹자불여

blog.daum.net

 

27.孟子不與右師言(맹자불여우사언)

 

公行子有子之喪, 右師往弔, (공행자유자지상,우사왕조) :

제나라 大夫 公行子가 아들의 상을 당하자, 제후를 모시는 우사가 조상하러 갔다。

入門, 有進而與右師言者, (입문,유진이여우사언자) :

그가 門에 들어가니, 그 앞으로 나아가서 그와 이야기하는 사람이 있으며,

有就右師之位而與右師言者。(유취우사지위이여우사언자) :

右師의 자리에까지 따라가서 그와 이야기하는 자가 있었다。

孟子不與右師言, (맹자불여우사언) :

孟子께서는 右師한테 가서 그와 더불어 말씀하시지 않았다。

右師不悅曰 (우사불열왈) :

右師가 기뻐하지 않으며 말하였다。

[諸君子皆與驩言, (제군자개여환언)

 孟子獨不與驩言, 是簡驩也。 ] (맹자독불여환언,시간환야) :

"모든 君子가 다 내게로 와서 나와 이야기 하는데 ,

 孟子만 홀로 나와 이야기하지 않으니 이것은 나를 소홀히 여기는 것이다。"

 孟子聞之,  (맹자문지,왈) :

孟子께서 들으시고 말씀하셨다。

 [, 朝廷不歷位而相與言, (예,조정불역위이상여언) :

"禮에 따르면 조정에서는 남의 자리(位)를 지나가서 서로 이야기하지 아니하며,

 不踰階而相揖也。 (불유계이상읍야) :

 자기의 계를 넘어서 서로 읍하지 않는다。

 我欲行禮, 子敖以我爲簡, 不亦異乎? ] (아욕행례,자오이아이간불역이호?) :

 나는 禮를 행하고자 하는데, 자오(王驩)는 내가 소홀히 여긴다고 하니 이상하지 아니한가?"  

 

m.blog.naver.com/sohoja/220421705980

 

맹자 111 - 이루 하 27

맹자 111 - 이루 하 27離婁下: 27公行子有子之喪,右師往弔,入門,有進而與右師言者,有就右師之位而與右...

blog.naver.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