貧交行(빈교행)           

       ㅡ  杜 甫           

 

飜手作雲覆手雨  번수작운복수우    

손바닥 뒤집어 비와 구름 바꾸듯

 

紛紛輕薄何須數  분분경박하수수    

가벼운 세상 인정 말해 무엇하리?

 

君不見管飽貧時交  군불견관포빈시교  

가난할 적 관포지교 모두 알건만

 

此是今人棄如土  차시금인기여토    

요즘 사람 의리를 흙같이 버리네.

 

 

https://www.youtube.com/watch?v=G4eg3vnh374 

 

 

 

 

https://www.youtube.com/watch?v=0Vl9pCDgQvw 

 

 

https://www.youtube.com/watch?v=6nXd4J_jNTc 

 

 

https://www.youtube.com/watch?v=grRr3Jhb9RA 

 

 

https://www.youtube.com/watch?v=dAUO27XnsEU 

 

https://www.youtube.com/watch?v=37cNr_r1WHk&t=97s 

 

 

https://blog.daum.net/thddudgh7/16535774

 

<사기>(1069)관안열전(管晏列傳)(1) 사람을 알아보는 안목을 가져야 한다.

              <사기권육십이(史記卷六十二)>(1069)   사마천(司馬遷)에 의해 한(漢)나라 무제 때 쓰여진 역사서로 본격적인 저술은5BC108~BC91년 사이에 이   루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사마

blog.daum.net

 

https://blog.daum.net/thddudgh7/16535775?category=1425253 

 

<사기>(1070)관안열전(管晏列傳)(2) 창고가 가득 차야 예절을 안다.

              <사기권육십이(史記卷六十二)>(1070)   사마천(司馬遷)에 의해 한(漢)나라 무제 때 쓰여진 역사서로 본격적인 저술은5BC108~BC91년 사이에 이   루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사마

blog.daum.net

 

https://blog.daum.net/thddudgh7/16535776?category=1425253 

 

<사기>(1071)관안열전(管晏列傳)(3) 군자는 자신을 알아주는 이에게 뜻을 드러낸다.

              <사기권육십이(史記卷六十二)>(1071)   사마천(司馬遷)에 의해 한(漢)나라 무제 때 쓰여진 역사서로 본격적인 저술은5BC108~BC91년 사이에 이   루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사마

blog.daum.net

 

https://blog.daum.net/thddudgh7/16535777?category=1425253 

 

<사기>(1072)관안열전(管晏列傳)(4) 안자가 자신의 마부를 대부로 추천하였다.

              <사기권육십이(史記卷六十二)>(1072)   사마천(司馬遷)에 의해 한(漢)나라 무제 때 쓰여진 역사서로 본격적인 저술은5BC108~BC91년 사이에 이   루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사마

blog.daum.net

 

https://cafe.daum.net/heartwings

 

漢詩 속으로

카페에서 우대 받는 사람 : 겸손한 사람, 댓글에 신뢰가 가는 사람, 자신의 삶에 진솔한 사람. 카페에서 배척 받는 사람 : 예의를 모르는 사람, 카페 운영에 불만이 있는 사람, 시건방(?)을 떠는 사

cafe.daum.net

太史公曰(태사공왈) : 태사공이 이르기를
吾讀管氏牧民山高乘馬輕重九府及晏子春秋(오독관씨목민산고승마경중구부급안자)                                                 : 나는 관씨의 목민․산고․병마․경중․구부와 안자춘추를 읽었는데
詳哉其言之也(상재기언지야) : 그 말한 내용이 생세하였다.
旣見其著書(기견기저서) : 이미 저서를 보았으므로
欲觀其行事(욕관기행사) : 사적을 알고자 하는 생각에서
故次其傳(고차기전) : 전기를 정리한 것이다.
至其書(지기서) : 저서에 대해서는
世多有之(세다유지) : 세상에 많이 알려져 있으므로
是以不論(시이불논) : 논하지 않고
論其軼事(논기질사) : 다른 문헌에 빠져있는 것만 기록하였다.
管仲世所謂賢臣(관중세소위현신) : 관중은 세상에서 말하는 바 어진 신하이나
然孔子小之(연공자소지) : 공자는 그를 소인으로 여겼다.
豈以爲(개이위) : 어찌해서 그렇게 생각했을까
周道衰微(주도쇠미) : 주나라의 도가 쇠미해지져 있는데
桓公旣賢(환공기현) : 제나라 환공은 어진 임금이었는데도
而不勉之至王(이불면지지왕) : 그를 어진 임금이 되게 힘쓰지 않았고
乃稱霸哉(내칭패재) : 다만 패자로만 일컫게 했음인가?
語曰(어왈) : 옛말에 이르기를,
將順其美(장순기미) : “그 좋은 점을 더욱 길러주고
匡救其惡(광구기악) : 결점은 바루어 준다.
故上下能相親也(고상하능상친야) : 그래야 상하가 서로 친숙해지는 것이다.”고 했으니
豈管仲之謂乎(개관중지위호) : 관중을 말한 것어었던가

方晏子伏莊公尸哭之(방안자복장공시곡지) : 안자는 제나라의 장공이 반역한 신하에게 죽음을 당했을 때 그 시체 앞에서 엎드려 곡하고
成禮然後去(성례연후거) : 예를 하였는데 예를 마친 다음에는 그대로 가버렸으니
豈所謂見義不爲無勇者邪(개소위견의불위무용자사) : 이것이 이른바 ‘의를 보고도 행하지 않은 비겁한 사람’이었던가
至其諫說(지기간설) : 그러나 그가 간언하여 말함에 이르러서는
犯君之顔(범군지안) : 임금의 얼굴빛을 범하였으니
此所謂進思盡忠(차소위진사진충) : 이것이 이른바, ‘나아가서는 충성을 다할 것을 생각하고
退思補過者哉(퇴사보과자재) : 물러나서는 허물을 기울 것을 생각한다.’는 것인가?
假令晏子而在(가령안자이재) : 가령 안자가 오늘날 살아있다고 하면
余雖爲之執鞭(여수위지집편) : 나는 비록 그를 위해 말 채찍을 잡아도
所忻慕焉(소흔모언) : 그 일은 내가 기뻐하고 흠모하는 바가 될 것이다.

松茂柏悅,嗟芝焚蕙歎。

참으로 소나무가 무성하면 잣나무가 기뻐하고

아, 지초가 불에 타면 혜초가 한탄하네.

*붓글씨의 '悲'字는 '歎'字의 잘못.

 

https://www.youtube.com/watch?v=EylB6b7TCCk 

 

公無渡河歌

公無渡河  (공무도하) 님이시여, 그 강물을 건너지 마소서..

公竟渡河  (공경도하) 님은 끝내 그 강물을 건너고 말았구려.

墮河而死  (타하이사) 강물에 빠져 돌아가셨으니

當奈公何  (당내공하) 가신 님은 우짤고?

 

*앞으로 나는 무슨 맛으로 님 없는 이 세상 살아가노? [제4구意譯]

아아, 님은 갔지마는 나는 님을 보내지 아니하였습니다.[만해, 님의 침묵]

 

https://www.youtube.com/watch?v=SHjleQyZPac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18333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 - 公無渡河歌/ 백발의 연인

www.youtube.com/watch?v=EylB6b7TCCk www.youtube.com/watch?v=R4ykgAM01hk 公無渡河歌 公無渡河 공 무 도 하) 님이시여, 그 강물을 건너지 마소서.. 公竟渡河 공 경 도 하) 님은 끝내 그 강물을 건너고 말았구..

kydong77.tistory.com

 

 

육기(陸機, 261년 ~ 303년)는 중국 서진의 관리이다. 자는 사형(士衡)이며, 오군(吳郡) 사람이다.

 

<탄서부> 원문과 번역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himoon25&logNo=222370545164&categoryNo=20&parentCategoryNo=0&viewDate=¤tPage=1&p

 

송무백열 /육기

송무백열 /육기 무 송송 백김치 얘긴가? "벗이 잘되면 함께 기뻐한다"는 뜻이라고 한다. 말로는 "축하한다"...

blog.naver.com

 

육기, 의고시(擬古詩)

https://m.blog.naver.com/himoon25/220386009881

 

사랑시216 의고시 -육기/서진

사랑시216 의고시 -육기/서진 시제목이 ['강을 건너며 부용을 따다'를 본뜸]이다. '본뜬 시'라는 말이다. '...

blog.naver.com

의고주의 (擬古主義) Archaism(영)

고대의 형식을 숭배하고 모방하려 하는 회고적인 주의나 태도를 말한다. 고어를 사용하고 새삼 예스러운 스타일을 사용한다. 아르카익 스타일(古拙한 미소)이라 하여 고풍스런 스타일이 근대인에게 충격을 주거나 미소짓게 하거나 하여 재미있는 효과를 내는 일도 있다. 19세기 프랑스의 일부 시인이 고전시의 운율을 사용했던 일이 있었다.

 

탄서부(歎逝賦) 

2. 昔每聞長老追計平生同時親故,或凋落已盡,或僅有存者。

석매문장로추계평생동시친고,혹조락이진,혹근유존자。

余年方四十,而懿親戚屬,亡多存寡;

여년방사십,이의친척속,망다존과;

昵交密友,亦不半在。或所曾共遊一塗,同宴一室,十年之外,索然已盡。以是思哀,哀可知矣!

닐교밀우,역부반재。혹소증공유일도,동연일실,십년지외,삭연이진。 이시사애,애가지의!

乃作賦曰:

내작부왈

3. 伊天地之運流,紛升降而相襲。

3. 이천지지운류,분승강이상습。

4. 日望空以駿驅,節循虛而警立。

4. 일망공이준구,절순허이경립。

5. 嗟人生之短期,孰長年之能執?

5. 차인생지단기,숙장년지능집?

6. 時飄忽其不再,老晼晚其將及。

6. 시표홀기부재,로원만기장급。

7. 懟瓊橤之無徵,恨朝霞之難挹。

7. 대경예지무징,한조하지난읍。

8. 望湯谷以企予,惜此景之屢戢。  

8. 망탕곡이기여석차경지루집

 

9. 悲夫!

 9. 비부!

10. 川閱水以成川,水滔滔而日度。

10. 천열수이성천,수도도이일도。

11. 世閱人而為世,人冉冉而行暮。

11. 세열인이위세,인염염이행모。

12. 人何世而弗新,世何人之能故。

12. 인하세이불신,세하인지능고。

13. 野每春其必華,草無朝而遺露。

13. 야매춘기필화,초무조이유로。

14. 經終古而常然,率品物其如素。

14. 경종고이상연,솔품물기여소。

15. 譬日及之在條,恒雖盡而弗寤。

15. 비일급지재조,항수진이불오。

16. 雖不寤其可悲,心惆焉而自傷!

