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포스트에서 보완했습니다.

김소희 - 상주 아리랑  (0) 2018.07.01

출처: http://kydong77.tistory.com/17864 [김영동교수의 고전& life]

상주 아리랑 / 김소희 명창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를 넘어간다

개나리 봇짐을 짊어지고 아리랑 고개를 넘어간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를 넘어간다

아버지 어머니 어서와요 북간도 벌판이 좋답디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를 넘어간다

쓰라린 가슴을 움켜쥐고백두산 고개로 넘어간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를 넘어간다

아리 아리 쓰리 쓰리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를 넘어간다

문전의 옥토는 어찌되고 쪽박의 신세가 웬일인고

아리 아리 쓰리 쓰리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를 넘어간다

원수로다 원수로다 원수로다 총가진 포수가 원수로다

아리 아리 쓰리 쓰리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를 넘어간다

말 꽤나 허는 놈 재판소 가고 일 꽤나 허는 놈 공동산 간다

아리 아리 쓰리 쓰리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를 넘어간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를 넘어 간다

아깨나 낳을년은 갈보질하고 목도깨나 메는 놈은 부역을 간다

이씨의 사촌은 되지 말고 민씨의 팔촌이 되려무나

밭은 헐려서 신작로되고 집은 헐려서 정거장 되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를 넘어간다.

 

콘서트 상주아리랑 / 소리꾼 꽃봉이

소리꾼 꽃봉이 / 상주 아리랑

출처 : http://tong.nate.com/hip0323com/42866066

'고전문학 > 민요 가사 시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곡]동창이  (0) 2009.05.08
산수화 & 기녀시조  (0) 2009.05.07
죽서루 외  (0) 2008.10.14
관동별곡 -정철  (0) 2008.10.13
속미인곡 -정철  (0) 2008.10.13



[은자주] 관동팔경 중에서도 나는 죽서루의 자연과 어울리는 옛스러움이 기중 좋다. 다행히 안축의 시를 정리한 이가 있어 옮겨본다. 누각에서 오십천쪽을 바라보면 가습이 확 틔여온다.

삼척서루팔경三陟西樓八詠

작자作者 : 근제 안 축 謹齋 安 軸
번역飜譯 : 청계 조면희 淸溪 趙冕熙
출전出典 : <謹齋先生集-關東瓦注>
1.죽장고사 竹藏古寺
수황세구진성위, 수종거승금이비.
脩篁歲久盡成圍。手種居僧今已非。
선탑다헌심불견. 천림취우독지귀.
禪榻茶軒深不見。穿林翠羽獨知歸。
*해설 : 대나무에 묻힌 옛 절
해 묵은 대나무들 두 뼘 굵기로 자랐는데
그 대를 심은 중들은 지금 모두 사라졌으이.
선탑과 차방은 깊숙이 묻혀 보이지 않지마는
푸른 새만 둥지를 찾아 대숲을 뚫고 돌아오네.
2.암공청담.巖控淸潭
유천위륙륙위천, 유저청담독불연.
流川爲陸陸爲川。有底淸潭獨不然。
가취분탄정축처, 기암삭립중난천.
看取奔灘停滀處。奇巖削立重難遷。
*해설 : 바위에 싸인 맑은 물
시내가 육지 되고, 육지가 시내도 되지만
깊숙이 고인 물은 홀로 그렇지 않다네.
달려가던 여울물 줄기 머물러 고인 곳을 보게나.
겹겹이 깎아세운 듯한 괴암들 묵직하게 서있네.
3.의산촌사 依山村舍
방산연하점고촌, 죽하홍도와수문.
傍山煙火占孤村。竹下紅桃臥守門。
역색전부개석일, 대성복역반승혼.
力穡田夫皆惜日。戴星服役返乘昏。
*해설 : 산자락에 붙어 있는 마을 집들
산 아래 외로운 마을에는 연기 피어오르고
대숲 아래 복숭아나무 비스듬히 문을 가렸네.
부지런한 농부들 일할 시간 늘리느라고
별을 이고 나갔다가 어둠속에 돌아오네.
4.와수목교 臥水木橋
일목요요과석탄, 망래유공도파란.
一木搖搖跨石灘。望來惟恐蹈波瀾。
거민족여심증숙, 여과평도불세간.
居民足與心曾熟。如過平途不細看。
*해설 : 물 위에 눕혀 놓은 나무다리
흔들흔들 외나무토막 여울돌에 걸쳐 놓아
보기만 해도 물에 빠질까 등골이 오싹한데,
이곳 사람들 일찍부터 마음속에 익숙하여
마치 평지를 걷듯 아무렇지도 않게 건너네.
5.우배목동 牛背牧童
앙공취적쾌헌비, 우배신무엄경의.
仰空吹笛快軒眉。牛背身無掩脛衣。
가재산전피롱격, 우천행진모아귀.
家在山前陂隴隔。雨天行趁暮鴉歸。
*해설 : 소등에 탄 목동
하늘을 향해 눈썹을 치키고 피리를 불며
소 등에 앉은 저 아이 아랫도리를 벗었군.
그 아이의 집은 산비탈 너머에 멀리 있어
비가와도 저물녘에나 돌아갈 수 있다네.
6.농두엽부 壟頭饁婦
부구농손자폐손, 효래심재하휴간.
婦具農飧自廢飧。曉來心在夏畦間。
농두일오최행매, 향료전부신부환.
壟頭日午催行邁。餉了田夫信步還。
*해설 : 밭머리에 점심밥 먹이는 여인
아낙네 들밥 장만하느라 끼니도 그르고
새벽부터 마음은 여름 들판에 가 있다네.
한낮 되자 밭을 향해 발길을 재촉하지만
들밥을 먹인 뒤에는 느긋하게 돌아오네.
7.임류수어 臨流數魚
누하청담굴혈공, 유어육란속배홍.
樓下淸潭窟穴空。游魚育卵粟排紅。
신신중미지다소, 전수무궁후역동.
莘莘衆尾知多少。前數無窮後亦同。
*해설 : 시내 물에서 물고기를 세어보며
다락 아래 맑은 시내, 굴속에서 나온 물고기들,
알에서 나온 새끼들, 곡식알을 뿌려 놓은듯하네.
그 많은 물고기들 어찌 다 헤아릴 것인가?
앞선 떼 많기도 많은데 뒤에도 마찬가지군.
8.격장호승 隔墻呼僧
용학군루림수부, 격장선사의암총.
聳壑郡樓臨水府。隔墻禪舍倚巖叢。
애승진취무인회, 십리다연양죽풍.
愛僧眞趣無人會。十里茶煙颺竹風。
*해설 : 담 너머에 중을 부르며
골짜기에 솟은 군청, 물속 용궁을 마주했는데
담 너머 절 깐은 바위무더기를 의지해 있네.
사랑하는 중의 참된 취미 그 누구도 몰라
차 끓이는 연기 멀리 뻗어 대 바람에 나부끼네.
*작자소개 : 안축(安軸 : 1287-1348). 본관 순흥(順興). 자 당지(當之). 호 근재(謹齋). 시호 문정(文貞).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금주사록(金州司錄) ·사헌규정(司憲糾正) ·단양부주부(丹陽府注簿)를 거쳐, 1324년(충숙왕 11) 원나라 제과(制科)에 급제하여 요양로개주판관(遼陽路蓋州判官)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았다. 고려에 돌아와서 성균학정(成均學正) ·우사의대부(右司議大夫)를 거쳐, 충혜왕 때 강릉도안렴사(江陵道按廉使)가 되어 이때 문집 《관동와주(關東瓦注)》를 지었다. 1332년(충숙왕 복위 1) 판전교지전법사(判典校知典法事)에서 파면되었다가 전법판서(典法判書)로 복직되고, 그뒤 내시(內侍)와의 불화로 파직되었다. 1344년(충혜왕 5) 밀직사지사에 이어 첨의찬성사, 1347년 정치도감판사(整治都監判事)로 양전(量田)에 관여하였다. 뒤에 민지(閔漬)가 만든 《편년강목(編年綱目)》을 개찬(改撰), 충렬 ·충선 ·충숙 3조(朝)의 실록(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경기체가인 《관동별곡(關東別曲)》 《죽계별곡(竹溪別曲)》을 남겨 문명(文名)을 날렸다.
--인터넷에서 따옴--




