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log.daum.net/thddudgh7/16535179?category=1425252

 

<서경>(162)주서(周書)(59)낙고편(洛告篇)(3) 백성들이 따르면 먼곳 사람도 명(命)을 지킵니다.

             <서경(書經)>(162) 주서(周書)(59)         주서는 주나라의 사관이 기록하여 모아놓은 역사이다. 주나라의 시조는 기(棄)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성   은 희(姬)인데, 제곡(帝嚳)

blog.daum.net

 

 

[3] 백성들이 따르면 먼곳 사람도 명(命)을 지킵니다.  

 

   公曰(공왈)

   주공이 말하였다.

   已汝惟沖子(이여유충자) 惟終(유종)

   "아! 그대는 젊은 사람이니, 끝맺음이 훌륭해야 합니다.

   汝其敬(여기경) 識百辟享(식백벽향)

   그대는 경건한 마음으로, 모든 제후들의 공물을 기억하고,

   亦識其有不享(역식기유불향)

   또한 공물을 바치지 않은 이들도 알아 두어야 합니다.

   享多儀(향다의)

   공물을 바칠 때에는 많은 의식이 있는데,

   儀不及物(의불급물)

   의식이 물건에 미치지 못하면,

   惟曰不享(유왈불향)

   말하자면 공물을 바치지 않음과 같습니다.

   惟不役志于享(유불역지우향)

   이는 성의를 가지고 공물을 바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凡民惟曰不享(범민유왈불향)

   모든 백성들이 공물을 바치지 않으려고 하면,

   惟事其爽侮(유사기상모)

   곧 정사는 그릇되고 모멸을 받게 되는 것입니다.

   乃惟孺子(내유유자) 頒朕不暇(반짐불가)

   오로지 그대 젊은 사람은, 제가 여가가 없음을 분별하시어,

   聽朕敎汝于棐民彝(청짐교여우비민이)

   제가 그대에게 백성들을 돕는 상법(常法)을 가르치는 것을 잘 들어 주십시오.

   汝乃是不蘉(여내시불망)

   그대가 만일 이런 일에 힘쓰지 않으신다면,

   乃時惟不永哉(내시유불영재)

   곧 그대의 왕업이 영원하지 못하게 될 것입니다.

   篤敍乃正父(독서내정부) 罔不若(망불약)

   그대의 관장들에게 두터운 벼슬을 내리시어, 따르지 않는 자가 없게 하면,

   予不敢廢乃命(여불감폐내명)

   저도 감히 그대의 명을 저버리지 못할 것입니다.

   汝往敬哉(여왕경재)

   그대는 가서 삼가 경계하도록 하십시오.

   玆予其明農哉(자여기명농재) 彼裕我民(피유아민)

   이제 저도 힘쓸 것이니, 우리 백성들을 보호하면,

   無遠用戾(무원용려)

   먼 곳의 사람들도 명령을 어기지 않게 될 것입니다"

 

   *이 글에서 주공은 모든 제후들로 하여금 의식을 지켜서 공물을 바치게 하며, 그들에게 후한 관작을 내

    리라고 제의하고 있다. 그렇게해서 모든 백성들이 임금을 따르게 되면 먼곳의 사람들도 저절로 명(命)

    을 따르게 된다고 하였다. 여기에서도 보는 바와 같이, 주공은 예의와 의식을 매우 중요시한 사람임을

    알 수가 있는데, 대륙의 사람들이 그래서 예를 알게 되었다고 할정도로 중화(中華)에 크게 기여했다고

    볼 수가 있을 것이다.

 

 

m.blog.daum.net/thddudgh7/16535178?category=1425252

 

<서경>(161)주서(周書)(58)낙고편(洛告篇)(2) 왕께서는 은(殷)의 제례(祭禮)로 거행하십시오.

             <서경(書經)>(161) 주서(周書)(58)         주서는 주나라의 사관이 기록하여 모아놓은 역사이다. 주나라의 시조는 기(棄)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성   은 희(姬)인데, 제곡(帝嚳)

blog.daum.net

 

 

[2] 왕께서는 은(殷)의 제례(祭禮)로 거행하십시오.  

 

   周公曰(주공왈)

   주공이 이렇게 말했다.

   王肇稱殷禮(왕조칭은례)

   "왕께서는 은나라의 제례(祭禮)를 거행하시어,

   祀于新邑(사우신읍)

   이 새로운 고을에서 제사를 올리시어,

   咸秩無文(함질무문)

   모두 질서가 잡혀 문란하지 않도록 하십시오.