16. 수불오기가비,심추언이자상!

17. 亮造化之若茲,吾安取夫久長?

17. 량조화지약자,오안취부구장?

18. 痛靈根之夙隕,怨具爾之多喪。

18. 통령근지숙운,원구이지다상。

19. 悼堂搆之隤瘁,慜城闕之丘荒。

19. 도당구지퇴췌,민성궐지구황。

20. 親彌懿其已逝,交何戚而不忘。

20. 친미의기이서교하척이불망

21. 咨余今之方殆,何視天之芒芒。

21. 자여금지방태,하시천지망망。

22. 傷懷悽其多念,戚貌瘁而尠歡。

22. 상회처기다념,척모췌이선환。

23. 幽情發而成緒,滯思叩而興端。

23. 유정발이성서,체사고이흥단。

24. 慘此世之無樂,詠在昔而為言。

24. 참차세지무락영재석이위언

25. 居充堂而衍宇,行連駕而比軒。

25. 거충당이연우,행련가이비헌。

26. 彌年時其詎幾,夫何往而不殘。

26. 미년시기거기,부하왕이불잔。

 

27. 或冥邈而既盡,或寥廓而僅半。

27. 혹명막이기진,혹요확이근반。

28. 信松茂而柏悅,嗟芝焚而蕙歎。

28. 신송무이백열,차지분이혜탄。

29. 苟性命之弗殊,豈同波而異瀾。

29. 구성명지불수,기동파이이란。

30. 瞻前軌之既覆,知此路之良難。

30. 첨전궤지기복,지차로지량난。

31. 啟四體而深悼,懼茲形之將然。

31. 계사체이심도,구자형지장연。

32. 毒娛情而寡方,怨感目之多顏。

32. 독오정이과방원감목지다안

33. 諒多顏之感目,神何適而獲怡。

33. 량다안지감목,신하적이획이。

 

34. 尋平生於響像,覽前物而懷之。

34. 심평생어향상,람전물이회지。

35. 步寒林以悽惻,翫春翹而有思。

35. 보한림이처측,완춘교이유사。

36. 觸萬類以生悲,歎同節而異時。

36. 촉만류이생비,탄동절이리시。

37. 年彌往而念廣,塗薄暮而意迮。

37. 년미왕이념광,도박모이의책。

38. 親落落而日稀,友靡靡而愈索。

38. 친락락이일희,우미미이유삭。

39. 顧舊要於遺存,得十一於千百。

39. 고구요어유존,득십일어천백。

40. 樂隤心其如忘,哀緣情而來宅。

40. 락퇴심기여망,애연정이래택。

41. 託末契於後生,余將老而為客。

41. 탁말계어후생,여장로이위객。

 

42. 然後弭節安懷,妙思天造。

42. 연후미절안회,묘사천조。

43. 精浮神淪,忽在世表。

43. 정부신淪,홀재세표。

44. 寤大暮之同寐,何矜晚以怨早。

44. 오대모지동매,하긍만이원조。

45. 指彼日之方除,豈茲情之足攪?

45. 지피일지방제,기자정지족교?

46. 感秋華於衰木,瘁零露於豐草。

46. 감추화어쇠목,췌영로어풍초。

47. 在殷憂而弗違,夫何云乎識道。

47. 재은우이불위,부하운호식도。

48. 將頤天地之大德,遺聖人之洪寶。

48. 장이천지지대덕,유성인지홍보。

49. 解心累於末跡,聊優遊以娛老。

49. 해심루어말적,료우유이오로。

 

陸機(261-303)

<歎逝賦 탄서부> 원문과 번역

 

昔每闻长老追计平生同时亲故,

석매문장로추계평생동시친고,。

옛날에 나이든 사람들이 어릴 적에 친했던 이들을 손꼽으며

 

或凋落已尽,或仅有存者。

혹조락이진,혹근유존자

‘아무개는 벌써 죽고 없고,

살아 있는 이는 얼마 안 되는구나’라고 이야기하는 것을 들었다.

 

余年方四十,

여년방사십,

내가 이제 마흔인데

 

而懿亲戚属,亡多存寡;

이의친척속,망다존과;

친한 친척들 중

죽은 이가 많고 살아 있는 사람은 적다.

 

昵交密友,亦不半在。

닐교밀우, 역부반재。

가까운 친구들 역시 절반도 안 남았구나.

 

或所曾共游一途,同宴一室,

혹소증공유일도,동연일실

일찍이 함께 놀던 무리들, 한방에서 함께 연회하던 이들도

 

十年之外,索然已尽,

십년지외,삭연이진。

10년이 지나면 모두 죽을 테니

 

以是哀思,哀可知矣,乃作赋曰:

이시사애,애가지의! 내작부왈

슬픈 생각이 들어 시를 짓노라.”

 

육기(陸機, 261년 ~ 303년)는 중국 서진의 관리이다. 자는 사형(士衡)이며, 오군(吳郡) 사람이다.

육손의 손자이며, 육항의 넷째 아들이다.

 

歎逝賦

昔每聞長老追計平生同時親故,或凋落已盡,或僅有存者。

석매문장로추계평생동시친고,혹조락이진,혹근유존자。

옛날에 나이든 사람들이 어릴 적에 친했던 이들을 손꼽으며

' 아무개는 벌써 죽었고 ,

보이는 이는 얼마 안되는구나 ' 라고 이야기 하는 것을 들었다 .

 

余年方四十,而懿親戚屬,亡多存寡;昵交密友,亦不半在。

여년방사십,이의친척속,망다존과; 닐교밀우,역부반재。

내 나이가 이제 마흔인데

그러나 훌륭한 친척들은 많은 사람들이 죽었고 거의 살아 남아 있지 않다.

친한 친척들 중

죽은이가 많고 살아있는 사람은 적다 .

가까운 친구들 역시 절반도 안 남았구나 .

 

或所曾共遊一塗,同宴一室,十年之外,索然已盡。

혹소증공유일도,동연일실,십년지외,삭연이진

일찍이 함께 놀던 무리들 , 한방에서 함께 연회하던 이도

10 년이 지나면 모두 죽을 것이다.

 

以是思哀,哀可知矣!乃作賦曰:

이시사애,애가지의! 내작부왈

그래서 그것을 애도하노니 애도함은 자명한 일이다.

슬픈 생각이 들어 이 賦[시]를 짓노라 . "

 

伊天地之運流,紛升降而相襲。

이천지지운류,분승강이상습。

하늘과 땅의 운행과 흐름의 작용은 상호작용으로 인해

서로를 들어 올리기도 하고 끌어내리기도 한다.

 

日望空以駿驅,節循虛而警立。

일망공이준구,절순허이경립。

허공 중의 해와 달의 흐름을 보면 준마(骏马)가 내달리듯하여

시간과 절후는 허공의 순환으로 놀랍도록 바뀐다. 

 

嗟人生之短期,孰長年之能執?

차인생지단기,숙장년지능집?

아, 인생의 짧음이여!

뉘라서 장수(長壽)를 누릴 수 있나?

 

時飄忽其不再,老晼晚其將及。

시표홀기부재,로원만기장급。

시간은 질풍처럼 지나가 다시 오지 않건만

늙음[老化]은 더딘 듯하나 오게 마련이다.

 

懟瓊橤之無徵,恨朝霞之難挹。

대경예지무징,한조하지난읍。

꽃봉오리 따낼 것 없고

아침 노을은 떠낼 일 없어 아쉽네.

 

望湯谷以企予,惜此景之屢戢。

망탕곡이기여석차경지루집

해 돋는 탕곡(湯谷)을 바라보며 세운 뜻

거듭 이루지 못하여 아쉽기 짝이 없네.

*탕곡 : . "동쪽 끝 탕곡(湯谷)에 부상(扶桑)의 나무가 있다. 10일간 햇빛을 받는데, 9일은 하지(下枝)에 받고 1일은 상지에 받는다."(<해외동경>)란 태양에 관한 이야기.

 

悲夫!

비부|

슬프도다!

 

川閱水以成川,水滔滔而日度。

천열수이성천,수도도이일도

물은 냇물을 이뤄 날마다 도도히 흐르건만

 

世閱人而為世,人冉冉而行暮。

세열인이위세,인염염이행모。

인간들은 세상을 이뤄 나날이 저물어 가네.

 

人何世而弗新,世何人之能故。

인하세이불신,세하인지능고。

인간은 어느 세상에서나 젊어질 수 없는데

세상에 뉘라서 젊어질 수 있나?

 

野每春其必華,草無朝而遺露。

야매춘기필화,초무조이유로。

들판엔 봄마다 꽃을 피우고

풀들은 아침마다 이슬이 맺히건만 남은 이슬 없네.

 

經終古而常然,率品物其如素。

경종고이상연,솔품물기여소

예로부터 만물이 생겨나고 사라지는 건 이치일 뿐.

 

譬日及之在條,恒雖盡而弗寤。

비일급지재조,항수진이불오。

비유컨대, 해가 나무가지에 걸려 있지만

언제나 사라지지만 깨닫지 못해.

 

雖不寤其可悲,心惆焉而自傷!

수불오기가비,심추언이자상!

그 슬픔 깨닫지  못해도 

마음은 슬퍼하여 아프기만 해.

 

亮造化之若茲,吾安取夫久長?

량조화지약자,오안취부구장?

밝은 조화 이와 같으니

내 어찌 장구함을 취하랴.

 

痛靈根之夙隕,怨具爾之多喪。

통령근지숙운,원구이지다상。

부모 형제  이른 죽음이 마음 아프고

이웃 사람들의 잦은 상이 원망스럽네.

 

悼堂搆之隤瘁,慜城闕之丘荒。

도당구지퇴췌,민성궐지구황

집과 담장 허물어지니 슬프고

성과 둔덕 황폐해지니 걱정이네.

 

親彌懿其已逝,交何戚而不忘。

친미의기이서교하척이불망

만남과 사귐의 아름다움을 어찌 잊을손가

 

咨余今之方殆,何視天之芒芒。

자여금지방태,하시천지망망。

닥칠 위험을 알고, 어찌 넓은 하늘을 이고 살겠는가?

 

傷懷悽其多念,戚貌瘁而尠歡。

상회처기다념,척모췌이선환。

수심 많아 슬프고, 기쁜 일 없으니 얼굴이 수척해지네.

 

幽情發而成緒,滯思叩而興端。

유정발이성서,체사고이흥단。

아득한 마음 피어나고, 답답한 생각 끝이 없다네.

 

慘此世之無樂,詠在昔而為言。

참차세지무락영재석이위언

아무 즐거움 없이 잠깐인 세상, 옛 일이나 읊조리고 말한다네.

 

居充堂而衍宇,行連駕而比軒。

거충당이연우,행련가이비헌。

많은 사람들이 집과 방에 가득 차고

말과 가마 타고 다니네.