'고전문학 > 민요 가사 시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수화 & 기녀시조  (0) 2009.05.07
상주 아리랑 - 김소희 명창  (0) 2008.11.26
관동별곡 -정철  (0) 2008.10.13
속미인곡 -정철  (0) 2008.10.13
사미인곡 -정철  (0) 2008.10.13



관동별곡 關東別曲

-송강 정철

http://www.seelotus.com/gojeon/gojeon/ga-sa/kwan-dong-byeol-kok-list.htm


선조13년(1580년), 작자가 45세 때 지음.


(1) 서사 : 부임과 순력

부임

창평

은거 생활, 천석고황

한양

성은에 감격

평구역

양주

흑슈

여주

셤강·티악

원주 감영이 있는 곳

순력

쇼양강(춘천)

연군지정, 우국지정

동쥬(철원)·북관뎡

연군지정, 세사의 무상함

회양

선정에의 포부

(2) 본사 : 금강산과 관동 팔경 유람

금강산 유람

만폭동의 폭포

폭포의 장관, 비유·감각적 표현

금강대의 선학

도선적 풍모, 셔호 녯주인

진헐대에서의 조망

녀산 진면목, 우국과 충절

개심대에서의 조망

성현의 도를 흠모, 공자의 고사

화룡소에서의 감회

선정에의 포부, 노룡에 비유

불정대의 12 폭포

폭포의 장관, '망여산 폭포'

산영누

신선사상, 물아일체

관동팔경유람

총석정

도교 사상, 기묘한 형상

삼일포

사선의 추모

의상대

일출의 장관, 우국지정

경포

정밀의 미, 미풍 양속

죽서루

객수, 연군지정

망양정

파도의 장관, 고래, 은산

관동팔경 : 강원도 동해안의 여덟 군데의 명승지

( 청간정, 경포대, 삼일포, 죽서루, 낙산사, 망양정, 총석정, 월송정 또는 시중대 )


(3) 결사 : 도선적 풍류

망양정

망양정에서 월출과 꿈

도선적 풍류, 신선 사상

선우후락의 정신

선정에의 포부

달이 비치는 모습

임금의 은총


1580년(선조 13) 정철(鄭澈)이 지은 가사. ≪송강가사 松江歌辭≫와 ≪협률대성 協律大成≫에 수록되어 있다. 작자가 45세 되는 해 정월에 강원도관찰사의 직함을 받고 원주에 부임하여, 3월에 내금강·외금강·해금강과 관동팔경을 두루 유람하는 가운데 뛰어난 경치와 그에 따른 감흥을 표현한 작품이다.

내용을 시상의 전개에 따라 나누면 4단으로 나뉜다. 1단에서는 향리에 은거하고 있다가 임금의 부름을 받고 관찰사에 제수(除授)되어 강원도 원주로 부임하는 과정을 노래하였다.

2단에서는 만폭동(萬瀑洞)·금강대(金剛臺)·진헐대(眞歇臺)·개심대(開心臺)·화룡연(火龍淵)·십이폭포(十二瀑布) 등 내금강의 절경을 읊고 있다.

3단에서는 총석정·삼일포·의상대(義湘臺)의 일출, 경포대·죽서루(竹西樓) 및 망양정(望洋亭)에서 보는 동해의 경치 등 외금강·해금강과 동해안에서의 유람을 노래했다. 4단에서는 꿈속에서 신선과 더불어 노니는 것에 비유하여 작자의 풍류를 읊었다.

