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6 송별(送別)-왕유(王維)
송별하며-왕유(王維)
送君南浦淚如絲(송군남포루여사) : 남포에서 그대 보내니 눈물 실처럼 흐르는데
君向東州使我悲(군향동주사아비) : 동쪽 고을로 간다니 내 마음 서글퍼지는구나
爲報故人顦顇盡(위보고인초췌진) : 알려주게나, 친구가 초췌해져
如今不似洛陽時(여금불사낙양시) : 지금은 낙양 시절만 못하다는 것을
[안병렬 역]
226, 送別
벗을 보내고
山中相送罷 산중상송파
日暮掩柴扉 일모엄시비
春草明年綠 춘초명년록
王孫歸不歸 왕손귀불귀
산중에서
그대를 보내고서
날이 저물어
사립문 닫는다.
봄풀은
명년에도 푸르리니
벗이여
오려나, 못 오려나?
[참고1]
013
송별(送別)-왕유(王維)
송별하며-왕유(王維)
送君南浦淚如絲(송군남포루여사) : 남포에서 그대 보내니 눈물 실처럼 흐르는데
君向東州使我悲(군향동주사아비) : 동쪽 고을로 간다니 내 마음 서글퍼지는구나
爲報故人顦顇盡(위보고인초췌진) : 알려주게나, 친구가 초췌해져
如今不似洛陽時(여금불사낙양시) : 지금은 낙양 시절만 못하다는 것을
인터넷 편찬자는 013송별(送別)-왕유
을 226번 작품으로 재록하였으나
한국에서는 고려조 정지상의 <送人>으로 인하여
더욱 유명해진 위의 작품 대신
구섭우 편찬자는 중복을 피하여
위와 같이 226번 작품으로 같은 제목의 다른 작품을 소개하였다.
[참고2]
[작품]013송별(送別)-왕유
http://kydong77.tistory.com/15155
[논문]정지상 한시의 영원한 생명력
http://kydong77.tistory.com/15157
[논문인용]
끝으로 이 시기의 대표작을 통해 그의 심경을 가늠해 보기로 하자.
a.
雨歇長堤草色多 비 개인 긴 뚝에 풀빛도 선명한데
送君南浦動悲歌 남포에서 임 보내니 노랫가락 구슬퍼라.
大洞江水何時盡 대동강 물은 어느 때나 마를건가.
別淚年年添綠波 해마다 이별의 눈물이 푸른 물결에 더하는데.
b.
庭前一葉落 뜰 앞에 한 잎 떨어지고
床下百蟲悲 마루밑 온갖 벌레 슬프구나.
忽忽不可止 홀홀히 떠남을 말릴 수 없네만
悠悠何所之 유유히 어디로 가는가.
片心山盡處 한 조각 마음은 산이 다한 곳,
孤夢月明時 외로운 꿈은 달이 밝을 때.
南浦春波綠 남포에 봄 물결 푸르러질 때,
君休負後期 그대는 훗날의 기약 제발 잊지 마오.
a는 설명이 필요 없는 <13.送人>이고, b는 오언율시인 <2.送人>이다.
a의 결구의 문자에 대한 異論이 있으나 김만중(1637-1692)의 다음 언표가 그 정론이다.
고려 정사간의 <南浦> 절구는 곧 해동의 渭城三疊이다. 끝 구의 別淚年年添作波를 혹 添綠波라 하기도 하는데 益齋(필자주;李齊賢)는 마땅히 綠波를 좇을 것이라 했고, 四佳(필자주;徐居正)는 作자가 낫다 하였다. 생각컨대 沈休文(필자주;江淹의 잘못)의 <別賦>에 이르기를,
春草碧色 春水綠波 送君南浦 傷如之何
라 했으니, 정사간의 시가 바로 沈休文(필자주;강엄의 잘못)의 말을 쓴 것이므로 綠波를 바꿀 수 가 없다.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15157 [김영동교수의 고전& life]
'중국고전 > 唐詩삼백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9. 배적(裴迪), 崔九를 보내며 (0) | 2019.05.28 |
---|---|
227. 왕유, 상사(相思) (0) | 2019.05.21 |
223. 沈全期, 고의로 보궐 교지지에게 보이다 (0) | 2019.05.20 |
222. 진도옥, 가난한 처녀(貧女) (0) | 2019.05.19 |
221.설봉, 궁사(宮詞) (0) | 2019.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