 

彌年時其詎幾,夫何往而不殘。

미년시기거기,부하왕이불잔。

한 해 한 해 몇 해인가?

어디 가고 남은 해는 없는고?

 

或冥邈而既盡,或寥廓而僅半。*寥廓(요학) 하늘, 허공.

혹명막이기진,혹요확이근반。

누군 이미 어두운 모습이니 이미 목숨 다해 뵈지 않고,

누군 반쯤 남은 몰골이네.

 

松茂柏悅,嗟芝焚蕙歎。

신송무이백열,차지분이혜탄。

참으로 소나무가 무성하면 잣나무가 기뻐하고

아, 지초가 불에 타면 혜초가 한탄하네.

 

苟性命之弗殊,豈同波而異瀾。

구성명지불수,기동파이이란。

생명에 차이가 없다면

어찌 같은 세상 또다른 세상을 살 수 있나

 

瞻前軌之既覆,知此路之良難。

첨전궤지기복,지차로지량난。

앞 수례가 엎어진 걸 보면

이 길이 참으로 험난한 걸 안다네.

 

啟四體而深悼,懼茲形之將然。

계사체이심도,구자형지장연。

손발을 내밀어 깊은 애도를 보내며

또한 이 몸도 그리될까 두려워하네.

 

毒娛情而寡方,怨感目之多顏。

독오정이과방원감목지다안

즐길 마음과 방법이 부족해 안타깝고

원망하는 낯빛만 눈에  어른거리네.

 

諒多顏之感目,神何適而獲怡。

량다안지감목,신하적이획이。

죽음이 눈 앞에 선한데

어느 정신에 즐거움을 얻을 수 있으리

 

尋平生於響像,覽前物而懷之。

심평생어향상,람전물이회지。

평생 만남과 사귐의 목소리와 모습을 찾고

옛일을 찾아 보고 그리워하네

 

步寒林以悽惻,翫春翹而有思。

보한림이처측,완춘교이유사。

쓸쓸한 겨울숲을 거닐며 애처로이

봄을 생각하며 그리워하네

 

觸萬類以生悲,歎同節而異時。

촉만류이생비,탄동절이리시。

스쳐가는 모든 게 쓸쓸해지고

계절은 같아도 시절은 같지 않네.

 

年彌往而念廣,塗薄暮而意迮。

년미왕이념광,도박모이의책。

나이가 들수록 생각은 넓어지고

늙어갈수록 뜻은 옹색해지네.

 

親落落而日稀,友靡靡而愈索。

친락락이일희,우미미이유삭。

친척은 해가 갈수록 적어지고

친구는 점점 찾기 힘들어지네.

 

顧舊要於遺存,得十一於千百。

고구요어유존,득십일어천백。

남아 있는 친구를 찾는 것은

아는 이 천 명에 하나나 있을런지.

 

樂隤心其如忘,哀緣情而來宅。

락퇴심기여망,애연정이래택。

마음에 남은 기쁨 잊혀진 듯한데

슬픔은 정에 끌려 되살아나네.

 

託末契於後生,余將老而為客。

탁말계어후생,여장로이위객。

마지막 인연을 자손에게 의탁하면

나는 늙어지면 나그네 된다네.

 

然後弭節安懷,妙思天造。

연후미절안회,묘사천조。

안주하려는 마음 버리고

하늘의 뜻을 곰곰히 생각하네.

 

精浮神淪,忽在世表。

정부신淪,홀재세표。

정신이 오락가락하더니

갑자기 세상 밖에 나가 있는 듯.

 

寤大暮之同寐,何矜晚以怨早。

오대모지동매,하긍만이원조。

아주 오랜만에 잠들었는데,

늦었다고 원망할 일인가?

 

指彼日之方除,豈茲情之足攪?

지피일지방제,기자정지족교?

죽을 날이 다가오는데,

어찌 내 마음이 흔들릴까?

 

感秋華於衰木,瘁零露於豐草。

감추화어쇠목,췌영로어풍초。

고목나무 위 가을꽃 애닯고,

무성한 풀 위엔 마른 이슬지네.

 

在殷憂而弗違,夫何云乎識道。

재은우이불위,부하운호식도。

깊은 시름 벗어나지 못했는데

어찌 가는 길을 안다 할까?

 

將頤天地之大德,遺聖人之洪寶。

장이천지지대덕,유성인지홍보。

하늘과 땅의 덕을 기리고

성인됨의 큰 보물 남기고.

 

解心累於末跡,聊優遊以娛老。

해심루어말적,료우유이오로。

쌓인 소소한 일들 풀어나가고

늙어서 유유자적 놀다 가려네.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17286 

 

https://baike.baidu.com/item/%E5%8F%B9%E9%80%9D%E8%B5%8B/6843401

 

叹逝赋_百度百科

《叹逝赋》是西晋诗人陆机创作的一篇赋。此赋先写对万物变化无常的感叹,再写对亡亲故友的痛悼,最后写作者的归隐意向。全赋在表达方式上多用排比和骈偶,在用词上运用了大量华丽的辞

baike.baidu.com

 

叹逝赋
昔每闻长老追计平生同时亲故1,或凋落已尽2,或仅有存者。余年方四十,而懿亲戚属3,亡多存寡;昵交密友4,亦不半在5。或所曾共游一涂6,同宴一室,十年之外,索然已尽7,以是哀思,哀可知矣,乃作赋曰:
伊天地之运流8,纷升降而相袭9。日望空以骏驱10,节循虚而警立11。嗟人生之短期,孰长年之能执12,时飘忽其不再13,老晼晚其将及14。怼琼蕊之无征15,恨朝霞之难挹16。望汤谷以企予17,惜此景之屡戢18。
悲夫,川阅水以成川19,水滔滔而日度20。世阅人而为世,人冉冉而行暮21。人何世而弗新22,世何人之能故23。野每春其必华,草无朝而遗露24。经终古而常然25,率品物其如素26。譬日及之在条27,恒虽尽而弗悟28。虽不悟其可悲,心惆焉而自伤29。亮造化之若兹30,吾安取夫久长。
痛灵根之夙陨31,怨具尔之多丧32。悼堂构之颓瘁33,悯城阙之丘荒34。亲弥懿其已逝35,交何戚而不忘36。咨余命之方殆37,何视天之芒芒38。伤怀凄其多念,戚貌悴而鲜欢39。幽情发而成绪40,滞思叩而兴端41,此世之无乐,咏在昔而为言42。
居充堂而衍宇43,行连驾而比轩44。弥年时其讵几45,夫何往而不残46。或冥邈而既尽,或寥廓而仅半47。信松茂而柏悦48,嗟芝焚而蕙叹49。苟性命之弗殊,岂同波而异澜,瞻前轨之既覆50,知此路之良艰51。启四体而深悼52,惧兹形之将然53。毒娱情而寡方54,怨感目之多颜55,谅多颜之感目,神何适而获怡56。寻平生于响像57,览前物而怀之58。
步寒林以凄恻,玩春翘而有思59,触万类以生悲60,叹同节而异时,年弥往而念广61,途薄暮而意迮62。亲落落而日稀63,友靡靡而愈索64。顾旧要于遗存65,得十一于千百66。乐隤心其如忘67,哀缘情而来宅。托末契于后生68,余将老而为客69。
然后弭节安怀70,妙思天造71,精浮神沧72,忽在世表73,悟大暮之同寐74,何矜晚以怨早75。指彼日之方除76,岂兹情之足搅77。感秋华于衰木,瘁零露于丰草78。在殷忧而弗违79,夫何云乎识道80。将颐天地之大德81,遗圣人之洪宝82。解心累于末迹83,聊优游以娱老84。 [1] 
 

注释译文

编辑 播报
 

词句注释

  1. 长老:年高者的通称。追计:追忆。平生:平时,平素。亲故:朋友。
  2. 凋落:指逝世。
  3. 懿(yì)亲:至亲。戚属:亲属。
  4. 昵(nì)交:交往深笃者。
  5. 不半在:在世的不到一半。
  6. 所:语助词。涂:通“途”。
  7. 索然:尽的样子。
  8. 运流:运动。
  9. 纷:不定的样子。升降:指变化。《礼记·月令》:“天气下降,地气上腾,而百化兴焉。”袭:继续。
  10. 骏驱:如骏马奔驰,指时间迅速。
  11. 节:时令。循虚:随着虚宿的转动。虚,二十八宿之一,又名玄枵,颛顼之虚、北陆,为北方玄武之第四宿。有二星,今立秋节于正二刻一分的中星。警立:迅速出现,指时节推移很快。
  12. 长年:长生不老。执:保持。
  13. 飘忽:快疾的样子。不再:一卷不返。
  14. 晼(wǎn)晚:日将暮,喻年迈。
  15. 怼(duì):怨恨。琼蕊:传说中琼树的花蕊,似玉屑,食之长生不老。无征:不灵验。
  16. 挹(yì):牵制,留住。
  17. 汤谷:传说旧出日落之处。企予:使自己脚跟踮起,指盼望心切,以至翘首企足。
  18. 惜:痛惜。景:影,时光。戢(jí):收藏。
  19. 阅:汇集。
  20. 日度:每天流淌。
  21. 冉(rǎn)冉:渐渐。行暮:走向暮年。
  22. 新:更新。
  23. 故:保持原状,指永远年轻。
  24. 遗露:留下露水。
  25. 终古:久远。
  26. 率:大率,一般。品物:各种事物。如素:如故。
  27. 日及:木槿的别名,其花晨开暮谢。
  28. 悟:明白。
  29. 惆:惆怅。伤:感伤。
  30. 亮:通“谅”,的确。造化:自然规律。
  31. 灵根:木根,指祖考。夙陨(sù yǔn):早逝。
  32. 具尔:指兄弟。《诗经·大雅·行苇》:“戚戚兄弟,莫远具尔。”
  33. 堂构:堂基屋宇。颓瘁(tuí cuì):坍塌,圮毁。
  34. 愍(mǐn):哀怜。丘荒:废墟,荒地。
  35. 亲:亲人。弥懿:十分美好。
  36. 交:交往,朋友。戚:忧伤。
  37. 咨:叹词。方殆(dài):将要遇到危殆,指将逝。
  38. 芒芒:昏愦不明。
  39. 貌瘁:面容黄瘦。
  40. 幽情:郁积之情。发:表现在外。
  41. 叩:通“扣”,凝积。
  42. 在昔:往昔,从前。
  43. 充堂:东西充满庭堂。衍宇:物儡堆满屋宇。
  44. 莲驾:车驾相连。比轩:车栏杆相比。
  45. 弥年:临终之年。讵(jù):曾,竟。
  46. 残:毁坏。
  47. 寥廓:空旷西。
  48. 信:的确。松茂而柏悦:喻朋友亲人健在则自己欢喜。
  49. 芝焚而蕙(huì)叹:喻指亲朋至友逝世则自己哀伤。
  50. 前轨:前面的车子,指先逝者。
  51. 此路:指死亡之路。
  52. 启四体:指将死。启,通“瞽”,视。据《论语·泰伯》载,曾子有病,把他的学生召来说:“启予足,启予手。”
  53. 兹形:指自身。
  54. 毒:恨。娱情:使心情欢乐。寡方:缺少办法。
  55. 感目:眼睛所看到的。多颜:指死去的人很多。怀念死去的人,想起的多是其颜面,所以说“多颜”。
  56. 神何适:精神寄托在哪里。获怡:得到快乐。
  57. 寻:寻思。响像:音容笑貌。
  58. 前物:指逝者恋物。
  59. 玩:赏。春翘(qiào):春天茂盛的万物。
  60. 万类:一切事物。
  61. 弥往:长往,不停地留逝。
  62. 途:指人生之路。薄暮:指晚年。意迮(zé):怀念之情迫切。
  63. 落落:稀少的样子。
  64. 靡靡:将尽的样子。
  65. 顾:回想。旧要:往日与朋友的约定。遗存:遗物。
  66. 得:指实现。十一:十分之一,意思是很少。
  67. 隤(tuí):通“遗”,遗失。
  68. 末契:小小心愿。
  69. 老而为客。:将要老死的委婉说法。《古诗十九首·青青陵上柏》:“人生天地间,忽如远行客。”
  70. 弭(mǐ)节:停车,此指结束人生途程。安怀:心内安宁。
  71. 造:自然生成。
  72. 精浮神沦:精神时而高涨,时而平静。
  73. 世表:人世以外。
  74. 大暮:长夜,指永离人世。寐:指死。
  75. 矜(jīn):夸耀。晚:指死得迟。
  76. 日之方除:时光正在逝去毛。
  77. 搅:扰乱。
  78. 瘁:忧伤。
  79. 殷忧:深深的忧愁。违:离开。
  80. 识道:悟透玄炒之理。
  81. 颐:保养。天地之大德:指生命。
  82. 遗:抛弃。圣人之洪宝:指权位。《周易·系辞下》:“天地之大德曰生,圣人之大宝曰位。”
  83. 心累:内心的负担,指功名。末迹:末路,指年老。
  84. 优游:悠闲自得。 [2] 