작품의 전체 행수는 이본에 따라 다르다. 성주본(星州本)은 71구 145행이며, 이선본(李選本, 關北本이라고도 함.)은 “어와 뎌 디위~ 알 거이고”가 더 있어 73구 146행이다. ≪협률대성≫에 실린 작품에는, 앞의 두 이본의 끝에 있는 “明月(명월)이 千山萬落(천산만락)의 ~ 오리라.”가 되어 79구 149행이다.


1. 강호(江湖)애 병이 깁퍼 듁님(竹林)의 누엇더니
( 자연을 사랑하는 깊은 병이 들어 은서지에서 지내고 있었는데 )


관동 팔백리(八百里)에 방면(方面)을 맛디시니
( (임금이) 800리나 되는 강원도 지방의 관찰사의 소임을 맡겨 주시니 )


어와 셩은(聖恩)이야 가디록 망극(罔極)하다.
( 아, 임금의 은혜야말로 갈수록 그지 없구나. )


연츄문(延秋門) 드리다라 경회남문 바라보며
( 경북궁의 서쪽 문으로 달려들어가 경회루 남문을 바라보며 )


하직(下直)고 믈너나니 옥절(玉節)이 알픠 셧다.
( (임금께) 하직하고 물러나니, 임금이 내리신 관찰사의 신표가 행차의 앞에 섰다. )


평구역 말을 가라 흑슈로 도라드니,
( 평구역(양주)에서 말을 갈아 타고, 흑수(여주)로 돌아드니 )


셤강(蟾江)은 어듸메오, 티악(雉岳)이 여긔로다.
( 섬강(원주)은 어디인가, 치악산(원주)이 여기로다. )


쇼양강(昭陽江) 나린 믈이 어드러로 든단 말고.
( 소양강(춘천)에서 흘러 내리는 물이 어디로 흘러간단 말인가? )


고신(孤臣) 거국(去國)에 백발도 하도 할샤
( 임금님 곁을 떠나는 외로운 신하가 백발도 많기도 많구나. )


동쥬ㅣ 밤 계오 새와 북관뎡(北寬亭)의 올나하니,

( 동주(철원)의 밤을 간신히 세우고 북관정에 오르니 )


삼각산 뎨일봉(第一峰)이 하마면 뵈리로다.
( 삼각산 제일봉이 웬만하면 보이겠구나. )


궁왕(弓王) 대궐 터희 오쟉(烏鵲)이 지지괴니
( 옛날 태봉국 궁예왕의 대궐터였던 곳에서 까막까치가 지저귀니 )


쳔고(千古) 흥망(興亡)을 아난다 몰아난다.
( 천고의 흥망을 알고 우짖는 것인가, 모르고 우짖는 것인가 )


회양(淮陽) 녜 일홈이 마초아 가탈시고.
( 회양이라는 네 이름이 (중국의) '회양'이라는 이름과 마침 똑같구나. )


급댱유(汲長孺) 풍채(風彩)를 고텨 아니 볼거이고.
( 중국 '회양' 태수로 정치를 잘했다던 급장유의 풍채를 다시 볼 것이 아닌가? )

2. 영듕(營中)이 무사(無事)하고 시졀(時節)이 삼월인 제,
( 감영 안이 무사하고 시절이 삼월인 때에 )


화쳔(花川) 시내길히 풍악(楓岳)으로 버더 잇다.
( 화천 시냇길이 금강산으로 뻗어 있다 )


행장(行裝)을 다 떨티고 셕경(石逕)의 막대 디퍼
( 여행 장비를 간편히 하고 돌길에 지팡이를 짚어 )


백쳔동(百川洞) 겨테 두고 만폭동 드러가니,
( 백천동을 곁에 두고 만폭동으로 들어가니 )


은(銀)가튼 무지게 옥(玉)가튼 룡(龍)의 초리
( 은 같은 무지개처럼, 옥 같은 용의 꼬리처럼 )


섯돌며 뿜는 소리 십리예 자자시니,
( (아름다운 폭포수가) 섞이어 돌며 뿜어내는 소리가 십 리에까지 자자하니 )


들을 제는 우레러니 보니난 눈이로다.
( 멀리서 들을 때엔 우레 소리 같더니, 가까이서 바라보니 온통 하얀 눈빛이구나. )


금강대 맨 우층의 션학(仙鶴)이 삿기치니,
( 금강대 맨 꼭대기에 선학이 새끼를 치니 )


츈풍(春風) 옥뎍셩(玉笛聲)의 첫잠을 깨돗던디,
( 봄바람에 들려오는 옥피리 소리에 첫잠을 깨었던지 )


호의(縞衣) 현샹(玄裳)이 반공(半空)의 소소 뜨니,
( 흰옷, 검은 치마로 단장한 학이 공중에 솟아 뜨니 )


셔호(西湖) 녯주인을 반겨셔 넘노는 듯.
( 서호의 옛주인과 같은 나를 반겨 넘나들며 노는 듯하네. )


소향노(小香爐) 대향노(大香爐) 눈 아래 구버보고,
( 소향로, 대향로봉을 눈 아래로 굽어보고 )


졍양사(正陽寺) 진헐대(眞歇臺) 고텨 올나 안잔마리,
( 정양사 진헐대에 다시 올라 앉으니 )


녀산(廬山) 진면목(眞面目)이 여긔야 다 뵈나다.
( 금강산의 참모습이 여기(진헐대)에서 다 보이는구나 )


어와, 조화옹(造化翁)이 헌사토 헌사할샤.
( 아아, 조물주가 야단스럽기도 야단스럽구나 )


날거든 뛰디마나 셧거든 솟디마나
( 날거든 뛰지 말거나 섰거든 솟지 말거나 할 것이지, 날고 뛰고 섰고 솟은 변화무쌍한 봉우리)


부용(芙蓉)을 고잣는 듯 백옥(白玉)을 믓것는 듯,
( 부용(연꽃)을 꽂아놓은 듯, 백옥을 묶어 놓은 듯, 아름다운 산봉우리여 )