   予齊百工(여제백공)

   저는 모든 관원들을 가지런히 정리하여,

   伻從王于周(팽종왕우주) 予惟曰(여유왈)

   주나라로부터 왕을 따르게 하고, 그들에게 말하기를,

   庶有事(서유사)

   ‘이러한 일이 있을 것이다’라고 하겠습니다.

   今王卽命曰(금왕즉명왈)

   이제 왕께서 멍령을 하시어 말씀하시기를,

   記功宗(기공종)

   ‘이 공을 기념하여,

   以功作元祀(이공작원사)

   이 공으로써 원호(元號)를 고치게 된 제사를

   성대히 거행하도록 하겠소’라고 하십시오.

   惟命曰(유명왈)

   또 명령하여 말씀하시기를,

   汝受命篤弼(여수명독필)

   ‘그대들은 그대들에게 남겨진 명(命)을 받들어

   충실히 보좌하라’고 하십시오.

   丕視功載(비시공재)

   크게 공을 살펴 기록하셔야 하는데,

   乃汝其悉自敎工(내여기실자교공)

   이는 당신께서 만사를 스스로 관원들에게 가르쳐야 하기 때문입니다.

   孺子其朋(유자기붕)

   젊은 사람들은 붕당을 이루기 쉬우니,

   孺子其朋(유자기붕)

   젊은 사람들이 붕당을 이루게 되면,

   其往無若火始燄燄(기왕무약화시염염)

   그 퍼져 나가는 것이 불이 처음 미약하게 타오르는 것을 내버려 두었다가,

   厥攸灼(궐유작) 敍弗其絶(서붕기절)

   이 불이 커져서 만연하게 되면, 끌 수가 없는 것과 같습니다.

   厥若彝及撫事如予(궐약이급무사여서)

   법을 따르고 위로하기를 저와 같이 하셔야 합니다.

   惟以在周工往新邑(유이재주공왕신읍) 明作(명작)

   주나라의 관원들을 새로운 고을로, 데리고 가서 힘써 일하게 한다면,

   伻嚮卽有僚(팽향즉유료)

  신하들이 일에 향하여 나가게 하신다면

   有功(유공) 惇大成裕(돈재성유)

   공은 이루는 것이, 두텁고 관대해 져서,

   汝永有辭(여영유사)

   그대의 왕업은 길이 이어져 나갈 것입니다"  

 

   *주공은 이 글에서 은나라의 제례(祭禮)를 본받을 것을 성왕에게 제의하고, 성왕이 처음부터 정사에 힘

    써야만 나라도 편안해 지고 왕업도 길이 유지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역설 하였다. 이 글에서 주공이

    예의에 대하여 언급한 사실을 엿볼수가 있는데, 예법을 제정하고 음악을 즐기게 하여 백성들을 다스린

    것이 종친(宗親)의 봉건(封建)과 더불어 그의 또 한 가지 위대한 업적이라고 말 할 수가 있다.

 

 

m.blog.daum.net/thddudgh7/16535177?category=1425252

 

<서경>(160)주서(周書)(57)낙고편(洛告篇)(1) 이곳 낙수(洛水)가 가장 길한 곳입니다.

             <서경(書經)>(160) 주서(周書)(57)         주서는 주나라의 사관이 기록하여 모아놓은 역사이다. 주나라의 시조는 기(棄)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성   은 희(姬)인데, 제곡(帝嚳)

blog.daum.net

 

 

    제15편 낙고편(洛誥篇)(1)

   낙(洛)은 마땅히 낙(雒)으로 보아야 한다는 사실은 이미 말한바가 있다. 곧 지금의 낙양(洛陽)을 의미한

   다. 주공이 낙읍(洛邑)을 건설하자, 성왕은 낙읍에까지 가서 두루 살피고, 주공이 낙읍에 남아서 다스려

   주기를 부탁한다. 따라서 주공이 성왕의 명을 받는 의식이 낙읍(洛邑)에서 거행되었다. 이 때 성왕과 주

   공이 앞으로의 할 일에 대하여 의견을 주고 받게 되는데, 낙고편(洛誥篇)은 이것을 기록한 것 이라고 한

   다. 이 편 역시 <금문상서>와 <위고문상서>에 모두 실려 있는 글이다.   