 

 

<탄서부> 원문과 번역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himoon25&logNo=222370545164&categoryNo=20&parentCategoryNo=0&viewDate=¤tPage=1&p

 

송무백열 /육기

송무백열 /육기 무 송송 백김치 얘긴가? "벗이 잘되면 함께 기뻐한다"는 뜻이라고 한다. 말로는 "축하한다"...

blog.naver.com

 

 

https://www.youtube.com/watch?v=ScT7DcBApMA&t=364s 

 

 

http://www.seniorsinmun.com/news/articleView.html?idxno=15931 

 

[칼럼] 기쁨(松茂柏悅)과 슬픔(蕙焚蘭悲)의 행복 - 시니어신문

송무백열(松茂柏悅) 혜분난비(蕙焚蘭悲) 지분혜탄(芝焚蕙歎) 토사호비(兎死狐悲) 호사토비(狐死兔悲) 호사토읍(狐死兔泣) 행재불인(幸災不仁) 행재락화(幸災樂禍) 종과득과(種瓜得瓜) 종두득...

www.seniorsinmun.com

 

행재불인(幸災不仁) 행재락화(幸災樂禍)

행재불인이란 남의 재난(災難)을 즐기고 요행(僥倖)으로 여기는 것은 어질지 못하다는 말이고,

행재락화는 ‘남의 불행은 나의 행복’이란 말처럼 남의 어려움을 보고 기쁨을 느낀다는 성어인데,

둘 다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에 나온다.

출처 : 시니어신문(http://www.seniorsinmun.com)

 

https://kydong77.tistory.com/20907

 

公無渡河歌 -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 가요 1,100곡 곡명別 듣기

www.youtube.com/watch?v=EylB6b7TCCk 公無渡河歌 公無渡河 공 무 도 하) 님이시여, 그 강물을 건너지 마소서.. 公竟渡河 공 경 도 하) 님은 끝내 그 강물을 건너고 말았구려. 墮河而死 타 하 이 사) 강물에

kydong77.tistory.com

 

 

 

https://ko.wikipedia.org/wiki/%EB%B0%B1%EA%B1%B0%EC%9D%B4

 

백거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백거이(중국어: 白居易, 772년 ~ 846년) 자(字)는 낙천(樂天)이고, 호는 취음선생(醉吟先生), 향산거사(香山居士) 등으로 불리었다. 당나라 때 뤄양(洛陽) 부근의 신정(新鄭)에서 태어났다. 대력(大曆

ko.wikipedia.org

 <백시 장경집> 50권에 그의 시 2,200수가 정리되었으며,

그의 시문집인 <백씨 문집>은 그의 모든 시를 정리한 시집이다.

장편서사시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https://kydong77.tistory.com/8149

 

長恨歌 1 -백낙천

[주]작품의 주석번호는 순서대로 1), 2), 3)....으로 볼 것. 長恨歌 -백거이 [白居易, 772~846]字 낙천(樂天). 장한가는 120구 840자. 구섭우편저, 한역당시삼백수, 안병렬역, 계명대출판부, 1991. 김희

kydong77.tistory.com

 

https://kydong77.tistory.com/8148

 

長恨歌 2 -백낙천

제3단:전란 후 양귀비를 잊지 못하는 현종의 슬픔과 아픔. 天旋地轉廻龍馭 천지가 돌고돌아 천자는 서울 장안으로 돌아오는데38) 到此躊躇不能去 마외역에 이르자 머뭇거리며 차마 가지 못하

kydong77.tistory.com

 

 

 

 

https://kydong77.tistory.com/8147

 

늙은 창부의 노래, 비파에 붙여 -백낙천

琵琶行 幷序 元和十年, 予左遷九江郡司馬. 明年秋, 送客湓浦口.聞舟中夜彈琵琶者, 聽其音錚錚然有京都聲.問其人, 本長安倡女.嘗學琵琶於穆曹二善才, 年長色衰, 委身爲賈人婦. 遂命酒, 使快彈

kydong77.tistory.com

 

 

 

https://blog.daum.net/domountain/17955917

 

주진촌(朱陳村) - 백거이(白居易)

산과바다 白居易 詩 HOME              주진촌(朱陳村) - 백거이(白居易)              주진촌 徐州古豊縣(서주고풍현) : 서주의 고풍현에 有村曰朱陳(유촌왈주진) : 마을 하나 있는데..

blog.daum.net

 

https://m.blog.daum.net/lee1716508/13452933

 

주진촌시(朱陳村詩)

주진촌시(朱陳村詩)                             백낙천(白樂天) 고을이 멀어 관官의 일이 적고 사는 곳이 깊숙해 풍속이 순후하네 재물이 있어도 장사를 하지 않고 장정이 있어도

blog.daum.net

 

주진촌시(朱陳村詩)

 백낙천(白樂天)

 

고을이 멀어 관(官)의 일이 적고

사는 곳이 깊숙해 풍속이 순후하네

재물이 있어도 장사를 하지 않고

장정이 있어도 군대에 가지 않네

집집마다 농사일을 하면서

머리가 희도록 밖으로 나가지 않네

살아서는 주진촌 사람이요

죽어서도 주진촌 흙이 되네

밭 가운데 있는 노인과 어린이들

서로 쳐다보며 어찌 그리 즐거운가

한 마을에 오직 두 성씨가 살아

대대로 서로 혼안을 한다네

친척은 서로서로 모여서 살고

노인과 젊은이가 함게 노닌다네

황계와 백주(白週)로

열흘이 멀다 하고 모여 즐기네

살아서는 멀리 이별하는 일 없고

시집가고 장가가는 것도 이웃에서 고르네

죽어서도 먼 곳에 장사하지 않아

옹기종기 무덤들이 마을을 둘렀네

이미 삶과 죽음이 편안하고

몸도 마음도 괴롭히지 않네

이런 까닭에 장수하는 사람이 많아

때로는 현손을 보는 사람도 있다네

 

첫째는 중국고사를 살펴보면 당나라 중원 땅에 주(朱)씨 성을 가진 사람들과 진(陳)씨 성을 가진 사람들이 한마을에 수백호가 함께 살고 있었는데 공동묘지도 함께 사용하고 모든 것을 공동으로 사용해도 서로 다툼 없이 살아가는 우애(友愛)가 대단한 군자(君子) 마을이 있었는데, 이 마을을 일컬어 주진촌(朱陳村)이라 하였다. 이들 중 주씨성을 가진 아들과 진씨성을 가진 딸이 한마을에서 혼인(婚姻)을 하게 되었는데 주씨 성을 가진 아들의 이름이 사(査)이고, 진씨 성을 가진 딸의 이름이 돈(頓)이였다. 그래서 사돈(査頓)이란 말이 생겨났다고 하는 고사이다. 

당나라 천재시인 백거이(호 낙천) 선생이 전설 같은 이야기를 듣고 주진촌을 방문하여 보니 과연 현인군자(賢人君子)들이 사는 곳이라 감탄하여 장문(長文)의 5언 고시형 시(詩) 주진촌시를 지어 오늘까지 전하여지고 있다.

출처: https://kydong77.tistory.com/20834

 

혼인지(婚姻池)의 수국& 土堀과 三公主追遠祠/ 김종직, 弔義帝文

서귀포의 혼인지의 토굴은 입구 하나에다 토굴 안에다 전방과 좌우에 3개의 공간을 마련했으니, 제주시의 삼성혈이 토굴 입구가 3개인 것과는 차이가 있다. 혼인지는 제주 탐라국의 건국 시조인

kydong77.tistory.com

 

 

增內(아내에게) - 백낙천(白樂天)


生爲同室親

[생위동실친] 살아서는 한 방에서 사랑하고

死爲同穴塵 

[사위동혈진] 죽어서는 한 무덤에 묻히리라

他人尙想勉 

[타인상상면] 다른 사람도 부부의 도를 지키는데

而況我與君 

[이황아여군] 하물며 그대와 나는 더 할 나위 있겠는가?