동명(東溟)을 박차는 듯 북극(北極)을 괴왓는 듯.
( 동해 바다를 박차는 듯, 북극성을 괴어 놓은 듯, 그렇게도 힘찬 기상의 봉우리여. )


놉흘시고 망고대(望高臺) 외로울샤 혈망봉(穴望峰)이
( 높도다 망고대여, 외롭구나 혈망봉이 )


하늘의 추미러 므스 일을 사로리라
( 하늘에 치밀어 올라가 무슨 일을 아뢰려고 )


쳔만 겁(千萬劫) 디나도록 구필 줄 모로난다.
( 오랜 세월 지나도록 굽힐 줄을 모르느냐? (그 지조가 놀랍구나) )


어와 너여이고, 너 가트니 또 잇난가.
( 아, 너(망고대, 혈망봉)로구나. 너 같이 지조가 높은 것이 또 있겠는가? )


개심대(開心臺) 고텨 올나 즁향셩(衆香城) 바라보며,
( 개심대에 다시 올라 중향성을 바라보며 )


만이쳔봉(萬二千峰)을 녁녁(歷歷)히 혀여하니,
( 만 이천봉을 똑똑히 헤아려 보니 )


봉(峰)마다 맺혀잇고 긋마다 서린 긔운
( 봉우리마다 맺혀 있고 끝마다 서려있는 기운이 )


맑거든 조티 마나, 조커든 맑디 마나
( 맑거든 깨끗하지 말거나, 깨끗하거든 맑지나 말거나 할 것이지, 맑고 깨끗함을 함께 지닌 산봉우리의 수려함이여. )
뎌 긔운 흐텨 내야 인걸(人傑)을 만들고쟈.
( 저 맑은 기운을 흩어 내어 뛰어난 인재(人材)를 만들고 싶구나. )


형용(形容)도 그지업고 톄셰(體勢)도 하도 할샤.
( 모양도 끝이 없고 몸가짐새도 많기도 많구나 )


텬디(天地) 삼기실 제 자연(自然)이 되연마는,
( 천지가 생겨날 때에 자연히 되었지만 )


이제 와 보게 되니 유졍(有情)도 유졍할샤.
( 이제 와서 보게 되니 (천지창조에) 조물주의 뜻이 깃들어 있기도 하구나. )


비로봉(毘盧峰) 샹샹두(上上頭)의 올라 보니 긔 뉘신고.
(비로봉 정상에 올라가 본 사람이 있다면 그가 누구인가? (저렇게 아득하니 아마 없을 것임) )


동산(東山) 태산(泰山)이 어느야 놉돗던고.
(비로봉을 바라보니, 공자님 말씀이 생각나네. 공자는 동산에 올라 노나라가 작고, 태산에 올라서 천하를 작다고 했으니, 동산과 태산 중 어느 것이 높던가? )


노국(魯國) 조븐 줄도 우리는 모라거든,
( 노나라가 좁은 줄 우리는 모르거늘 )


넙거나 넙은 텬하(天下) 엇띠하야 젹닷 말고.
( 넓거나 넓은 천하를 공자는 어찌해서 작다고 했는가? )


어와 뎌 디위를 어이하면 알 거이고.
( 아! 공자의 저 높은 정신적 경지를 어떻게 하면 알 수 있을 것인가? )


오라디 못 하거니 나려가미 고이할까.
( 오르지 못하는데 내려감이 이상하겠는가? )


원통(圓通)골 가난 길로 사자봉(獅子峰)을 차자 가니,
( 원통골의 좁은 길로 사자봉을 찾아가니 )


그 알픠 너러바회 화룡(火龍)쇠 되어셰라.
( 그 앞에 넓은 바위가 화룡소가 되어 있구나 )


천년(千年) 노룡(老龍)이 구비구비 서려 이셔,
( 마치 천 년 묵은 늙은 용이 굽이굽이 서려 있어 )


듀야(晝夜)의 흘녀 내여 창해(滄海)예 니어시니,
( 밤낮으로 흘러내려 넓은 바다로 이어졌으니 )


풍운(風雲)을 언제 어더 삼일우(三日雨)를 디련난다.
( 용아, 너는 풍운을 언제 얻어 임금의 은총을 백성에게 내려 주려느냐? )


음애(陰崖)예 이온 플을 다 살와 내여사라.
( 헐벗고 굶주린 백성을 모두 살려 내려무나. )


마하연(磨河衍) 묘길샹(妙吉祥) 안문(雁門)재 너머디여,
( 마하연, 묘길상, 안문재를 넘어 내려가 )


외나모 써근 다리 블뎡대(佛頂臺) 올라하니,
( 썩은 외나무 다리를 건너 불정대에 오르니 )


천심절벽(千尋絶壁)을 반공(半空)애 셰여 두고,
( (조물주가) 천 길이나 되는 절벽을 공중에 세워두고 )


은하슈(銀河水) 한 구비를 촌촌히 버혀 내여,
( 은하수 큰 굽이를 마디마디 잘라내어 )


실가티 플텨이셔 뵈가티 거러시니
( 실처럼 풀어서 베처럼 걸었으니, (그렇게 십이폭포의 모습이 아름다우니 )


도경(圖徑) 열 두 구비, 내 보매난 여러히라.
( 도경에 그려진 십이폭포가 내가 보기에는 여럿이구나 )


니뎍션(李謫仙) 이제 이셔 고텨 의논하게 되면,
( 이백이 (<망여산폭포>에서 여산폭포를 극찬했는데), 이제 있어서 다시 의견을 나누게 되면 )


녀산(廬山)이 여긔도곤 낫단 말 못하려니.
( 여산폭포가 십이폭포보다 낫다는 말을 아마도 못할 것이다. )


3. 샨듕(山中)을 매양 보랴, 동해(東海)로 가쟈스라.
( 금강산중을 계속 보겠는가, 동해로 가자꾸나. )


남여(籃輿) 완보(緩步)하야 산영누(山映樓)의 올나하니,
( 가마를 타고 천천히 산영루에 오르니 )