 

 

[1] 이곳 낙수(洛水)가 가장 길한 곳입니다.  

 

   周公拜手稽首曰(주공배수계수왈)

   주공은 엎드려 절하며 말하였다.

   朕復子明辟(짐복자명벽)

   "나는 그대 명군(明君)에게 알립니다.

   王如弗敢及天基命定命(왕여불감급천기명정명)

   왕께서 하늘이 내린 명으로 이룩한 창업의 공과 하늘이 내린 명으로

   이룩한 천하 평정의 공에 미치지 못할까 염려하여,

   予乃胤保(여내윤보)

   제가 섭정이 되어 계속 보좌를 하였으며,

   大相東土(대상동토)

   한편으로는 동쪽 땅을 크게 살피는 등,

   其基作民明辟(기기작민명벽)

   당신으로 하여금 백성들의 명군이 되도록 힘썼습니다.

   予惟乙卯(여유을묘) 朝至于洛師(조지우락사)

   저는 을묘일(乙卯日) 아침에, 사람이 많은 이 낙읍에 이르러,

   我卜河朔黎水(아복하려수)

   황하 북쪽의 여수(黎水)를 점쳐 보았습니다.

   我乃卜澗水東瀍水西(아내복간수동전수서)

   저는 또 간수(澗水)의 동쪽과 전수(瀍水)의 서쪽 땅도 점쳐 보았으나,

   惟洛食(유락식)

   오로지 낙수(洛水)만이 길하였습니다.

   我又卜瀍水東(아우복전수동)

   저는 다시 전수(瀍水)의 동쪽 일대도 점쳐 보았으나,

   亦惟洛食(역유락식) 

   역시 낙수 쪽만 길하였습니다.

   伻來(팽래)

   그래서 왕께서 친히 오셔서 의논코자 한 것이며,

   以圖及獻卜(이도급헌복)

   또한 점의 결과를 알리려는 것입니다"

   王拜手稽首(왕배수계수) 曰(왈)

   왕은 엎드려 절하며, 이렇게 말씀하셨다,

  (공) 不敢不敬天之休(불감불경천지휴)

   "공(公)이여! 하늘이 내리신 아름다움 명을 감히 공경하지 않을 수 없어서,

   來相宅(내상택) 其作周匹休(기작주필휴)

   이 곳에 와서 거처를 살피어, 주의 왕업에 합당한 아름다움을 이룩하셨소.

   公旣定宅(공기정택) 伻來(팽래) (래)

   공이 이미 이 거처를 정하고, 오게 하였으니, 내가 온 것이며,

   視予卜休恒吉(시여복휴항길)

   나에게 보여준 복점의 결과가 모두 길하니,

   我二人共貞(아이인공정)

   우리 두 사람이 서로 통하는 듯 하오.

   公其以予萬億年(공기이여만억년) 敬天之休(경천지휴)

   공이 나에게 억만 년까지, 하늘의 아름다운 명을 공경하게 하니,

   拜手稽首誨言(배수계수회언)

   삼가 절하면서 가르침을 받고자 하오"

 

   *성왕 7년에 주공이 정권을 성왕에게 되돌려 준것은 사실이지만, 이 낙읍의 건설을 완성한 뒤의 일이다.

    주공이 은나라 귀족계급을 이 낙읍의 부근에 봉하여 관리와 단속에 편리함을 도모 했다고 한 것은 이미

    전편에서 논한 바가 있는데, 우리가 이미 알고있는 미자(微子)계(啓)가 송(宋)나라에 봉재진 것도 바로

    이 무렵이다.

 

 

m.blog.daum.net/thddudgh7/16535176?category=1425252

 

<서경>(159)주서(周書)(56)소고편(召告篇)(5) 하늘이 내린 명(命)의 길흉을 아직 알 수 없습니다.

             <서경(書經)>(159) 주서(周書)(56)         주서는 주나라의 사관이 기록하여 모아놓은 역사이다. 주나라의 시조는 기(棄)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성   은 희(姬)인데, 제곡(帝嚳)

blog.daum.net

 

 

[5] 하늘이 내린 명(命)의 길흉을 아직 알 수 없습니다.  

 

   王乃初服(왕내초복)

   "왕께서 처음으로 정사를 돌보시니,

   嗚呼(오호) 若生子(약생자)

   아아! 마치 자식을 낳은 것과 같은데,

   罔不在厥初生(망부재궐초생)

   처음 자식을 낳을 때 달려 있는 초심과 같지 않아서,

   自貽哲命(자이철명)

   스스로 현명한 명(命)을 부르게 되는 것입니다.