黔婁固窮士 

[검루고궁사] 검루는 가난한 선비였으나

妻賢忘其貧

 [처현망기빈] 현명한 처는 가난을 잊었고

沂缺一農夫 

[기결일농부] 기결은 한낱 농부였으나

妻敬儼如賓

[처경엄여빈] 처는 그를 귀빈처럼 공경했고


陶潛不營生 

[도잠불영생] 도연명은 생계를 못 꾸렸으나

翟氏自찬薪 

[적씨자찬신] 부인 적씨는 스스로 살림 꾸렸고

梁鴻不肯仕 

[양홍불긍사] 양흥은 벼슬살이 물리쳤으나

孟光甘布裙 

[맹광감포군] 그의 처 맹광은 베옷에 만족했네



君雖不讀書 

[군수불독서] 그대 비록 책은 읽지 못했어도

此事耳亦聞

[차사이역문] 귀로는 들어 알고 있으리라

至此千載後 

[지차천재후] 천년이 지난 오늘에

傳是何如人 

[전시하여인] 그들이 어떠한 사람이라 전하는가를


人生未死間 

[인생미사간] 사람으로 태어나 살아있는 동안은

不能忘其身 

[불능망기신] 육신의 존재를 잊을 수는 없어

所須者衣食 

[소수자의식] 배를 채우고 몸을 가리기 위해

不過飽與溫 

[불과포여온] 먹고 입어야 하지만


蔬食足充饑 

[소식족충기] 배 고픔은 나물로 때우면 그만이지

何必膏梁珍 

[하필고량진] 어찌 기름진 음식만 필요하며,

繒絮足禦寒 

[증서족어한] 거친 솜옷으로 추위만 막으면 되지

何必錦繡文 

[하필금수문] 어찌 비단 옷에 무늬가 필요하겠는가


君家有貽訓 

[군가유이훈] 그대 집에 내려오는 가르침에도

淸白遺子孫 

[청백유자손] 청렴결백을 자손에게 전하라 하였으니

我亦貞苦士 

[아역정고사] 나 또한 고지식한 선비로서

與君新結婚 

[여군신결혼] 그대와 부부가 된 이상에는


庶保貧與素 

[서보빈여소] 모쪼록 가난과 소박함을 지키어

偕老同欣欣 

[해로동흔흔] 기쁜 마음으로 부부 해로하리라

 

對酒

(술을 마주하고)

 

蝸牛角上爭何事

(와우각상쟁하사) 달팽이 뿔 위처럼 좁은 이 세상에서 무슨 일로 다투는가!

石火光中寄此身

(석화광중기차신) 電光石火(전광석화) 같이 짧은 세월 속에 이 몸을 맡겼거늘.

隨富隨貧且歡樂

(수부수빈차환락) 넉넉하면 넉넉한 대로 가난하면 가난한 대로 또한 기쁘하고 즐길지니,

不開口笑是癡人

(불개구소시치인) 입을 벌려 크게 웃지 못하는 사람이 바로 바보라네.

 

 

최종본입니다.

https://kydong77.tistory.com/20932

 

육기(陸機), 탄서부(歎逝賦) - 죽음을 한탄하노라/ 公無渡河歌

信松茂而柏悅,嗟芝焚而蕙歎。 참으로 소나무가 무성하면 잣나무가 기뻐하고 아, 지초가 불에 타면 혜초가 한탄하네. *붓글씨의 '悲'字는 '歎'字의 잘못. https://www.youtube.com/watch?v=EylB6b7TCCk 公無

kydong77.tistory.com

 

陸機(261年-303年),部分文獻寫作陸璣士衡西晉文學家

 

http://www.davincimap.co.kr/davBase/Source/davSource.jsp?Job=Body&SourID=SOUR004337&Lang=%ED%95%9C%EB%AC%B8&Page=1 

 

원문/전문 보기 - 歎逝賦(탄서부)

 

www.davincimap.co.kr

 

◈ 歎逝賦(탄서부) ◈

歎逝賦

昔每聞長老追計平生同時親故,或凋落已盡,或僅有存者。余年方四十,而懿親戚屬,亡多存寡;昵交密友,亦不半在。或所曾共遊一塗,同宴一室,十年之外,索然已盡。以是思哀,哀可知矣!乃作賦曰:

3. 伊天地之運流,紛升降而相襲。

4. 日望空以駿驅,節循虛而警立。

5. 嗟人生之短期,孰長年之能執?

6. 時飄忽其不再,老晼晚其將及。

7. 懟瓊橤之無徵,恨朝霞之難挹。

8. 望湯谷以企予,惜此景之屢戢。

 

9. 悲夫!

10. 川閱水以成川,水滔滔而日度。

11. 世閱人而為世,人冉冉而行暮。

12. 人何世而弗新,世何人之能故。

13. 野每春其必華,草無朝而遺露。

14. 經終古而常然,率品物其如素。

15. 譬日及之在條,恒雖盡而弗寤。

16. 雖不寤其可悲,心惆焉而自傷!

17. 亮造化之若茲,吾安取夫久長?

18. 痛靈根之夙隕,怨具爾之多喪。

19. 悼堂搆之隤瘁,慜城闕之丘荒。

20. 親彌懿其已逝,交何戚而不忘。

21. 咨余今之方殆,何視天之芒芒。

22. 傷懷悽其多念,戚貌瘁而尠歡。


23. 幽情發而成緒,滯思叩而興端。

24. 慘此世之無樂,詠在昔而為言。

 

25. 居充堂而衍宇,行連駕而比軒。

26. 彌年時其詎幾,夫何往而不殘。

27. 或冥邈而既盡,或寥廓而僅半。

28. 信松茂柏悅,嗟芝焚蕙歎。

29. 苟性命之弗殊,豈同波而異瀾。

30. 瞻前軌之既覆,知此路之良難。

31. 啟四體而深悼,懼茲形之將然。

32. 毒娛情而寡方,怨感目之多顏。

 

33. 諒多顏之感目,神何適而獲怡。

34. 尋平生於響像,覽前物而懷之。

35. 步寒林以悽惻,翫春翹而有思。

36. 觸萬類以生悲,歎同節而異時。

37. 年彌往而念廣,塗薄暮而意迮。

38. 親落落而日稀,友靡靡而愈索。

39. 顧舊要於遺存,得十一於千百。

40. 樂隤心其如忘,哀緣情而來宅。

41. 託末契於後生,余將老而為客。

 

42. 然後弭節安懷,妙思天造。

43. 精浮神淪,忽在世表。

44. 寤大暮之同寐,何矜晚以怨早。

45. 指彼日之方除,豈茲情之足攪?

46. 感秋華於衰木,瘁零露於豐草。

47. 在殷憂而弗違,夫何云乎識道。

48. 將頤天地之大德,遺聖人之洪寶。

49. 解心累於末跡,聊優遊以娛老。

 

https://zh.wikisource.org/wiki/%E6%AD%8E%E9%80%9D%E8%B3%A6

 

歎逝賦 - 维基文库,自由的图书馆

維基文庫,自由的圖書館 跳到导航 跳到搜索   昔每聞長老追計平生同時親故,或凋落已盡,或僅有存者。余年方四十,而懿親戚屬,亡多存寡;昵交密友,亦不半在。或所曾共遊一塗,同宴

zh.wikisource.org

昔每聞長老追計平生同時親故,或凋落已盡,或僅有存者。余年方四十,而懿親戚屬,亡多存寡;昵交密友,亦不半在。或所曾共遊一塗,同宴一室,十年之外,索然已盡。以是思哀,哀可知矣!乃作賦曰:

 


伊天地之運流,紛升降而相襲。
日望空以駿驅,節循虛而警立。
嗟人生之短期,孰長年之能執?
時飄忽其不再,老晼晚其將及。
懟瓊橤之無徵,恨朝霞之難挹。
望湯谷以企予,惜此景之屢戢。

悲夫!
川閱水以成川,水滔滔而日度。
世閱人而為世,人冉冉而行暮。
人何世而弗新,世何人之能故。
野每春其必華,草無朝而遺露。
經終古而常然,率品物其如素。
譬日及之在條,恒雖盡而弗寤。
雖不寤其可悲,心惆焉而自傷!
亮造化之若茲,吾安取夫久長?
痛靈根之夙隕,怨具爾之多喪。
悼堂搆之隤瘁,慜城闕之丘荒。
親彌懿其已逝,交何戚而不忘。
咨余今之方殆,何視天之芒芒。
傷懷悽其多念,戚貌瘁而尠歡。
幽情發而成緒,滯思叩而興端。
慘此世之無樂,詠在昔而為言。

居充堂而衍宇,行連駕而比軒。
彌年時其詎幾,夫何往而不殘。
或冥邈而既盡,或寥廓而僅半。
信松茂而柏悅,嗟芝焚而蕙歎。
苟性命之弗殊,豈同波而異瀾。
瞻前軌之既覆,知此路之良難。
啟四體而深悼,懼茲形之將然。
毒娛情而寡方,怨感目之多顏。

諒多顏之感目,神何適而獲怡。
尋平生於響像,覽前物而懷之。
步寒林以悽惻,翫春翹而有思。
觸萬類以生悲,歎同節而異時。
年彌往而念廣,塗薄暮而意迮。
親落落而日稀,友靡靡而愈索。
顧舊要於遺存,得十一於千百。
樂隤心其如忘,哀緣情而來宅。
託末契於後生,余將老而為客。

然後弭節安懷,妙思天造。
精浮神淪,忽在世表。
寤大暮之同寐,何矜晚以怨早。
指彼日之方除,豈茲情之足攪?
感秋華於衰木,瘁零露於豐草。
在殷憂而弗違,夫何云乎識道。
將頤天地之大德,遺聖人之洪寶。
解心累於末跡,聊優遊以娛老。

 

<탄서부> 번역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himoon25&logNo=222370545164&categoryNo=20&parentCategoryNo=0&viewDate=&currentPage=1&postListTopCurrentPage=1&from=postView 

 

송무백열 /육기

송무백열 /육기 무 송송 백김치 얘긴가? "벗이 잘되면 함께 기뻐한다"는 뜻이라고 한다. 말로는 "축하한다"...

blog.naver.com

 

 

http://www.davincimap.co.kr/davBase/Source/davSource.jsp?Job=Body&SourID=SOUR004337&Lang=%ED%95%9C%EB%AC%B8&Page=1 

 

원문/전문 보기 - 歎逝賦(탄서부)

 

www.davincimap.co.kr

육기(陸機, 261년 ~ 303년)는 중국 서진의 관리이다. 자는 사형(士衡)이며, 오군(吳郡) 사람이다.

육손의 손자이며, 육항의 넷째 아들이다.

 

歎逝賦

昔每聞長老追計平生同時親故,

석매문장로추계평생동시친고

옛날에 나이든 사람들이 어릴 적에 친했던 이들을 손꼽으며

 

或凋落已盡,或僅有存者。

혹조락이진혹근유존자

' 아무개는 벌써 죽었고 ,

보이는 이는 얼마 안되는구나 ' 라고 이야기 하는 것을 들었다 .

 

余年方四十,而懿親戚屬,亡多存寡;

여년방사십이의친척속망다존과

내 나이가 이제 마흔인데

친한 친척들 중 죽은 이가 많고 살아있는 사람은 적다 .

 

昵交密友,亦不半在。

닐교밀우역불반재

가까운 친구들도 또한 절반도 안 남았구나 .