녕농벽계(玲瓏碧溪)와 수셩뎨됴(數聲啼鳥)는
( 눈부신 푸른 시냇물과 여기저기서 지저귀는 새울음소리는 )


니별(離別)을 원(怨)하는 듯,
( 나와의 이별을 원망하는 듯하고 )


졍긔(旌旗)를 떨티니 오색(五色)이 넘노는 듯,
( 깃발들은 서로 오색이 어우러져 넘노는 듯하고 )


고각(鼓角)을 섯부니 해운(海雲)이 다 것는 듯.
( 북과 피리를 섞어 부는 것에 따라 바닷구름이 다 걷히는 듯 )


명사(鳴沙) 길 니근 말이 취션(醉仙)을 빗기 시러,
( 밟으면 소리를 내는 모랫길에 익숙한 말이 취한 신선을 비스듬히 실어 )


바다흘 겻테 두고 해당화(海棠花)로 드러가니,
( 바다를 곁에 두고해당화꽃밭으로 들어가니 )


백구(白鷗)야 나디마라, 네 버딘 줄 엇디 아난.
( 갈매기야 날아가지 말아라, 내가 네 벗이 될지 어찌 알고 날아가느냐 ? )


금난굴(金蘭窟) 도라 드러 총셕뎡(叢石亭) 올라하니,
( 금난굴을 돌아 들어서 총석정에 오르니 )


백옥누(白玉樓) 남은 기동 다만 네히 셔 잇고야.
( 마치 옥황상제가 사는 듯한 백옥루의 남은 기둥 네 개가 서 있구나 )


공슈(工수)의 셩녕인가, 귀부(鬼斧)로 다다믄가.
( 공수가 만든 공작품인가? 조화를 부리는 귀신 도끼로 다듬었는가? )


구타야 뉵면(六面)은 므어슬 샹(象)톳던고.
( 구태여 육면으로 만든 기둥의 벽은 무엇을 본뜬 것인가 )


고셩(高城)을란 뎌만 두고 삼일포(三日浦)를 차자가니,
( 고성은 저만치 두고 삼일포를 찾아가니 )


단셔(丹書)는 완연(宛然)하되 사션(四仙)은 어데 가니.
( (사선이 남석으로 갔다는) 붉은 글씨는 바위에 뚜렷한데, 영랑, 남랑, 술랑, 안상은 어디로 갔는가 )


예 사흘 머믄 후의 어디가 또 머믄고.
( 여기에서 사흘을 머문 후에 어디로 가서 또 머물렀던 것인가? )


선유담(仙遊潭) 영낭호(永郞湖) 거긔나 가 잇난가.
( 선유담, 영랑호 그곳에나 가 있었던가 )


쳥간정(淸間亭) 만경대(萬景臺) 몃 고데 안돗던고.
( 청간정, 만경대 몇 곳에 앉았던가 )


니화(梨花)는 발셔 디고 졉동새 슬피 울 제,
( 배꽃이 벌써 떨어지고, 접동새가 슬프게 울 때, )


낙산(洛山) 동반(東畔)으로 의샹대(義相臺)예 올라 안자,
( 낙산 동쪽 언덕으로 의상대에 올라 앉아 )


일츌(日出)을 보리라 밤듕만 니러하니,
( 일출을 보려고 한밤중에 일어나니 )


샹운(祥雲)이 집픠는 동 뉵뇽(六龍)이 바퇴는 동,

( 상서로운 구름이 피어나는 듯, 여섯 마리 용이 해를 떠받치는 듯 )


바다헤 떠날 제는 만국(萬國)이 일위더니,
( 바다에서 해가 떠날 때는 온세상이 흔들리더니 )


텬듕(天中)의 티뜨니 모발(毛髮)을 혜리로다.
( 하늘에 치솟아 뜨니 가는 터럭도 모두 셀 수 있을 만큼 환하다. )


아마도 녈구름 근쳐의 머믈셰라.
( 아마도 흘러가는 구름이 해 근처에 머물까 두렵구나 )


시션(詩仙) 어데 가고 해타(咳唾)만 나맛나니.
( 내 심정과 같은 시를 읊은 이백은 어디 가고, 그의 시(등금릉봉황대)만이 남았느냐? )


텬디간(天地間) 장(壯)한 긔별 자셔히도 할셔이고.
( 천지간에 굉장한 이야기가 그의 시에 자세히도 표현되어 있구나. )


샤양(斜陽) 현산(峴山)의 텩툑을 므니 발와
( 석양 무렵 현산의 철쭉꽃을 잇달아 밟아 )


우개지륜(羽蓋芝輪)이 경포로 나려가니
( 신선이 탄다는 수레를 타고 경포로 내려가니 )


십리(十里) 빙환(氷紈)을 다리고 고텨 다려,
( 십 리나 뻗어 있는 얼음을 다리고 다시 다린 듯한 잔잔한 호숫물이 )


댱숑(長松) 울한 소개 슬카장 펴뎌시니,
( 큰 소나무에 둘러싸인 속에서 마음껏 펼쳐져 있으니, )

믈결도 자도 잘샤 모래를 혜리로다.
( 물결도 잔잔하기도 하구나, 그 물 밑의 모래를 셀 수 있을 만큼 맑구나 )


고쥬(孤舟) 해람(解纜)하야 뎡자(亭子) 우희 올나가니
( 한 척의 배를 띄워 정자 위에 올라가니 )


강문교(江門橋) 너믄 겨틔 대양(大洋)이 거긔로다.
( 강문교를 넘은 곁에 동해 바다가 거기로구나. )


둉용(從容)한댜 이 긔샹(氣像), 활원(闊遠)한댜 뎌 경계,
( 조용하도다 이 경포의 기상이여, 넓고 아득하구나 저 동해의 경계여. )


이도곤 가잔 데 또 어듸 잇단 말고.
( 이곳보다 아름다운 경관을 갖춘 곳이 또 어디에 있단 말인가 )