   今天其命哲(금천기명철)

   오늘 하늘이 주신 명이 명철한 것인지,

   命吉凶(명길흉)

   명이 길한지 흉한지는 알 수가 없습니다.

   命歷年(명력년)

   명(命)은 세월을 두고 지내 보아야 합니다.

   知今我初服(지금아초복) 宅新邑(택신읍)

   이제 우리는 처음 정사에 임하여, 새 고을에 살게 된 것이니,

   肆惟王其疾敬德(사유왕기질경덕)

   왕께서는 서둘러 덕행을 공경하도록 하십시오.

   王其德之用(왕기덕지용) 祈天永命(기천영명)

   왕께서 미덕을 받드시면, 하늘의 유구한 명을 바랄 수가 있습니다.

   其惟王勿以小民淫用非彝(기유왕물이소민음용비이)

   왕께서는 낮은 백성들이 지나치게 법을 어긴다고 하여,

   亦敢殄戮(역감진륙)

   또한 그들을 감히 살륙하지 마옵시고,

   用乂民(용예민)

   백성들을 평안히 다스려야 할 것입니다.

   若有功(약유공) 其惟王位在德元(기유왕위재덕원)

   이와 같이 하시고, 왕께서는 오직 덕의 모범이 되어야만,

   小民乃惟刑(소민내유형)

   낮음 백성들은 이를 본받을 것이며,

   用于天下(용우천하) 越王顯(월왕현)

   이것을 사용하여 천하에 펴시면, 곧 왕께서는 빛나게 될 것입니다.

   上下勤恤(상하근휼)

   위로 하늘을 받들고 아래로 백성들을 긍휼히 여기시면,

   其曰(기왈)

   이에 말하기를,

   我受天命(아수천명) 丕若有夏歷年(비약유하력년)

   ‘우리가 받은 하늘의 명은, 마치 하와 같이 길고 은과 같이 길어서,

   式勿替有殷歷年(식물체유은력년)

   결코 어긋남이 없을 것이다’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欲王以小民受天永命(욕왕이소민수천영명)

   왕께서는 낮음 백성들과 더불어 하늘의 영구한 명을 받도록 하십시오"

   拜手稽首曰(배수계수왈)

   그는 또 엎드려 절하고 이렇게 말하였다.

   予小臣(여소신)

   "이 소신은,

   敢以王之讎民百君子越友民(감이왕지수민백군자월우민)

   왕에게 원한이 있는 백성들과 모든 관원 및 우호적인 백성들과,

   保受王威命明德(보수왕위명명덕)

   더불어 왕의 위엄이나 명령과 그리고 밝은 덕을 받들어 지키려 합니다.

   王末有成命(왕말유성명) 王亦顯(왕역현)

   왕께서 끝내 밝은 명을 내리시면, 왕께서는 빛나게 될 것입니다.

   我非敢勤(아비감근) 惟恭奉弊(유공봉폐)

   저는 감히 수고롭다 할 수 없으니, 옥백과 폐물등을 공손히 받들어서,

   用供王能祈天永命(용공왕능기천영명)

   왕께 바치어 하늘의 영원한 명을 받으시기를 기원하겠습니다"

  

   *하늘이 내린 명이 밝은 것인지 길한 것인지 흉한 것인지, 또는 유구한 것인지 짧은 것인지는 아직 알지

    못하는 것 이니, 새로이 정권을 인수한 성왕(成王)은 덕으로 백성들을 다스려서, 하늘의 명이 영원하도

    록 만들어야 한다고 역설한 내용으로, 끝으로 소공은 새로운명, 즉 낙읍을 새로운 큰 고을로 만든 것에

    대하여 성왕에게 축하를 해 주고 있는 대목이다. 주공(周公)은 이 낙읍을 건설하는 데 은나라 백성들을

    동원하였으며, 또한 은나라 귀족들을 그곳으로 옮겨서 감시를 할수 있도록 정치적인 조치를 취한 것으

    로 여겨 진다. 이 절의 마지막 부분의 수민(讎民)과 백군자(百君子)등은 바로 은나라의 유민과 그 귀족

    들을 가리키는 말인 듯 여겨진다.

+ Recent posts