 

或所曾共遊一塗,同宴一室,十年之外,索然已盡。

혹소증공유일도동연일실십년지외삭연이진

일찍이 함께 놀던 무리들 , 한방에서 함께 연회하던 이도

10 년이 지나면 모두 죽을 것이다.

 

以是思哀,哀可知矣!乃作賦曰:

이시사애애가지의내작부왈

그래서 그것을 애도하노니 애도함은 자명한 일입니다.

슬픈 생각이 들어 이 賦[부]를 짓노라 . "

 

伊天地之運流,紛升降而相襲。

이천지지운류분승항이상습

하늘과 땅의 운행과 흐름의 작용은 상호작용으로 인해

서로를 들어 올리기도 하고 끌어내리기도 한다.

 

日望空以駿驅,節循虛而警立。

일망공이준구,절순허이경립。

허공 중의 해와 달의 흐름을 보면 준마(骏马)가 내달리듯하여

시간과 절후는 허공의 순환으로 놀랍도록 바뀐다. 

 

嗟人生之短期,孰長年之能執?

차인생지단기숙장년지능집

아, 인생의 짧음이여!

뉘라서 장수(長壽)를 누릴 수 있나?

 

時飄忽其不再,老晼晚其將及。

시표홀기불재,로원만기장급。

시간은 질풍처럼 지나가 다시 오지 않건만

늙음[老化]은 더딘 듯하나 오게 마련이다.

 

懟瓊橤之無徵,恨朝霞之難挹。

대경예지무징,한조하지난읍。

꽃봉오리 따낼 것 없고

아침 노을은 떠낼 것 없어 아쉽네.

 

望湯谷以企予,惜此景之屢戢。

망탕곡이기여,석차경지루집。

해 돋는 湯谷을 바라보며 세운 뜻

거듭 이루지 못하여 아쉽기 짝이 없네.

*탕곡 : . "동쪽 끝 탕곡(湯谷)에 부상(扶桑)의 나무가 있다. 10일간 햇빛을 받는데, 9일은 하지(下枝)에 받고 1일은 상지에 받는다."(<해외동경>)란 태양에 관한 이야기.

 

悲夫!

비부!

슬퍼구나!

 

川閱水以成川,水滔滔而日度。

천열수이성천,수도도이일도。

시내가 물을 보면 냇물을 이뤄

날마다 도도히 흐르건만

 

世閱人而為世,人冉冉而行暮。

세열인이위세    인염염이행모

세상이 인간들 보니 세상을 이루며

인간들은 나날이 저물어 가네.

 

人何世而弗新,世何人之能故。

인하세이불신,세하인지능고。

인간은 어느 세상에서나 젊어질 수 없는데

세상에 뉘라서 젊어질 수 있나?

 

野每春其必華,草無朝而遺露。

야매춘기필화,초무조이유로。

들판엔 봄마다 꽃을 피우고

풀들은 아침마다 이슬이 맺히건만 남은 이슬 없네.

 

經終古而常然,率品物其如素。

경종고이상연,솔품물기여소。

예로부터 늘 그랬듯이

만물이 생겨나고 사라지는 건 이치일 뿐.

 

譬日及之在條,恒雖盡而弗寤。

비일급지재조,항수진이불오。

비유컨대, 해가 나무가지에 걸려 있지만

언제나 사라지지만 깨닫지 못해.

 

雖不寤其可悲,心惆焉而自傷!

수불오기가비심추언이자상

그 슬픔 깨닫지  못해도 

마음은 슬퍼하여 아프기만 해.

 

亮造化之若茲,吾安取夫久長?

량조화지약자오안취부구장

밝은 조화 이와 같으니

내 어찌 장구함을 취하랴.

 

痛靈根之夙隕,怨具爾之多喪。

통령근지숙운원구이지다상

부모 형제  이른 죽음이 마음 아프고

이웃 사람들의 잦은 상이 원망스럽네.

 

悼堂搆之隤瘁,慜城闕之丘荒。

도당구지퇴췌,민성궐지구황。

집과 담장 허물어지니 슬프고

성과 둔덕 황폐해지니 걱정이네.

 

親彌懿其已逝,交何戚而不忘。

친미의기이서,교하척이불망。

만남과 사귐의 아름다움을 어찌 잊을손가

 

咨余今之方殆,何視天之芒芒。

자여금지방태,하시천지망망。

닥칠 위험을 알고, 어지 넓은 하늘을 이고 살겠는가.

 

傷懷悽其多念,戚貌瘁而尠歡。

상회처기다념,척모췌이선환。

수심 많아 슬프고, 기쁜 일 없으니 얼굴이 수척해지네,

 

幽情發而成緒,滯思叩而興端。

유정발이성서,체사고이흥단。

아득한 마음 피어나고, 답답한 생각 끝이 없다네.

 

慘此世之無樂,詠在昔而為言。

참차세지무락,영재석이위언。

아무 즐거움 없이 잠깐인 세상, 옛 일이나 읊조리고 말한다네.

 

居充堂而衍宇,行連駕而比軒。

거충당이연우,행련가이비헌。

많은 사람들이 집과 방에 가득 차고

말과 가마 타고 다니네.

 

彌年時其詎幾,夫何往而不殘。

미년시기거기,부하왕이불잔。

한 해 한 해 몇 해인가?

어디 가고 남은 해는 없는고?

 

或冥邈而既盡,或寥廓而僅半。

혹명막이기진,혹요곽이근반。

누군 이미 다하여 뵈지 않고,

누군 반쯤 남은 몰골이네.

 

松茂柏悅,嗟芝焚蕙歎。

신송무이백열,차지분이혜탄。

참으로 소나무가 무성하면 잣나무가 기뻐하고

아, 지초가 불에 타면 혜초가 한탄하네

 

苟性命之弗殊,豈同波而異瀾。

구성명지불수,기동파이이란。

생명에 차이가 없다면

어찌 같은 세상 또다른 세상을 살 수 있나?

 

瞻前軌之既覆,知此路之良難。

첨전궤지기복,지차로지량난。

앞 수례가 엎어진 걸 보면

이 길이 참으로 험난한 걸 안다네.

 

啟四體而深悼,懼茲形之將然。

계사체이심도,구자형지장연。

손발을 내밀어 깊은 애도를 보내며

또한 이 몸도 그리될까 두려워하네.

 

毒娛情而寡方,怨感目之多顏。

독오정이과방,원감목지다안。

즐길 마음과 방법이 부족해 안타깝고

원망하는 낯빛만 눈에  어른거리네.

 

諒多顏之感目,神何適而獲怡。

량다안지감목,신하적이획이。

죽음이 눈 앞에 선한데

어느 정신에 즐거움을 얻을 수 있으리?

 

尋平生於響像,覽前物而懷之。

심평생어향상,람전물이회지。

평생 만남과 사귐의 목소리와 모습을 찾고

옛일을 찾아 보고 그리워하네.

 

步寒林以悽惻,翫春翹而有思。

보한림이처측,완춘교이유사。

쓸쓸한 겨울숲을 거닐며 애처로이

봄을 생각하며 그리워하네.

 

觸萬類以生悲,歎同節而異時。

촉만류이생비,탄동절이이시。

스쳐가는 모던 게 쓸쓸해지고

계절은 같아도 시절은 같지 않네.

 

年彌往而念廣,塗薄暮而意迮。

년미왕이념광,도박모이의책。

나이가 들수록 생각은 넓어지고

늙어갈수록 뜻은 옹색해지네.

 

親落落而日稀,友靡靡而愈索。

친락락이일희,우미미이유색。

친척은 해가 갈수록 적어지고

친구는 점점 찾기 힘들어지네.

 

顧舊要於遺存,得十一於千百。

고구요어유존,득십일어천백。

남아 있는 친구를 찾는 것은

아는 이 천 명에 하나나 있을런지.

 

樂隤心其如忘,哀緣情而來宅。

락퇴심기여망,애연정이래택。

마음에 남은 기쁨 잊혀진 듯한데

슬픔은 정에 끌려 되살아나네.

 

託末契於後生,余將老而為客。

탁말계어후생,여장로이위객。

마지막 인연을 자손에게 의탁하면

나는 늙어지면 나그네 된다네.

 

然後弭節安懷,妙思天造。

연후미절안회,묘사천조。

지피일지방제기자정지족교

안주하려는 마음 버리고

하늘의 뜻을 곰곰히 생각하네.

 

精浮神淪,忽在世表。

정부신륜,홀재세표。

정신이 오락가락하더니

갑자기 세상 밖에 나가 있는 듯.

 

寤大暮之同寐,何矜晚以怨早。

오대모지동매,하긍만이원조。

아주 오랜만에 잠들었는데,

늦었다고 원망할 일인가?

 

指彼日之方除,豈茲情之足攪?

지피일지방제기자정지족교

죽을 날이 다가오는데,

어찌 내 마음이 흔들릴까?

 

感秋華於衰木,瘁零露於豐草。

감추화어쇠목,췌령로어풍초。

고목나무 위 가을꽃 애닯고,

무성한 풀 위엔 마른 이슬지네.

 

在殷憂而弗違,夫何云乎識道。

재은우이불위,부하운호식도。

깊은 시름 벗어나지 못했는데

어찌 가는 길을 안다 할까?

 

將頤天地之大德,遺聖人之洪寶。

장이천지지대덕,유성인지홍보。

하늘과 땅의 덕을 기리고

성인됨의 큰 보물 남기고.

 

解心累於末跡,聊優遊以娛老。

해심루어말적,료우유이오로。

쌓인 소소한 일들 풀어나가고

늙어서 유유자적 놀다 가려네.

 

 

https://kydong77.tistory.com/17286

 

陸機, 歎逝賦(탄서부)

육기 초상화 陸機(261-303) <歎逝賦 탄서부> 원문 昔每闻长老追计平生同时亲故, 옛날에 나이든 사람들이 어릴 적에 친했던 이들을 손꼽으며 或凋落已尽,或仅有存者。 ‘아무개는 벌써 죽

kydong77.tistory.com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kydong47&logNo=221081903357&parentCategoryNo=&categoryNo=86&viewDate=&isShowPopularPosts=true&from=search 

 

陸機, 歎逝賦(탄서부)

육기 초상화 陆机(261-303) <歎逝賦 탄서부> 원문 昔每闻长老追计平生同...

blog.naver.com

 

【Translation】

以前经常听到长老们追念少年时的亲友,有的已经凋落净尽,有的不过才有几个存活。

Often heard the elders often remember the juvenile friends and relatives, and some have been litter, and some only a few survived.

 

我年纪刚刚四十岁可是至亲兄弟戚属死去的多存活的少亲近的朋友也没有一半还在

I am just forty years old, but the brothers are relatives, dead more, less survival, close friends, and no half still.