홍장(紅粧) 고사(古事)를 헌사타 하리로다.
( 고려 우왕 때의 박신과 홍장의 사랑이야기가 야단스럽다고 하겠구나. )


강능 대도호(大都護) 풍쇽(風俗)이 됴흘시고,
( 강릉 대도호는 풍속이 좋구나. )


졀효졍문(節孝旌門)이 골골이 버러시니,
( 효자, 열녀, 충신을 표창하는 붉은 문이 고을마다 널렸으니 )


비옥가봉(比屋可封)이 이제도 잇다 할다.
( 집집마다 벼슬을 줄 만하다는 요순 시절의 태평성대가 지금도 있다고 하겠구나. )


진쥬관(眞珠館) 듁셔루(竹西樓) 오십쳔(五十川) 모든 믈이
( 진주관 죽서루 밑의 오십천 흘러내리는 물이 )


태백산(太白山) 그림재를 동해로 다마 가니,
( 태백산 그림자를 동해로 담아가니 )


찰하리 한강(漢江)의 목멱(木覓)의 다히고져.
( 차라리 그 그림자를 한강의 남산에 닿게 하고 싶어라. )


왕뎡(王程)이 유한(有限)하고, 풍경(風景)이 못 슬믜니,
( 관리의 여행길은 유한하고, 풍경은 싫지 않으니 )


유회(幽懷)도 하도 할샤, 객수(客愁)도 둘 듸 업다.
( 그윽한 회포가 많기도 많구나, 나그네의 근심을 둘 곳이 없구나 )


션사(仙사)를 띄워 내여 두우(斗牛)로 향(向)하살까.
( 신선이 탄다는 뗏목을 띄워서 북두칠성 견우성으로 향해 볼까? )


션인(仙人)을 차자려 단혈(丹穴)의 머므살까.
( 사선을 찾으러 단혈이란 동굴에 머물러 볼까? )


텬근(天根)을 못내 보와 망양뎡(望洋亭)의 올은말이,
( 하늘 끝을 끝내 보지 못하여 망양정에 오르니 )


바다 밧근 하늘이니 하늘 밧근 므서신고.
( 바다 밖은 하늘이니 하늘 밖은 무엇인가 )


갓득 노(怒)한 고래, 뉘라셔 놀내관대,
( 가뜩이나 노한 고래(파도)를 누가 놀라게 하였길래, )


블거니 쁨거니 어즈러이 구난디고.
( 물을 불거니 뿜거니 어지럽게 구는 것인가 )


은산(銀山)을 것거 내여 뉵합(六合)의 나리는 듯
( 마치 은산(파도)을 꺾어 내어 온세상에 흘러내리는 듯 )


오월(五月) 댱텬(長天)의 백셜(白雪)은 므스 일고.
( 오월 하늘에 백설(포말)은 무슨 일인가 )


4. 져근덧 밤이 드러 풍낭(風浪)이 뎡(定)하거늘,
( 어느덧 밤이 깊어 물결이 가라앉아서 )


부상(扶桑) 지척(咫尺)의 명월(明月)을 기다리니,
( 해뜨는 곳 가까운 곳에서 떠오를 명월을 기다리니 )


셔광(瑞光) 쳔당(千丈)이 뵈는 듯 숨는고야.
( 상서로운 달빛이 구름사이로 보이다가 이내 숨는구나 )


쥬렴(珠簾)을 고텨 것고 옥계(玉階)를 다시 쓸며,
( 구슬로 만든 발을 다시 걷어 올리고 층계를 다시 쓸며 )


계명셩(啓明星) 돗도록 곳초 안자 바라보니,
( 샛별이 돋아나도록 꼿꼿이 앉아서 명월을 바라보니 )


백년화(白蓮花) 한 가지를 뉘라서 보내신고.
( 연꽃 한 가지(달)를 누가 보내셨는가 )


일이 됴흔 세계(世界) 남대되 다 뵈고져.
( 이렇게 좋은 세상을 남들에게 다 보여주고 싶구나 )


뉴하쥬(流霞酒) 가득 부어 달다려 무론 말이
( 좋은 술을 가득 부어 달에게 묻는 말이 )


영웅(英雄)은 어디 가며 사선(四仙)은 긔 뉘러니,
( "영웅은 어디 갔으며 사선은 그들이 누구이더냐" )


아모나 만나보아 녯 긔별 뭇쟈하니,
( 아무나 만나 보아 옛소식을 묻자 하니 )


션산(仙山) 동해(東海)예 갈 길도 머도 멀샤.
( 선산 동해에 갈길이 멀기도 멀구나. )


숑근(松根)을 볘여 누어 픗잠을 얼픗 드니
( 소나무 뿌리를 베고 누워서 선잠을 얼핏 드니 )


꿈애 한 사람이 날다려 닐온 말이,
( 꿈에 신선이 나타나 나에게 이르는 말이 )


그대를 내 모라랴, 샹계(上界)예 진션(眞仙)이라.
( "그대를 내가 모르겠는가, 그대는 하늘나라에 살았던 신선이라 )


황뎡경(黃庭經) 일자(一字)를 엇디 그릇 닐거 두고
( 황정경 한 글자를 어찌 잘못 읽어 )


인간(人間)의 내려와셔 우리를 딸오난다.
( 인간 세상에 내려와서 우리를 따르는가? )


져근덧 가디 마오. 이 술 한 잔 먹어 보오.
( 잠깐만 가지 마오. 이 술 한 잔 먹어 보오." )


븍두셩(北頭星) 기우려 챵해슈(滄海水) 부어 내여,
( 북두칠성을 술잔으로 삼아기울여서 창해수를 술로 삼아 부어 내어 )


저 먹고 날 머겨늘 서너 잔 거후로니
( 저 먹고 나에게 먹이거늘, 서너 잔 기울이니 )


화풍(和風)이 습습(習習)하야 냥액(兩腋)을 추혀드니,
( 봄바람이 산들산들 불어 양쪽 겨드랑이를 추켜드니 )


구만리(九萬里) 댱공(長空)애 져기면 날리로다.
( 높고 아득한 하늘에 왠만하면 날 것 같은 기분이로다. )


이 술 가져다가 사해(四海)예 고로난화,
( " 이 술을 가져다가 온 세상에 고루 나누어 )


억만창생(億萬蒼生)을 다 취(醉)케 맹근 후의,
( 모든 백성을 다 취하게 만든 후에 )


그제야 고텨 맛나 또 한 잔 하쟛고야.
( 그때 다시 만나 또 한 잔을 하자꾸나 " )


말 디쟈 학(鶴)을 타고 구공(九空)의 올나가니,
( 이 말이 끝나자 신선이 학을 타고 높고 아득한 하늘로 올라가니 )


공듕(空中) 옥쇼(玉簫) 소리 어제런가 그제런가.
( 공중에서 들려오는 옥피리 소리가 어제인지 그제인지 모르게 아득히 들려오는구나 )


나도 잠을 깨여 바다흘 구버보니,
( 나도 잠을 깨어 바다를 굽어보니 )


기픠를 모라거니 가인들 엇디 알리.
( 깊이를 모르니 그 바다 끝을 어찌 알겠는가 )


명월(明月)이 쳔산만낙(千山萬落)의 아니 비쵠 데 업다.
( 명월이 온 산과 촌락에 비치지 않은 곳이 없구나 )
- <송강가사> -


[작품해설]

이 작품은 조선 선조 13년(1580)에 송강 정철이 그의 나이 45세 되는 정월에 강원도 관찰사로 부임하여 3월에 관동 팔경을 두루 유람하고서 그 도정과 산수, 풍경과 고사, 풍속 등을 읊은 가사이다. <관동별곡>은 조선시대 가사 문학의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으며, 숙종 때 김만중은 우리 나라 참된 문장은 송강의 <관동별곡>,<사미인곡>,<속미인곡> 세 편이라고 칭송하기도 하였다.


이 작품의 내용은 3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서사에서는 관찰사로 임명되어 여행에 오르는 동기를 밝히고,

본사에서는 부임지인 원주에 도착한 후 다시 관내를 순행하기 위해 길을 떠나 금강산 내외를 구경하면서 감상을 옮겼다.

결사에서는 동해의 달맞이와 꿈속에서 만난 신선과의 풍류를 노래하고 있다.


이 <관동별곡>은 기괴한 금강의 산수와 미려한 동해의 풍경, 그리고 장엄한 대자연을 붓끝으로 약동하여 신비에 대한 묘사와 감탄이 극치에 다다르고, 용어는 모두 34언 어주에 맞추어져 있으며, 한문 사용이 비교적 적다. 가장 특이한 점은 ‘연군(戀君)과 선어(仙語)’라고 할 수 있다. 이 두 가지가 처음부터 뒤섞여 그 맥락을 이었는데, 이 중에서 연군은 아첨과 허위가 아닌 진지한 작자의 태도임을 느낄 수 있다. 절묘한 언어의 조탁과 유연한 음률의 조화가 일품이며, 감탄사의 적절한 사용과 대구의 조화, 생략법 등을 사용하여 상당히 긴 가사지만, 독자로 하여금 조금도 지리한 감을 주지 않는다.

이와 같이, <관동별곡>은 종래의 많은 유람가사가 미치지 못할 만큼 독창적이며 서정적인 작품으로서 가장 대표적인 거작이다.


송강 가사에 대한 평가
① 이수광의 지봉유설 : 我國家.., 鄭澈所作最善…, 盛行於後世(우리나라에서... 정철의 작품이 가장 훌륭하다. 후세에 두고두고 베스트셀러가 될 것이다
② 홍만종의 순오지 : ……信樂譜之絶調也 (악보의 절조임을 믿는다)
③ 김만중의 서포만필 : 松江 關東別曲 前後美人歌 乃我東之離騷 自古左海 眞文章 只此三篇(정철의 관동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은 우리나라의 ‘이소경’이다. 예로부터 지금까지 참다운 조선의 문학은 이 세 편뿐이다.)





'고전문학 > 민요 가사 시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주 아리랑 - 김소희 명창  (0) 2008.11.26
죽서루 외  (0) 2008.10.14
속미인곡 -정철  (0) 2008.10.13
사미인곡 -정철  (0) 2008.10.13
호남가, 함평천지 늙은 몸이 광주고향을 보려하고  (2) 2008.05.24

속미인곡 續美人曲

-송강 정철

http://cafe.naver.com/jangand1.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71

http://www.pinggoo.com.ne.kr/%B0%A1%BB%E7-%BC%D3%B9%CC%C7%D0%BD%C0.htm


[구성]

서사-임과 이별한 사랑
1 갑녀의 질문
2 을녀의 대답


본사-임에 대한 사랑과 그리움
3 갑녀의 위로의 말
4 을녀의 임의 생활에 대한 염려
5 을녀의 임의 소식을 알고자 하는 마음
6 을녀의 독수공방의 애닯은 심정과 꿈에 본 임


결사-죽어서라도 이루려는 사랑
7 을녀의 죽어서라도 이루려는 간곡한 사랑
8 갑녀의 결말


*'사미인곡'은 평서체인 데 비하여 '속미인곡'은 대화체이며,

그 길이도 전자가 126구인 데 비하여 후자는 96구이다.


[작품과 풀이]

. 뎨 가난 뎌 각시 본 듯도 한뎌이고.

天텬上샹 白백玉옥京경을 엇디하야 離니別별하고,

해 다 뎌 져믄 날의 눌을 보라 가시난고.


1. (갑녀) 저기 가는 저 부인, 본 듯도 하구나.

임금이 계시는 대궐을 어찌하여 이별하고,

해가 다 져서 저문 날에 누구를 만나러 가시는고?


. 어와 네여이고 내 사셜 드러보오.

내 얼굴 이 거동이 님 괴얌즉 한가마난

엇딘디 날 보시고 네로다 녀기실새

나도 님을 미더 군 뜨디 전혀 업서

이래야 교태야 어자러이 구돗떤디

반기시난 낫비치 녜와 엇디 다라신고.