有的曾经在一条路上游玩,在一个屋子里同宴,十年之外,索然都已没有了。

Some have been in a way to play, in a room with the feast, ten years away, dull have gone.

 

因此而引起哀思,哀伤可知是多么沉重。

So cause grief, sad to know how heavy.

 

于是作赋曰:

So for Fu said:

 

惟天地的运转流动,纷纷升降互相因袭。

But the operation of heaven and earth flow, have lifted each other due to attack.

하늘과 땅의 운행과 흐름의 작용은 상호작용으로 인해

서로를 들어 올리기도 하고 끌어내리기도 한다.

 

望空中日月流转似骏马驰驱,时令节候缘虚空惊心而来。

Look at the air and sun and the moon like a horse drive, the seasonal margin of empty imagination.

허공 중의 해와 달의 흐름을 보면 준마(骏马)가 내달리 듯하여

시간과 절후는 허공의 무한함으로부터 오는 듯하다. 

 

可叹人生时间很短,谁能把持生命的长年。

Can sigh life time is very short, who can control life for many years.

숨을 쉬는 삶의 시간은 매우 짧지만,

여러 해 동안은 우리의 삶을 제어 할 수 있다.

 

时光飘忽去而不再,老暮之年就要到来。

Time is erratic and no longer, the twilight will come.

시간은 불규칙하고 확실치 않은 듯하지만

황혼[노년]의 시기는 오게 마련이다.

 

怨餐琼蕊之说无有征验,恨朝霞难以挹取。

Resentment Qian Rui said no check, hate morning glow difficult to pour out.

 

 

望汤谷而踮起脚跟,可惜那景象屡屡隐藏。

Wang Tang Valley and tiptoe, but unfortunately that scene often hidden.

 

可悲啊!大河是汇总众水而成大河,河水滔滔奔流日夜不息。

Sad ah! The river is a collection of water from the river, the river surging endless day and night.

아, 슬픈지고! 강은 여울물의 집합체이며 강물은 밤낮으로 끊임없이 솟아 오릅니다.

 

人世是汇总众人而成人世,世上的人都慢慢走向暮年。

The world is a collection of all the people from the world, the world people are slowly toward the twilight years.

세상은 세상에 온 모든 사람들의 집합이며, 세상 사람들은 천천히 황혼을 향해 가고 있습니다.

 

人在哪个世上不是新的,哪一世上的人能长久存留?

郊野每到春天必定华盛,草叶没有一天早上能留下露珠。

Who is in the world is not new, which the world can stay for a long time?

Country every spring must be Huasheng, grass leaves no one day can leave dew.

세상에 오래 머물 수 있는 새롭지 않은 사람은 누구입니까?

교외 들판에 봄날이 오면 반드시 꽃잔치가 풍성하지만, 풀잎들은 하루도 이슬을 남길 수 없다.

 

自古迄今都是如此,万物都按照固有的状况生长死亡。

Since ancient times are so, all things in accordance with the inherent situation of death. 

 

好像日及长在枝条上,虽总是死光而不觉悟。

As if the day and long on the branches, although always die without consciousness.

 

虽然不觉悟是可悲的,我还是心惆怅而自伤。

Although the unconscious is sad, I still melancholy and self-injury.

 

确实造化就是这个样子,我从哪儿可以得长生呢?痛悼祖、父早已陨逝,恐惧兄弟多有丧亡。

Really good fortune is like this, where can I have a long life? Mourning ancestors, father has long been dead, fear of brothers and more dead.

 

悲哀堂室倒塌毁坏,哀怜城阙变为荒丘。

The mourning hall collapsed and the mourning city became a barren hills.

 

亲戚中至近的都已亡逝,知交没戚近关系却不能忘。

Relatives are close to the past have died, knowing that no relationship can not forget.

 

嗟叹我现在处于危殆,怎么还视天昏乱而不明。

I am now in danger, how to see the sky as chaotic and unknown.

 

悲伤的胸怀凄恻而多感慨,哀戚的容貌憔悴而少欢忻。

Sad mind sad and sad and more emotion, sad face haggard and less Huan Xin.

 

幽怨的情怀发泄而为意绪,沉滞的哀思被激发成感慨之端。

Resentment of the feelings of venting for the mood, sad grief is excited to the end of emotion.

 

可惨呵在世上无有欢乐,只好吟咏过去作为话言。

Can be harsh in the world without joy, had to chant the past as a word.

 

那时居处人多充满堂室充盈屋宇,出行游玩马儿连驾车子并轩。

At that time, most people live in the room filled with room, travel to play the horse and driving a car and Xuan.

 

好像时间很近才有几日,然而到哪没有不凋残的。

As if the time is very close only a few days, but where there is no withering.

 

有的深邈已经不可见,有的寥廓而仅存一半。

Some deep Miao has been invisible, and some only and only half.

 

确是松茂盛而柏忻悦,芝被焚而蕙悲叹。

It is pine lush and Bo Xin Yue, Chi was burned and lament lament.

 

如果性命没有差异,怎么同生世上而遭遇有别呢?看到前面的车子倾覆,深知这道路确实艰难。

If there is no difference in life, how do you encounter with the world? See the front of the car overturned, knowing that the road is really difficult.

 

启动手脚深切地悼念倾覆者,恐怕我这个形体也要像他们一样。

Start the hands and feet to pay tribute to the overturning, I am afraid that my body should be like them.

 

恨要娱乐而缺少方法,怨死亡者的情状一一在目。

Hate to entertain the lack of methods, those who complain about the death of the eleven in the head.

 

的确,死亡之状历历在目,精神在哪能得到怡乐?只好追想交好时的音容笑貌,观览以前的物事而怀念他们。

Indeed, the death of the history of the head in the head, the spirit of which can get Yile? Had to remember the good tone when the sound, watching the previous things and miss them.

 

漫步寒林生凄恻之情,观赏春天繁盛而增忧郁之思。

Walking cold Linsheng sad sad feelings, watch the spring flourishing and increase the depression of thinking.

 

接触万物而生悲哀,可叹节令虽同而时候不一样了。

Touch all things and sorrow, sigh season at the same time not the same.

 

年纪越大感念越广,人生临近暮年志意忧迫。

The greater the feeling of the more lonely, life is about to worry about the old age.

 

亲戚零落日见稀少,朋友凋残愈来愈尽。

Relatives scattered rare, friends withered more and more.

 

寻旧亲故友於活着的人中,千百人中才得十分之一。

Those who are old people in the living are among the thousands of people.

 

心中遗留的欢乐好像忘记了,悲哀却缘循情感来住下了。

The joy of leaving the heart seems to have forgotten, sad but the edge of the feelings to stay.

 

托付最后的约言于后生,我就要老死而为过客了。

Entrusted with the last words of speech in the epigenetic, I will die and for the passing.

 

然后停止奔竞安定心怀,深思上天造物的道理。

And then stop to rest assured that peace of mind, pondering the truth of heaven.

 

精神流荡浮动不定,忽然觉得如在世外。

The spirit of floating floating indefinitely, suddenly felt like outside the world.

 

觉悟到人死同眠地下的道理,何必自矜晚死怨恨早丧。

Consciousness to death and death of the truth of the ground, why from the late death resentment early funeral funeral.

 

弹指之间死的日就要来到,哪有什么还足以搅乱我的情怀。

Fingertips between the day of death will come, what is enough to disturb my feelings.

 

感叹衰木上的秋华,悲戚丰草上的零露,这还是在深忧之中未能脱离,怎么能说识得了大道。

 Lamented the decline of autumn on the grass, sad Qi Feng grass on the zero exposed, which is still in deep worry among the divorce, how can we know the road.

 

我将颐养我的生命,遗弃圣人看重的大宝,解除缠心累德的琐事,且优哉游哉地娱乐我的晚年。

I will keep my life, abandoned saints valued big treasure, relieved ecstasy trivia, and leisurely leisurely entertainment my old age.

[출처] 陸機, 歎逝賦(탄서부)|작성자 은자

 

https://www.newton.com.tw/wiki/%E5%98%86%E9%80%9D%E8%B3%A6

 

嘆逝賦:作品原文,注釋譯文,詞句注釋,白話譯文,創作背景,作品鑑賞,文學賞析,名家_中文百科全書

作品原文 嘆逝賦 昔每聞長老追計平生同時親故1,或凋落已盡2,或僅有存者。餘年方四十,而懿親戚屬3,亡多存寡;昵交密友4,亦不半在5。或所曾共游一塗6,同宴一室,十年之外,索然已盡7

www.newton.com.tw

 

白話譯文

過去常常聽老人們追憶,計算起小時的親友,有的早已離開人世,有的還活著。我的年齡才四十歲,可最親近的人大多都已去世,健在的只有少數;親近的知交或朋友,活著的也不到一半。其中有些人曾經跟我同路遊冶,同室宴樂,可十年之後卻全已在九泉之下安息。我的心中因此充滿悲哀,其程度當然可想而知。於是我情不自禁,寫下這篇賦作:

 

天氣與地氣運轉流行,或升或降,互相承繼。太陽向著長天不停地賓士,四時沿著虛空迅速地逝去,真使人因此警動,因此久久地佇立。人生如此短暫使我悲嘆,沒有誰能夠獲得生命的永恆!時光匆匆飄逝永遠不再回頭,而我生命的暮年眨眼就會到來。瓊蕊延生的說法沒有應驗使我憤恨;相傳朝霞可以養生卻難以挹取,這更使我痛惜。為了眺望太陽升起的湯谷我掂起腳跟,痛心的是太陽的光芒卻葵要藏避。

多么令人悲傷,江河由細水匯聚而成,可流水卻一天天滔滔不絕地奔去;世代由眾人聚集而成,可人們卻一日日走向人生的殘年!無論何世,人都是代代更新,那一代能夠長生不死!郊野上每年春天都繁花似錦,可花花草草沒有幾天便披滿了霜露。從古到今永遠如此,所有的事物一律不能長久!譬如木槿盛開枝頭,常常是已經凋落也不曾醒悟。雖然它不曾意識到自己生命的可悲,可我的心靈卻為此惆悵、為此感傷。如果造化確實如此,我又如何能夠得到人生的久長!

祖、父早逝使我悲痛,兄弟多喪使我怨憤。看到前輩創建的遺業已經毀壞,我心中充滿悲慟;看到城郭宮闕變為廢墟和荒野,我心中全是哀傷。多么好的親人已經長逝,多么近的知交已經死亡。嗟嘆自己的生命現在充滿了危險,仰望蒼天卻只見一派蒼茫。悲傷滿懷,憂思鬱結;哀湊憔悴,落寞少歡。深情幽思,撩動叩發出千頭萬緒。此生無樂,使我慘然,回憶往昔於是吟詠成詩。

當初居住則濟濟一堂,出行則並駕齊驅。從那時到如今才有幾年,可一切東西都已殘缺不全!或者幽深邈遠而空空蕩蕩,或者空廊深邃只存原來的一半。我真的相信柏樹為松樹茂盛而喜悅,我尤其感慨蕙草為紫芝被燒而悲嘆。人的生命短哲而沒有差別,就像水流同波而沒有異潤。看看那些人死在我前面就像車子傾覆,我便明白人生的道路實在是充滿艱難。瞧瞧自己的軀體我深深的悲傷,擔憂這一身軀也將溘然然長逝,化為異物!我感到痛心的是無法使自己的心情愉快,我感到怨憤的是那么多死者的容顏一一出現在自己的眼前。既然有那么多死者浮現在我的心頭,那么我的精神又能從什麼地方得到歡樂!從這些音容笑貌中尋找著自己的親友,看看那些與他們有關的辜物在我的心中充滿了無限的思念。

寒林漫步我深感哀傷,玩味春天萬物茂盛的景象我更是浮想聯翩。環顧萬物無不引起我心中的傷感,節候雖同而人各異時使我不禁長嘆。時光越是流逝,憂思越是深廣;時光的流逝使我倍感急迫,正如要走的道路還很遙遠可太陽卻已落入西山。親人一天天越來越少,朋友一天天去世更多。回顧自己的至交,依然活著的沒有兒個。歡樂從心中消亡如同早已失落,悲哀卻依附著我的情思盤踞在自己的心頭。把我的情誼託付給後生青年,我將衰老而死,成為世人的遠客。

於是我抑制、德住自己的志節和懷袍,來思索自然造化萬物的道理。我的精神時起時沉,忽然間超出世外。我醒悟到死亡本是世人共同的安息,沒有必要誇耀晚兄,沒有必要怨恨早亡。那日月的流逝只不過是件外常普通的享情,怎么能讓它攪動我澹泊而又平靜的心情!為衰老的樹木上朵朵秋花而感嘆,為茂盛的草叢上領顆露珠而悅悴,處於深憂之中而不能超脫,怎么能夠葬得上明白大道!我將培養自己的生命,我將遺棄身外的高位。我將把自己的心靈從憂思中解脫出來,姑且逍遙自在以使自己的晚年過得更加愉快。

 

創作背景

據《晉書》記載,此賦寫於西晉永康元年(300年)。其時八王之亂開始,作者深受世變驚擾,頗覺前途無望,同時目睹親朋故友紛紛謝世,於是方感日月流逝之速,及人世過往之疾,因以“嘆逝”為題而賦,藉以表達自己意欲隱退優遊娛老的思想。

作品鑑賞

文學賞析

賦前序文似乎是說作者此賦是為悲嘆親朋故友的亡逝而作。然而綜觀全篇,一種“容華夙夜零,體澤坐白捐,茲物苟難停,吾壽安得延了儻仰逝將過,倏忽幾何問”(《長歌行》)的生存危機感和自悲自悼之情充溢在字裡行間。

賦文寫了四個層次。第一層從開篇到“吾安取夫久長”,主要抒發了對生命短暫的悲哀。發端四句落筆高遠,從空間與時間兩個角度寫出天地運轉無窮,時序更迭不盡,宇宙無限,永恆。與永恆的宇宙相比,人的生命已顯得極其短暫了,更哪堪日月如飛,節序如流的催迫呢?因而“人生之短期”的悲哀,情不自禁地湧上作者心頭。宇宙無情,生命苦短,光陰疾馳,人生易老。這既是作者在特定環境下獨特的心理感受,也是人類無法改變的鐵律。對此,作者只有無可奈何地悲嘆“孰常年之能執”,希冀常年,而無法獲得,在這深深地嘆惋中。作者內心的悲苦和盤托出。“孰”字又賦予這種感情以普遍的意義。這不僅僅是作者個人的悲哀,而是全人類共同的悲哀,因此它極易引起讀者的共鳴,具有強烈的藝術感染力。希冀常年無望,時光逝而不返,轉跟暮年在即,因此作者心中無限悵恨。文中用“懟”、“恨”、“惜”等心理動詞,準確傳神地寫出了作者對不能常年的無限怨恨情緒。“望湯谷以企予”一句,形象地描繪出引頸眺望光明的作者形象。對生命的無限留戀,對美好年華的熱切追求以及求而不得的無限帳恨,都從這望的畫面中表現出來。行文至此,作者愈嘆愈悲,感情的潮水被瀾迭起,用“悲夫”這個抒情性極強的語詞,把筆觸帶入對人類,生存問題的沉痛思考。作者運用一連串形象的比喻,鋪敘人生在世的短暫。文中以“野每春其必華”比喻“人何世而弗新”,以“草無朝而遺露”比喻‘世何人之能故”……這些連珠妙喻把人類的新陳代謝,生命的短暫無常以及作家的憂情苦緒都寫得情盡意足。接下來文脈突然振起,作者將筆鋒一轉,寫出“亮造化之若茲,吾安取夫久長”兩句,語似曠達,但實質是無可奈何的悲嘆,這樣的筆法更易令人倍覺悽然。總之在這一層中,作者先嗟嘆宇宙無窮,光陰迅疾,人生易老,繼而怨恨不能使年華永駐,生命長 存。最後感於生命的短暫而發出了無可奈何的嘆惜。內容由淺入深,情感由淡轉濃,反覆詠嘆,寫得纏綿悱惻,淒婉動人。

第二層從“根之夙殞”到“詠在昔而為言”,著重抒寫了死亡的悲哀。起始四句,作者以鋪陳筆法寫祖考的早逝,兄弟的多亡,祖先遺業的毀棄以及城鎮的荒廢淒涼……描繪了一幅人生凋敝的悲慘景象,渲染了濃郁的死亡氣氛,恰到好處地烘託了心中的悲哀。這四句分別用“痛”、“怨”、“悼”、“愍”四個心理動詞領起,強烈地抒發了對死亡的深哀巨痛。“懿親戚屬”的“亡多存寡”已令人悲懷難抑,一想到自己也處於朝夕不保的境地則更加棲惶悲傷。“咨余命之方殆,何視天之茫茫”兩句,既是對天道昏亂,生存危機的預感,又是作者自身命運的讖語,寫此賦後第三年,陸機果然被殺害。死神的陰影籠罩心頭,生活也就失去了樂趣。“傷懷淒其多念,戚貌瘁而鮮歡”,就是這種悲苦情狀的形象寫照。胸中的憂思苦緒愈積愈厚,一經觸發便不能自已。極度的哀傷使作者再也無法承受了,於是強自從痛苦的現實中掙脫出來,轉入對往昔歲月的回顧。

第三層從“居充堂而衍宇”到“余將老而為客”。這一層由序文里的“或所曾共游一途,同宴一室,十年之外,索然已盡”而發,進一步寫在死神陰影籠罩下生存無樂的悲哀。作者在回憶中寫道往昔賓族濟濟,十分繁盛,自己曾與他們同游共處,但幾年之間他們已多數亡逝了。光陰易逝,歲月無情,回顧往昔不僅沒有使作者得到慰藉,反而更增添了悵惘和遺憾。作者悲痛欲絕,真情畢現,以柏蕙自喻,抒發了對親友凋零的哀悼和痛惜。接下來作者又回到現實中來,由親友的亡逝轉而想到自身之將危。既然人的生命猶如河裡的波瀾相同一樣,沒有什麼區別,那么自己與那些已逝的賓族親友們又能有什麼兩樣呢?死亡的陰影再一次襲上心頭,悲哀心情更加沉痛。從“啟四體之深悼”到這層結束,作者進一步鋪寫死亡給精神上帶來的種種痛苦。一方面是已逝眾賓族親友的音容笑貌時時浮現在眼前,令人悲懷難釋,另一方面是“懼茲形之將然”的死亡恐怖常常襲上心頭,使人驚懼不安。生命被死亡的陰影籠罩著,悲傷、驚懼、悽苦、孤獨吞齧著作者的心靈。在極度悲苦中,作者“步寒林”、“玩春翹”,希冀在大自然的懷抱中尋求一點歡樂,然而“感時花濺淚,恨別鳥驚心”(杜甫《春望》)。大自然的山山水水,草草木木,都足以觸發他的傷情。隨著日月流邁,年齡增長,這種悼亡傷逝的情感也就愈益強烈。眼見賓族親友日漸凋零,孤獨感和失落感也就愈益加劇。舊日的情誼沒有了,於是“托末契於後生”,希望獲得新的知交,然而,由於年齡的差異,後生們只待之以客禮。作者在無限的孤獨、痛苦、鬱鬱寡歡之中,感到自己已經進入了衰朽殘年,悲哀之情也就更加濃郁了。

第四層從“然後弭節安懷”到結束為。行文至此,筆鋒陡轉,作者從深哀巨痛中掙扎出來,轉而寫參透死生以後豁達的處事態度。波瀾迭起的感情潮水至此平靜下來,作者在靜然中運轉神思,終於達到了對生命造化的大徹大怊。既然死亡如同在長夜中睡眠一樣,就不應該因早夭而悲沮,因晚死而矜誇。人一旦進入了這種“一死生,齊彭殤”的逆家境界,自然也就無需嘆逝了。悟透了生死,對人生也就達觀了。於是作者表示“將頤天地之大德,遺聖人之洪寶”,捐棄世俗的功名祿位。頤養天年,解除死亡陰影加在心靈上的捅苦,以求得晚年的歡樂。這種“極言其哀,終之以達”(陸機《大暮賦》)的寫去,並沒能完全掩蓋作者內心的痛苦。文中這段貌似達觀之語,實則是一種極度痛苦而又無可奈何的自我解嘲,“聊優遊以蟻老”的“聊’字透露了箇中真諦。

全賦在有限的篇幅中鋪采摛文,盡情寫意,反覆詠嘆,一波三折,把生命易逝的悲哀表達得酣暢淋漓。

在表達方式上,此賦多處運用排比句式和駢偶句式,用以表達強烈的思想情感。前者如“懟瓊蕊之無征”四句等,寫得語氣充沛,酣暢淋漓,把悲哀之情表達得十分強烈。後者如“日望空以駿驅,節循虛而警立”、“懟瓊蕊之無征,恨朝霞之難挹”等,這些整飭的駢儷句式,不僅使語言形成韻律美,而且也充分地表達了作者的思想感情。

在用詞上,此賦運用“瓊蕊”、“朝霞”,“松柏”,“蘭蕙”,“寒林”、“春翹”、“秋華”、“豐草”等大量華麗的辭語,描繪了色彩斑斕的大千世界,不僅給人以色彩上的美感,而且也用以反襯出人生苦短的悲哀。此外,作者還驅遣大量心理動詞,如“懟”、“恨”、“惜”、“痛”、“怨”、“悼”、“憫”、“懼”、“毒”等,反覆嘆惋,把生命易逝的悲哀表達的足情盡意。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