누어 생각하고 니러 안자 혜여하니

내 몸의 지은 죄 뫼가티 싸혀시니 하날히라.

원망하며 사람이라 허믈하랴.

셜워 플텨 혜니 造조物믈의 타시로다.


2. (을녀) 아, 너로구나. 내 사정 이야기를 들어 보오.

내 얼굴과 이 나의 태도는 임께서 사랑함직한가마는

어쩐지 나를 보시고 너로구나 하고 특별히 여기시기에

나도 임을 믿어 딴 생각이 전혀 없어,

응석과 아양을 부리며 지나치게 굴었던지

반기시는 낯빛이 옛날과 어찌 다르신고?

누워 생각하고 일어나 앉아 헤아려 보니,

내 몸의 지은 죄가 산같이 쌓였으니,

하늘을 원망하며 사람을 탓하랴.

설워서 여러 가지 일을 풀어내어 헤아려 보니, 조물주의 탓이로다.


.글란 생각마오.

3. (갑녀) 그것을랑(그렇게는)생각하지 마오.


.매친 일이 이셔이다.

님을 뫼셔 이셔 님의 일을 내 알거니

믈 가탄 얼굴이 편하실 적 몃 날일고.

春츈寒한 苦고熱열은 엇디하야 디내시며

秋츄日일冬동天텬은 뉘라셔 뫼셧난고.

粥쥭早조飯반 朝죠夕셕뫼 녜와 갓티 셰시난가.

기나긴 밤의 잠은 엇디 자시난고.


4. (을녀) 마음속에 맺힌 일이 있습니다.

예전에 임을 모시어서 임의 일을 내가 알거니,

물같이 연약한 몸이 편하실 때가 몇 날일꼬?

이른 봄날의 추위와 여름철의 무더위는 어떻게 지내시며,

가을날 겨울날은 누가 모셨는고?

자릿조반과 아침저녁 진지는 예전과 같이 잘 잡수시는가?

기나 긴 밤에 잠은 어떻게 주무시는가?


.님 다히 消쇼息식을 아므려나 아쟈 하니

오날도 거의로다. 내일이나 사람 올가.

내 마암 둘 대 업다. 어드러로 가Y말고.

잡거니 밀거니 놉픈 뫼해 올라가니

구롬은카니와 안개난 므사 일고.

山산川쳔이 어둡거니 日일月월을 엇디 보며

咫지尺쳑을 모라거든 千쳔里리랄 바라보랴.

찰하리 믈가의 가 배 길히나 보쟈 하니

바람이야 믈결이야 어둥졍 된뎌이고.

샤공은 어대 가고 븬 배만 걸렷나니.

江강川쳔의 혼쟈 셔서 디난 해랄 구버보니

님다히 消쇼息식이 더옥 아득한뎌이고.


5. (을녀) 임 계신 곳의 소식을 어떻게 해서라도 알려고 하니,

오늘도 거의 저물었구나. 내일이나 임의 소식 전해 줄 사람이 올까?

내 마음 둘 곳이 없다. 어디로 가자는 말인고?

나무 바위 등을 잡기도 하고 밀기도 하면서 높은 산에 올라가니,

구름은 물론이거니와 안개는 또 무슨 일로 저렇게 끼어 있는고?

산천이 어두운데 일월을 어떻게 바라보며,

눈앞의 가까운 곳도 모르는데 천 리나 되는 먼 곳을 바라볼 수 있으랴?

차라리 물가에 가서 뱃길이나 보려고 하니

바람과 물결로 어수선하게 되었구나.

뱃사공은 어디 가고 빈배만 걸렸는고?

강가에 혼자 서서 지는 해를 굽어보니

임 계신 곳의 소식이 더욱 아득하구나.


Ⅵ.茅모詹쳠 찬 자리의 밤듕만 도라오니

半반壁벽 靑쳥燈등은 눌 위하야 발갓난고.

오라며 나리며 혜뜨며 바니니

져근덧 力녁盡진하야 풋잠을 잠간 드니

情졍誠셩이 지극하야 꿈의 님을 보니

玉옥 가탄 얼굴이 半반이나마 늘거셰라.

마암의 머근 말삼 슬카장 삷쟈 하니

눈믈이 바라 나니 말인들 어이하며

情졍을 못다하야 목이조차 몌여하니

오뎐된 鷄계聲셩의 잠은 엇디 깨돗던고.


6. (을녀) 초가집 찬 잠자리에 한밤중에 돌아오니,

벽 가운데 걸려있는 등불은 누구를 위하여 밝은고?

산을 오르내리며 강가를 헤매며 시름없이 오락가락하니,

잠깐 사이에 힘이 지쳐 풋잠을 잠깐 드니,

정성이 지극하여 꿈에 임을 보니,

옥과 같이 곱던 얼굴이 반 넘어 늙었구나.

마음 속에 품은 생각을 실컷 사뢰려고 하였더니,

눈물이 쏟아지니 말인들 어찌 하며,

정회(情懷)도 못 다 풀어 목마저 메니,

방정맞은 닭소리에 잠은 어찌 깨었던고?


.어와, 虛허事사로다. 이 님이 어대 간고.

결의 니러 안자 窓창을 열고 바라보니

어엿븐 그림재 날 조찰 뿐이로다.

찰하리 싀여디여 洛낙月월이나 되야이셔

님 겨신 窓창 안해 번드시 비최리라.


7. (을녀) 아, 허황한 일이로다. 이 임이 어디 갔는고?

즉시 일어나 앉아 창문을 열고 밖을 바라보니,

가엾은 그림자만이 나를 따라 있을 뿐이로다.

차라리 사라져서(죽어서) 지는 달이나 되어서

임이 계신 창문 안에 환하게 비치리라.


.각시님 달이야카니와 구잔 비나 되쇼셔.


8. (갑녀) 각시님, 달은커녕 궂은 비나 되십시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